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7623A - 마스크 제조시의 렌즈수차 평가 및 측정방법 - Google Patents

마스크 제조시의 렌즈수차 평가 및 측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7623A
KR20000027623A KR1019980045578A KR19980045578A KR20000027623A KR 20000027623 A KR20000027623 A KR 20000027623A KR 1019980045578 A KR1019980045578 A KR 1019980045578A KR 19980045578 A KR19980045578 A KR 19980045578A KR 20000027623 A KR20000027623 A KR 200000276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erration
lens
line
pitch
ma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5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형순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80045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27623A/ko
Publication of KR20000027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762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70Microphotolithographic 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70483Information management; Active and passive control; Testing; Wafer monitoring, e.g. pattern monitoring
    • G03F7/70591Testing optical components
    • G03F7/706Aberration measure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xposure And Positioning Against Photoresist Photosensitive Materials (AREA)
  • Exposure Of Semiconductors, Excluding Electron Or Ion Beam Exposure (AREA)
  • Testing Of Optical Devices Or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스크제조시의 피치 변화에 따른 L/S 를 이용한 렌즈수차 평가 및 측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패턴 레지스트레이션(registration) 에 관계되는 수차(aberration)를 측정할 수 있는 마스크를 제작하므로써 렌즈의 특성을 평가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수차를 정량화하여 공정진행시 공정안정화 및 수율측면에 있어 필요하게 된다.

