KR20000029718A - Absorbent article - Google Patents

Absorbent art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9718A
KR20000029718A KR1019997000820A KR19997000820A KR20000029718A KR 20000029718 A KR20000029718 A KR 20000029718A KR 1019997000820 A KR1019997000820 A KR 1019997000820A KR 19997000820 A KR19997000820 A KR 19997000820A KR 20000029718 A KR20000029718 A KR 200000297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p
region
body portion
stretchable
side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08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시카타히로아키
니시다나오후미
마샬로버트이엘삼세
사와키노리코
Original Assignee
데이비드 엠 모이어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이비드 엠 모이어,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filed Critical 데이비드 엠 모이어
Publication of KR20000029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9718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6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ncircling the crotch region of the undergarment, e.g. with fla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2013/49042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only stretchable part, i.e. part being not elastic but only extensible with not a full recovery of its original leng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2013/49042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only stretchable part, i.e. part being not elastic but only extensible with not a full recovery of its original length
    • A61F2013/49052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only stretchable part, i.e. part being not elastic but only extensible with not a full recovery of its original length having a specific direction of stretchability
    • A61F2013/4905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only stretchable part, i.e. part being not elastic but only extensible with not a full recovery of its original length having a specific direction of stretchability being stretchable in both longitudinal and transversal dire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PURPOSE: An absorbent article is provided which enables a widening of the protected region of the leg opening side edges of the undergarment when a portion of a flap is folded over around the undergarment. CONSTITUTION: An absorbent article includes a first flap (100) extending laterally outward from longitudinal side edges (26) of a main body portion (22). A second flap (102) is offset to one of longitudinal end edges (28) of the absorbent article (22), and formed with a larger width than a transverse width of the main body portion (22) at which the first flap (100) is positioned. The first flap (100) is folded over along a side edge of a leg opening of a wearer's undergarment. The second flap (102) is maintained in a broadened condition within the wearer's undergarment. A joining part (104) is provided to connect the first flap (100) with the second flap (102) on the outside of the longitudinal side edges (26) of the main body portion (22). A zone of extensibility (116) is provided in a region of at least a portion of the joining part (104) where the side edge of the leg opening of the undergarment is placed when the absorbent article is used.

Description

흡수품{ABSORBENT ARTICLE}Absorbents {ABSORBENT ARTICLE}

흡수품은 특히, 착용자 속옷의 다리 개구부의 측면 연부를 따라 속옷의 배면부 아래에 중첩되도록 형성된 날개 또는 플랩을 갖는 생리대로서 사용하기에 유용하다. 제 1 유형의 생리대는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소화 제 60-75058 호(미국 특허 제 4,589,876 호)와,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소화 제 60-199446 호(미국 특허 제 4,687,478 호)와,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 H2-501710 호(국제 특허 제 88/04546 호)와,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 H-505122 호(국제 특허 제 91/14415 호)에 개시되어 있다. 종방향 측면의 전체 길이를 따라 탄성부를 갖는 플랩을 구비한 생리대는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 H2-7956 호(미국 특허 제 4,940,462 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생리대를 사용할 때, 전체 플랩은 속옷의 다리 개구부의 측면 연부를 따라 접혀진다.The absorbent article is particularly useful for use as a sanitary napkin having wings or flaps formed to overlap below the back of the underwear along the lateral edges of the leg openings of the wearer's underwear. Sanitary napkins of the first type include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60-75058 (US Pat. No. 4,589,876),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60-199446 (US Pat. No. 4,687,478), and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H2. -501710 (International Patent No. 88/04546) and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H-505122 (International Patent No. 91/14415). Sanitary napkins with flaps having elastics along the entire length of the longitudinal side are disclosed in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H2-7956 (US Pat. No. 4,940,462). When using such sanitary napkins, the entire flap is folded along the side edges of the leg openings of the undergarment.

제 2 유형의 생리대는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 H2-168949 호, H4-128728 호, 제 H7-12120 호 및 제 H7-33314 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 명세서에 종래 기술로서 개시된 생리대는 착용자 속옷의 다리 개구부의 측면 연부를 따라 사용시에 접혀지는 전방 플랩과, 생리대의 후방에 대해 종방향으로 오프셋된 부분에 위치된 후방 플랩과, 이러한 플랩들 사이에 형성된 협착 중앙부를 구비한다.Sanitary napkins of the second type are disclosed in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s H2-168949, H4-128728, H7-12120 and H7-33314. The sanitary napkin disclosed as prior art in this patent specification includes a front flap that is folded in use along the side edges of the leg openings of the wearer's underwear, a rear flap positioned in a longitudinally offset portion relative to the back of the sanitary napkin, and between these flaps. It is provided with a constriction center part formed in.

전술한 제 1 유형의 생리대는 속옷의 다리 개구부의 측면 연부에서 누출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지만, 생리대의 후방부에서 충분한 누출 방지를 제공하지 않는다. 전술한 제 2 유형의 생리대에 있어서, 생리대를 사용할 때, 전방 플랩을 속옷의 다리 개구부의 측면 연부를 따라 위로 접어서, 속옷의 측면 연부의 오염을 방지한다. 그러나, 협착 중앙부는 속옷의 측면 연부를 보호하지 않으므로, 협착 중앙부에 대응하는 속옷의 다리 개구부 측면 연부의 일부분에 충분한 오염 방지가 제공되지 않는다.The first type of sanitary napkin described above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leakage at the side edges of the leg openings of the underwear, but does not provide sufficient leakage protection at the rear of the sanitary napkin. In the sanitary napkin of the second type described above, when using the sanitary napkin, the front flap is folded up along the side edges of the leg openings of the underwear, to prevent contamination of the side edges of the underwear. However, since the constriction center does not protect the side edges of the undergarment, sufficient contamination protection is not provided for a portion of the leg opening side edges of the underwear corresponding to the constriction center.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랩의 일부분을 속옷 둘레로 접을 때, 속옷의 다리 개구부 측면 연부의 보호 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는 흡수품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bsorbent article which is capable of expanding the protective area of the side edges of the leg openings of the underwear when a portion of the flap is folded around the underwea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플랩의 일부분을 속옷 둘레로 접을 때, 플랩의 일부분이 연장될 수 있는 흡수품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bsorbent article in which a portion of the flap may extend when the portion of the flap is folded around the underwear.

발명의 요약Summary of the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흡수품은 본체부를 포함하는 흡수품으로서, 상기 본체부는 인체에 면한 액체 투과성면과, 의복에 면한 액체 비투과성면과, 상기 액체 투과성면과 액체 비투과성면 사이의 흡수 코어를 포함하며, 상기 흡수품은 상기 본체부의 종방향 측면 연부로부터 측방향의 외향으로 연장되고 또 착용자 속옷의 다리 개구부의 측면 연부를 따라 접혀지기에 적합한 제 1 플랩과, 상기 흡수품의 종방향 말단부중 하나에 대해 오프셋된 위치에 배열되고 또 상기 제 1 플랩이 위치되는 상기 본체부의 횡방향 폭보다 큰 폭으로 형성되며 착용자 속옷안에서 펼친 상태로 유지되기에 적합한 제 2 플랩과, 상기 본체부의 종방향 측면 연부의 외측에서 제 1플랩을 제 2 플랩과 연결시키는 결합부와, 상기 흡수품을 사용할 때 속옷의 다리 개구부의 측면 연부가 배치되는 결합 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의 영역에 제공된 신장가능한 영역을 포함하며, 결합 부재에 제공된 상기 신장가능한 영역은 제 1 플랩이 속옷의 다리 개구부의 측면 연부를 따라 접혀질 때 속옷의 다리 개구부의 측면 연부를 둘러싸도록 연장된다.An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a main body portion, wherein the main body portion includes a liquid permeable face facing the human body, a liquid impermeable face facing the garment, and an absorbent core between the liquid permeable face and the liquid impermeable face, The absorbent article being offset laterally from the longitudinal side edges of the body portion and adapted to fold along the side edges of the leg openings of the wearer's underwear, offset with respect to one of the longitudinal ends of the absorbent article; A second flap arrang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having a width greater than the transverse width of the body portion in which the first flap is positioned and adapted to remain in an unfolded state in the wearer's underwear, and at the outside of the longitudinal side edge of the body portion; Couplings connecting the first flap with the second flap and the side edges of the leg openings of the undergarment when the absorbent article is used. Includes an extensible region provided in an area of at least a portion of the engaging member, wherein the extensible region provided in the engaging member extends from the side edge of the leg opening of the underwear when the first flap is folded along the side edge of the leg opening of the underwear. It extends to surround.

본 발명에 따른 흡수품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결합 부재는 제 1 플랩과 제 2 플랩 사이에 종방향으로 둘러싸인 영역일 수도 있으며, 상기 신장가능한 영역은 결합부의 적어도 일부분에 부여되는 주름 영역을 포함한다. 제 1 플랩 및 제 2 플랩은 신장가능한 영역의 신장성 보다 낮은 신장성을 갖는 영역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체부는 인체에 면한 표면상에 배치된 상면시트와, 의복에 면한 표면상에 배치된 배면시트와, 그들 사이에 위치된 흡수 코어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으며, 제 1 플랩, 제 2 플랩 및 결합 부재는 흡수 코어의 적어도 측면 연부로부터 연장된 배면시트의 일부분에 의해 형성된다. 신장가능한 영역은 연장된 배면시트의 일부분에 부여되는 주름 영역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으며, 주름 영역은 상기 주름 영역에 인접한 제 1 플랩 및 제 2 플랩의 주요부에 제공되지 않는다.Preferably, 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as follows. In particular, the engagement member may be a longitudinally enclosed area between the first flap and the second flap, the stretchable area comprising a corrugated area imparted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engagement portion. The first flap and the second flap may comprise a region having a stretchability lower than the stretchability of the stretchable region. The body portion may be formed by a top sheet disposed on a surface facing the human body, a back sheet disposed on a surface facing the garment, and an absorbent core positioned therebetween, wherein the first flap, the second flap, and the coupling member are provided. Is formed by a portion of the backsheet extending from at least the side edges of the absorbent core. The stretchable region may be formed by a pleated region imparted to a portion of the elongated backsheet, wherein the pleated region is not provided in the major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flaps adjacent the pleated region.

