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8039A - Method for increasing q-sound - Google Patents

Method for increasing q-soun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8039A
KR20000028039A KR1019980046162A KR19980046162A KR20000028039A KR 20000028039 A KR20000028039 A KR 20000028039A KR 1019980046162 A KR1019980046162 A KR 1019980046162A KR 19980046162 A KR19980046162 A KR 19980046162A KR 20000028039 A KR20000028039 A KR 200000280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mode
stereo
signal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61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276448B1 (en
Inventor
김영규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80046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6448B1/en
Publication of KR20000028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803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6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6448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 H04N5/607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for more than one sound signal, e.g. stereo, multilangu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6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receiving on more than one standard at wil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6Spatial arrangements of separate transducers responsive to two or more frequency r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5/00Pseudo-stereo systems, e.g. in which additional channel signals are derived from monophonic signals by means of phase shifting, time delay or reverb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Abstract

PURPOSE: A method for increasing a Q sound is provided to improve a performance of an audio display system by increasing a Q-sound provided when a stereo sound is played-back. CONSTITUTION: In a method for increasing a Q-sound, it is first judged if an eject mode(S31) is set, and when the ejection mode is set, it is judged if a cast receiving mode is set(S33). When the cast receiving mode is set(S33), it is judged if a stereo mode is set(S35). When the stereo mode is set, a Q-sound on/off switchable mode is set(S39), and the Q-sound on/off is displayed on an on-screen display(S40). When the cast receiving mode is not set, an audio/video mode is operated(S38). When the stereo mode is not set, a Q-sound on/off unswitchable mode is set(S37).

Description

큐 스테레오 사운드 증가 방법How to increase cue stereo sound

본 발명은 입체음향의 오디오 재생 시스템의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한 스테레오 증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스테레오 재생시 제공되는 Q(quality factors) 사운드 증가하기 위해 Q 스테레오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큐 스테레오 사운드 증가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reo augmentation system for increasing the effect of a stereophonic audio reproduction system, and in particular a cue stereo sound augmentation method for processing a Q stereo signal to increase the Q (quality factors) sound provided during stereo reproduction. It is about.

오디오 시스템의 재생동작에서 이용 가능하도록 입체음향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많은 노력들이 스테레오 신호를 처리하려는 시스템들이 많이 알려져 있다. 예를들면 몇 개 시스템들은 스테레오 분리를 향상시키거나 스피커의 실제 위치보다도 다른 위치에서 소리의 명백한 근원으로 대체할려는 즉, Q사운드를 이용하여 더욱더 입체적인 음향으로 재생될 수 있도록 할려는 경향이 있다. 스테레오 처리를 위한 하나의 시스템은 특정화된 좌측 필터로 좌채널 신호를 인가하고 우측 필터로 우채널 신호를 인가하는 것이다. 상기 좌입력신호 및 우측필터의 출력은 좌채널을 형성하기 위해 가산되고 우입력 채널은 우채널을 형성하기 위해 촤측필터의 출력과 가산된다. 그러한 시스템은 통상의 스테레오 재생 시스템의 관점에서 몇가지 스테레오 효과를 제공해 준다. 여기서, Q사운드는 좌,우채널로 구분되어진 2채널 스테레오 사운드 신호에 Q사운드를 적용하여 3차원 효과를 얻는 기술이다. 즉, 스테레오영역을 확장시킴으로써, 스테레오 효과를 확장시키는 것이다.Many systems are known for processing stereo signals to enhance stereophonic effects so that they can be used in the playback operation of audio systems. Some systems, for example, tend to improve stereo separation or replace them with apparent sources of sound at locations other than the speaker's actual location, ie to be able to reproduce more stereoscopic sounds using Q sound. One system for stereo processing is to apply a left channel signal to a specified left filter and a right channel signal to a right filter. The left input signal and the output of the right filter are added to form the left channel and the right input channel is added to the output of the left filter to form the right channel. Such a system provides some stereo effects in terms of conventional stereo playback systems. Here, Q sound is a technique of obtaining a three-dimensional effect by applying Q sound to a two-channel stereo sound signal divided into left and right channels. In other words, by extending the stereo area, the stereo effect is extended.

