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8081A - 휴대폰 - Google Patents

휴대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8081A
KR20000028081A KR1019980046207A KR19980046207A KR20000028081A KR 20000028081 A KR20000028081 A KR 20000028081A KR 1019980046207 A KR1019980046207 A KR 1019980046207A KR 19980046207 A KR19980046207 A KR 19980046207A KR 20000028081 A KR20000028081 A KR 200000280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ip
flips
folded
mobile phone
rece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6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현철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1019980046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28081A/ko
Publication of KR20000028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808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에 관련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폰의 구조를 개선하여 보다 소형화를 이룰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몸체와, 송/수화부와, LCD부와, 키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10)의 전면(前面)에는 키패드(30)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10)의 일측에는 LCD부(20)를 구비한 제 1 플립(60)을 회동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 몸체(10)의 타측에는 제 2 플립(61)을 회동가능하게 설치한 것이다.
즉, 상기 몸체(10)는 다이얼링 기능만을 하도록 기능을 최소화하여 그 크기를 축소하고, 대신 몸체(10)의 상/하부에 각각 플립을 설치하여 이 플립에 LCD부(20)와 송/수화부(50)(40)가 분산구비되도록 하므로써 전체적인 크기를 소형화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폰
본 발명은 휴대폰에 관련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폰의 구조를 개선하여 보다 소형화를 이룰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셀룰러 폰, PCS등)은 휴대가 용이하도록 소형화하여 기지국의 전파발사거리 이내에서는 장소 및 거리에 제한받지 않고 상대방과의 통화 또는 데이터교환이 가능한 무선통신기기의 하나로서, 요사이 산업발달과 더불어 정보화사회를 추구하고 있는 시점에서 중요한 개인용 통신수단의 하나로 그 보급이 계속적으로 확산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개인용 휴대폰은 통화감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개발과 더불어 휴대가 용이하도록 그 크기를 소형화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데, 특히 사용상에 불편이 없으면서도 포켓에 소지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소형화하기 위한 기술은 개발의 여지가 많음은 물론 소형화 정도에 따라 매출과 직결되므로 이러한 측면에서 살펴보기로 한다.
현재 보급되어 있는 휴대폰은 크게 키패드를 노출시킨 형태와, 키패드를 개폐할 수 있도록 덮개가 설치된 이른바 플립형(flip type)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상기 키패드가 노출된 형태는 이미 구모델이 되어 생산량이 줄고 있는 반면, 요즈음에는 그 후속모델인 플립형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도 1은 상기한 플립형 휴대폰중 송화부에만 플립이 설치된 휴대폰의 사시도로서, 그 구성은 몸체(1)의 전면 상부에 데이터의 입력상황을 출력하기 위한 LCD부(2)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LCD부(2)의 하부에는 전화번호 및 그외의 부가기능을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3)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몸체(1)의 전면 최상단과 최하단에는 수화부(4)와 송화부(5)가 각각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1)의 하부 양측에는 키패드(3)를 개폐할 수 있도록 플립(6)의 일단 양측이 힌지 결합되어 있고, 상기 플립(6)의 힌지부에는 플립이 탄력적으로 개폐되도록 토션스프링(torsion spring)(도시는 생략함)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휴대폰의 사용시에는 플립(6)이 접혀있는 상태에서 플립의 자유단 양측을 잡고 몸체(1)의 외향으로 잡아 당기면 플립(6)은 힌지축을 중심으로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약 180°정도 개방되면서 키패드(3)가 노출되므로 전화번호 및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반면, 휴대폰을 사용하지 않을때에는 플립(6)이 펼쳐진 상태에서 플립의 자유단을 몸체(1)를 향해 밀면 플립(6)은 힌지축을 중심으로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몸체(1)에 밀착된 상태가 되면서 키패드(3)을 덮개되므로 휴대가 가능한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플립(6)은 토션스프링에 의해 탄력설치되어 있으므로 접거나 펼 때 적정위치까지만 힘을 가하면 토션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스스로 접히거나 펼쳐지게 됨과 아울러 접혀진 상태나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플립형 휴대폰중 수화부에만 플립이 설치된 이른바 플립-업형(flip-up type)휴대폰의 사시도로서, 이 제품은 몸체(1)에 LCD부(2)와 송화부(5)가 구비되고, 플립(6a)에 수화부(4)가 구비되어, 사용시에 플립(6a)을 펼친상태에서 플립(6a)에 구비된 수화부(4)에 귀를 대고 몸체(1)에 구비된 송화부(5)를 통해 음성을 전송하게 되므로 이전제품의 역형태인 셈이다.