신장가능한 영역은 적어도 한 방향으로 신장성을 가질 수도 있고, 또 제 1 플랩이 속옷의 다리 개구부의 측면 연부를 따라 접혀질 때 결합부에 인가되는 장력에 따라 신장가능하다. 신장가능한 영역의 신장비는 10% 또는 그이상일 수도 있으며, 30% 또는 그이상인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The stretchable region may be stretchable in at least one direction and is stretchable according to the tension applied to the engagement portion when the first flap is folded along the lateral edge of the leg opening of the undergarment. The stretch ratio of the stretchable region may be 10% or more, and may be preferably 30% or more.

부가하여, 본체부의 종방향 측면으로부터 결합부의 말단 연부까지의 결합부의 신장 범위는 본체부로부터 제 1 플랩과 제 2 플랩의 말단부까지의 신장 범위중 작은 것의 10% 또는 그이상이다. 본체부의 종방향 측면 연부로부터 신장가능한 영역의 말단 연부까지 결합부의 신장 범위는 본체부로부터 제 1 플랩 및 제 2 플랩의 말단부까지의 신장 범위중 큰것의 단지 140%이다. 바람직하게는, 본체부의 종방향 측면으로부터 신장가능한 영역의 말단부까지 결합부의 신장 범위는 본체부로부터 제 1 플랩 및 제 2 플랩의 말단부까지의 신장 범위중 작은 것의 30% 또는 그이상이다. 또한, 본체부의 종방향 측면으로부터 신장가능한 영역의 말단부까지 결합부의 신장 범위는 본체부로부터 제 1 플랩 및 제 2 플랩의 말단부까지의 신장 범위중 큰 것의 단지 120%이다. 바람직하게는, 본체부의 종방향 측면으로부터 신장가능한 영역의 말단부까지의 결합부의 신장 범위는 본체부로부터 제 1 플랩 및 제 2 플랩의 말단부까지의 신장 범위와 거의 동일할 수도 있으며, 말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라인은 본체부의 종방향 측면 연부에 거의 평행하게 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extension range of the engagement portion from the longitudinal side of the body portion to the distal edge of the engagement portion is 10% or more of the smaller of the extension ranges from the body portion to the distal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flaps. The extension range of the joining portion from the longitudinal side edges of the body portion to the terminal edge of the stretchable region is only 140% of the greater of the extension range from the body portion to the distal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flaps. Preferably, the extension range of the engagement portion from the longitudinal side of the body portion to the distal end of the stretchable region is 30% or more of the smaller of the extension ranges from the body portion to the distal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flaps. Further, the extent of stretching of the joining portion from the longitudinal side of the body portion to the distal end of the stretchable region is only 120% of the greater of the extent of stretching from the body portion to the distal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flaps. Preferably, the extent of stretching of the joining portion from the longitudinal side of the body portion to the distal end of the stretchable region may be about the same as the extent of stretching from the body portion to the distal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flaps, connecting the distal ends to each other. The line may be nearly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side edge of the body portion.

본 발명은 생리대, 팬티 라이너 또는 성인용 실금 제품 등과 같은 흡수품에 관한 것이며, 특히 착용자 속옷 아래에 중첩된 플랩의 일부분을 갖도록 구성되는 생리대 등과 같은 흡수품에 관한 것이다.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bsorbent articles, such as sanitary napkins, panty liners or adult incontinence products, and more particularly, to absorbent articles such as sanitary napkins configured to have a portion of a flap superimposed beneath the wearer's underwea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생리대의 일실시예의 평면도,1 is a plan view of one embodiment of the sanitary napk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선 Ⅱ-Ⅱ를 따라 절취한 횡단면도,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of FIG. 1;

도 3은 도 1의 선 Ⅲ-Ⅲ을 따라 절취한 횡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II of FIG. 1,

도 4는 플랩 형상의 다른 실시예의 부분 절단 평면도,4 is a partial cutaway plan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 flap shape;

도 5는 플랩 형상의 다른 실시예의 부분 절단 평면도,5 is a partial cutaway plan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 flap shape;

도 6은 플랩 신장 방향의 다른 실시예의 부분 절단 평면도,6 is a partial cutaway plan view of another embodiment in a flap stretch direction;

도 7은 플랩 신장 방향의 또 다른 실시예의 부분 절단 평면도,7 is a partial cutaway plan view of yet another embodiment in the flap stretch direc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생리대에 신장성을 부여하는 장치의 단순화된 사시도,8 is a simplified perspective view of a device for imparting stretchability to a sanitary napk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생리대에 신장성을 부여하는 장치의 부분 확대 전개도,9 is a partially enlarged exploded view of a device for imparting stretchability to a sanitary napk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생리대에 신장성을 부여하는 부분 단면도,10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to give extensibility to the sanitary napk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속옷상에 위치된 본 발명에 따른 생리대의 상태를 도시하는 1/2 절단 평면도,11 is a half cut plan view showing the state of a sanitary napk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ocated on an underwear;

도 12는 속옷상에 위치된 본 발명에 따른 생리대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the sanitary napk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ocated on the underwear;

도 13은 속옷상에 위치된 본 발명에 따른 생리대를 속옷 내측으로부터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13 is a plan view showing a sanitary napk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ocated on the underwear as viewed from the inside of the underwear;

도 14는 속옷상에 위치된 본 발명에 따른 생리대를 속옷 외측으로부터 바라본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Fig. 14 is a plan view showing a sanitary napk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ocated on the underwear as viewed from the outside of the underwear;

본 발명에 따른 생리대(20)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리대(20)는 흡수 수단[즉, "본체부(main body portion)"](22)과, 2개의 플랩(24)에 의해 기본적으로 형성된다. 생리대(20)는 인체에 면한 표면(20A)과 의복에 면한 표면(20B)을 갖는다. 도 1에서 생리대(20)는 이러한 인체에 면한 표면(20A)을 볼 수 있게 도시되어 있다. 인체에 면한 표면(20A)은 착용자의 인체와 긴밀하게 접촉하도록 배치되며, 의복에 면하는 표면(20B)은 생리대를 사용할 때 착용자 속옷과 긴밀하게 접촉하도록 배치된다.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anitary napkin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1, the sanitary napkin 20 is basically formed by an absorbing means (ie, a “main body portion”) 22 and two flaps 24. The sanitary napkin 20 has a surface 20A facing the human body and a surface 20B facing the garment. In FIG. 1, the sanitary napkin 20 is shown to be able to see the surface 20A facing this human body. The surface 20A facing the human body is placed in intimate contact with the wearer's body, and the surface 20B facing the garment is placed in intimate contact with the wearer's underwear when using a sanitary napkin.

생리대(20)는 종방향 중앙선(L)과 횡방향 중앙선(T)을 갖는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 "종방향(longitudinal)"은 생리대 착용시에 직립한 착용자를 좌우측 신체 절반부로 양분하는 수직면과 정렬된 생리대(20)의 평면내의 선, 축 또는 방향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 "횡방향(transverse)"는 종방향에 직교하는 생리대(20)의 평면내의 선, 축 또는 방향을 의미한다.The sanitary napkin 20 has a longitudinal center line L and a transverse center line T. As shown in FIG. As used herein, the term "longitudinal" means a line, axis or direction in the plane of the sanitary napkin 20 aligned with a vertical plane that bisects the wearer upright when wearing the sanitary napkin into the left and right body halves. The term "transverse" as used herein means a line, axis or direction in the plane of the sanitary napkin 20 that is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리대(20)의 본체부(22)는 플랩(24) 없는 생리대의 부분을 포함한다. 이 본체부(22)는 흡수 코어(42)의 형상과 거의 일치하고, 또 그 사이에 간격을 갖도록 배열되는 2개의 종방향 측면 연부(26)와, 그 사이에 간격을 갖도록 배열되는 2개의 횡방향 연부(28)를 구비한다. 본체부(22)는 또한 제 1 영역(32)과 제 2 영역(34)으로 지정된 2개의 단부 영역과, 이러한 2개의 단부 영역(32, 34) 사이에 배치된 중앙 영역(36)을 갖는다. 중앙 영역(36)은 제 1 단부 영역(32)과 긴밀하게 접촉하는 제 1 중앙 영역(36A)과, 제 2 단부 영역(34)과 긴밀하게 접촉하는 제 2 중앙 영역(36B)을 추가로 갖는다.As shown in FIG. 1, the body portion 22 of the sanitary napkin 20 includes a portion of the sanitary napkin without the flap 24. This body portion 22 is substantially equal in shape to the absorbent core 42 and has two longitudinal side edges 26 arranged to be spaced therebetween, and two transversely arranged to be spaced therebetween. Directional edge 28 is provided. The main body portion 22 also has two end regions designated as the first region 32 and the second region 34, and a central region 36 disposed between these two end regions 32, 34. The central region 36 further has a first central region 36A in intimate contact with the first end region 32 and a second central region 36B in intimate contact with the second end region 34. .

