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8421A -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의 웹형식 멀티미디어전송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의 웹형식 멀티미디어전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8421A
KR20000028421A KR1019980046634A KR19980046634A KR20000028421A KR 20000028421 A KR20000028421 A KR 20000028421A KR 1019980046634 A KR1019980046634 A KR 1019980046634A KR 19980046634 A KR19980046634 A KR 19980046634A KR 20000028421 A KR20000028421 A KR 200000284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carousel
directory
data
we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6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83669B1 (ko
Inventor
류석현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80046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3669B1/ko
Publication of KR20000028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84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3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36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3Channel coding or modulation of digital bit-stream, e.g. QPSK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3Communication protocols
    • H04N21/6433Digital Storage Media - Command and Control Protocol [DSM-C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신호를 실어 보내는 트랜스포트 패킷(transport packet)의 사용자 데이터 영역(private section)에 웹형식의 멀티미디어(웹페이지 데이터)를 코딩하여 실어 보내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의 웹형식 멀티미디어 전송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송신단에서 방송하고자 하는 웹페이지 데이터를 파일 단위로 코딩하여 다수개의 오브젝트 캐루젤(object carousel)을 생성하고, 각 오브젝트 캐루젤의 헤더에 해당 파일 및 디렉토리 정보를 추가로 삽입하여 데이터 캐루젤(data carousel)을 생성하고, 데이터 캐루젤을 블록화한 후 헤더를 붙여 다수개의 DSM-CC(Digital Storage Medium-Command and Control) 섹션을 생성하고, DSM-CC 섹션들을 다수개 트랜스포트 패킷의 사용자 데이터 영역에 실어 수신단으로 분할 전송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웹페이지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전송하는 방법을 제공하여 시청자가 원하는 파일 내용을 즉시 받아볼 수 있도록 하는 등 보다 효과적인 웹형식의 멀티미디어 방송을 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의 웹형식 멀티미디어 전송방법(A method for transmitting multimedia of web form in a digital broadcasting system)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신호를 실어 보내는 트랜스포트 패킷(transport packet)의 사용자 데이터 영역(private section)에 웹형식의 멀티미디어(웹페이지 데이터)를 코딩하여 실어 보내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의 웹형식 멀티미디어 전송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아날로그 방송 시스템에서는 웹형식의 멀티미디어를 방송하기 위하여 텔레비전 방송 신호가 전송되지 않는 수직귀선기간(VBI: Vertical Blanking Interval)에 약 9600bps 정도의 대역으로 웹페이지 데이터를 실어 보내는 기술을 사용하였는데, 이 기술은 이미 '인터케스트(intercast)' 라는 이름으로 상용화되어 있다.
상기 인터케스트는 시청자의 단말 컴퓨터에 내장되는 수신카드의 일종으로써, 방송이라는 특수성 때문에 동일한 웹페이지 데이터를 반복해서 전송해야 하고, 제약적인 대역폭으로 인해 실제 화면 상에 보이는 내용과 시청자의 상호작용(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된 웹페이지에서 원하는 항목을 선택함)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지 않는 실정이다.
또한, 상기 인터케스트는 컴퓨터의 보조기억장치에 다운로드되는 웹페이지의 전체 파일 정보를 계속 저장해야 하는 컴퓨터 중심의 기술이므로 기존의 아날로그 방식 텔레비전 수상기에는 적용이 어려운 기술이었다.
