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6466A - 세탁기의 감속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세탁기의 감속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6466A
KR20000026466A KR1019980043996A KR19980043996A KR20000026466A KR 20000026466 A KR20000026466 A KR 20000026466A KR 1019980043996 A KR1019980043996 A KR 1019980043996A KR 19980043996 A KR19980043996 A KR 19980043996A KR 20000026466 A KR20000026466 A KR 200000264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drum housing
disk
washing machine
reducer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3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97305B1 (ko
Inventor
장용식
Original Assignee
장용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용식 filed Critical 장용식
Priority to KR1019980043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7305B1/ko
Publication of KR20000026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64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7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73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40Driving arrangements  for driving the receptacle and an agitator or impeller, e.g. alternative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4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65/12Discs; Drums for disc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14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3/00Arrangements for stopping or slowing electric motors,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 H02P3/02Details of stopping control
    • H02P3/04Means for stopping or slowing by a separate brake, e.g. friction brake or eddy-current brak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6Drum speed; Actuation of motors, e.g. starting or interrupting
    • D06F2105/48Drum spe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기의 회전동력을 세탁행정과 탈수행정으로 구분하여 전달토록 하는 감속기 어셈블리의 구조를 간단히 함으로써 제조성 및 생산성의 향상은 물론 작동의 단순화로 작동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으로, 이는 풀리회전축(14)에 일체형으로 구비되고 외주연상에 래칫(31)를 가지는 회전원판(30)과, 드럼하우징(11)상에 스프링(34)로 탄력설치되면서 회전축(32)을 지지점으로 회동작동되어 회전원판(30)의 래칫(31)에 결합 및 분리되는 스톱퍼(33)와, 상기 스톱퍼(33)와 근접되는 드럼하우징(11)상에 구비되고 하부 밀판(45)과 한 쌍의 상,하스프링(41)(42)에 의해 승강작동되면서 스톱퍼(33)의 회전반경을 제한하여 회전원판(30)으로부터 결합 및 분리시키도록 하는 작동핀(40)을 갖추어 세탁행정과 탈수행정에 따라 동력전달을 변환토록 하고,
또한,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드럼하우징(11)의 하부에 일체형으로 구비되고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디스크(35)와, 상기 드럼하우징(11)의 하부에 스프링(52)에 의해 탄력설치되면서 케이스(101)에 안내되어 승강작동되고 상부면에는 디스크(35)에 제동력을 제공토록 하는 라이닝(51)을 갖는 작동원판(50)과, 상기 케이스(101) 하부의 고정판(55)에 의해 지지되면서 작동원판(50)과 다수의 연결봉(53)으로 연결되고 동기모우터(58)와 연결된 와이어(59)에 의해 회전작동되어 작동원판(50)을 승강작동시키도록 하는 회전판(54)과, 상기 회전판(54)에 일측이 고정됨과 동시에 타측은 고정판(55)상에 원주방향을 따라 테이퍼지게 구비된 슬라이드홈(57)에 체결되어 회전판(54)의 회전작동에 의해 고정판(55)으로부터 밀착 및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볼베어링(56)을 갖추어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세탁기의 감속기 어셈블리
본 발명은 세탁기의 감속기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세탁기의 회전동력을 세탁행정과 탈수행정으로 구분하여 전달토록 하는 감속기 어셈블리의 구조를 간단히 함으로써 제조성 및 생산성의 향상은 물론 작동의 단순화로 작동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함체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세탁기 본체(1)의 내부에 수조(2)가 고정설치되고, 이의 내부에는 외주연상에 다수개의 탈수공(3)을 가지는 탈수조(4)가 구비됨과 동시에 상기 탈수조(4)내의 하부에는 탈수조(4)내의 세탁수와 세탁물을 교반시키도록 하는 펄세이터(5)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수조(2)의 저면에는 구동모우터(6)의 동력을 전달받아 탈수조(4)와 펄세이터(5)를 구분하여 구동시키도록 하는 감속기 어셈블리(10)가 갖추어 구비된다.