생리대(20)의 본체부(22)는, 예를 들면 비교적 두껍거나 중간 두께이거나 비교적 얇거나 또는 극히 얇은 것과 같이 소정의 두께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오스본(Osborn)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950,264 호 및 제 5,009,653 호에 개시된 것과 같은 초박형 생리대(20)의 두께는 3㎜ 또는 그 이하이다. 도면에 도시된 생리대(20)의 실시예는 중간 두께를 갖는 생리대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생리대(20)의 이러한 본체부(22)는 비교적 가요성을 갖도록 제조되어 착용자에게 불편한 느낌을 주지 않는다.The body portion 22 of the sanitary napkin 20 may be formed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for example, relatively thick or medium thickness, relatively thin or extremely thin. The thickness of the ultra-thin sanitary napkin 20 as disclosed in US Pat. Nos. 4,950,264 and 5,009,653 to Osborn is 3 mm or less. The embodiment of the sanitary napkin 20 shown in the figure shows an embodiment of the sanitary napkin having an intermediate thickness. This body portion 22 of the sanitary napkin 20 is manufactured to be relatively flexible, and does not give the wearer a feeling of discomfort.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생리대(20)의 본체부(22)의 개별 부재를 도시한 것이다. 생리대(20)의 본체부는 적어도 3개의 주 요소에 의해 형성된다. 이러한 요소는 액체 투과성 상면시트(38)와, 액체 비투과성 배면시트(40)와, 상면시트(38)와 배면시트(40) 사이에 위치되는 흡수 코어(42)를 구비한다. 상면시트, 배면시트 및 흡수 코어는 공지된 다양한 벙법을 사용하여 조립할 수 있다.2 shows an individual member of the body portion 22 of the sanitary napkin 20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body portion of the sanitary napkin 20 is formed by at least three main elements. This element includes a liquid permeable topsheet 38, a liquid impermeable backsheet 40, and an absorbent core 42 positioned between the topsheet 38 and the backsheet 40. The topsheet, backsheet and absorbent core can be assembled using various known methods.

생리대(20)의 본체부(22)의 요소로서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재료는 다수 있으며, 그러한 요소들의 조립 형태는 1982년 3월 30일자 아(Ahr)에게 허여된 "테두리가 형성된 1회용 흡수품(Bordered Disposable Absorbent Article)"이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 4,321,924 호와, 1984년 1월 10일자 데스 마라이스(Des Marais)에게 허여된 "복합 생리대(Compound Sanitary Napkin)"이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 4,425,130 호와, 1990년 4월 21일자 오스본에게 허여된 "얇은 가요성 생리대(Thin, Flexible Sanitary Napkin)"이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 4,950,264 호와, 1994년 5월 3일자 스넬러(Sneller) 등에게 허여된 "탄성 생리대(Elasticized Sanitary Napkin)"이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 5,308,346 호와, 1995년 2월 14일자 라바쉬(Lavash) 등에게 허여된 "상이한 신장성의 플랩 및 영역을 갖는 흡수품(Absorbent Article Having Flaps and Zones of Differential Extensibility)"이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 5,389,094 호에 개시되어 있다. 국제 특허 제 93/01785 호 및 제 93/01786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생리대의 본체부(22) 또한 하나 또는 그이상의 신장가능한 요소의 조합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re are a number of preferred materials for use as elements of the body portion 22 of the sanitary napkin 20, and the assembly form of such elements is given to Ahr on March 30, 1982, with a "border-shaped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 US Patent No. 4,321,924 entitled "Bordered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and US Patent No. 4,425,130 entitled "Compound Sanitary Napkin" to Des Marais, issued January 10, 1984; , US Patent No. 4,950,264 entitled "Thin, Flexible Sanitary Napkin," issued to Osborne, April 21, 1990, and "Sneller, et al., May 3, 1994." Absorbent Article Having Flaps and U.S. Patent 5,308,346, entitled "Elasticized Sanitary Napkin," and "Absorbent Article Having Different Extensible Flaps and Areas" issued to Lavash et al. Zones of Different ial Extensibility, "US Pat. No. 5,389,094. The body portion 22 of the sanitary napkin as disclosed in WO 93/01785 and 93/01786 may also consist of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stretchable elements.

도 1 내지 도 3은 생리대(20)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흡수 코어(42)의 길이 및 폭보다 큰 치수의 길이 및 폭을 갖는 상면시트(38) 및 배면시트(40)가 그들 사이에 흡수 코어(42)를 지지하고 있다. 상면시트(38) 및 배면시트(40)는 흡수 코어(42)의 연부를 지나 연장된다. 상면시트(38)는 흡수 코어(42)의 인체에 면한 표면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배면시트(40)는 흡수 코어(42)의 의복에 면한 표면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면시트(38) 및 배면시트(40)는 접착제를 사용한 접착제 부착에 의해서와 같은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흡수 코어(42)에 결합된다. 흡수 코어(42)의 연부를 지나 연장된 상면시트(38) 및 배면시트(40)의 일부분은 또한 상호 결합된다. 상면시트(38) 및 배면시트(40)는 공지된 다양한 방법에 의해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흡수 코어(42)의 연부를 지나 연장된 상면시트(38) 및 배면시트(40)의 부분은 흡수 코어(42)의 연부를 지나 연장된 거의 전체 부분에 걸쳐 접착제로 결합된다. 본체부의 횡방향 연부(28)는 압력 및 열을 가하는 것에 의해서 상면시트(38)와 배면시트(40)에 밀봉된다.1 to 3 illustrate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anitary napkin 20, wherein the topsheet 38 and backsheet 40 having a length and width of dimensions larger than the length and width of the absorbent core 42 are The absorption core 42 is supported in between. Topsheet 38 and backsheet 40 extend past the edge of absorbent core 42. The top sheet 38 is preferably connected to the surface of the absorbent core 42 facing the human body, and the backsheet 40 is preferably connected to the surface of the absorbent core 42 facing the garment. Topsheet 38 and backsheet 40 are coupled to absorbent core 42 by a variety of known means, such as by adhesive attachment with adhesive. A portion of the topsheet 38 and backsheet 40 extending beyond the edges of the absorbent core 42 are also joined together. The top sheet 38 and the back sheet 40 are joined by various known methods. Preferably, in the embodiment shown in the figures, portions of the topsheet 38 and backsheet 40 extending beyond the edges of the absorbent core 42 extend substantially beyond the edges of the absorbent core 42. Bonded with adhesive over the whole part. The transverse edge 28 of the main body is sealed to the top sheet 38 and the back sheet 40 by applying pressure and heat.

전술한 바와 같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생리대(20)는 본체부(22)에 결합된 한쌍의 플랩(24)을 추가로 구비한다. 이 플랩(24)은 본체부(22)의 종방향 측면 연부(26)에 배열된 기단부(44)와 이 기단부(44)의 횡방향 외측에 배열된 말단부(46)를 구비하며, 또 기단부(44)로부터 말단부(46)를 향하여 횡방향의 외향으로 연장된다. 도 1에 이중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랩(24)의 기단부(44)는 본체부(22)의 측면 연부(26)를 따라 거의 직선으로 될 수 있다. 플랩(24)의 기단부는 이런 방식으로 직선으로 형성되지만, 여기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또한 본체부(22)의 측면 연부(26)에 평행하지 않은 곡선의 형상으로 될 수 있고, 본체부(22)의 측면 연부가 곡선인 경우에는 이 측면 연부에 평행한 곡선일 수 있다. 말단부(46)는 기단부(44)에 평행한 직선이다.The sanitary napkin 20 illustrated in FIGS. 1 to 3 as described above further includes a pair of flaps 24 coupled to the body portion 22. The flap 24 has a proximal end 44 arranged at the longitudinal side edge 26 of the main body 22 and a distal end 46 arranged laterally outside of the proximal end 44. Extends transversely outward from 44 to distal end 46. As shown by the double dashed lines in FIG. 1, the proximal end 44 of the flap 24 may be nearly straight along the lateral edge 26 of the body portion 22. The proximal end of the flap 24 is formed in a straight line in this mann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also be in the shape of a curve that is not parallel to the side edges 26 of the body portion 22, and the body portion 22 If the side edge of the curve is curved, it may be a curve parallel to the side edge. The distal end 46 is a straight line parallel to the proximal end 44.

플랩(24)은 본체부(22)의 제 2 단부 영역(34)과 중앙 영역(36)을 따라 종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도록 또 이 영역에서 종방향 측면 연부(26)로부터 횡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이러한 플랩(24)은 본체부(22)의 제 1 중앙 영역(36A)으로부터 연장된 제 1 플랩부(100)와, 본체부(22)의 제 2 단부 영역(34)으로부터 연장된 제 2 플랩부(102)와, 본체부(22)의 제 2 중앙 영역(36B)으로부터 연장된 결합 플랩부(104)를 갖는다.The flap 24 extends longitudinally continuously along the second end region 34 and the central region 36 of the body portion 22 and laterally outward from the longitudinal side edge 26 in this region. It can be configured to extend. As shown in FIG. 1, each such flap 24 has a first flap 100 extending from the first central region 36A of the body portion 22 and a second end of the body portion 22. It has a second flap portion 102 extending from the region 34 and a joining flap portion 104 extending from the second central region 36B of the body portion 22.