따라서, 기존의 아날로그 방송 시스템과 달리 동화상과 음성으로 구성된 텔레비전 방송 신호뿐만 아니라 문자, 도형, 그림 및 데이터도 다중화하여 원하는 시청자에게 선별적으로 전송할 수 있어 웹형식의 멀티미디어 방송에 보다 적합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웹형식의 멀티미디어를 방송하는 기술이 모색되었고, 이러한 기술을 실현하기 위하여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웹페이지 정보를 전송하는 기술이 요구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점에 착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송신단에서 방송하고자 하는 웹페이지 데이터를 파일 단위로 코딩하여 다수개의 오브젝트 캐루젤(object carousel)을 생성하고, 각 오브젝트 캐루젤의 헤더에 해당 파일 및 디렉토리 정보를 추가로 삽입하여 데이터 캐루젤(data carousel)을 생성한 후 이를 다수개의 트랜스포트 패킷의 사용자 데이터 영역에 실어 수신단으로 분할 전송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의 웹형식 멀티미디어 전송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의 웹형식 멀티미디어 전송방법은 방송하고자 하는 웹페이지 데이터를 파일 단위로 코딩하여 다수개의 오브젝트 캐루젤을 생성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각각의 오브젝트 캐루젤에 상기 웹페이지의 파일 및 디렉토리 정보가 추가로 삽입된 헤더를 붙여 데이터 캐루젤을 생성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데이터 캐루젤을 블록화한 후 헤더를 붙여 다수개의 DSM-CC 섹션을 생성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DSM-CC 섹션들을 다수개의 트랜스포트 패킷의 사용자 데이터 영역에 실어 분할 전송하는 제 4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2 단계는 각각의 오브젝트 캐루젤의 헤더 중 DIR(Download Info Response) 메시지에 해당 파일의 타입과, 그 파일이 속해 있는 디렉토리명과, 디렉토리의 패스 코드를 각각 정의하여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각각의 오브젝트 캐루젤의 헤더 중 메시지 헤더에 해당 파일명과 그 파일이 속해 있는 디렉토리의 패스 코드를 정의하여 삽입하는 단계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송신단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DSM-CC 비트스트림의 레이아웃(layout)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DSM-CC 섹션들을 생성하는 전반적인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애플리케이션 인코더 14: 패킷화 및 다중화부
16: 채널 코딩부 18: RF 변조부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방송'이란 통신 미디어와 컴퓨터 등이 융합된 형태의 고도화된 새로운 방송 미디어를 의미하며, 디지털 방송에서는 동화상과 음성으로 구성된 기존의 텔레비전 방송 신호뿐만 아니라 문자, 도형, 그림 및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원하는 사용자에게 선별적으로 전송하고, 전달된 부가정보는 텔레비전 수상기를 내장한 컴퓨터나 기타 디지털 단말기를 이용하여 처리, 가공, 저장하는 형태를 가지며, 이러한 디지털 방송을 구현하는 시스템을 '디지털 방송 시스템'이라 정의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송신단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로서, 상기 송신단은 애플리케이션 인코더(12), 패킷화 및 다중화부(14), 채널 코딩부(16) 및 RF 변조부(18)를 포함하여 소스(source: 비디오, 오디오, 데이터 등) 신호를 코딩/변조하여 무선 송신한다.
상기 애플리케이션 인코더(12)는 소스 신호를 압축 부호화하여 엘리먼트리 스트림(elementary stream)을 출력한다. 디지털 방송에서는 보통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2 규격에 따른 인코더를 사용하여 비디오 신호를 인코딩하고, 미국 돌비사 AC-3 인코더를 사용하여 오디오 신호를 인코딩한다.
상기 패킷화 및 다중화부(14)는 애플리케이션 인코더(12)에서 출력되는 각각의 엘리먼트리 스트림을 일차로 패킷화하여 PES(Packetized Elementary Stream) 패킷을 생성하고, PES 패킷을 다시 188 바이트의 트랜스포트 패킷으로 만들어 일련의 트랜스포트 스트림(transport stream) 형태로 출력한다. 이 때,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통해 전송되는 프로그램들에 대한 구성 정보(PSI: Program Specific Information)도 트랜스포트 스트림에 삽입되어 전송된다.
상기 채널 코딩부(16)와 RF 변조부(18)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에러정정부호화한 후 무선 신호로 변조하여 안테나(20)를 통해 송신하는 블록이다.
