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7144A - Input circuit for synchronizing signal in monitor - Google Patents

Input circuit for synchronizing signal in moni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7144A
KR20000027144A KR1019980045011A KR19980045011A KR20000027144A KR 20000027144 A KR20000027144 A KR 20000027144A KR 1019980045011 A KR1019980045011 A KR 1019980045011A KR 19980045011 A KR19980045011 A KR 19980045011A KR 20000027144 A KR20000027144 A KR 200000271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input
schmitt trigger
voltag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50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강호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45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27144A/en
Publication of KR20000027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7144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04Generating or distributing clock signals or signals derived directly therefrom
    • G06F1/12Synchronisation of different clock signals provided by a plurality of clock generato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Abstract

PURPOSE: An input circuit for a synchronizing signal is to convert an inputted unsuitable synchronizing signal into a proper signal and apply the converted signal to a controller. CONSTITUTION: An input circuit for a synchronizing signal comprises a B¬+ voltage adjusting circuit(29) connected a synchronizing input(21). The B¬+ voltage adjusting circuit can adjust the magnitude of B¬+ voltage applied to the synchronizing input. The B¬+ voltage adjusting circuit is a circuit consisting of a variable resistor(VR1) connected B¬+ voltage of (+)5V and an input of the B¬+ voltage. A resistance of the variable resistor is changed by the operation of control keys provided on a monitor, thereby controlling the B¬+ voltage applied to the synchronizing input. A Schmitt trigger circuit is adopted as the synchronizing input.

Description

모니터의 동기신호 입력회로Synchronous signal input circuit of monitor

본 발명은 모니터의 동기신호 입력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컴퓨터의 비디오 카드로부터 부적절한 동기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이 동기신호가 마이콤에 인가되기 전에 보상될 수 있도록 한 모니터의 동기신호 입력회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nchronous signal input circuit of a moni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synchronous signal input circuit of a monitor so that when an inappropriate synchronous signal is input from a computer video card, the synchronous signal can be compensated before being applied to the microcomputer. It is about.

모니터는 컴퓨터의 주변장치로서 음극선관을 이용하여 화상을 재현하는 장치이다. 모니터는 컴퓨터의 비디오 카드로부터 전송받은 신호를 분석하고, 그 결과에 따라 음극선관의 내부로 전자빔을 발사하여 음극선관 전면의 형광면에 충돌시킨다. 이때 전자빔과 형광면에 도포된 형광물질이 충돌할 때 발생하는 빛이 화소(畵素)가 된다. 이하, 음극선관을 CRT(Cathode Ray Tube)로 약칭한다.A monitor is a device that reproduces an image using a cathode ray tube as a peripheral device of a computer. The monitor analyzes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computer's video card and, as a result, emits an electron beam inside the cathode ray tube and impinges the fluorescent surface of the cathode ray tube front. At this time, the light generated when the electron beam collides with the fluorescent material applied to the fluorescent surface becomes a pixel. Hereinafter, the cathode ray tube is abbreviated as CRT (Cathode Ray Tube).

도 1은 모니터의 일반적인 회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general circuit configuration of a monitor.

컴퓨터(10)의 비디오 카드(12)에서 출력되어 모니터(20)로 입력되는 R,G,B의 영상신호와 수평/수직 동기신호 등은 일단 모니터(20)에 구비된 신호 수신단(미도시)에 수신되고, 신호 수신단에 수신된 신호들 중 수평/수직 동기신호는 동기 입력부(sync input block)(21)를 거쳐 마이콤(22)에 인가된다. 동기 입력부(21)는 슈미트 트리거(schmidt trigger) 회로 등으로 구현되는 파형 정형회로로서, 비정형의 동기신호를 깨끗한 구형파로 만들어 출력한다.R, G, B video signals and horizontal /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s, etc., which are output from the video card 12 of the computer 10 and input to the monitor 20, are first received at a signal receiving end (not shown) provided in the monitor 20. The horizontal /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among the signals received at the signal receiving end is applied to the microcomputer 22 via a sync input block 21. The synchronization input unit 21 is a waveform shaping circuit implemented by a Schmidt trigger circuit or the like, and outputs an irregular sync signal by forming a clean square wave.

동기 입력부(21)는, 기종에 따라 마이콤(22)에 내장되는 형태로 제작되기도 한다. 도 1은 동기 입력부(21)의 B+전원으로 (+)5V가 채용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The synchronization input unit 21 may be manufactured in a form built in the microcomputer 22 depending on the model. FIG. 1 shows an example in which (+) 5V is employed as the B + power supply of the synchronization input unit 21. As shown in FIG.