상기 감속기 어셈블리(10)는 세탁기의 구동모우터(6)의 회전동력을 감속은 물론 세탁 및 탈수행정에 따라 이를 구분하여 전달토록 하는 주요한 부품으로서, 즉, 세탁기(1)의 세탁행정시에는 구동모우터(6)의 회전동력을 펄세이터(5)측으로만 전달하여 펄세이터(5)를 회전구동시킴으로써 탈수조(4)내의 세탁수와 세탁물을 교반시켜 세탁행정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었고, 또한, 탈수행정시에는 구동모우터(6)의 회전동력을 펄세이터(5) 및 탈수조(4)로 동시에 전달하여 이들을 고속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세탁물의 탈수행정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감속기 어셈블리(10)의 종래 구성을 좀더 상세히 살펴보면, 이는 첨부된 도면의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드럼하우징(11)의 내부에는 다수의 기어로 이루어지는 기어군(12)이 구비됨과 동시에 이의 기어군(12)의 중심 기어에는 펄세이터(5)와 연결되는 회전축(13)이 수직으로 구비되고, 상기 드럼하우징(11)의 상부에는 상기 회전축(13)을 감싸는 식으로 탈수조(4)와 연결되는 탈수조회전축(14)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회전축(13)의 하부에는 회전동력을 세탁행정과 탈수행정으로 구분하여 전달토록 하는 클러치가 구비되고, 이의 클러치는 회전축(13)의 하부에 구비되는 커플링(15)과, 상기 커플링(15)의 외연에 체결되는 클러치스프링(16)과, 상기 클러치스프링(16)과 연결되어 이를 작동시키도록 하는 클러치보스(17)로 구성되고, 상기 클러치보스(17)는 클러치 레버(18)에 의해 브레이크 레버(19)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브레이크 레버(19)는 제어부의 신호에 의해 작동되면서도 드럼하우징(11)의 외주연상에 구비되는 브레이크 밴드(20)를 작동시켜 드럼하우징(11)을 제동 및 해제시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세탁행정시에는 구동모우터(6)의 회전동력이 풀리(21)를 통하여 회전축(13)으로만 전달되어 짐으로써 이의 회전축(13)에 구비되는 펄세이터를 회전구동시켜 세탁행정이 수행된다.
이와는 반대로 탈수행정시에는 제어부의 신호에 의해 브레이크 레버(19)를 당기게 됨으로써 드럼하우징(11)의 제동이 해제됨과 동시에 클러치 레버(18)를 통하여서도 클러치보스(17)의 제동력이 해제되어져 풀리(21)를 통한 회전동력은 회전축(13) 뿐만 아니라 커플링(15) 및 클러치스프링(16)을 통하여 드럼하우징(11)으로 전달됨으로써 탈수조(4)도 동시에 고속으로 회전하게 되어 탈수를 행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감속기 어셈블리(10)의 구조에 있어서는 커플링(15), 클러치스프링(16), 클러치보스(17), 클러치레버(18) 등의 여러 가지 부품들을 조합하여 이들의 상호 작용으로 인하여 동력을 세탁행정과 탈수행정으로 변환하는 구조를 갖추고 있는 것임으로써 이의 구조가 복잡하여 관련부품들의 제조공정 및 부품관리가 어렵고 사용환경의 제약을 많이 받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야기되었던 것이다.