제 1 플랩(100)은 생리대의 종방향 전방으로(도 1의 상측) 오프셋 되도록 배열되며, 또 생리대의 사용시에 그 플랩을 속옷의 다리 개구부의 측면 연부를 따라 접어서 사용한다. 제 2 플랩(102)은 생리대(20)의 종방향 후방으로(도 1의 하측)오프셋되도록 배열되며, 또 생리대(20)의 사용시에 속옷안에 펼쳐진 상태를 유지한다. 부가하여, 제 2 플랩(102) 사이의 횡방향 폭은 제 1 플랩(100) 사이에 끼워진 본체부(22)의 부분보다 폭이 넓게 형성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속옷의 가랑이 영역에서 제 1 플랩이 속옷 위로 접히고, 그에 따라 속옷의 다리 개구부의 측면 연부가 보호된다. 또한, 가랑이 영역의 후방에 위치한 속옷의 후방부에서 폭 넓게 형성된 제 2 플랩이 속옷안에서 펼쳐짐으로써 후방부의 보호 효과를 증가시키게 된다.The first flap 100 is arranged to be offse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anitary napkin (upper side in FIG. 1), and when the sanitary napkin is used, the flap is folded along the side edge of the leg opening of the underwear. The second flap 102 is arranged to be offset to the longitudinal rear of the sanitary napkin 20 (lower side in FIG. 1) and maintains its unfolded state in the underwear upon use of the sanitary napkin 20. In addition, the transverse width between the second flaps 102 is formed to be wider than the portion of the body portion 22 sandwiched between the first flaps 100. By doing so, the first flap is folded over the underwear in the crotch region of the underwear, thereby protecting the side edges of the leg openings of the underwear. In addition, a wider second flap at the rear of the underwear located behind the crotch region is unfolded in the underwear to increase the protective effect of the rear.

결합 플랩(104)은 본체부(22)로부터 각각 연장된 제 1 플랩(100) 및 제 2 플랩(102)을 종방향으로 연결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기단부(44)로부터 제 1 플랩(100)과 제 2 플랩(102)의 연장 범위는 동일하다. 이들 플랩을 연결하는 결합 플랩(104)의 연장 범위 또한 동일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제 1 플랩(100), 제 2 플랩(102) 및 결합 플랩(104)의 말단부는 직선으로 연결되고, 또 기단부(44)와 각각 평행하게 된다.The engagement flap 104 connects the first flap 100 and the second flap 102 extending from the body portion 2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respectively. In the embodiment shown in the figure, the extension range of the first flap 100 and the second flap 102 from the proximal end 44 is the same. The extension range of the joining flaps 104 connecting these flaps is also the same. By doing so, the distal ends of the first flap 100, the second flap 102 and the engaging flap 104 are connected in a straight line and are parallel to the proximal end 44, respectively.

그러나, 각 플랩의 말단부는 각 기단부(44)에 평행할 필요는 없으며, 기단부(44)에 평행하지 않은 직선, 즉 곡선 또는 단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단부(44)로부터 플랩(24)의 연장범위가 제 1 플랩(100)으로부터 제 2 플랩(102)을 향하여 점차 증가하는 경우에 있어서, 플랩(24)의 말단부(46)는 기단부(44)로부터 제 2 플랩(102)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로 증가하도록 경사진 직선(도 4의 실선)이다. 다른 한편, 연장 범위가 제 1 플랩(100)으로부터 제 2 플랩(102)을 향하여 점차 증가하는 경우에 있어서, 플랩(24)의 말단부(46)는 기단부(44)로부터 제 2 플랩(102)을 향하는 방향으로 소정 거리로 감소하도록 경사진 직선(도 4의 점선)이다.However, the distal end of each flap need not be parallel to each proximal end 44, and may be formed in a straight line, i.e., curved or short, not parallel to proximal end 44.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in the case where the extension range of the flap 24 from the proximal end 44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first flap 100 toward the second flap 102, the flap 24 is used. The distal end 46 of is a straight line (solid line in FIG. 4) that is inclined to increase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direction from the proximal end 44 toward the second flap 102.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where the extension range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first flap 100 toward the second flap 102, the distal end 46 of the flap 24 extends the second flap 102 from the proximal end 44. It is a straight line (dashed line in FIG. 4) that is inclined to decreas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facing direction.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플랩의 말단부(106, 108, 110)를 단 형상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각 플랩의 신장 범위는 결합 플랩(104), 제 1 플랩(100), 제 2 플랩(102)의 순서로 증가한다. 따라서, 플랩(24)의 말단부(46)는 결합 플랩(104)부에서 기단부(44)에 가장 가까운 단 형상으로 된다. 또한, 결합 플랩(104)의 신장 범위는 도 5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이므로, 플랩(24)의 말단부(46)는 단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결합 플랩(104)은 기단부(44)로부터 가장 먼 부분이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5, it is possible to configure the distal end portions 106, 108, 110 of each flap in a step shape.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extension range of each flap increases in the order of engagement flap 104, first flap 100, and second flap 102. Thus, the distal end 46 of the flap 24 is in the form of a stage closest to the proximal end 44 at the engaging flap 104 portion. In addition, since the extension range of the engagement flap 104 is the maximum as shown by the dotted line in FIG. 5, the distal end 46 of the flap 24 is formed in a step shape, and the engagement flap 104 is separated from the proximal end 44. The farthest part.

결합 플랩(104)의 기단부로부터 말단부까지의 신장 범위는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신장 범위가 너무 작으면, 제 1 플랩(100)을 접을 때 속옷의 다리 개구부 둘레에 충분한 보호를 제공할 수 없다. 신장 범위가 너무 크면, 속옷상에 결합 플랩을 위치설정하기가 어려워진다. 따라서, 결합 플랩의 신장 범위의 값(S)은 이것에 의해 제한되지 않고, 다음과 같이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명확하게, 신장 범위(S)의 하한값은 제 1 플랩(100)의 연장 범위(P)와 제 2 플랩(102)의 신장 범위(Q)의 작은 값의 10% 또는 그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30% 또는 그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신장 범위(S)의 상한값은 제 1 플랩(100)의 신장 범위(P)와 제 2 플랩(102)의 신장 범위(Q)의 큰 값의 14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며, 그것의 단지 120%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The stretching range from the proximal end to the distal end of the engagement flap 104 may be appropriately set. However, if this stretch range is too small, it may not provide sufficient protection around the leg openings of the undergarment when the first flap 100 is folded. If the stretch range is too large, it becomes difficult to position the engagement flap on the underwear. Therefore, the value S of the extension | stretch range of a coupling flap is not restrict | limited by this, It is preferable to set as follows. Obviously, the lower limit of the extension range S is preferably 10% or more of the small value of the extension range P of the first flap 100 and the extension range Q of the second flap 102, 30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or more. The upper limit of the stretching range S is preferably about 140% of the large value of the stretching range P of the first flap 100 and the stretching range Q of the second flap 102, only 120% of it.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a degree.

플랩(24)은 다양한 방법에 의해 본체부(22)에 결합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 "결합(join)"은 소정 요소가 다른 요소에 직접 장착되는 형태와, 소정 요소가 그들 사이의 중재 요소에 의해 다른 요소에 장착되는 형태와, 또 소정 요소가 다른 요소와 함께 일체로서 형성되는 형태(예를 들면, 하나의 요소가 다른 요소의 일부인 경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플랩(24)은 본체부(22)의 일부분이다. 다시말하면, 플랩(24)은 상면시트(38)와 배면시트(40)의 연장부로서 구성된다.The flap 24 is coupled to the body portion 22 by various methods. The term "join" as used herein refers to a form in which a given element is directly mounted to another element, a form in which a given element is mounted to another element by an intervening element therebetween, and a certain element to another element. And forms that are integrally formed together (eg, where one element is part of another). Preferably,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3, the flap 24 is part of the body portion 22. In other words, the flap 24 is configured as an extension of the top sheet 38 and the back sheet 40.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플랩(24)은 본체부(22)의 의복에 면한 표면에 결합된 하나 또는 그이상의 요소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체부의 양측면 연부상의 플랩은 그 본체부(22)의 의복에 면한 표면에 결합된 별도의 요소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실시예에 있어서, 플랩(24)은 그 플랩이 결합되는 본체부의 부분과 본체부의 종방향 연부 사이에서 생리대의 본체부의 의복에 면한 표면에 결합되지 않는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 있어서, 적절한 방법을 이용하여 플랩을 본체부의 의복에 면한 표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그중 일예는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플랩을 접착 고정시키는 것이다.In other embodiments, the flap 24 may be formed from one or more elements coupled to a surface facing the garment of the body portion 22. For example, the flap on both side edges of the body portion may be formed from a separate element coupled to the surface facing the garment of the body portion 22. In this type of embodiment, the flap 24 is preferably not bonded to the surface facing the garment of the body portion of the sanitary napkin between the portion of the body portion to which the flap is joined and the longitudinal edge of the body portion. In such an embodiment, the flap can be secured to the surface facing the garment of the body portion using an appropriate method. One of them is to adhesively fix the flap using an adhesive or the like.

플랩(24)은 결합부를 따라 본체부(22)에 결합된다. 이것은 전형적으로는 종방향 결합부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결합부(join part)" (또는 "결합 라인")라는 용어는 본채부(22)로부터 연장되거나 또는 접촉하는 영역을 의미한다. 이 영역은 선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곡선 또는 직선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결합선은 플랩(24)의 기단부와 일치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The flap 24 is coupled to the body portion 22 along the engagement portion. This is typically a longitudinal bond. As used herein, the term "join part" (or "join line") means an area extending from or contacting the main body part 22. This area is not limited to lines and may be various curves or straight lines.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the bond line can be considered to coincide with the proximal end of the flap 24.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리대(20)는 플랩(24)의 일부에 신장가능한 영역(116)을 갖는다. 이러한 신장가능한 영역(116)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기계적인 변형에 의해서 신장가능하게 되는 영역이다. 이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에 있어서, 기계적으로 변형된 신장가능한 영역(116)은 선의 집합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신장가능한 영역(116)은 횡방향의 외측을 규정하는 곡선(114)과, 횡방향의 내측을 규정하는 곡선(112)과, 생리대의 외측을 규정하는 선에 의해 경계가 설정되는 영역으로서 형성된다. 곡선(114)은 제 1 플랩(100)의 횡방향 외측으로 거의 반원을 이루는 중간 영역(118)의 반원부와 일치한다. 생리대(20)의 전방부(도 1의 상부)에서 곡선(112)은 플랩(24)의 기단부(44)에 근접하게 만곡되고, 또 제 1 플랩(100)부에서 기단부(44)에 가장 가깝다. 생리대의 후방부(도 1의 하부)에서 곡선(112)은 기단부(44)로부터 말단부(46)를 향하여 소정 거리로 증가하도록 만곡된다.As shown in FIG. 1, sanitary napkin 20 has a stretchable region 116 on a portion of flap 24. This stretchable region 116 is a region that is made stretchable by mechanical deformation as described below. In the diagram illustrating this embodiment, the mechanically deformable stretchable region 116 is shown as a collection of lines.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the stretchable region 116 includes a curve 114 defining the lateral outside, a curve 112 defining the lateral inside, and a line defining the outside of the sanitary napkin. It forms as an area | region where a boundary is set by. The curve 114 coincides with the semicircle of the intermediate region 118 which is almost semicircle laterally outward of the first flap 100. At the front of the sanitary napkin 20 (top of FIG. 1), the curve 112 curves close to the proximal end 44 of the flap 24 and is closest to the proximal end 44 at the first flap 100 portion. . At the rear of the sanitary napkin (bottom of FIG. 1), the curve 112 is curved to increase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proximal end 44 toward the distal end 46.