마이콤(22)에 입력된 동기신호는 마이콤(22)을 거쳐 수평/수직 발진회로(23)에 인가된다. 수평/수직 발진회로(23)는 동기 프로세서(sync processor)로 지칭되기도 하는데, 동기신호의 주파수를 정확히 카운트(count)하여 내부 버퍼에 저장하고, 합성 동기신호(composite sync)로부터 수평/수직 동기신호를 분리해 내며, 동기신호의 미입력시에는 일정한 주파수로 자체 발진하여 동기신호를 생성해 내는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The synchronization signal input to the microcomputer 22 is applied to the horizontal / vertical oscillation circuit 23 via the microcomputer 22. The horizontal / vertical oscillation circuit 23 may be referred to as a sync processor. The horizontal / vertical oscillation circuit 23 accurately counts the frequency of the sync signal and stores the frequency in the internal buffer, and the horizontal / vertical sync signal from the composite sync signal. When the synchronous signal is not input, it performs various functions such as generating a synchronous signal by oscillating itself at a constant frequency.

수평/수직 발진회로(23)에서 출력되는 동기신호는 이후에 진행되는 모든 제어작업의 기초가 되며, 전자빔을 수평/수직 방향으로 편향시키는 편향요크(DY)에 톱니파형의 전류를 인가하는 수평/수직 편향부(24,25) 및 편향된 전자빔을 전방으로 가속하여 형광면에 주사시키는 애노드(A)에 고압을 인가하는 고압 발생부(26)에 각각 인가된다.The synchronization signal output from the horizontal / vertical oscillation circuit 23 serves as the basis for all subsequent control operations, and the horizontal / vertical current for applying a sawtooth wave current to the deflection yoke DY for deflecting the electron beam in the horizontal / vertical direction. It is applied to the vertical deflection portions 24 and 25 and the high pressure generating portion 26 which applies high pressure to the anode A which accelerates forward and scans the deflected electron beam to the fluorescent surface.

미설명 부호 11과 27은 컴퓨터(10)의 중앙 처리부와 모니터(20)의 CRT이며, 미설명 부호 28은 모니터(20)의 영상신호 처리부로서, 비디오 카드(12)에서 인가되는 R,G,B의 영상신호를 가공 및 증폭하여 CRT(27)에 인가하는 역할을 한다.Reference numerals 11 and 27 are CRTs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of the computer 10 and the monitor 20, and reference numeral 28 is an image signal processing unit of the monitor 20, and R, G, applied from the video card 12; The video signal of B is processed and amplified and applied to the CRT 27.

모니터(20)의 동기 입력부(21)에 인가되는 동기신호의 진폭(amplitude)은 컴퓨터(10)에 채용된 비디오 카드(12)의 종류에 따라 다르며, 동기신호의 파형 또한 비정형인 경우가 많다.The amplitude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applied to the synchronization input section 21 of the monitor 20 depends on the type of the video card 12 employed in the computer 10, and the waveform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is also often irregular.

동기 입력부(21)로서 슈미트 트리거 회로가 채용되는 경우, 슈미트 트리거 회로를 통해 구형파로 정형 가능한 동기신호의 진폭은 일정한 범위 내로 제한된다.When the Schmitt trigger circuit is employed as the sync input section 21, the amplitude of the sync signal that can be shaped into a square wave through the Schmitt trigger circuit is limited within a certain range.

즉, 슈미트 트리거 회로의 히스테리시스(hysteresis) 특성과 연관지어 추정해 볼 때, 슈미트 트리거 회로가 논리적 하이(logic high)로서 인식 가능한 신호 레벨이 2V 이상이고, 논리적 로우(logic low)로서 인식 가능한 신호 레벨이 0.8V 이하인 경우, 0.8V 이상에서 2V 이하의 신호 레벨은 슈미트 트리거 회로의 구형파 생성 작업으로부터 소외된다.In other words, when estimated in relation to the hysteresis characteristic of the Schmitt trigger circuit, the signal level that the Schmitt trigger circuit can recognize as logic high is 2 V or more and the logic level can be recognized as logic low. Is 0.8V or less, the signal level of 0.8V or more and 2V or less is alienated from the square wave generation operation of the Schmitt trigger circuit.