특히, 세탁시 세탁물과 탈수조의 마찰에 의해 탈수축의 회전으로 세탁조건에서도 탈수가 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가의 클러치베어링(22)이 필연적으로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또한, 이러한 일반적인 세탁기의 감속기 구조에 있어서는 드럼하우징(11)을 브레이크 밴드(20)로서 제동하는 구조를 갖추고 있기 때문에 상기 드럼하우징(11)을 금속재질로 제조하는 것이 필연적이었던 것이었고, 따라서 드럼하우징(11)을 제조하는데 따른 제조성은 물론 제조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세탁기의 감속기 어셈블리의 구조를 간단히 하여 세탁 및 탈수에 따른 동력변환의 작동을 단순화함은 물론 관련부품의 수를 줄여 제조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세탁기의 감속기 어셈블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드럼하우징의 제동수단을 개선함으로써 금속이 아닌 합성수지 재질로 사출성형할 수가 있음에 따라 이의 제조성은 물론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세탁기의 감속기 어셈블리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구동모우터의 회전동력을 세탁행정시와 탈수행정시로 전환하도록 하는 동력전달수단과 드럼하우징을 제동하도록 하는 제동수단을 개선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펄세이터와 연결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면서도 탈수행정시 회전축의 동력을 탈수조로 전달하도록 하는 드럼하우징을 세탁 및 탈수행정에 따라 드럼하우징 내부에서 간단한 구성의 래칫방식으로 동력의 전달 및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그 구성을 간단히 할 수가 있어 제조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게 됨과 동시에 작동을 단순화하여 작동효율을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동수단은 드럼하우징의 하부에 별도의 디스크를 일체로 장착하여 이를 제동토록 구성함으로써, 드럼하우징을 합성수지 재질의 사출물로 제조할 수가 있게되어 이를 제조하는데 따른 제조성은 물론 제조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소음을 대폭 줄일 수가 있게 되는 것이 특징인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세탁기의 구조를 보인 개략도
도 2는 종래 세탁기의 감속기 구조를 보인 단면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세탁기의 감속기 구조에서 세탁행정시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 도3의 저면구성도
도 5는 본 발명 도3에서 요부를 확대하여 보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 도3에서의 동력전달부를 보인 평면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세탁기의 감속기 구조에서 탈수행정시의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 도7의 저면구성도
도 9는 본 발명 도7의 요부를 확대하여 보인 구성도
도10은 본 발명 도7의 동력전달부를 보인 평면구성도
도11은 (a)(b)는 본 발명의 세탁 및 탈수행정시의 스톱퍼의 작동상태를 보인 구성도
도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감속기의 단면구성도
도13은 본 발명 도12의 저면구성도
도14는 본 발명 도12에서 요부를 확대하여 보인 구성도
도15는 본 발명 도12의 탈수행정시를 보인 단면구성도
도16은 본 발명 도15의 저면구성도
도17은 본 발명 도15의 요부를 확대하여 보인 구성도
도18은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구성도
도19는 본 발명 도18의 저면구성도
도20은 본 발명 도18의 요부를 확대하여 보인 구성도
도21은 본 발명 도18의 탈수행정시를 보인 단면구성도
도22는 본 발명 도21의 저면구성도
도23은 본 발명 도21의 요부를 확대하여 보인 구성도
도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구성도
도25는 본 발명 도24의 요부를 확대하여 보인 구성도
도26은 본 발명 도24 및 도25의 요부만을 보인 평면구성도
도27은 본 발명 도24의 탈수행정시의 작동구성도
도28은 본 발명 도27의 요부를 확대하여 보인 단면구성도
도29는 본 발명 도27 및 도28의 요부만을 보인 평면구성도
도30의 (a)(b)는 본 발명 도24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구성도
도31의 (a)(b)는 본 발명 제동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구성도
도32의 (a)(b)는 본 발명 제동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구성도
도33은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감속기의 단면구성도
도34의 (a)(b)는 본 발명 도33의 요부를 보인 구성도
도35는 본 발명 도33의 회전원판의 구성을 보인 평면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세탁기 2:수조 3:탈수공
4:탈수조 5:펄세이터 6:구동모우터
10:감속 어셈블리 11:드럼하우징 12:기어군
13,32:회전축 14:풀리회전축 30:회전원판
31:래치기어 33:스톱퍼 35:디스크
40:작동핀 34,41,42,52,61:스프링 43:밀판
50:작동원판 51,63,89:라이닝 53:연결봉
54,93:회전판 55,92:고정판 56:볼베어링
57:슬라이드홈 58:동기모우터 59:와이어
60,88,97,98:작동판 62:밴드 64:레버
65:스크류축 66;스크류부재 91:연결봉
94:볼베어링 95:디스크 96:작동봉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의 도3 내지 도11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의 도면중 부호 100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세탁기의 감속기 어셈블리를 표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감속기(100)는 케이스(101)의 내부에 드럼하우징(11)이 구비되고 드럼하우징(11)의 내부에는 다수의 기어들로 이루어지는 기어군(12)이 구비됨과 동시에 기어군(12)의 중심 기어에는 펄세이터(5)와 연결되는 회전축(13)이 수직으로 구비되며, 또한 그 하부에는 풀리(21)가 구비되는 풀리회전축(14)이 구비된다.