이 제품은 송화부(5)에 플립(6)이 설치된 휴대폰에 비해 전체길이를 줄이는 효과를 가져왔다.
그러나 송화부(5)에만 플립(6)이 설치된 휴대폰은 몸체(1)에 LCD부(2)와 키패드(3), 송/수화부(5)(4)가 모두 구비되어 있어 전체적인 길이가 비교적 길기 때문에 대부분 손에 들고 다니거나 바지 뒷주머니 또는 양복의 안주머니 등에 넣고 다니고 있다.
상기와 같이 양복의 안주머니에 휴대폰을 소지하고 다닐 경우에는 휴대폰의 크기와 무게에 의해 옷모양새가 안좋아지는 문제점이 있었고, 바지 뒷주머니에 휴대폰을 소지하고 다닐 경우에는 앉을 때 불편함이 있었뿐만 아니라 분실의 소지도 안고 있었다.
한편, 수화부(4)에만 플립(6a)이 설치된 휴대폰의 경우에는 이전의 휴대폰에 비해 휴대폰의 길이를 이전 모델보다 줄이는 효과를 거두긴 했지만 이 역시 몸체(1)에 LCD부(2)와 키패드(3), 송화부(5)가 모두 구비되어 있으므로 전체적인 길이를 대폭 축소하는데는 제한적인 제품이라 하겠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휴대폰을 소형화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몸체와, 송/수화부와, LCD부와, 키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의 전면(前面)에는 키패드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의 일측에는 LCD부를 구비한 제 1 플립을 회동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 몸체의 타측에는 제 2 플립을 회동가능하게 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플립형 휴대폰중 송화부에만 플립이 설치된 휴대폰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플립형 휴대폰중 수화부에만 플립이 설치된 휴대폰을 도시한 사시도
도 3a는 송/수화부에 모두 플립이 설치된 본 발명 휴대폰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b는 도 3a에서 송/수화부 플립을 접었을때의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 휴대폰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b는 도 4a에서 송/수화부 플립을 접었을때의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 휴대폰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b는 도 5a에서 송/수화부 플립을 접었을때의 사시도
도 6a는 송/수화부 플립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수단의 구성도로서, 특히 송/수화부 플립이 접혀 있을때의 개폐수단의 상태도
도 6b는 송/수화부 플립이 펼쳐져 있을때의 개폐수단의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 20 : LCD부
30 : 키패드 40 : 수화부
50 : 송화부 60 : 제 1 플립
61 : 제 2 플립 70 : 크랭크
71 : 제 1 크랭크 아암 72 : 제 2 크랭크 아암
도 3a는 송/수화부에 모두 플립이 설치된 본 발명 휴대폰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에서 송/수화부 플립을 접었을때의 사시도이며,도 4a는 본 발명 휴대폰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에서 송/수화부 플립을 접었을때의 사시도이며, 도 5a는 본 발명 휴대폰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5a에서 송/수화부 플립을 접었을때의 사시도이며, 도 6a는 송/수화부 플립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수단의 구성도로서, 특히 송/수화부 플립이 접혀 있을때의 개폐수단의 상태도이고, 도 6b는 송/수화부 플립이 펼쳐져 있을때의 개폐수단의 상태도로서, 이들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휴대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몸체(10)의 전면(前面)에는 키패드(30)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10)의 상부에는 수화부(40)와 LCD부(20)를 구비한 제 1 플립(60)을 회동가능하게 탄력설치하며, 상기 몸체(10)의 하부에는 송화부(50)를 구비한 제 2 플립(61)을 회동가능하게 탄력설치한 것이다.
즉, 상기 몸체(10)는 다이얼링의 기능만을 하도록 기능을 최소화하여 그 크기를 축소하고, 대신 몸체(10)의 상/하부에 각각 플립을 설치하여 이 플립에 LCD부(20)와 송/수화부(50)(40)가 분산구비되도록 하므로써 전체적인 크기를 소형화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 휴대폰의 각 플립을 개폐하기 위한 기술은 여러형태로 적용될수 있으므로 각각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수화부(50)와 LCD부(20)가 구비된 제 1 플립(60)의 하단 양측을 몸체(10)의 상단 양측에 힌지 결합하고, 송화부(40)가 구비된 제 2 플립(61)의 상단 양측을 몸체(10)의 하단 양측에 힌지 결합한 구조이다.