한편, 정규 스테레오 프로그램 유형은 공통으로 양채널의 정보를 가진다. 따라서 두 개의 스피커를 이용한 미처리 스테레오 재생 시스템에서 이 공통 프로그램 정보는 입체음향 사운드 필드의 중심에서 출현한다. 이것은 공통정보이거나 상술한 바와 같은 사운드 필드의 중심내에서 정보의 정규 결과로 처리될 때 양채널에서 순차적인 동일한 정보이다.On the other hand, the normal stereo program type has information of both channels in common. Thus, in an unprocessed stereo reproduction system using two speakers, this common program information appears at the center of the stereophonic sound field. This is common information or the same information sequentially in both channels when processed as a normal result of the information within the center of the sound field as described above.

이것은 그러한 공통 오디오 정보가 좌측 필터 또는 우측필터에서 동시에 처리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사운드는 일반적으로 그와 관련된 공통 유형을 줄이며 그러한 삭제 때문에 스테레오 처리될 때 저주파 정보 또는 소위 증가된 스트레오 출력신호로 확인되었다.This is because such common audio information is processed simultaneously in the left filter or the right filter. The sound thus generally reduces the common type associated with it and has been identified as low frequency information or so-called increased stereo output signal when stereo processed due to such cancellation.

도 1 및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스테레오 증가 시스템의 블록 다이아그램을 나타낸 구성도이다.1 and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block diagram of a stereo incr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주전원 증폭기의 예비 증폭부에서 발생되는 명목상의 1V와 같은 라인 레벨에서 통상적인 좌우 스테레오 신호를 각각 입력단자(10, 12)에 각각 공급한다. 이 시스템에서 각각 좌우배치 필터를 통해 투루(true) 스테레오 신호 또는 공통정보의 영역이 제거된 차동신호를 출력한다.First, referring to FIG. 1, the left and right stereo signals, which are typical at the nominal 1V level generated by the preamplifier of the main power amplifier, are respectively supplied to the input terminals 10 and 12, respectively. Each system outputs a true stereo signal or a differential signal from which a region of common information is removed through a left-right arrangement filter.

상세히 설명하면, 입력단자(10)에서 출력한 스테레오 좌채널 신호는 인버버(14)를 통해 흐르고 또 제어가능한 감쇠기(16)로 흐른다. 상기 감쇠기(16)의 출력신호는 신호 가산 회로(18)의 하나의 입력으로 인가된다. 신호 가산 회로(18)의 다른 입력은 단자(12)에 인가되는 우채널 신호이다. 따라서 좌채널신호가 반전되어 신호 가산 회로(18)로 인가되기 때문에 신호 가산회로(18)의 출력은 좌배치채널과 우배치채널 사이에서 실제로 차이점이 있다. 이들 신호는 제어 가능한 감쇠기(20)를 통해 흐른 다음 그 출력은 우배치필터(22)로 흐른다. 유사하게 단자(12)로 인가된 우배치 채널신호는 인버터(24)를 통해 제어 가능한 감쇠기(26)로 인가된다.In detail, the stereo left channel signal output from the input terminal 10 flows through the inverter 14 and to the controllable attenuator 16. The output signal of the attenuator 16 is applied to one input of the signal adding circuit 18. The other input of the signal adding circuit 18 is a right channel signal applied to the terminal 12. Therefore, since the left channel signal is inverted and applied to the signal adding circuit 18, the output of the signal adding circuit 18 actually differs between the left and right batch channels. These signals flow through a controllable attenuator 20 and then their output flows to the right batch filter 22. Similarly, the pre-batch channel signal applied to terminal 12 is applied to controllable attenuator 26 via inverter 24.

상기 감쇠기(26)의 출력은 입력단자(10)로 인가되는 좌채널신호로 구성된 다른 입력을 갖는 신호 가산회로(28)에서 하나의 입력단을 구비한다.The output of the attenuator 26 has one input terminal in a signal addition circuit 28 having another input consisting of a left channel signal applied to the input terminal 10.

그다음에 상기 신호 가산 회로(28)의 출력은 거기에서 감산된 우채널을 갖는 좌채널신호를 나타낸다.The output of the signal addition circuit 28 then represents a left channel signal with the right channel subtracted there.