뿐만 아니라, 슈미트 트리거 회로의 트리거 지점에서 잡음이 개입되는 경우에는 구형파 발생 작업에 차질이 생겨 화면에 잡음이 나타난다. 이와 같이 트리거 지점에서 개입되는 잡음은 동기 입력부(21)에 저항과 콘덴서를 연결함으로써 충분히 소거 가능하다.In addition, when noise is introduced at the trigger point of the Schmitt trigger circuit, the square wave generation operation may be disrupted, resulting in noise on the screen. As such, the noise intervening at the trigger point can be sufficiently canceled by connecting a resistor and a capacitor to the synchronization input unit 21.

그러나,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논리적 로우(low)와 논리적 하이(high) 중 어느 범주에도 속하지 않는 중간 레벨의 동기신호가 동기 입력부(12)에 인가될 때 발생하는 화면 불량에 대한 해결책은 아직도 미비한 실정이어서 이에 대한 해결책 마련이 시급하다.However, as mentioned above, the solution to the screen defect that occurs when the middle level synchronization signal, which does not belong to any of the logical low and logical high, is applied to the synchronization input unit 12, is still insufficient. Then it is urgent to come up with a solution.

본 발명의 목적은 부적절한 동기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도 해당 동기신호를 구형파로 정형하여 마이콤에 인가할 수 있도록 한 모니터의 동기 입력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nchronization input circuit of a monitor in which even when an inappropriate synchronization signal is input, the synchronization signal can be applied to a microcomputer by shaping the synchronization signal into a square wave.

이러한 목적을 위한 본 발명의 모니터의 동기 입력회로는; 컴퓨터의 비디오 카드에서 송출된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단과 마이콤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신호 수신단에 수신된 신호 중 동기신호의 파형을 정형화(定型化)하여 상기 마이콤에 전달하는 파형 정형회로 및 상기 파형 정형회로에 연결되어 상기 동기신호 정형화 작업의 작업 조건을 조정하도록 된 조정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Synchronous input circuit of the monito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is purpose; A waveform shaping circuit and a waveform connected between a signal receiving end receiv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a video card of a computer and a micom, and shaping a waveform of a synchronization signal among the signals received at the signal receiving end and transmitting the waveform to the micom; And an adjusting circuit connected to the shaping circuit to adjust working conditions of the synchronizing signal shaping operation.

도 1은 모니터의 일반적인 회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general circuit configuration of a monitor;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동기 입력회로가 적용된 모니터의 회로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ircuit configuration of a monitor to which a synchronous input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3은 도 2에 도시된 B+전압 조절회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회로도이다.3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B + voltage regulating circuit shown in FIG. 2.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의 동기 입력회로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synchronous input circuit of a moni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동기 입력회로가 적용된 모니터의 회로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ircuit configuration of a monitor to which a synchronous input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본 발명에 따른 동기 입력회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기 입력부(21)에 B+전압 조절회로(29)를 추가로 연결하여 구성된다. B+전압 조절회로(29)는 동기 입력부(12)에 인가되는 B+전압의 크기를 조절한다.As shown in FIG. 2, the synchronous input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by further connecting the B + voltage adjusting circuit 29 to the synchronous input unit 21. The B + voltage adjusting circuit 29 adjusts the magnitude of the B + voltage applied to the synchronous input unit 12.

본 발명의 동기 입력회로가 적용된 모니터에 있어서, 상기 동기 입력부(21)와 B+전압 조절회로(29)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은 종래 모니터의 일반적인 구성과 크게 다르지 않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In the monitor to which the synchronous input circu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remaining components except for the synchronous input unit 21 and the B + voltage adjusting circuit 29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f the conventional monitor, and thus redundant descriptions are omitted.

도 2는 B+전압 조절회로(29)의 일 예로서, (+)5V의 B+전원과 동기 입력부(21)의 B+전압 입력단(미도시) 사이에 가변저항(VR1)을 연결하여 구성된 회로를 도시하고 있다.FIG. 2 is an example of the B + voltage regulating circuit 29. The variable resistor VR1 is connected between a B + power supply of (+) 5V and a B + voltage input terminal (not shown) of the synchronous input unit 21. The circuit is shown.

이와 같은 B+전압 조절회로(29)의 경우, 사용자의 키(key)입력, 즉 모니터에 별도 장치된 조정키의 조작을 통해 상기 가변저항(VR1)의 저항치가 변경되도록 함으로써 동기 입력부(21)에 인가되는 B+전압을 조절하도록 한다.In the case of such a B + voltage control circuit 29, the synchronization input unit 21 by changing the resistance value of the variable resistor (VR1)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user's key (key), that is, the adjustment key installed in the monitor separately. Adjust the B + voltage applied to.