이 때, 상기 두 플립(60)(61)을 접었을 때는 어느 한 플립은 몸체(10)의 전면으로 먼저 접히고, 나머지 플립은 먼저 접힌 플립위로 포개어 접히도록 한 구조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 실시예는 상기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 1, 2 플립(60)(61)이 몸체(10)의 전면으로만 접히도록 하되, 두 플립을 접었을 때 중첩됨을 방지하기 위해, 제 1 플립(60)은 몸체의 전면(前面) 일부만을 덮을 수 있도록 몸체(10) 전면면적보다 작게 형성하고, 제 2 플립(61)은 상기 제 1 플립(60)에 의해 덮히지 않은 나머지 부분을 덮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제 1, 2 플립(60)(61)를 합한 크기는 몸체(10)의 전면면적에 상응하게 하되, 각 플립이 몸체(10)를 덮는 영역을 각각 분할하므로써 상호간에 중첩됨을 방지토록 한 구조이다.
이 때, 상기 제 1 플립(60)에는 LCD부(20)와 수화부(40)가 구비되고 제 2 플립(61)에는 송화부(50)만이 구비되므로 제 1 플립(60)은 제 2 플립(61)에 비해 커야함은 물론이다.
만약, 제 1 플립(60)의 면적이 작아지게 되면 제 1 플립에 구비된 LCD부(20)의 크기도 줄어들게 되므로 이를 감안한 크기로 설정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제 2 실시예는 플립이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한 구조이므로 전술한 제 1 실시예와 후술하는 제 3 실시예 보다는 휴대폰 두께를 줄일 수 있어 제품의 소형화를 이루기 위한 목적으로서는 가장 효율적인 형태라고 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 실시예는 제 1, 2 플립(60)(61)중 수화부(50)와 LCD부(20)가 구비된 제 1 플립(60)의 하단을 몸체(10)의 상단에 힌지 결합하고, 송화부(40)가 구비된 제 2 플립(61)의 상단을 몸체(10)의 하단에 힌지 결합하여, 제 1 플립(60)은 몸체(10)의 후면으로 접히고, 제 2 플립(61)은 몸체(10)전면으로 접히도록 한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에서 제 1, 2, 3 실시예 공히 제 1, 2 플립(60)(61)의 양측에는 손잡이(60a)(61a)를 형성하여 플립의 개폐시 좀더 용이한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제 1, 2, 3 실시예에서 공히 제 1, 2 플립(60)(61)을 개폐하기 위한 방법은 크게 두가지로 나눌수 있는데, 첫 번째 방법은 제 1 플립(60)과 제 2 플립(61)이 각각 개폐되도록 하는 방법과, 두 번째 방법은 제 1, 2 플립(60)(61)이 연동하여 동시에 개폐되도록 하는 방법이 있다.
그 중 첫 번째 방법은 각 플립의 일단을 몸체(10)의 측면 상하단에 회동가능하도록 탄력설치하여, 제 1, 2 플립(60)(61)을 각각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반면 두 번째 방법은 제 1, 2 플립(60)(61)을 개폐수단에 의해 연결하여 동시에 개폐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개폐수단은 도 6a 및 도 6b에서와 같이 상기 몸체(10)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크랭크(70)와, 상기 크랭크의 일단과 상기 제 1 플립(60)의 힌지고정단을 연결하는 제 1 크랭크 아암(71)과, 상기 크랭크(70)의 타단과 상기 제 2 플립(61)의 힌지고정단을 연결하는 제 2 크랭크 아암(72)으로 구성하여, 제 1, 2 플립(60)(61)중 어느 한 플립을 개폐하게 되면 개폐가 진행되는 플립에 연결된 크랭크 아암이 크랭크를 회전시켜 다른쪽의 크랭크 아암을 연동시킴에 따라 두 플립이 동시에 개폐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2중 플립형 휴대폰의 플립 개폐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한 제 1, 2, 3 실시예에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으므로 도 6a 및 도 6b에서와 같이 제 1 실시예를 예로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a에서와 같이 제 1, 2 플립(60)(61)이 접혀있는 상태에서 제 2 플립(61)을 펼치게 되면 이 제 2 플립의 힌지고정단이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됨과 함께 이 힌지고정단에 연결된 제 2 크랭크 아암(72)이 몸체(10)내로 밀려들어가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제 2 크랭크 아암(72)의 변위량만큼 이 제 2 크랭크 아암의 내단에 일측이 연결된 크랭크(70)가 그 중심부를 기준으로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어, 크랭크(70)의 타측에 연결된 제 1 크랭크 아암(71)이 크랭크(70)의 회전량만큼 몸체(10)내로 당겨지면서 상기 제 1 크랭크 아암(71)에 힌지고정부측이 연결된 제 1 플립(60)이 그 힌지고정부를 중심으로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제 2 플립(61)과 함께 펼쳐지게 된다.