차동신호는 제어가능한 감쇠기(30)를 통해 출력되고 그 출력은 좌배치필터(32)로 입력된다. 단자(10)에 인가되는 상기 좌채널신호는 제어 가능한 감쇠기(34)에 의해 레벨 조정되고 그 출력은 신호 가산 회로(36)의 하나의 입력신호로 인가된다. 신호 가산회로(36)의 다른 입력은 우배치 필터(22)의 출력이고, 가산기(36)의 출력은 단자(33)에서 이용가능한 스테레오 증가된 좌 채널 출력신호로 된다. 유사하게 단자(12)에 인가되는 상기 우채널신호 제어가능한 감쇠기(40)를 통해 흐르고 그 출력은 신호 가산 회로(42)에서 하나의 입력신호로 된다. 상기 신호 가산기(42)로 다른 입력은 좌배치필터(32)의 출력이다. 상기 신호가산기(42)의 출력은 단자(44)에서 이용가능하게 되고 스테레오 증가된 우채널 신호를 나타낸다.The differential signal is output through the controllable attenuator 30 and its output is input to the left batch filter 32. The left channel signal applied to the terminal 10 is level-controlled by a controllable attenuator 34 and its output is applied as one input signal of the signal adding circuit 36. The other input of the signal addition circuit 36 is the output of the right batch filter 22, and the output of the adder 36 is a stereo increased left channel output signal available at the terminal 33. Similarly it flows through the right channel signal controllable attenuator 40 which is applied to the terminal 12 and its output becomes one input signal in the signal adding circuit 42. The other input to the signal adder 42 is the output of the left batch filter 32. The output of the signal adder 42 becomes available at terminal 44 and represents a stereo increased right channel signal.

상기 두 개의 채널은 각 배치필터에 인가되기 이전에 효과적으로 감산되기 때문에 만약 신호들이 모두 배치않된 필터링 상태로 놓여진것과 같다고 보고 투루 스테레오 신호들은 각각 좌우출력단자(33, 44)로 출력된다.Since the two channels are effectively subtracted before being applied to each batch filter, it is assumed that the signals are placed in the unfiltered filtering state, and the true stereo signals are output to the left and right output terminals 33 and 44, respectively.

도 1 및 도 2에서 감쇠기(16, 20, 26, 30, 34, 40)는 소위 제어 가능한 감쇠기들이다. 이들 감쇠기는 모두 제어입력을 갖기 때문에 이들 감쇠의 범위는 손쉽게 제어된다. 이러한 제어는 상수 K에 의해 표현되어지는 감쇠기에서 입력을 초기 세팅하거나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의해 연속적이고 진행중인 가변가능하게 제어할 수 있고 스테레오 증가의 여러 가지 정도를 수행할 수 있다.In FIGS. 1 and 2, the attenuators 16, 20, 26, 30, 34, 40 are so-called controllable attenuators. Since all of these attenuators have control inputs, the range of these attenuations is easily controlled. This control may initially set the input in the attenuator represented by the constant K or may be controlled continuously and in progress by the microprocessor and perform various degrees of stereo augmentation.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쇠기(34)의 출력은 제어가능한 지연기(60)로 인가되고, 좌채널을 나타내는 가변 가능한 감쇠기(40)의 출력은 다른 제어가능한 지연기(62)로 인가된다. 지연기(60)의 출력은 신호가산회로(36)의 하나의 입력으로 출력되고 신호가산회로 (36)의 다른 입력은 우배치필터(64)의 출력이다. 또한 우치배치필터(64)는 제어가능한 필터이고 필터효율이 고정된 경우 제어입력이 일정하고, 제어입력은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어떤 다른 프로그램된 소오스에 의해 제어되도록 가변 가능하다. 각부에서 우배치필터(64)의 출력은 신호가산회로(36)에 두 번째 입력으로 되고 그 출력은 단자(66)에 나타나는 좌채널 출력이다. 유사하게 제어가능한 지연기(62)의 출력은 신호가산회로(42)의 한 입력으로 출력되고 다른 출력은 제어가능한 좌배치필터(63)에서 지연된다. 상기 필터(63)는 상수뿐만아니라 가변값에 의해 제어되고 좌배치필터 출력신호는 신호가산회로(42)에 두 번째 입력으로 되고, 그 출력은 단자(70)에 좌채널로 출력된다.As shown in FIG. 2, the output of the attenuator 34 is applied to the controllable delay 60, and the output of the variable attenuator 40 representing the left channel is applied to the other controllable delay 62. . The output of the delayer 60 is output to one input of the signal addition circuit 36 and the other input of the signal addition circuit 36 is the output of the right batch filter 64. The placement filter 64 is also a controllable filter and the control input is constant if the filter efficiency is fixed, and the control input is variable to be controlled by a microprocessor or some other programmed source. In each section, the output of the right batch filter 64 is the second input to the signal addition circuit 36 and its output is the left channel output appearing at the terminal 66. Similarly, the output of the controllable delayer 62 is output to one input of the signal addition circuit 42 and the other output is delayed in the controllable left batch filter 63. The filter 63 is controlled not only by a constant but also by a variable value and the left batch filter output signal is a second input to the signal addition circuit 42, and its output is output to the terminal 70 as a left channel.