Description

마스크 제조시의 렌즈수차 평가 및 측정방법
본 발명은 반도체소자 설계시 패턴의 미등록(misregistration)을 야기하는 콤마수차(coma aberration)을 측정할 수 있는 마스크를 제작하는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테퍼나 스캐너의 렌즈수차를 측정하므로써 렌즈의 특성을 평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차를 정량화하므로써 공정진행시에 더욱 빠른 공정안정화 및 수율의 극대화을 이룰 수 있도록한 마스크 제조시의 피치변화에 따른 L/S를 이용한 렌즈수차 평가 및 측정마스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경우 노광장비(스테퍼 및 스캐너)내 투영렌즈의 성능을 평가하거나 렌즈를 통과한 파두면(wavefront) 수차를 측정하는 방법으로는 임의의 패턴을 이용하여 간접적인 방법으로 렌즈의 수차를 짐작하여 조정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방법으로는 렌즈 전체 파두면의 수차를 알 수 없으며, 그 렌즈의 성능을 평가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짐작으로의 수차조정으로 수차수정을 정확히 조정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피치가 서로 다른 L/S의 경우 렌즈의 수차에 의해 라인패턴의 중심이 이동(shift)하는 양이 다르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라인패턴이 이동되는 양을 측정하기 위해 각각 피치가 다른 라인/스페이스패턴을 중심라인을 중심으로 배치하여 마스크를 제작하므로써 렌즈의 질을 측정할 수 있을 뿐아니라 피치에 따라 값이 변하는 수차를 정량화할 수 있는 마스크제조시의 렌즈수차 평가 및 측정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마스크 제조시의 렌즈특성 평가 및 수차를 정량화하므로써 제조공정을 더욱 빠르게 안정화시킬 수 있으며, 수율의 극대화를 이룰 수 있도록한 마스크 제조시의 렌즈수차 평가 및 측정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원리는 피치가 서로 다른 L/S 패턴의 경우 렌즈수차에 의해 라인패턴의 중심이 이동하는 양이 다르게 된다. 이렇게 이동되는 양을 측정하기 위해 각각 피치가 다른 L/S 패턴을 중심라인을 중심으로 배치하여 마스크를 제작하므로써 렌즈의 질을 측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치에 따라 값이 변하는 수차를 정량화할 수 있다.
도 1 는 본 발명의 마스크 제조시의 렌즈수차 평가 및 측정방법에 있어서의 패턴 레이아웃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마스크 제조시의 렌즈수차 평가 및 측정방법에 있어서의 마스크 레이아웃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중심라인 2 : 라인/스페이스
10 : 라인/스페이스패턴군 20 : 마스크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제조시의 렌즈수차 평가 및 측정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일직선의 중심라인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피치가 다른 L/S 패턴군을 아래방향으로 규칙적으로 배치된 패턴 레이아웃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패턴군을 수평과 수직으로 배치하여 제작된 마스크 의 레이아웃도이다.
본 발명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같이, L/S 패턴의 경우 피치가 서로 다를수록 렌즈의 수차에 의해 라인패턴의 중심이 이동하는 양이 다르게 된다.
이러한점을 착안해, 도 1에서와 같이, 일직선의 중심라인(1)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피치가 다른 L/S 패턴군(2)을 아래방향으로 규칙적으로 배치한다.(A)
그다음, 도 2 에서와같이, 이러한 패턴군(10)을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배치하여 마스크(20)를 제작한다.
먼저, 도 1 에 도시된 바와같이, 중심라인(1)을 기준으로하여 아래방향으로 각각 피치가 다른 L/S 패턴(2)이 존재한다.(B)
이때, 상기 각각의 피치라인 패턴군(10)의 라인(2)의 크기는 작은 크기에서부터 큰 크기로 증가하며, 중심라인(1)의 크기는 피치패턴군(10)과 같게 하여 측정한다. 또한, 각각의 피치패턴군(10)은 서로 분리시켜 배치한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같이, 마스크(20)를 배치하였을때, 렌즈를 통하여 내려온 빛은 본 마스크(20)를 통과하여 웨이퍼(미도시)에 L/S패턴군(10)을 패터닝한다.
이때, 라인/스페이스패턴을 수직으로 배치하여 수평으로 렌즈 파두면의 수차를 측정하는 방식 또는 수평으로 배치하여 수직으로 렌즈파두면의 수차를 측정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또한, 렌즈의 파두면(waferfront)에 수차가 존재한다면 각 피치에 따라 중심라인의 이동정도가 다르게 된다.
그리고, 여러 각도를 주어 여러 방향의 렌즈 파두면의 수차를 측정할 수도 있다.
한편, 라인/스페이스패턴대신에 콘택홀 패턴을 이용하여 마스크 제조시의 렌즈수차를 평가 및 측정할 수도 있다.
스테퍼의 경우, 렌즈의 파두면에서 렌즈중심은 물론 렌즈의 외곽지역까지 전체적인 렌즈수차를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스캐너인 경우, 슬리트 방향으로 배치된 패턴군에 의해 렌즈의 모든 곳의 수차를 알 수 있어 렌즈의 수차를 조절하는데 유리하게 된다.
렌즈의 성능을 평가하는데 기준에 있어서는 센터라인이 이동되는 양을 렌즈별로 비교한다면 더 좋은 성능의 렌즈를 선택할 수도 있게 된다.
또한, 중심라인의 이동되는 양을 측정하므로써 수차를 정량화할 수 있다.
한편, DRAM 공정이외의 다른 공정에서 노광장비뿐만 아니라 다른 렌즈를 평가하고, 렌즈의 수차를 측정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마스크 제조시의 렌즈의 수차 평가 및 측정방법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각각 피치가 다른 L/S 패턴을 중심라인을 중심으로 배치하여 마스크를 제작하므로써 렌즈의 질을 측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치에 따라 값이 변하는 수차를 정량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스테퍼나 스캐너의 렌즈의 수차를 측정하므로써 렌즈의 비교평가가 가능하고, 노광장비에 장착해서 수차를 수시로 보정할 수 있으며, 공정진행시 공정안정화 및 수율를 극대화할 수 있다.