이와 같이 제 1, 2 플립(60)(61)이 동시에 펼쳐지도록 하는 이유는 어짜피 휴대폰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송/수화부(50)(40)가 구비된 제 1, 2 플립(60)(61)을 모두 펼쳐야 하므로 각각 펼쳐지도록 하는 것보다는 한 번에 두 플립이 펼쳐지도록 함이 사용상 편리하기 때문이다.
반면, 제 1, 2 플립(60)(61)을 접을때에는 펼칠때의 역순에 의해 진행되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제 1 플립(60)에 구비된 LCD부(20)와 몸체(10)내에 구비된 CPU는 케이블에 의해 간단하게 연결할 수 있으며, 이 때 케이블은 플랫 케이블 이나 필름형 플랫 케이블등과 같이 얇고 연질인 케이블을 적용하여 플립의 개폐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몸체에 다이얼링 기능만을 하도록 기능부가를 최소화하여 그 부피를 줄였으며, 그외의 구성요소들은 두 개의 플립에 나누어 분산 구비되도록 하여 휴대폰을 소형화함에 따라 휴대폰의 소지가 간편해짐은 물론 판매경쟁력에서도 우위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6)

  1. 몸체와, 송/수화부와, LCD부와, 키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의 전면(前面)에는 키패드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의 일측에는 LCD부를 구비한 제 1 플립을 회동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 몸체의 타측에는 제 2 플립을 회동가능하게 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2. 제 1항에 있어서,
    제 1, 2 플립을 몸체의 측면 상하단에 각각 힌지고정하여, 두 플립을 접었을 때 어느 한 플립은 몸체의 전면으로 먼저 접히고, 나머지 플립은 먼저 접힌 플립위로 포개어 접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3. 제 1항에 있어서,
    제 1, 2 플립이 상기 몸체의 전면으로 접히도록 하되, 두 플립을 접었을 때 제 1 플립은 몸체의 전면 일부만을 덮도록 하며, 제 2 플립은 제 1 플립에 의해 덮히지 않은 나머지 부분을 덮도록하여, 제 1, 2 플립이 상호 중첩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4. 제 1항에 있어서,
    제 1, 2 플립을 몸체의 측면 상하단에 각각 힌지고정하여, 제 1 플립은 몸체의 전/후면중 어느 한면으로 접히고, 제 2 플립은 상기 제 1 플립이 덮힌 몸체의 반대쪽면으로 접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5. 제 1항 내지 제 4항에 있어서,
    제 1, 2 플립은 개폐수단에 의해 동시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6. 제 1항에 있어서,
    제 1 플립에는 수화부가 설치되고, 제 2 플립에는 송화부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KR1019980046207A 1998-10-30 1998-10-30 휴대폰 KR200000280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6207A KR20000028081A (ko) 1998-10-30 1998-10-30 휴대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6207A KR20000028081A (ko) 1998-10-30 1998-10-30 휴대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8081A true KR20000028081A (ko) 2000-05-25

Family

ID=19556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6207A KR20000028081A (ko) 1998-10-30 1998-10-30 휴대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2808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66667B2 (en) Radio communication device with a multi-mode user interface
US7162283B2 (en) Sliding type mobile telephone terminal
US7200224B2 (en) Hinge device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
JP2658928B2 (ja) 携帯通信機
EP1739931B1 (en) Portable terminal having slidable and foldable housings
JP2006509479A (ja) 二方向ヒンジを有する無線端末
US7899504B2 (en) Mobile communication unit with display area widening mechanism
US20050020327A1 (en) Speaker-up type portable terminal
JPH10262105A (ja) 携帯型情報機器
KR20000028081A (ko) 휴대폰
JP2005534237A (ja) 電子デバイス用の自動開放機構
KR100438544B1 (ko) 휴대용단말기의 듀얼타입 엘시디 장치
KR20010035318A (ko) 듀얼 폴더 타입 휴대폰
JP3692584B2 (ja) 携帯通信装置
JPH06244912A (ja) 携帯用通信装置
KR200276837Y1 (ko) 폴더형 휴대전화기
KR20010028987A (ko) 폴더형 휴대폰
KR100592182B1 (ko) 360도 회전하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KR20040016001A (ko) 회전하는 본체의 양면에 키패드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200230377Y1 (ko) 폴더형 휴대폰 덮개
KR200166583Y1 (ko) 폴더타입 위성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KR200372884Y1 (ko) 회전형 폴더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434455B1 (ko) 이중 힌지 장치를 구비한 플립이 제공된 휴대폰
KR200342573Y1 (ko) 휴대용 단말기의 로타리 힌지
KR200214943Y1 (ko) 음성 통화 장치와 무선 데이터 통신 장치의 폴더형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