다음으로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송신단 구성과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형식 멀티미디어 전송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DSM-CC 비트스트림의 레이아웃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DSM-CC 섹션들을 생성하는 전반적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 1 단계로 방송하고자 하는 웹페이지를 파일 단위로 코딩하여 도 3의 (a)에 도시된 다수개의 오브젝트 캐루젤(Obj-1 ∼ Obj-3)을 생성한다. 상기 제 1 단계에서 각각의 오브젝트 캐루젤(Obj-1, Obj-2, Obj-3)은 웹페이지에 구비된 여러 가지 파일의 내용을 엘리먼트리 스트림의 형태로 포함하고 있다.
그 후, 제 2 단계로 각각의 오브젝트 캐루젤(Obj-1 ∼ Obj-3)에 웹페이지의 파일 및 디렉토리 정보가 추가로 삽입된 헤더를 붙여 도 3의 (b)에 도시된 데이터 캐루젤을 생성한다. 여기서, 각 오브젝트 캐루젤(Obj-1 ∼ Obj-3)의 헤더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DIR(Download Info Response) 메시지와 다운로드 메시지 헤더(download message header)로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각 오브젝트 캐루젤(Obj-1 ∼ Obj-3)의 DIR 메시지에는 해당 파일의 타입(file type)과, 그 파일이 속해 있는 디렉토리명(directory name)과, 디렉토리명을 나타내는 패스 코드(path code)를 정의하여 삽입하고, 다운로드 메시지 헤더에는 해당 파일명(file name)과 그 파일이 속해 있는 디렉토리의 패스 코드(DIR 메시지에 정의된 패스 코드와 동일함)를 정의하여 삽입한다.
상기 DIR 메시지의 신택스(syntax)는 아래 표 1과 같으며, 구체적으로 표 1의 type_code 부분에 해당 파일의 타입이 정의되며, path_description_byte 부분에 파일들이 속해 있는 디렉토리명과 디렉토리명을 나타내는 패스 코드가 정의된다. 여기서, 파일 타입은 6비트의 코드로 표현되며, 각각의 파일 타입별 코드를 표 2와 같이 정의할 수 있다. 아울러, 파일이 속해 있는 디렉토리의 패스 코드는 숫자로 정의한다.
syntax bytes value
DownloadInfoResponse(){downloadId 4 -blockSize 2 4018windowSize 1 0ackPeriod 1 0tCDownloadWindow 4 0tCDownloadScenario 4 0compatibilityLength 2 0numberOfModules 2 -for(i=0;i〈numberOfModules;i++){moduleId 2 -moduleSize 4 -moduleVersion 1 -moduleInfoLength 1 1compression_flag 1bit -reserved 1bit -type_code 6bit -}privateDataLength 2 -for(i=0;i〈privateDataLength;i++){path_description_byte 1 -}}
file type code
html 000000jpeg 000001mpeg1 au 000010mpeg2 vi 000011gif 000100text 000101avi 000110ps 000111au 001000wav 001001qt 001010user Todefine 11111
또한, 상기 다운로드 메시지 헤더에는 해당 파일명(file_name)과, 파일이 속해 있는 디렉토리의 패스 코드(path_code)를 정의하기 위하여 file_section()을 추가한다. 상기 file_section()의 신택스는 아래 표 3과 같다.
syntex bytes
file_section(){name_length 1file_name name_lengthpath_code 1for(i=0;i〈file_length;i++)file_byte 1}
일례로, 웹페이지의 디렉토리명이 'chosun' 이고, 'chosun' 이라는 디렉토리에 'news' 라는 파일이 속해 있는 경우 해당 오브젝트 캐루젤의 DIR 메시지의 directory_name 은 Chosun 으로, path_code 는 1 로 각각 정의하고, 다운로드 메시지 헤더의 path_code 를 1 로, file_name을 news로 각각 정의하며, 'new' 라는 파일이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로 작성된 것이면 DIR 메시지의 type_code 는 '000000' 로 정의한다.
정리하자면, 제 2 단계에서 생성되는 데이터 캐루젤은 웹페이지의 전체 파일 내용, 각각의 파일명, 파일 타입 및 파일들이 속해 있는 디렉토리의 패스 코드를 엘리먼트리 스트림 형태로 포함하고 있다.