신장가능한 영역(116)은 신장가능한 전방 영역(120)과, 신장가능한 중앙 영역(54)과, 신장가능한 후방 영역(122)을 추가로 포함한다. 신장가능한 후방 영역(122)의 주요부는 결합 플랩(104)내부에 배치된다. 신장가능한 후방 영역(122)의 일부는 제 1 플랩(100)의 기단부에 근접하게 위치된 신장가능한 중앙 영역(54)에 인접하도록 연장된다. 신장가능한 후방 영역(122)의 형상은 도시된 실시예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생리대(20)의 사용시에, 속옷의 탄성 요소가 배치되는 결합 플랩(104) 영역에 신장가능한 영역을 갖는 것으로 충분하다. 또한,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생리대(20)는 제 1 플랩(100)의 전방부(도 1의 상부)를 향하여 오프셋된 신장가능한 전방 영역(120)을 갖는다.The stretchable region 116 further includes a stretchable front region 120, a stretchable central region 54, and a stretchable rear region 122. The main portion of the stretchable rear region 122 is disposed within the engagement flap 104. A portion of the stretchable posterior region 122 extends adjacent to the stretchable central region 54 located proximal to the proximal end of the first flap 100. The shape of the stretchable rear region 122 is not limited to that shown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us, in the use of the sanitary napkin 20, it is sufficient to have a stretchable region in the region of the bonding flap 104 where the elastic element of the underwear is disposed. In addition,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sanitary napkin 20 has a stretchable anterior region 120 offset towards the front portion (top of FIG. 1) of the first flap 100.

도 1을 참조하면, 플랩(24)내에서 기계적 변형이 되지 않는 영역은 플랩(100)의 거의 반원형 중간 영역(118)과, 제 2 플랩(102)의 주요부와, 상기 주요부에 인접한 결합 플랩(104)의 기단부(44) 측면부이다. 중간 영역(118)이 기계적 변형을 받지 않으므로, 그 중간 영역은 기계적 변형을 받는 영역보다 강도가 높다. 이러한 강도로 인해서, 제 1 플랩(100)을 속옷 둘레로 접어올릴 때, 제 1 플랩(100)을 다루기가 용이하고 또 제 1 플랩(100)을 접어 올리는 작업을 수행하기가 용이하다. 제 2 플랩(102)의 주요부는 또한 기계적 변형을 받지 않고 강도가 높기 때문에, 속옷안에 펼친 상태로 유지하는 경향이 증가된다. 기계적 응력을 받는 플랩(24)의 영역[예를 들면, 중간 영역(118)]의 형상은 전술한 실시예의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일부 다른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제 1 플랩(100)과 제 2 플랩(102)의 일부, 전체 또는 주요부를 기계적 변형을 받는 신장가능한 영역이 되게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region in which the mechanical deformation does not occur in the flap 24 includes an almost semicircular intermediate region 118 of the flap 100, a main portion of the second flap 102, and a joining flap adjacent to the main portion ( It is the base end 44 side part of 104. Since the intermediate region 118 is not subjected to mechanical deformation, the intermediate region is higher in strength than the region subjected to mechanical deformation. Due to this strength, when the first flap 100 is folded around the underwear, the first flap 100 is easily handled and the first flap 100 is easily folded up. Since the main portion of the second flap 102 is also high in strength without being subjected to mechanical deformation, the tendency to keep it unfolded in the underwear is increased. The shape of the region of the flap 24 that is subjected to mechanical stress (eg, the intermediate region 118) is not limited to the shap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but may take some other shape. Some, all, or major portions of the first flap 100 and the second flap 102 may be made stretchable regions subject to mechanical deformation.

신장가능한 후방 영역(122)은 도 1에 화살표(X)로 표시된 방향으로 신장가능하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신장가능한 후방 영역(122)의 신장 방향(X)은 생리대(20)의 횡방향 중앙선에 대해 45°의 각도로 경사진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경사" 각도는 생리대(20)의 횡방향 중앙선(T)에 평행한 방향으로는 0°가 되며, 생리대(20)의 종방향 중앙선(L)에 평행한 방향으로는 90°가 된다. 도 1에 있어서, 종방향 중앙선(L)의 우측면에 배열된 플랩(24)의 "경사" 각도는, 방향을 나타내는 직선이 우측에서 더 높으면 양(+)이 되고, 방향을 나타내는 직선이 유측에서 더 낮으면 음(-)이 된다. 도 1에 있어서, 종방향 중앙선의 좌측면에 배열된 플랩(24)의 "경사" 각도는, 방향을 표시하는 직선이 죄측에서 더 높으면 양(+)이 되고, 방향을 표시하는 직선이 좌측에서 더 낮으면 음(-)이 된다. 따라서, 도 1에서 전술한 신장 방향(X)은 +45°의 경사 각도가 된다.The stretchable rear region 122 is stretchable in the direction indicated by arrow X in FIG. 1.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stretching direction X of the stretchable posterior region 122 is inclined at an angle of 45 ° with respect to the transverse centerline of the sanitary napkin 20.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inclination" angle is 0 °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lateral center line T of the sanitary napkin 20, and 90 degrees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L of the sanitary napkin 20. It becomes °. In Fig. 1, the " inclined " angle of the flap 24 arranged on the right side of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L is positive when the straight line indicating the direction is higher on the right side, and the straight line indicating the direction is on the oil side. Lower is negative. In Fig. 1, the " inclined " angle of the flap 24 arranged on the left side of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is positive when the straight line indicating the direction is higher on the opposite side, and the straight line indicating the direction is on the left side. Lower is negative. Therefore, the extension direction X mentioned above in FIG. 1 becomes an inclination angle of + 45 °.

후방 신장 영역(122)의 신장 방향(X)은 전술한 +45°를 포함하며, 0°보다 커야하고, 또 +90°보다 크지 않아야 한다(즉, 0°< 경사 각도 < = +90°). 도 6은 신장가능한 후방 영역(122)의 신장 방향(X)이 +90°인 케이스를 도시한 것이다. 신장 방향(X)의 지향 각도는 이러한 방식으로 규정된 각도의 범위내이며, 플랩(100)을 접을 때 결합 플랩(104)에 발생되는 장력에 대해서는 결합 플랩(104)의 신장이 적절한 방향으로 작용하여 장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된다. 또한, 신장 방향(X)의 각도는 +45°<= 경사 각도 <= +90°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tretching direction X of the rear stretching region 122 includes + 45 ° described above and must be greater than 0 ° and not greater than + 90 ° (ie, 0 ° <tilt angle <= + 90 °). . FIG. 6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stretch direction X of the stretchable rear region 122 is + 90 °. The direction angle of the stretching direction X is within the range of angles defined in this manner, and the extension of the engaging flap 104 acts in the proper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tension generated in the engaging flap 104 when the flap 100 is folded. To adjust the tension. Moreover, it is preferable to make it the angle of the extension direction X become +45 degrees <= inclination angle <= +90 degrees.

신장가능한 전방 영역(120)은 도 1에 화살표(Y)로 표시된 방향으로 신장성을 갖는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신장가능한 전방 영역(120)의 신장 방향(Y)은 0°인 생리대(20)의 횡방향 중앙선(T)에 평행하다. 신장가능한 전방 영역(120)의 신장 방향(Y)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7의 실시예에 도시된 신장가능한 전방 영역(120)의 신장 방향(120)에 대해 -45°의 각도 케이스를 포함하는 0°이하 및 -90°또는 그이상일 수 있다(즉, 0°>= 경사 각도 >= -90°). 신장가능한 전방 영역(120)의 신장 방향(Y)은 제 1 플랩(100)을 접을 때 제 1 플랩(100)의 전방부에 발생되는 장력에 대해서 이러한 방식으로 규정된 각도의 범위내이므로, 장력을 조절하기 위해서 제 1 플랩(100)의 전방부가 적절한 방향으로 신장된다. 또한, 신장 방향(Y)의 각도는 -45°>= 경사 각도 >= -90°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tretchable front region 120 is stretchable in the direction indicated by arrow Y in FIG. 1.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stretching direction Y of the stretchable anterior region 120 is parallel to the transverse centerline T of the sanitary napkin 20 which is 0 °. The stretching direction Y of the stretchable front region 120 is not limited to this embodiment, but is an angle of −45 ° with respect to the stretching direction 120 of the stretchable front region 120 shown in the embodiment of FIG. 7. 0 ° or less and −90 ° or more including the case (ie, 0 °> = tilt angle> = − 90 °). The stretching direction Y of the stretchable front region 120 is within the range of the angles defined in this manner with respect to the tension generated in the front portion of the first flap 100 when the first flap 100 is folded, so that the tension In order to adjust the front portion of the first flap 100 is extended in the appropriate direction. Moreover, it is preferable to make it the angle of extension direction Y be -45 degrees> = inclination angle> = -90 degrees.