따라서 종래의 종래의 스테레오 증가 시스템에서는 좌/우 채널로 구분되어지 2채널 스테레오 방식의 사운드 신호에 Q 사운드라는 고유의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3차원 스테레오 효과를 얻어낼 수 있었으나 이는 주로 A/V 시스템에 적용하기 때문에 브이씨알의 각 모드에 따른 Q 사운드 온/오프절환이 불가능하였다.Therefore, in the conventional stereo enhancement system, a three-dimensional stereo effect could be obtained by applying a unique algorithm called Q sound to a two-channel stereo sound signal divided into left and right channels. Because of this application, Q sound on / off switching was not possible according to each VRL mode.

본 발명은 상기한 점에서 착안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Q 사운드 기능을 브이씨알에 적용함으로써 브이씨알의 각 모드에 따라 Q 사운드 온/오프 절환이 가능한 큐 스테레오 사운드 증가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ue stereo sound increasing method capable of switching Q sound on / off according to each mode of V-CAL by applying the Q sound function to V-CAL.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큐 스테레오 사운드 증가 방법은 예비프로세서는 전형적인 좌우측 필터를 체용한 시스템이고, 상기 예비프로세서는 공통 정보와 소위 처리되어진 모노신호로 차단한다. 따라서 상기 좌우측 필터는 필터링되지 않은 시스템을 경유해서 투루 스테레오 신호 및 공통 프로그램 유형에 독립적으로 동작한다. 스테레오 프로그램은 주기적으로 우채널뿐만아니라 좌채널에 놓아두는 다양한 신호들이기 때문에 상기 스테레오 프로그램은 주기적으로 완전히 모노널이거나 전체적으로 공통 유형으로 구성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ue stereo sound increasing method is a preprocessor is a system using a typical left and right filter, the preprocessor blocks the common information and the so-called mono signal processed. Thus the left and right filters operate independently of the true stereo signal and the common program type via an unfiltered system. Since the stereo program is not only the right channel but also the various signals to be placed in the left channel, the stereo program is periodically monolithically or entirely composed of a common type.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스테레오 증가 시스템의 블록 다이아그램을 나타낸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block diagram of a stereo incr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스테레오 증가 시스템의 블록 다이아그램을 나타낸 구성도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block diagram of a stereo incr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큐 스테레오 사운드 증가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우챠트이다.3 is a flowchart for performing a cue stereo sound increas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 12 : 입력단자 14, 24 : 인버터10, 12: input terminal 14, 24: inverter

16, 26, 30,34, 40 : 제어가능한 감쇠기16, 26, 30, 34, 40: controllable attenuator

18, 28, 36, 42 : 신호가산회로18, 28, 36, 42: signal addition circuit

60, 62 : 지연기 64 : 우측필터60, 62: delay 64: right filter

68 : 좌측필터 68, 70 : 출력단자68: Left filter 68, 70: Output termin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큐 스테레오 사운드 증가 방법은 오디오신호처리용 예비프로세서를 구비하는 큐 스테레오 사운드 시스템이 내장된 브이씨알의 큐 스테레오 사운드 증가 방법에 있어서, 브이씨알에 전원인가시 이젝트 모드와 녹화모드의 유무를 연속적으로 판단한 후 방송수신모드와 재생모드에 여부를 재차 판단하는 스텝, 상기 판단스텝에서 방송수신모드이면 스테레오 모드를 판단하고 재생모드이면 하이파이 모드를 각각 판단하여 Q 사운드 온/오프 절환 여부를 결정하는 스텝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ue stereo sound increase method includes a cue stereo sound increase method of V-Cal having a cue stereo sound system having a preprocessor for audio signal processing, and the eject mode when the VRC is powered on. After continuously determining whether the recording mode is present or not, the step of re-determining whether the broadcast reception mode and the playback mode are performed again, the stereo mode is determined in the broadcast reception mode and the hi-fi mode in the playback mod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switch.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큐 스테레오 사운드 증가 방법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cue stereo sound increas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큐 스테레오 사운드 증가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우챠트이다.3 is a flowchart for performing a cue stereo sound increas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큐 스테레오 사운드 증가 방법은 브이씨알에 전원인가시 이젝트 모드와 녹화모드의 유무를 연속적으로 판단한 후 방송수신모드와 재생모드에 여부를 재차 판단하는 스텝(S31∼S36), 상기 판단스텝(S31∼S36)에서 방송수신모드이면 스테레오 모드(S35)를 판단하고 재생모드이면 하이파이 모드(S37)를 각각 판단하여 Q 사운드 온/오프 절환 여부를 결정하는 스텝(S37)(S38)으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3, the method for increasing cue stereo sou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determining successively whether an eject mode and a recording mode are present when VRC is powered on, and then re-determining whether the broadcast reception mode and the playback mode are present (S31 to S). S36), in the determination steps S31 to S36, the stereo mode S35 is determined in the broadcast reception mode, and the hi-fi mode S37 is determined in the playback mode to determine whether to switch the Q sound on / off (S37). It consists of S38.