동기 입력부(21)를 구현하는 수단으로서 슈미트 트리거 회로가 채용되는 경우에는, 구형파 생성 과정의 트리거 지점(trigger point) 변경이 슈미트 트리거 회로에 인가되는 B+전압의 조정을 통해 간단히 이루어진다.When the Schmitt trigger circuit is employed as a means for implementing the synchronous input section 21, the trigger point change of the square wave generation process is made simply by adjusting the B + voltage applied to the Schmitt trigger circuit.

이는 슈미트 트리거 회로가 갖는 회로적인 특성에서 그 원리를 찾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슈미트 트리거 회로의 B+전압이 5V에서 4V로 강하하는 경우 트리거 지점(로직 하이 트리거)이 2.2V에서 1.6V로 변경되는 것과 같은 작동 기재를 이용하는 것이다.This principle can be found in the circuit characteristics of the Schmitt trigger circuit. For example, if the B + voltage of the Schmitt trigger circuit drops from 5V to 4V, then we use an operating substrate such that the trigger point (logic high trigger) changes from 2.2V to 1.6V.

상술하면, 슈미트 트리거 회로의 B+전압이 5V인 경우 로직 하이 트리거 지점이 2.2V로 설정된다. 이와 같은 슈미트 트리거 회로가 채용된 동기 입력부(21)에 상기 2.2V 보다 낮은 로직 하이(예를 들어, 1.9V)를 수반한 동기신호가 입력되면, 이 동기신호는 구형파로 전환되기 어렵다.Specifically, the logic high trigger point is set to 2.2V when the B + voltage of the Schmitt trigger circuit is 5V. When a synchronization signal with a logic high (e.g., 1.9V) lower than 2.2V is input to the synchronization input unit 21 employing such a Schmitt trigger circuit, the synchronization signal is hardly converted into a square wave.

그러나, B+전압 조절회로(29)를 통해 슈미트 트리거 회로에 인가되는 B+전압을 4V로 변경하면 슈미트 트리거 회로의 로직 하이 트리거 지점이 1.6V로 변경되고, 상기 1.9V의 로직 하이를 수반하는 동기신호는 변경된 로직 하이 트리거 지점에 의거하여 여유있게 구형파로 전환된다.However, changing the B + voltage applied to the Schmitt trigger circuit through the B + voltage regulating circuit 29 to 4V changes the logic high trigger point of the Schmitt trigger circuit to 1.6V, which is accompanied by a logic high of 1.9V. The sync signal is slowly converted into a square wave based on the changed logic high trigger point.

도 2에 도시된 B+전압 조절회로(29)는 도 3에 도시된 다른 B+전압 조절회로로써 대치 가능하다.The B + voltage regulating circuit 29 shown in FIG. 2 is replaceable with the other B + voltage regulating circuit shown in FIG. 3.

도 3에 도시된 B+전압 조절회로(29)는, (+)5V의 B+전원과 동기 입력부(21)의 B+전압 입력단(미도시) 사이에 다수의 저항(R1,R2,…,Rn+1)을 병렬로 연결하고, 마이콤(22)의 제어에 의해 온/오프 동작하는 스위칭 트랜지스터(Q1,Q2,…,Qn)를 각각의 저항(R1,R2,…,Rn+1)과 동기 입력부(21) 사이에 연결하여 구성된다.The B + voltage adjusting circuit 29 shown in FIG. 3 includes a plurality of resistors R1, R2, ..., between the B + power supply of (+) 5V and the B + voltage input terminal (not shown) of the synchronous input unit 21. Rn + 1 is connected in parallel, and switching transistors Q1, Q2, ..., Qn that are turned on and off under the control of the microcomputer 22 are connected to the respective resistors R1, R2, ..., Rn + 1. It is comprised between the synchronization input parts 21, and is comprised.

마이콤(22)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 즉 논리적(logic) '1'과 논리적 '0'으로 구성되는 제어신호가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Q1,Q2,…,Qn)의 베이스단(S1,S2,…,Sn)에 인가됨에 따라, 턴 온 내지 턴 오프되는 트랜지스터(Q1,Q2,…,Qn)의 조합이 결정된다.A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microcomputer 22, that is, a control signal composed of logical '1' and logical '0', is applied to the base stages S1, S2,... Of the switching transistors Q1, Q2,. As applied to, Sn, a combination of transistors Q1, Q2, ..., Qn that are turned on or off is determined.