그 후, 제 3 단계로 데이터 캐루젤을 4Kbyte 단위로 블록화하여 도 3의 (c)에 도시된 다수개의 블록(Block-1 ∼ Block-5)을 생성한 다음 각 블록(Block-1 ∼ Block-5)에 다운로드 데이터 블록 헤더를 붙여 도 3의 (d)에 도시된 다수개의 DSM-CC 섹션(Section-1 ∼ Section-5)을 생성한다. 여기서, 데이터 캐루젤의 엘리먼트리 스트림을 4Kbyte 단위로 블록화하는 부재는 도 2에 도시된 블록 제너레이터(block generator)이다.
그 후, 제 4 단계로 DSM-CC 섹션들(Section-1 ∼ Section-5)에 섹션 헤더를 붙인 다음 각각의 DSM-CC 비트스트림을 다수개의 트랜스포트 패킷의 사용자 데이터 영역(private section)에 실어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수신단(도면상 도시되지 않음)으로 분할 전송한다. 여기서, DSM-CC 비트스트림을 트랜스포트 패킷의 사용자 데이터 영역에 실어 전송하는 부재는 도 1에 도시된 패킷화 및 다중화부(14), 채널 코딩부(16) 및 RF 변조부(18)이다.
아울러,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송신단은 상기에서 설명된 제 1 내지 제 4 단계를 반복하여 동일한 웹페이지 데이터(데이터 캐루젤)를 '회전목마(carousel)'와 같이 반복적으로 수신단에 전송한다.
한편,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수신단은 송신단으로부터 웹페이지 데이터가 전송되면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하여 시청자가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된 웹페이지를 확인하여 특정 파일 정보를 원하는 경우 해당 파일 항목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시청자가 선택한 파일 내용은 다음 사이클(cycle)에 송신단으로부터 전송되는 웹페이지 데이터에서 쉽게 얻을 수 있으므로 시청자는 원하는 파일 내용을 즉시 받아볼 수 있게 된다. 즉, 수신단은 시청자가 선택한 파일의 파일명과 그 파일이 속해 있는 패스 코드 정보를 이용하여 송신단으로부터 전송되는 웹페이지 데이터 중 해당 파일 내용을 쉽게 찾아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웹페이지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전송하는 방법을 제공하여 시청자가 원하는 파일 내용을 즉시 받아볼 수 있도록 하는 등 보다 효과적인 웹형식의 멀티미디어 방송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방송하고자 하는 웹페이지 데이터를 파일 단위로 코딩하여 다수개의 오브젝트 캐루젤을 생성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각각의 오브젝트 캐루젤에 상기 웹페이지의 파일 및 디렉토리 정보가 추가로 삽입된 헤더를 붙여 데이터 캐루젤을 생성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데이터 캐루젤을 블록화한 후 헤더를 붙여 다수개의 DSM-CC 섹션을 생성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DSM-CC 섹션들을 다수개의 트랜스포트 패킷의 사용자 데이터 영역에 실어 분할 전송하는 제 4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의 웹형식 멀티미디어 전송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각각의 오브젝트 캐루젤의 헤더 중 DIR 메시지에 해당 파일의 타입과, 그 파일이 속해 있는 디렉토리명과, 디렉토리의 패스 코드를 각각 정의하여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각각의 오브젝트 캐루젤의 헤더 중 메시지 헤더에 해당 파일명과 그 파일이 속해 있는 디렉토리의 패스 코드를 정의하여 삽입하는 단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의 웹형식 멀티미디어 전송방법.