또한, 드럼하우징(11)의 상부에는 회전축(13)을 감싸는 식으로 스핀회전축(23)이 구비되어 탈수조(4)와 연결되고, 상기 드럼하우징(11)의 하부는 풀리회전축(14)을 감싸는 식으로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감속기(100)는 크게 구분하여 구동모우터(6)의 회전동력을 세탁시와 탈수시에 따라 풀리회전축(14), 기어군(12), 회전축(13)을 통하여 펄세이터(5)로 전달하거나 또는 풀리회전축(14), 드럼하우징(11), 스핀회전축(23)을 거쳐 탈수조(4)측으로 전달토록 하는 동력전달수단과, 상기 세탁기의 세탁시에나 또는 탈수가 완료되어 드럼하우징(11)의 회전을 정지시키고자 할 경우 드럼하우징(11)의 외연을 제동토록 하는 제동수단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감속기(100)의 구성에 있어, 먼저 본 발명의 동력전달수단을 살펴보면, 이는 드럼하우징(11)의 내부 위치인 풀리회전축(14)상에 회전원판(30)이 일체로 구비됨과 동시에 상기 회전원판(30)의 외주연상에는 다수의 래칫(31)이 등간격으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회전원판(30)의 외주연부와 근접되는 드럼하우징(11)내에는 도6 및 도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전축(32)에 의해 체결되어 회전원판(30)의 회전동력을 드럼하우징(11)측으로 전달 및 차단토록 하는 스톱퍼(33)가 구비됨과 동시에 상기 회전축(32)의 하단부인 드럼하우징(11)의 외부에는 후술할 제동수단에 의해 작동되는 디스크(35)가 체결고정된다.
상기 스톱퍼(33)는 코일스프링(34)의 탄성력에 의해 항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력을 작용하게 됨으로써 회전원판(30)의 회전력을 제한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스톱퍼(33)는 드럼하우징(11)내의 바닥면상에 체결되어 승강작동되는 별도의 작동핀(40)에 의해 회동작동되어 회전원판(30)의 래칫(31)에 삽입 및 이탈됨으로써 동력을 전달 및 분리하게 된다.
상기 작동핀(40)의 구성은 첨부된 도면의 도11에서 더욱 상세히 나타내고 있고, 이는 드럼하우징(11)의 하부면에 관통되게 체결되어 상,하스프링(41)(42)에 의해 탄력설치되고, 그 하부에는 외부로 노출되는 밀판(43)이 결합되어 후술할 제동수단의 작동판에 의해 작동된다.
이때, 상기 작동핀(40)는 별도의 커버체에 의해 드럼하우징(11)의 저면에 결합되면서 밀판(43)과의 사이에 상호 동일한 탄성력을 가지는 상,하스프링(41)(42)이 갖추어 구비됨으로써 정확한 승강작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동력전달수단은 세탁시나 또는 탈수행정이 수행되고 난후 드럼하우징(11)의 회전을 제동토록 하는 제동수단에 의해 작동되는 것으로, 즉 상기 제동수단은 케이스(101)의 내부에 구비되면서 드럼하우징(11)과 일체로 연결되는 디스크(35)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디스크(35) 및 작동핀(40)을 작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동수단은 디스크(35)의 직하부에 케이스(10)에 의해 승강안내되는 작동원판(50)을 갖추어 구성되고, 상기 작동원판(50)의 상부면에는 디스크(35)에 밀착 또는 이탈되어 제동력을 제공토록 하는 라이닝(51)이 구비되면서도 그 하부에는 코일스프링(52)이 체결되어 작동원판(50)을 항상 상향으로 작용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작동원판(50)에는 작동원판(50)을 승강작동시키도록 하는 연결봉(53)이 다수개 구비되고, 이의 연결봉(53)의 끝단은 케이스(101)의 외부로 노출되어 회전판(54)에 의해 승강작동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회전판(54)은 케이스(101) 하부에 고정된 고정판(55)과 접면되어 회전작동에 의해 고정판(55)으로부터 일정한 간격만큼 이격되어 연결봉(53)과 연결된 작동원판(50)을 승강작동시키게 된다.