제 1 저항(R1)을 제외한 나머지 저항들(R2,R3,…,Rn+1)은 스위칭 트랜지스터(Q1,Q2,…,Qn)가 턴 온되는 경우에만 상기 제 1 저항(R1)에 병렬 접속되고, 반대로 스위칭 트랜지스터(Q1,Q2,…,Qn)가 턴 오프되는 경우에는 B+전원과 동기 입력부(21) 사이에 연결된 저항으로서의 기능을 상실한다.The remaining resistors R2, R3, ..., Rn + 1 except the first resistor R1 are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first resistor R1 only when the switching transistors Q1, Q2, ..., Qn are turned on. On the contrary, when the switching transistors Q1, Q2, ..., Qn are turned off, the function as a resistor connected between the B + power supply and the synchronous input unit 21 is lost.

마이콤(22)의 제어신호에 의해 턴 온 내지 턴 오프되는 트랜지스터(Q1,Q2,…,Qn)의 조합이 결정되면, 제 1 저항(R1)에 병렬로 연결되는 저항들이 결정되고, 따라서 B+전원과 동기 입력부(21) 사이의 총 저항치가 결정된다.When the combination of the transistors Q1, Q2, ..., Qn turned on or off by the control signal of the microcomputer 22 is determined, the resistors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first resistor R1 are determined, and thus B + The total resistance value between the power supply and the synchronization input section 21 is determined.

이와 같이 결정된 저항치에 따라 동기 입력부(21)인 슈미트 트리거 회로의 B+전압 입력단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가 가변되고, 슈미트 트리거 회로의 트리거 지점(로직 하이 트리거 또는 로직 로우 트리거)이 새로 설정된다.The magnitude of the voltage applied to the B + voltage input terminal of the Schmitt trigger circuit, which is the synchronization input unit 21, varies according to the resistance value determined as described above, and a trigger point (logic high trigger or logic low trigger) of the Schmitt trigger circuit is newly set.

도 2의 B+전압 조절회로(29)의 경우 모니터(20)에 별도 장치된 키를 이용하여 가변저항(VR1)의 저항치를 변경하도록 한 것과 대응하여, 도 3의 B+전압 조절회로(29)는 OSD(On Screen Display) 화면상에서 동기 입력부(21)의 기본 설정값, 즉 슈미트 트리거 회로의 트리거 지점을 직접 선택하는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Figure 2 of the B + voltage regulation when the circuit 29 monitor 20 in separate devices by using the key corresponding to that to change the resistance value of the variable resistor (VR1), B + voltage in FIG. 3 the adjusting circuit (29 ) May employ a method of directly selecting the basic setting value of the synchronization input unit 21, that is, the trigger point of the Schmitt trigger circuit on the On Screen Display (OSD) screen.

즉, 사용자가 OSD 화면상에서 동기 입력부(21)의 기본 설정값을 재조정하면 마이콤(22)이 B+전압 조절회로(29)에 상기 변경된 설정값에 따른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B+전원과 B+전압 입력단 사이의 저항치를 변경하도록 한다.That is, when the user readjusts the basic setting value of the synchronization input unit 21 on the OSD screen, the microcomputer 22 outputs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changed setting value to the B + voltage control circuit 29 to output the B + power and the B +. Change the resistance between the voltage inputs.

따라서, 화면의 불량이 부적절한 동기신호의 입력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가 OSD 화면상에서 동기 입력부(21)의 기본 설정값을 변경함으로써 화면의 불량을 소거할 수 있다.Therefor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creen defect is due to an inappropriate input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the user can eliminate the screen defect by changing the default setting value of the synchronization input unit 21 on the OSD screen.

본 발명의 모니터의 동기 입력회로에 의하여, 모니터에 별도 구비된 조정키 또는 OSD 화면을 통한 환경 재설정을 통해, 비디오 카드에서 모니터로 인가되는 부적절한 동기신호로 인한 화면의 불량이 간단히 해소될 수 있다.By the synchronization input circuit of the moni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adjustment key or the OSD screen separately provided in the monitor, the screen failure due to an inappropriate synchronization signal applied from the video card to the monitor can be easily solved.