신장가능한 중앙 영역(54)의 신장 방향은 0°인 생리대(20)의 횡방향 중앙선(T)에 평행한 도 1의 방향이다. 그러나, 신장가능한 중앙 영역(54)의 신장 방향에 대한 제한은 없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신장가능한 중앙 영역(54)은 기계적 변형을 받지 않는 수직 방향을 따라 3개의 비변형 영역(55)을 갖는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전방 비변형 영역(55)(도 1의 상부)은 신장가능한 전방 영역(120)에 대한 경계선을 규정하고, 또 후방 비변형 영역(도 1의 하부)은 신장가능한 후방 영역(122)에 대한 경계선을 규정한다. 비변형 영역(55)은 기계적 변형을 받지 않으므로, 신장가능한 영역(116)에 비해 강도가 높다. 이로 인해, 제 1 플랩(100)의 기단부 근처의 영역은 비교적 굽히기가 어렵다. 따라서, 제 1 플랩(100)은 예상치 못한 방식으로 절곡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비변형된 영역(55)을 제공하였지만, 또한 이러한 비변형된 영역(55)을 생략할 수 있다. 하나 또는 2개의 비변형된 영역을 제공하는 것과 4 또는 그이상의 비변형된 영역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stretch direction of the stretchable central region 54 is the direction of FIG. 1 parallel to the transverse center line T of the sanitary napkin 20 which is 0 °. However, there is no restriction on the stretching direction of the stretchable central region 54.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stretchable central region 54 has three undeformed regions 55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that are not subject to mechanical deformation.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front undeformed region 55 (upper part of FIG. 1) defines a boundary to the stretchable front area 120, and the rear undeformed region (lower part of FIG. 1) is rearward stretchable. Define a border line for region 122. The non-deformed region 55 is not subjected to mechanical deformation and therefore has a higher strength than the stretchable region 116. For this reason, the area near the base end of the first flap 100 is relatively difficult to bend. Thus, the first flap 100 does not bend in an unexpected manner. Although the undeformed region 55 is provided in this embodiment, the undeformed region 55 can also be omitted.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one or two undeformed regions and to provide four or more undeformed regions.

본 발명의 신장가능한 후방 영역(122)의 바람직한 비는 10% 또는 그이상이다. 신장가능한 후방 영역(122)의 신장 비가 10% 미만인 경우에, 신장가능한 후방 영역(122)은 제 1 플랩(100)을 속옷 아래로 접을 때 발생되는 장력에 대해 충분히 신장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러한 장력은 속옷의 탄성 요소의 경로를 변화시킬 수 없거나 또는 본체부(22)를 더욱 잡아당기도록 작용하여, (본체부의)합침을 초래한다. 다른 한편, 신장 비가 10% 이상이면, 신장가능한 후방 영역(122)은 장력에 반응하여 충분히 신장된다. 따라서, 속옷의 탄성 요소의 경로를 변화시킬 위험이 적으며, 속옷의 탄성 요소부를 적절하게 폐쇄시킬 수 있다. 또한, 본체부(22)를 당기는 힘이 작기 때문에, 본체부(22)가 합쳐지기는 어렵다. 부가하여, 신장가능한 후방 영역의 신장 비는 30% 또는 그이상이 바람직하며, 50% 또는 그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신장가능한 전방 영역(120) 및 신장가능한 중앙 영역(54)은 동일 유형의 신장 비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preferred ratio of stretchable posterior region 122 of the present invention is 10% or more. When the stretch ratio of the stretchable back region 122 is less than 10%, the stretchable back region 122 is not sufficiently stretched against the tension created when the first flap 100 is folded under the underwear. Thus, this tension cannot change the path of the elastic element of the undergarment or acts to pull the body portion 22 further, resulting in the incorporation (body portion). On the other hand, if the stretch ratio is 10% or more, the stretchable rear region 122 is sufficiently stretched in response to tension. Therefore, there is less risk of changing the path of the elastic element of the underwear, and the elastic element portion of the underwear can be properly closed. In addition, since the pulling force of the main body part 22 is small, it is difficult for the main body part 22 to merge. In addition, the stretch ratio of the stretchable posterior region is preferably 30% or more, more preferably 50% or more. Stretchable front region 120 and stretchable central region 54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type of stretching ratio.

전술한 생리대(20)의 신장가능한 영역(116)은 생리대(20)의 소망의 영역에 대해 고도의 가요성을 제공하는 다양한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신장가능한 영역(116)은 생리대(20)의 규정된 영역을 기게적으로 변형시키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tretchable region 116 of the sanitary napkin 20 described above can be formed by various methods that provide a high degree of flexibility for the desired region of the sanitary napkin 20. Stretchable region 116 is preferably formed by mechanically modifying a defined region of sanitary napkin 20.

신장가능한 영역(116)은 링 압연으로 공지된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링 압연 방법은 1978년 8월 15일자 시슨(Sisson)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107,364 호와, 1989년 5월 30일자 사비(Sabee)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834,741 호와, 1992년 9월 1일자 제랄드 엠 웨버(Gerald M. Weber)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143,679 호와, 1992년 10월 20일자 케네스 비 부엘(Kenneth B. Buell)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156,793 호와, 1992년 12월 1일자 제랄드 엠 웨버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167,897 호에 개시되어 있다.The stretchable region 116 may be formed by a method known as ring rolling. Preferred ring rolling methods are described in US Pat. No. 4,107,364 to Sisson, Aug. 15, 1978, US Pat. No. 4,834,741 to Sabee, May 30, 1989, and Sep. 1, 1992. US Patent No. 5,143,679 to Gerald M. Weber et al., US Patent No. 5,156,793 to Kenneth B. Buell et al. October 20, 1992, 12 1992 US Patent No. 5,167,897 to Gerald M Weber et al.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리대(20)를 주름 형성장치(300)에 통과시켜 규정된 영역이 기계적 주름 변형되도록 하는 것에 의해 생리대(20)에 신장가능한 영역(116)이 형성된다. 주름 형성장치(300)는 상측 롤(302) 및 하측 롤(304)을 구비한다. 상측 롤(302)은 부분적으로 돌출된 외주면을 각각 갖는 한쌍의 휠(306)을 구비한다. 플랩(24)에 주름 형상을 제공하여 생리대(20)의 신장가능한 영역(116)을 형성하기 위해서, 휠(306)의 돌출면은 그상에 제공된 다수의 치(308)를 구비한다. 도 8에 있어서, 치(308)는 휠(306)의 배면에 가려져 있다. 치(308)의 형상은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도 9는 휠(306)내로 절단되는 치(308)의 패턴의 평탄한 전개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로부터 명확하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휠(306)중 하나 안으로 절단되는 치(308)의 패턴은 생리대(20)의 플랩(24)중 하나에 제공되는 신장가능한 영역(116)의 형상과 일치한다. 다른 휠(306)의 표면은 도 9에 도시된 패턴에 대해 대칭인 패턴(도면에는 도시 않됨)을 갖는다. 하측 롤러(304)의 표면은 상측 롤의 치(308)의 패턴과 결합되는 치(310)의 패턴을 갖는다(도 10 참조). 휠(306)은 그들을 생리대(20)의 2개의 플랩(24)에 위치시키기 위해 소정간격으로 롤(302)상에 장착된다. 하측 롤(304)의 치(310)는 상측 롤(302)의 치(308)와 맞물리도록 롤(304)상에 장착된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306)은 상측 접촉 편(314)을 구비하며, 주름진 하측 롤(304)은 하측 접촉 편(316)을 구비한다. 이러한 접촉 편(314, 316)은 상호 접촉을 형성하여 치(308)와 치(310) 사이에 일정량의 맞물림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접촉량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서 공작물에 소망의 신장비를 제공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8, the stretchable region 116 is formed in the sanitary napkin 20 by passing the sanitary napkin 20 through the wrinkle forming apparatus 300 such that the prescribed region is mechanically wrinkled. The wrinkle forming apparatus 300 includes an upper roll 302 and a lower roll 304. The upper roll 302 has a pair of wheels 306 each having a partially circumferential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order to provide a pleat shape to the flap 24 to form the stretchable region 116 of the sanitary napkin 20, the protruding surface of the wheel 306 has a number of teeth 308 provided thereon. In FIG. 8, tooth 308 is hidden behind the wheel 306. The shape of the tooth 308 is shown in FIG. 9. 9 shows a flat deployment of the pattern of teeth 308 cut into the wheel 306. As can be clearly seen from FIG. 9, the pattern of the teeth 308 cut into one of the wheels 306 is characterized by the shape of the stretchable area 116 provided in one of the flaps 24 of the sanitary napkin 20. Matches. The surface of the other wheel 306 has a pattern (not shown) that is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pattern shown in FIG. 9. The surface of the lower roller 304 has a pattern of teeth 310 engaged with the pattern of teeth 308 of the upper roll (see FIG. 10). The wheels 306 are mounted on the roll 302 at predetermined intervals to position them on the two flaps 24 of the sanitary napkin 20. Teeth 310 of lower roll 304 are mounted on roll 304 to engage teeth 308 of upper roll 302. 10, the wheel 306 has an upper contact piece 314 and the corrugated lower roll 304 has a lower contact piece 316. These contact pieces 314 and 316 may form mutual contact to maintain a certain amount of engagement between the teeth 308 and the teeth 310. By adjusting such a contact amount, a desired elongation ratio can be provided to a workpiece.