KR1019980046634A 1998-10-31 1998-10-31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의 웹형식 멀티미디어전송방법 KR1002836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6634A KR100283669B1 (ko) 1998-10-31 1998-10-31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의 웹형식 멀티미디어전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6634A KR100283669B1 (ko) 1998-10-31 1998-10-31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의 웹형식 멀티미디어전송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8421A true KR20000028421A (ko) 2000-05-25
KR100283669B1 KR100283669B1 (ko) 2001-03-02

Family

ID=19556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6634A KR100283669B1 (ko) 1998-10-31 1998-10-31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의 웹형식 멀티미디어전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3669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5681B1 (ko) * 2001-07-23 2004-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에스엠-씨씨 기반 장치의 에이피아이 구현 장치 및 방법
KR100654430B1 (ko) * 1999-05-20 2006-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를 브로드캐스팅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661718B1 (ko) * 2005-12-14 2006-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웹사이트 서비스에서 dgi를 이용한 예약녹화설정장치 및 방법
KR100672405B1 (ko) * 2001-02-01 2007-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티브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KR100739321B1 (ko) * 2006-06-28 2007-07-1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방송 전송 방법
KR100910878B1 (ko) * 2000-06-30 2009-08-06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전송기 및 그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를 포함하는 전송 시스템
US7827564B2 (en) 2004-08-24 2010-11-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ignaling transmission code set in data broadcasting
KR101227486B1 (ko) * 2005-12-13 2013-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웹사이트 서비스의 브라우저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구현할 수 있는 수신단말기
KR101265593B1 (ko) * 2006-01-19 2013-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웹사이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및이를 위한 이동 단말기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4430B1 (ko) * 1999-05-20 2006-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를 브로드캐스팅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910878B1 (ko) * 2000-06-30 2009-08-06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전송기 및 그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를 포함하는 전송 시스템
KR100672405B1 (ko) * 2001-02-01 2007-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티브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KR100425681B1 (ko) * 2001-07-23 2004-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에스엠-씨씨 기반 장치의 에이피아이 구현 장치 및 방법
US7827564B2 (en) 2004-08-24 2010-11-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ignaling transmission code set in data broadcasting
US7836455B2 (en) 2004-08-24 2010-11-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ignaling transmission code set in data broadcasting
US8448184B2 (en) 2004-08-24 2013-05-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ignaling transmission code set in data broadcasting
KR101227486B1 (ko) * 2005-12-13 2013-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웹사이트 서비스의 브라우저 화면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구현할 수 있는 수신단말기
KR100661718B1 (ko) * 2005-12-14 2006-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웹사이트 서비스에서 dgi를 이용한 예약녹화설정장치 및 방법
KR101265593B1 (ko) * 2006-01-19 2013-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웹사이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및이를 위한 이동 단말기
KR100739321B1 (ko) * 2006-06-28 2007-07-1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방송 전송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83669B1 (ko) 2001-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39933B2 (en) Reception system for replacing transport packets
US9225443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broadcast service, method for receiving the broadcasting service, and apparatus for receiving the broadcasting service
US10349146B2 (en) Method for processing a web service in an NRT service and a broadcast receiver
US9215497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a broadcast servic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same
KR101635889B1 (ko) 비실시간 서비스 처리 방법 및 방송 수신기
BRPI0805829B1 (pt) Método de transmissão de um serviço de difusão móvel, e aparelho para transmissão de um serviço de difusão móvel
KR20050036526A (ko) 채널 전환 대기 시간을 이용한 디지털 멀티미디어방송시스템의 부가서비스 제공을 위한 전송스트림, 장치,방법 및 그 방송 수신 단말기
KR101672290B1 (ko) 서비스 제공 방법 및 모바일 방송 수신기
US1087349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broadcast signal
KR20170138994A (ko) 방송 신호 송신 장치,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방송 신호 송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방법
KR100283669B1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의 웹형식 멀티미디어전송방법
CN101272205B (zh) 一种移动多媒体广播业务参数信息的传输方法及装置
KR102626634B1 (ko) 방송 신호 송신 장치,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방송 신호 송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방법
US7051355B1 (en) Receiving apparatus, receiving method, and providing medium
KR20070082460A (ko) 방송 수신 장치, 방송 프로그램 정보 송수신방법 및 방송프로그램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구조
JP6863419B2 (ja) 受信装置並びに受信方法
KR20020074818A (ko) 인터넷 콘텐츠 기반의 디지털 데이터 방송을 위한 데이터송수신방법
KR100755845B1 (ko) 프로그램 안내 정보 서비스를 위한 방법 및 이동형 방송 수신기
KR100247961B1 (ko) 디지털위성방송송수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3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