Claims (6)

  1. 중심라인의 크기와 각각 피치라인 패턴군의 크기를 동일하게 한 상태에서 격리된 중심라인을 기준으로 각 피치의 중심라인이 이동되는 정도를 측정하거나 라인/스페이스패턴의 피치 또는 스페이스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마스크제조시의 렌즈 수차의 평가 및 측정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피치라인 패턴군의 라인크기는 작은 크기에서부터 큰 크기로 증가하며, 중심라인의 크기는 피치패턴군과 같게 하여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마스크제조시의 렌즈수차의 평가 및 측정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피치패턴군을 서로 분리시켜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마스크제조시의 렌즈 수차의 평가 및 측정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라인/스페이스패턴을 수직으로 배치하여 수평으로 렌즈 파두면의 수차를 측정하는 방식 또는 수평으로 배치하여 수직으로 렌즈파두면의 수차를 측정하는 방식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마스크제조시의 렌즈 수차의 평가 및 측정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여러 각도를 주어 여러 방향의 렌즈 파두면의 수차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마스크제조시의 렌즈 수차의 평가 및 측정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스페이스패턴대신에 콘택홀 패턴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마스크제조시의 렌즈 수차의 평가 및 측정하는 방법
KR1019980045578A 1998-10-28 1998-10-28 마스크 제조시의 렌즈수차 평가 및 측정방법 KR200000276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5578A KR20000027623A (ko) 1998-10-28 1998-10-28 마스크 제조시의 렌즈수차 평가 및 측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5578A KR20000027623A (ko) 1998-10-28 1998-10-28 마스크 제조시의 렌즈수차 평가 및 측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7623A true KR20000027623A (ko) 2000-05-15

Family

ID=19555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5578A KR20000027623A (ko) 1998-10-28 1998-10-28 마스크 제조시의 렌즈수차 평가 및 측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2762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3587A (ko) * 2001-11-22 2003-06-02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수차 계측용 포토 마스크, 수차 계측 방법, 수차 계측용장치 및 이 장치의 제조 방법
KR100425479B1 (ko) * 2002-05-02 2004-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노광 장치의 투영렌즈계의 수차 평가용 마스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3587A (ko) * 2001-11-22 2003-06-02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수차 계측용 포토 마스크, 수차 계측 방법, 수차 계측용장치 및 이 장치의 제조 방법
KR100425479B1 (ko) * 2002-05-02 2004-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노광 장치의 투영렌즈계의 수차 평가용 마스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02703A (en) Method for measuring dimensional anomalies in photolithographed integrated circuits using overlay metrology, and masks therefor
JP4911541B2 (ja) リソグラフィツールの光学イメージングシステムの収差をその場で測定する方法
US7507508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KR20000027623A (ko) 마스크 제조시의 렌즈수차 평가 및 측정방법
US20060246359A1 (en) Semiconductor device, fabricating method thereof, and photomask
TW200941147A (en) Exposure apparatus, detection metho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evice
JP2002190442A (ja) 校正用プレート、校正用プレート生成方法、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20090000868A (ko) 광 근접효과 보정방법
KR100498578B1 (ko) 반도체 장치의 오버레이 마크
US5516605A (en) Photo mask provided with development rate measuring pattern and method for measuring development rate uniformity
US6365302B1 (en) Pattern for measuring focus of light expos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US20100266960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and exposure device
KR100498619B1 (ko) 반도체 소자의 오버레이 마크
KR20080096297A (ko) 반도체 소자의 오버레이 마크
KR19980073417A (ko) 스테퍼의 포커스 및 레벨링 측정방법
US20120070786A1 (en) Method for monitoring photolithography process and monitor mark
KR0172287B1 (ko) 중첩 정확도와 노광장비의 포커스를 동시에 측정하기 위한 측정마크를 이용한 중첩 정확도 및 노광장비의 포커스 측정 방법
KR100906944B1 (ko) 렌즈 수차에 의한 cd 차이 보정방법
KR100523653B1 (ko) 반도체 소자의 사진 공정 마진 검사 방법
KR100329772B1 (ko) 포커스높이검사를위한보조패턴을구비하는레티클
KR20020037480A (ko) 반도체 노광에 사용되는 투영렌즈의 코마수차 측정용마스크 및 그에 따른 코마 수차측정방법
KR20030052021A (ko) 노광 장비의 포커스 측정 방법
KR100510454B1 (ko) 스텝퍼의 패턴 이미지 보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패턴 이미지 보정 방법
CN115729056A (zh) 一种三维套刻标记和套刻误差测量设备测校方法
KR101082095B1 (ko) 수차 측정 마스크 및 이를 이용한 수차 측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