생리대(20)는 전술한 바와 같은 형태를 갖는 주름 형성장치(300)로 도 8에 화살표로 도시된 방향으로 이송된다. 플랩(24)부는 휠(306)과 하측 롤(304) 사이를 통과한다. 이러한 작업이 수행될 때, 상면시트(38)와 배면시트(40)를 포함하는 적층체(312)는 상측 치(308) 및 하측 치(310)에 의해 기계적으로 변형되어, 적층체(312)는 도 10에 도시된 영구 주름부를 갖게된다. 적층체의 표면의 주름부의 형상을 평탄하게 할 수 있는 정도의 신장성이 주름부가 변형된 적층체(312)[플랩(24)]에 가해진다. 주름부의 형상은 치(308, 310)의 신장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즉, 치(308, 310)의 돌출 및 침하부가 신장되는 방향]으로 제공되므로, 신장성은 치(308, 310)가 신장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제공된다. 치(308, 310)의 신장 방향을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서, 전술한 신장가능한 영역(122, 54, 120)의 신장 방향을 얻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신장가능한 영역(116)은 한세트의 선으로 표현된다. 이러한 선은 신장가능한 영역(116)의 영구적으로 형성된 주름진 산과 골을 나타낸다.The sanitary napkin 20 is transferred to the wrinkle forming apparatus 300 having the shape as described above in the direction shown by the arrow in FIG. 8. The flap 24 portion passes between the wheel 306 and the lower roll 304. When this operation is performed, the stack 312 comprising the top sheet 38 and the back sheet 40 is mechanically deformed by the upper teeth 308 and the lower teeth 310, thereby stacking the stack 312. Has a permanent fold shown in FIG. Extensibility to the extent that the shape of the wrinkles on the surface of the laminate can be flattened is applied to the laminated body 312 (flap 24) in which the wrinkles are deformed. Since the shape of the wrinkle portion is provided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tretching direction of the teeth 308 and 310 (that is, the direction in which the protrusions and settlements of the teeth 308 and 310 extend), the extensibility is such that the teeth 308 and 310 are stretched. It is provid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By varying the stretching direction of the teeth 308, 310, the stretching direction of the stretchable regions 122, 54, 120 described above can be obtained.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tretchable region 116 is represented by a set of lines. These lines represent the permanently formed corrugated acids and valleys of the stretchable region 116.

그다음, 본 발명에 따른 생리대의 상태를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11에 있어서, 생리대(20)는 속옷(200) 안에 배치되는바, 속옷(200)의 다리 개구부 측면 연부에 고정되는 탄성 요소(202)가 플랩(24)의 신장가능한 영역(116)에 위치되도록 배치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플랩(100)은 탄성 요소(202)를 따라 접힌다. 제 1 플랩(100)을 접을 때, 결합 플랩(104) 또한 접혀서 탄성 요소(202)를 둘러싸게된다. 따라서, 결합 플랩을 구비하지 않는 종래의 생리대와 대조적으로, 속옷(200)의 개구부의 측면 연부에 있는 보호 영역을 가릴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에 있어서, 결합 플랩(104)의 확대된 보호 영역은 문자(S)로 표시되어 있다. 제 1 플랩(100)을 접으면, 도 11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플랩(24)에 장력이 가해진다. 그러나, 플랩(24)의 다양한 신장 영역은 전술한 신장 방향 및 신장 비를 갖는다. 따라서, 플랩(100)을 접는 것에 의해 속옷의 탄성 요소(202)의 경로를 변화시키는 위험이 배제되며, 또한 속옷의 탄성 요소(202)를 적절하게 밀폐시킬 수 있다. 또한, 본체부(22)상의 당기는 힘은 작기 때문에, 본체부(22)가 합쳐지기는 어렵다(도 13 및 도 14 참조).Next, the state of the sanitary napk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1 to 14. In FIG. 11, the sanitary napkin 20 is disposed in the undergarment 200, wherein an elastic element 202 secured to the side edge of the leg opening of the undergarment 200 is located in the stretchable region 116 of the flap 24. It is arranged to be. As shown in FIG. 12, the first flap 100 is folded along the elastic element 202. When folding the first flap 100, the engagement flap 104 is also folded to enclose the elastic element 202. Thus, in contrast to conventional sanitary napkins that do not have a binding flap, it is possible to cover the protective area at the side edge of the opening of the underwear 200. 12 and 13, the enlarged protective area of the engagement flap 104 is indicated by the letter S. In FIG. When the first flap 100 is folded, tension is applied to the flap 24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shown in FIG. However, the various stretch regions of the flap 24 have the stretch direction and stretch ratio described above. Accordingly, the risk of changing the path of the elastic element 202 of the undergarment is eliminated by folding the flap 100, and the elastic element 202 of the undergarment can be properly sealed. Moreover, since the pulling force on the main body part 22 is small, it is difficult for the main body part 22 to merge (refer FIG. 13 and FIG. 14).

생리대의 의복에 면한 표면은 생리대를 착용자의 속옷에 부착시키는 수단을 구비한다. 도 1은 생리대의 본체부(22)를 속옷의 가랑이 영역에 부착시키기 위해 제공된 중앙 고정 수단(80)을 도시한다. 이러한 고정 수단으로서 공지된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접착층 또는 기계식 화스너를 사용할 수 있다. 접착층을 갖는 고정 수단이 이러한 목적에 적합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도 1은 종방향 중앙선(L) 둘레에 집중된 이격되고 종방향으로 배향된 한쌍의 스트립 또는 접착층(80)을 이용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The surface facing the garment of the sanitary napkin has means for attaching the sanitary napkin to the wearer's underwear. 1 shows a central fixation means 80 provided for attaching the body portion 22 of the sanitary napkin to the crotch region of the undergarment. As such fixing means, known means can be used. For example, an adhesive layer or a mechanical fastener can be used. Fixing means having an adhesive layer have been found to function suitably for this purpose. FIG. 1 illustrates an embodiment using a pair of spaced and longitudinally oriented strips or adhesive layers 80 concentrated around a longitudinal center line L. As shown in FIG.

제 1 플랩(100)의 중간 영역(118)의 외측면에는 제 1 플랩 접착층(82)이 제공된다. 제 1 플랩 접착층(82)을 속옷의 다리 개구부 둘레로 접은 후에, 이 접착층은 제 1 플랩을 적소에 유지시키는데 이용된다. 적절한 접착층의 일예는 미국 특허 제 4,917,697 호에 보다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The first flap adhesive layer 82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iddle region 118 of the first flap 100. After folding the first flap adhesive layer 82 around the leg openings of the undergarment, this adhesive layer is used to hold the first flap in place. One example of a suitable adhesive layer is described in more detail in US Pat. No. 4,917,697.

또한, 제 2 플랩(110)의 외측면에는 제 2 플랩 접착층(83)이 제공된다. 이러한 제 2 플랩 접착층(83)은 제 2 플랩을 속옷안에 펼친 상태로 유지시키는 것을 돕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접착층은 또한 제 1 플랩 접착층(82)과 동일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 second flap adhesive layer 83 is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flap 110. This second flap adhesive layer 83 is used to help keep the second flap unfolded in the underwear. This adhesive layer may also be the same as the first flap adhesive layer 82.

접착층은 중앙 고정 수단 해제 라이너 및 플랩 해제 라이너(84)로 보호된다. 이러한 해제 라이너(84)는 접착층이 사용전에 다른 부재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적절한 박리 라이너는 미국 특허 제 4,917,697 호에 개시되어 있다. 생리대 자체를 고정시키기 위한 개별 패키지로서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해제 라이너는 스완슨(Swanson)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556,146 호에 개시되어 있다.The adhesive layer is protected by a central fastening means release liner and a flap release liner 84. This release liner 84 prevents the adhesive layer from contacting other members before use. Suitable release liners are disclosed in US Pat. No. 4,917,697. Preferred release liners for use as separate packages for securing the sanitary napkin itself are disclosed in US Pat. No. 4,556,146 to Swanson et al.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While particular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Claims (13)