즉, 상기 고정판(55)과 회전판(54)의 사이에는 볼베어링(56)이 체결되면서도 이의 볼베어링(56)은 고정판(55)상에 테이퍼진 슬라이드홈(57)내에 체결되어 회전판(54)의 회전작동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홈(57)을 따라서 슬라이드 작동됨으로써 상기 회전판(54)은 고정판(55)으로부터 일정한 간격만큼 승강작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판(54)에는 동기모우터(58)와 연결되는 와이어(59)가 연결구비되어 상기 동기모우터(58)의 작동에 의해 회전판(54)을 회전작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을 세탁행정시와 탈수행정시로 구분하여 그 작동상태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첨부된 도면의 도3 내지 도6, 그리고 도11의 (a) 에서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세탁기의 세탁행정시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때는 제동수단의 제동력은 작용하지 않는 상태이면서도 동력전달수단이 작용하지 않아 탈수조측으로는 동력이 차단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동기모우터(58)가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회전판(54)은 원위치되어 고정판(55)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코일스프링(52)의 탄성력에 의해 작동원판(50)은 상승작용을 하게 되면서 그 상단에 구비되는 라이닝(51)이 드럼하우징(11)의 하부에 구비되는 디스크(35)에 밀착되어 드럼하우징(11)을 제동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작동원판(50)이 상승작동을 하면서 동력전달수단의 밀판(43)을 밀어올리게 되고, 이에 따라 첨부된 도면의 도11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승하는 밀판(43)은 그 내부의 상,하스프링(41)(42)을 동시에 압축하면서 작동핀(40)을 상승작동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승하는 작동핀(40)은 스톱퍼(30)를 밀어 올리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스톱퍼(30)는 스프링(34)을 압축하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작동되어 첨부된 도면의 도10에서와 같이 회전원판(30)의 래칫(31)로부터 이탈된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작동원판(30)의 회전동력은 드럼하우징(11)측으로 전달되지 않고 차단되는 것이다.
따라서, 구동모우터(6)의 회전동력은 풀리(21)와 풀리회전축(14)을 통하여 드럼하우징(11)내의 기어군(12)과 회전축(13)을 거쳐 펄세이터(5)로만 전달되어져 통상에서와 같은 세탁행정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며, 이때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드럼하우징(11)을 통하여서는 동력이 전달되지 않음으로써 탈수조(4)는 정지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는 반대로 본 발명의 탈수행정시는 첨부된 도면의 도7 내지 도10, 그리고 도11의 (b)에서 상세히 나타내고 있다.
이는 동기모우터(58)가 작동되면서 와이어(59)를 당기게 되고, 이에 따라 회전판(54)이 회동작동되면서 고정판(55)과의 사이에 구비되는 볼베어링(56)을 슬라이드홈(57)으로부터 이탈시키게 됨으로써 회전판(54)은 고정판(55)으로부터 볼베어링(56)의 반지름에 해당되는 간격만큼 하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회전판(54)이 하강하게 되면서 연결봉(53)으로 연결된 작동원판(50)을 하강시키게 되고, 상기 작동원판(50)은 코일스프링(52)을 압축하면서 하강함에 따라 라이닝(51)이 디스크(35)로부터 이탈되어 제동력을 해제함과 동시에 밀어올리고 있던 동력전달수단의 밀판(43)을 놓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밀판(43)은 그 내부의 상,하스프링(41)(42)에 의해 하강됨과 동시에 작동핀(40)도 하강하게 됨으로써 작동핀(40)이 스톱퍼(30)를 놓게 되고, 이에 따라 스톱퍼(30)는 첨부도면의 도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프링(34)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축(32)을 지지점으로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회전원판(30)의 래칫(31)에 삽입되어 걸리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원판(30)의 중심축과 스톱퍼(30)의 중심축, 그리고 스톱퍼(30)의 끝단과는 대략 삼각형을 이루게 되면서 일체화되는 것이나, 회전원판(30)의 회전력은 계속해서 작용하게 됨으로써 회전원판(30)의 동력은 드럼하우징(11)으로 전달되어 진다.
즉, 상기한 작용에 따라 동력은 스톱퍼(30)를 통하여 드럼하우징(11)과 그 상단의 스핀회전축을 거쳐 탈수조(4)로 전달되어져 통상에서와 같은 탈수행정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첨부된 도면의 도12 내지 도17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는 전술한 본 발명에서 동력전달수단은 동일한 것이나, 다만 상기 동력전달수단과 드럼하우징(11)을 제동토록 하는 제동수단을 달리하고 있다.