또한 상기 판단스텝(S31∼S36)에서 방송수신모드(S33)가 아니면 A/V 모드로 동작 절환된 후 즉시 Q 사운드 온/오프 절환되는 A/V 모드로 동작하는 스텝(S38)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step S38 of operating the A / V mode in which the Q sound is switched on / off immediately after the operation is switched to the A / V mode if the broadcast reception mode S33 is not included in the determination steps S31 to S36. It is composed.

또한 상기 Q 사운드 온/오프 절환 스텝(S39)은 절환동작후 즉시 온스크린디스플레이로 표시하는 단계(S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Q sound on / off switching step S39 further includes a step S40 of displaying the on-screen display immediately after the switching operation.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큐 스테레오 사운드 증가 방법은 이젝트/녹화모드에서 우선 A/V 모드는 사용자가 외부에서 입력한 외부 사운드 신호이므로 Q 사운드 온/오프로 무조건 절환 가능하도록 한다(S38)(S39).The cue stereo sound increas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llows the user to switch unconditionally to Q sound on / off because the A / V mode is an external sound signal input by the user in the eject / recording mode (S38) (S39). .

방송수신모드에서는 수신된 방송신호가 스테레오인 경우에 Q 사운드 온/오프 절환을 가능하게 하며(S33∼S39), 듀얼 방송인 경우에는 우채널신호와 좌채널신호가 상이하게 되지만, 이종 언어가 혼합되므로 Q 사운드의 온/오프 절환을 불가능하게 한다(S38).In the broadcast receiving mode, Q sound on / off switching is possible when the received broadcast signal is stereo (S33 to S39). In the case of dual broadcasting, the right channel signal and the left channel signal are different, but different languages are mixed. The on / off switching of the Q sound is made impossible (S38).

한편 재생모드에서는 재생되는 사운드 신호와 파이파이 테이프일 경우에만 Q 사운드의 절환을 가능하게 한다(S36)(S39).On the other hand, in the playback mode, it is possible to switch the Q sound only in the case of the sound signal to be reproduced and the Phi-Pi tape (S36).

상술한 Q 사운드 온/오프 절환은 절환동작후 즉시 온스크린디스플레이로 표시된다(S40).The above-described Q sound on / off switching is displayed on the on-screen display immediately after the switching operation (S40).

실제로 본 발명에 의한 Q 사운드 기능에 대한 효과는 좌채널사운드 신호 및 우채널사운드신호가 주파수, 레벨, 위상등에서 차이가 있을 경우 Q 사운드로 절환동작을 가능하도록 해주기 때문에 좌채널출력과 우채널출력이 동일한 경우 사용자의 동작모드 선택에 따른 혼선을 효과적으로 막아줄 수 있다.Actually, the effect on the Q sound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left channel output signal and the right channel output signal can be switched to the Q sound when the left channel sound signal and the right channel sound signal are different in frequency, level, phase, etc. In the same cas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interference caused by the user's operation mode selection.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큐 스테레오 사운드 증가 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in detail, the cue stereo sound increas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재, 본 발명은 Q 사운드 기능이 내장된 하이파이 브이씨알에서 모노 방송모드 또는 일반 테이프 재생시 Q 사운드 기능으로의 절환을 불가능하게 하고, 스테레오 방송모드 또는 하이파이 테이프 재생시 Q 사운드 기능으로의 절환을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판단착오를 방지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First,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impossible to switch to the Q sound function when playing a mono broadcast mode or a normal tape in a hi-fi VRC with a built-in Q sound function, and to a Q sound function when playing a stereo broadcast mode or a hi-fi tape. By doing so, the user has an excellent effect of preventing judgment and error.