Claims (5)

컴퓨터의 비디오 카드에서 송출된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단과 마이콤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신호 수신단에 수신된 신호 중 동기신호의 파형을 정형화(定型化)하여 상기 마이콤에 전달하는 파형 정형회로; 및A waveform shaping circuit connected between a signal receiving end receiv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a video card of a computer and a micom, and shaping a waveform of a synchronization signal among the signals received at the signal receiving end and delivering the waveform to the micom; And 상기 파형 정형회로에 연결되어 상기 동기신호 정형화 작업의 작업 조건을 조정하도록 된 조정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모니터의 동기 입력회로.And an adjusting circuit connected to the waveform shaping circuit, the adjusting circuit adapted to adjust working conditions of the synchronizing signal shaping operatio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파형 정형회로는 슈미트 트리거 회로로써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동기 입력회로.And the waveform shaping circuit is implemented as a Schmitt trigger circuit.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조정회로는, 상기 슈미트 트리거 회로의 B+전원에 연결되어 상기 슈미트 트리거 회로에 입력되는 B+전압치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슈미트 트리거 회로의 트리거 지점을 변경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동기 입력회로.And the adjustment circuit is configured to change the trigger point of the Schmitt trigger circuit by adjusting a B + voltage value connected to B + power of the Schmitt trigger circuit and input to the Schmitt trigger circuit.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조정회로는, 상기 슈미트 트리거 회로의 B+전원과 상기 슈미트 트리거 회로의 B+전압 입력단 사이에 사용자의 키(key) 조작에 의해 저항치가 가변되는 가변저항을 연결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동기 입력회로.The adjusting circuit is configured by connecting a variable resistor whose resistance is changed by a user's key operation between B + power supply of the Schmitt trigger circuit and B + voltage input terminal of the Schmitt trigger circuit. Synchronous input circuit.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조정회로는,The adjustment circuit, 상기 슈미트 트리거 회로의 B+전원과 상기 슈미트 트리거 회로의 B+전압 입력단 사이에 다수의 저항을 병렬로 연결하고, 상기 마이콤의 제어에 따라 온/오프 동작하는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상기 병렬 연결된 각각의 저항과 상기 B+전압 입력단 사이에 연결하여, 상기 B+전원과 상기 B+전압 입력단 사이의 총 저항치가 상기 마이콤의 제어에 따라 결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동기 입력회로.A plurality of resistors are connected in parallel between the B + power supply of the Schmitt trigger circuit and the B + voltage input terminal of the Schmitt trigger circuit, and each of the parallel connected switching transistors is turned on or off under the control of the microcomputer. the B + voltage and connected between the input end, the B + supply and the B + input voltage between the input synchronization circuit of the monitor, characterized in that is configured to be the total resistance value is determined by the control of the microcomputer.
KR1019980045011A 1998-10-27 1998-10-27 Input circuit for synchronizing signal in monitor KR2000002714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5011A KR20000027144A (en) 1998-10-27 1998-10-27 Input circuit for synchronizing signal in moni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5011A KR20000027144A (en) 1998-10-27 1998-10-27 Input circuit for synchronizing signal in moni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7144A true KR20000027144A (en) 2000-05-15

Family

ID=19555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5011A KR20000027144A (en) 1998-10-27 1998-10-27 Input circuit for synchronizing signal in moni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27144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59200B2 (en) 2000-12-27 2005-02-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59200B2 (en) 2000-12-27 2005-02-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60910A (en) Parabolic waveform generator
US2458891A (en) Cathode-ray tube focusing circuit
KR20000027144A (en) Input circuit for synchronizing signal in monitor
JPH0577075B2 (en)
JPH1175082A (en) Video display device
US6541927B2 (en) Color cathode ray tube and adjusting method
US4414574A (en) Video amplifier with blank stretching
US5463289A (en) First grid muting circuit
JPH086539A (en) Constant current voltage restoration
KR960006107Y1 (en) Muting circuit
KR0178183B1 (en) Operation control method for clamp signal generation
US6479952B2 (en) CRT display apparatus
KR100849560B1 (en) Bright control circuit
KR100201313B1 (en) Clamp signals generating circuit of monitor
KR19980064214U (en) Monitor first grid voltage adjustment circuit
KR100437811B1 (en) Apparatus for supplying power of monitor
KR200158597Y1 (en) Video mute circuit
KR960015834B1 (en) Corresting circuit of multi screen television
JPS6056347B2 (en) Vertical deflection circuit device
GB2327025A (en) Scan-frequency-dependent drive signal amplitude in a horizontal deflection circuit for a multi-mode monitor
KR20000013385A (en) Brightness correction circuit of display apparatus
JPS6056348B2 (en) Vertical deflection circuit device
JPH0644269U (en) CRT display device
KR20020009175A (en) A horizontal oscillation circuit of a display device
KR20000007557U (en) Monitor high voltage circuit with frequency divider circ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