인체에 면한 액체 투과성면과, 의복에 면한 액체 비투과성면과, 상기 액체 투과성면과 상기 액체 비투과성면 사이에 위치된 흡수 코어를 포함하는 본체부를 구비한 흡수품에 있어서,An absorbent article having a body portion comprising a liquid permeable face facing the human body, a liquid impermeable face facing the garment, and an absorbent core positioned between the liquid permeable face and the liquid impermeable face, 상기 본체부의 종방향 측면 연부로부터 측방향 외향으로 연장되고, 착용자 속옷의 다리 개구부의 측면 연부를 따라 접어올리기에 적합한 제 1 플랩과,A first flap extending laterally outwardly from the longitudinal side edge of the body portion and adapted to fold along the side edge of the leg opening of the wearer's underwear, 상기 흡수 코어의 종방향 단부중 하나에 대해 오프셋된 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플랩이 위치된 상기 본체부의 횡방향 폭보다 긴 폭으로 형성되며, 착용자 속옷안에 펼친 상태로 유지되기에 적합한 제 2 플랩과,A second, disposed in an offset portion with respect to one of the longitudinal ends of the absorbent core, the second flap being formed with a width longer than the transverse width of the body portion in which it is located, and adapted to remain unfolded in the wearer's underwear; With flap, 상기 본체부의 종방향 측면 연부의 외측에서 상기 제 1 플랩을 상기 제 2 플랩과 연결하는 결합부와,An engaging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flap to the second flap outside the longitudinal side edge of the body portion; 흡수품을 사용할 때 속옷의 다리 개구부의 측면 연부가 배치되는 상기 결합부의 적어도 일부분의 영역에 제공되는 신장가능한 영역을 구비하며,A stretchable area provided in an area of at least a portion of said joining portion where the side edges of the leg openings of the underwear are disposed when using the absorbent article, 상기 결합부에 제공되는 상기 신장가능한 영역은 상기 제 1 플랩을 속옷의 다리 개구부의 측면 연부를 따라 접을 때 속옷의 다리 개구부의 측면 연부를 둘러싸도록 연장되는The stretchable area provided in the joining portion extends to surround the side edge of the leg opening of the underwear when the first flap is folded along the side edge of the leg opening of the underwear. 흡수품.Absorbent product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 1 플랩 및 제 2 플랩 사이에서 종방향으로 둘러싸인 영역이며, 상기 신장가능한 영역은 상기 결합부의 적어도 일부에 제공되는 주름 영역을 포함하는The engaging portion is a longitudinally enclosed region between the first flap and the second flap, the extensible region comprising a corrugated region provided in at least a portion of the engaging portion; 흡수품.Absorbent products.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 1 플랩 및 상기 제 2 플랩은 상기 신장가능한 영역의 신장성보다 낮은 신장성을 갖는 영역을 포함하는The first flap and the second flap comprise a region having a stretchability lower than the stretchability of the stretchable region. 흡수품.Absorbent products.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본체부는 상기 인체에 면한 표면상에 배치된 상면시트와, 상기 의복에 면한 표면상에 배치된 배면시트와, 그들 사이에 위치된 흡수 코어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제 1 플랩 및 상기 제 2 플랩은 상기 흡수 코어의 적어도 측면부로부터 연장된 상기 배면시트의 일부분에 의해 형성되는The main body portion is formed by a top sheet disposed on a surface facing the human body, a back sheet disposed on a surface facing the garment, and an absorbent core positioned therebetween, wherein the first flap and the second flap are formed. Is formed by a portion of the backsheet extending from at least a side portion of the absorbent core 흡수품.Absorbent products.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신장가능한 영역은 상기 연장된 배면시트의 일부분에 제공되는 주름 영역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주름 영역에 인접한 제 1 플랩과 제 2 플랩의 주요부에는 주름 영역이 제공되지 않는The stretchable region is formed by a pleated region provided in a portion of the elongated backsheet, wherein a major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flaps adjacent the pleated region is not provided with a pleated region. 흡수품.Absorbent product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신장가능한 영역은 적어도 한 방향으로 신장성을 가지며, 또 상기 제 1 플랩을 속옷의 다리 개구부의 측면 연부를 따라 접어올릴 때 상기 결합부에 가해지는 장력에 따라 신장가능한The stretchable region is extensible in at least one direction and is extensible according to the tension applied to the engagement portion when the first flap is folded along the lateral edge of the leg opening of the undergarment. 흡수품.Absorbent products.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신장가능한 영역의 신장비는 10% 또는 그이상인The stretch ratio of the stretchable region is 10% or more 흡수품.Absorbent products.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신장가능한 영역의 신장비는 30% 또는 그 이상인The stretch ratio of the stretchable region is 30% or more 흡수품.Absorbent product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본체부의 종방향 측면 연부로부터 상기 결합부의 말단부까지의 상기 결합부의 신장 범위는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기 제 1 플랩과 상기 제 2 플랩의 말단부까지의 신장 범위중 작은 것의 10% 또는 그 이상인The extension range of the engagement portion from the longitudinal side edge of the body portion to the distal portion of the coupling portion is 10% or more of the smaller of the extension ranges from the body portion to the distal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flaps. 흡수품.Absorbent products.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본체부의 종방향 측면 연부로부터 상기 신장가능한 영역의 말단부까지의 상기 결합부의 신장 범위는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기 제 1 플랩과 상기 제 2 플랩의 말단부까지의 신장 범위중 큰 것의 단지 140%인The extension range of the engagement portion from the longitudinal side edge of the body portion to the distal end of the stretchable region is only 140% of the greater of the extension range from the body portion to the distal end of the first flap and the second flap. 흡수품.Absorbent products. 제 10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본체부의 종방향 측면 연부로부터 상기 신장가능한 영역의 말단부까지의 상기 결합부의 신장 범위는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기 제 1 플랩과 상기 제 2 플랩의 말단부까지의 신장 범위중 작은 것의 10% 또는 그이상인The extension range of the engagement portion from the longitudinal side edge of the body portion to the distal end of the stretchable region is 10% or more of the smaller of the extension ranges from the body portion to the distal end of the first flap and the second flap. 흡수품.Absorbent products.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본체부의 종방향 측면 연부로부터 상기 신장가능한 영역의 말단부까지의 상기 결합부의 신장 범위는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기 제 1 플랩과 상기 제 2 플랩의 말단부까지의 신장 범위중 큰 것의 단지 120%인The extension range of the engagement portion from the longitudinal side edge of the body portion to the distal end of the stretchable region is only 120% of the greater of the extension range from the body portion to the distal end of the first flap and the second flap. 흡수품.Absorbent products. 제 1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본체부의 종방향 연부로부터 상기 신장가능한 영역의 말단부까지의 상기 결합부의 신장 범위는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기 제 1 플랩 또는 상기 제 2 플랩의 말단부까지의 신장 범위와 거의 동일하며, 상기 말단부를 사로 연결하는 라인은 상기 본체부의 종방향 측면 연부에 대해 거의 평행한The extension range of the engagement portion from the longitudinal edge of the body portion to the distal end of the stretchable region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extension range from the body portion to the distal end of the first flap or the second flap, connecting the distal ends. Line 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side edge of the body portion. 흡수품.Absorbent products.
KR1019997000820A 1996-08-02 1997-07-23 Absorbent article KR20000029718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205065A JP2974970B2 (en) 1996-08-02 1996-08-02 Absorbent articles
JP96-205065 1996-08-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9718A true KR20000029718A (en) 2000-05-25

Family

ID=16500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0820A KR20000029718A (en) 1996-08-02 1997-07-23 Absorbent article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0928179A4 (en)
JP (1) JP2974970B2 (en)
KR (1) KR20000029718A (en)
AU (1) AU733228B2 (en)
CA (1) CA2262842A1 (en)
ID (1) ID17732A (en)
WO (1) WO1998005285A1 (en)
ZA (1) ZA976896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49594B2 (en) 2001-04-11 2004-06-15 Sca Hygiene Products Ab Absorbent product with enhanced inconspicuousness
US7252656B2 (en) 2004-02-18 2007-08-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with wings having corrugated region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reof
US8167862B2 (en) 2004-05-24 2012-05-01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a fit guide
US8395013B2 (en) 2004-05-24 2013-03-12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Method for proper placement and positioning of an absorbent article in an undergarment
JP4859439B2 (en) 2005-11-14 2012-01-2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Absorbent for absorbent articl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absorbent article for absorbent article
JP4986519B2 (en) * 2006-07-06 2012-07-25 花王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s
JP2009125430A (en) * 2007-11-27 2009-06-11 Daio Paper Corp Absorbent article
JP5155730B2 (en) * 2008-05-07 2013-03-06 花王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s
JP6074283B2 (en) * 2013-02-06 2017-02-0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s
JP6128599B2 (en) * 2013-09-09 2017-05-17 花王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455668B (en) * 1986-12-23 1988-08-01 Moelnlycke Ab SANITARY NAPKIN
US4940462A (en) * 1988-02-26 1990-07-10 Mcneil-Ppc, Inc. Sanitary napkin with expandable flaps
US5702382A (en) * 1990-06-18 1997-12-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Extensible absorbent articles
FR2675687B1 (en) * 1991-04-29 1998-10-23 Kaysersberg Sa PERIODIC TOWEL WITH SIDE BELLOWS.
US5558663A (en) * 1992-07-23 1996-09-2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having undergarment covering components with zones of extensibility
US5518801A (en) * 1993-08-03 1996-05-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eb materials exhibiting elastic-like behavior
WO1995020932A1 (en) * 1994-02-04 1995-08-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anitary napkin with expandable flap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071171A (en) 1998-03-17
JP2974970B2 (en) 1999-11-10
AU4044197A (en) 1998-02-25
WO1998005285A1 (en) 1998-02-12
EP0928179A4 (en) 2001-09-05
AU733228B2 (en) 2001-05-10
ID17732A (en) 1998-01-22
CA2262842A1 (en) 1998-02-12
EP0928179A1 (en) 1999-07-14
ZA976896B (en) 1998-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82515B1 (en) Disposable absorbent sanitary article
AU765676B2 (en) Disposable body fluids absorbent article
EP0904756B1 (en) Disposable diaper
JP3904356B2 (en) Absorbent articles
JP3515932B2 (en) Disposable wearing articles
JP3987110B2 (en) Absorber with deformed hinge and extensible banded flap
CA2326943C (en) Disposable diaper
JP2005334662A (en) Absorbent article having flap with gathered portion
JP2001340381A (en) Disposable diap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20000029718A (en) Absorbent article
EP2216000A1 (en) Absorbent article
JPH09511929A (en) Absorbent article having flaps and various zones of different extensibility
US8728050B2 (en) Absorbent article provided with a barrier sheet
CA2107747C (en) Disposable diapers
JP3522396B2 (en) Pants-type disposable diapers
JP3515910B2 (en) Disposable wearing articles
KR100198378B1 (en) Absorbent articles having spaced undergarment side wrapping elements with zones of exetensibility
CN115397378B (en) Absorbent article
JP3527488B2 (en) Disposable diapers
JP3205675B2 (en) Disposable diapers
JP3507848B2 (en) Absorbent produc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MXPA99001091A (en) Absorbent article
MXPA96004816A (en) Absorbent article that has fins and typesalternos of extensiondiferenc capacity zo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