둘째, 본 발명은 스테레오 신호의 좌/우채널의 신호 비교를 통하여 사운드 신호를 예비프로세서에서 처리함으로써 스테레오 영역의 확장을 통하여 3D 효과를 배가시킨다.Second, the present invention doubles the 3D effect through the expansion of the stereo domain by processing the sound signal in the preprocessor by comparing the left and right channels of the stereo signal.

셋째, 본 발명은 브이씨알에서 각 모드에 따라 Q 운드의 온/오프 절환이 가능하고 이를 ODS로 표현할 수 있다.Thir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witch on / off of the Qound according to each mode in VRC and express it as ODS.

본 발명의 큐 스테레오 사운드 증가 방법은 본 발명에서 제시된 실시예들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조 변화가 가능함은 명백하다.It is apparent that the cue stereo sound increas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ulation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2)

오디오신호처리용 예비프로세서를 구비하는 큐 스테레오 사운드 시스템이 내장된 브이씨알의 큐 스테레오 사운드 증가 방법에 있어서;CLAIMS 1. A method for increasing cue stereo sound of V-Cal having a cue stereo sound system having a preprocessor for audio signal processing; 브이씨알에 전원인가시 이젝트 모드와 녹화모드의 유무를 연속적으로 판단한 후 방송수신모드와 재생모드에 여부를 재차 판단하는 스텝;Judging whether the eject mode and the recording mode are continuously present when the VRC is powered on, and determining whether the broadcast reception mode and the playback mode are present again; 상기 판단스텝에서 방송수신모드이면 스테레오 모드를 판단하고 재생모드이면 하이파이 모드를 각각 판단하여 Q 사운드 온/오프 절환 여부를 결정하는 스텝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큐 스테레오 사운드 증가 방법.And determining the Q sound on / off by determining the stereo mode in the broadcast reception mode and the hi-fi mode in the playback mo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Q 사운드 온/오프 절환은 절환동작후 즉시 온스크린디스플레이로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큐 스테레오 사운드 증가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Q sound on / off switching is displayed on an on-screen display immediately after the switching operation.
KR1019980046162A 1998-10-30 1998-10-30 Q stereo sound enhancement method KR1002764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6162A KR100276448B1 (en) 1998-10-30 1998-10-30 Q stereo sound enhancement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6162A KR100276448B1 (en) 1998-10-30 1998-10-30 Q stereo sound enhancement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8039A true KR20000028039A (en) 2000-05-15
KR100276448B1 KR100276448B1 (en) 2000-12-15

Family

ID=19556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6162A KR100276448B1 (en) 1998-10-30 1998-10-30 Q stereo sound enhancement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6448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76448B1 (en) 2000-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52627B1 (en) Sound reproducer
US6681018B1 (en) Audio signal processor and audio device
US20060009986A1 (en) Signal processing apparatus
US20080137872A1 (en) Dynamic power sharing in a multi-channel sound system
EP0664661B1 (en) Signal combining circuit for stereophonic audio reproduction system using cross feeding
KR20070055444A (en) Acoustic apparatus, surround apparatus, and acoustic field adjusting apparatus
US20030210794A1 (en) Matrix surround decoding system
US4968154A (en) 4-Channel surround sound generator
CN101276588B (en) Method for outputting audio signals and audio decoder
US20030076972A1 (en) Sound field correction circuit
US5774556A (en) Stereo enhancement system including sound localization filters
EP0584719B1 (en) Control circuit for a spatial stereo expander
US6711270B2 (en) Audio reproducing apparatus
KR100276448B1 (en) Q stereo sound enhancement method
CA2414501A1 (en) Dynamic power sharing in a multi-channel sound system
US7796766B2 (en) Audio center channel phantomizer
EP0630168B1 (en) Improved Dolby prologic decoder
EP0516183A1 (en) Television receiver
JP2004364239A (en) Acoustic apparatus
JPH0744159Y2 (en) Color television receiver
JPH04273800A (en) Sound image localization device
JP3788081B2 (en) Sound equipment
KR960015874B1 (en) Variable type surround circuit
JPH10191203A (en) Sound reproduction circuit
JP2004364238A (en) Surround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