상기 제동수단은 케이스(101)의 일측면상에 스프링(61)에 의해 탄력설치되어 진퇴작동되는 작동판(60)이 구비됨과 동시에 이의 작동판(60)의 전면상에는 드럼하우징(11)의 외주연상에 인서트사출로 성형되는 금속재질의 밴드(62)에 밀착 및 이탈되어 제동력을 제공토록 하는 라이닝(63)이 구비되고, 상기 작동판(60)의 일측에는 동기모우터(58)의 와이어(59)와 연결되는 레버(64)가 구비되어 작동판(60)을 작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드럼하우징(11)은 외주연상에 밴드(62)를 인서트 사출하지 않고 통상에서와 같이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드럼하우징(11)을 그대로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할 것이다.
또한, 상기 케이스(101)의 바닥면에는 외주연상에 나사를 가지는 스크류축(65)이 체결고정됨과 동시에 이의 스크류축(65)에는 동력전달수단의 밀판(43)을 승강작동시키도록 하는 스크류부재(66)가 나사체결되어 전술한 와이어(59)와 연결되어 회동작동하게 된다.
즉, 상기 스크류부재(66)는 스크류축(65)에 나사식으로 체결됨과 동시에 동기모우터(58)의 작동에 의해 스크류부재(66)가 정,역회전 작동됨에 따라 스크류축(65)을 지지점으로 승강작동을 하게 되는 것이고, 이에 따라 동력전달수단의 밀판(43)을 승강작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스크류축(65)과 스크류부재(66)는 본 실시예에서는 나사식으로 결합되는 것이나, 이역시 하나의 실시예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스크류부재(66)의 내경에 나사의 기능을 가지는 링부재를 고정함과 동시에 이와 대향되는 스크류축(65)의 외경에는 너트의 기능을 가지는 나사홈을 구비함으로써 스크류부재(66)의 회전작동에 따라 승강작동도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의 도12 내지 도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세탁행정시에는 스크류부재(66)가 상승하여 동력전달수단의 동력을 차단함과 동시에 작동판(60)의 전진작동에 의해 드럼하우징(11)을 제동하게 되는 것이고, 이와는 반대로 탈수행정시에는 첨부된 도면의 도15 내지 도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동기모우터(58)의 작동에 의해 와이어(59)가 스크류부재(66) 및 레버(64)를 당기게 됨으로써 상기 스크류부재(66)는 하강하여 동력전달수단의 동력을 전달함과 동시에 작동판(60)은 후진작동하여 드럼하우징(11)의 제동력을 해제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첨부된 도면의 도18 내지 도23 에서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동력전달수단은 동일한 것이며, 제동수단은 상기 드럼하우징(11)의 하부에 스톱퍼(30)를 체결토록 하는 회전축(32)상에 디스크(70)가 일체형으로 구비됨과 동시에 이의 디스크(70)는 드럼식으로 구비되고, 그 외측의 케이스(101)상에는 스프링(61)에 의해 탄력설치되어 진퇴작동되는 작동판(60)이 구비된다.
상기 작동판(60)의 내측면에는 상기 디스크(70)의 외주면에 밀착 및 이탈되어 제동력을 제공토록 하는 라이닝(63)이 구비되고, 상기 작동판(60)의 일측에는 동기모우터(58)의 와이어(59)와 연결되는 레버(64)가 구비되어 작동판(60)을 작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즉, 세탁시에는 첨부된 도면의 도18 내지 도2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세탁행정시에는 스크류부재(66)가 상승하여 동력전달수단의 동력을 차단함과 동시에 작동판(60)의 전진작동에 의해 드럼하우징(11)의 하부에 구비되는 디스크(70)을 제동하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탈수행정시에는 첨부된 도면의 도21 내지 도2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동기모우터(58)의 작동에 의해 와이어(59)가 스크류부재(66) 및 레버(64)를 당기게 됨으로써 상기 스크류부재(66)는 하강하여 동력전달수단의 동력을 전달함과 동시에 작동판(60)은 후진작동하여 드럼하우징(11)의 하부에 구비되는 디스크(70)에 가해진 제동력을 해제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첨부된 도면의 도24 내지 도30 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의 실시예에서 동력전달수단은 전술한 본 발명과 동일한 것이고,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드럼하우징(11)을 제동토록 하는 제동수단을 달리하고 있다.
상기 제동수단은 스톱퍼(30)의 회전축(32)상에 디스크(81)가 일체로 구비되면서도 상기 디스크(81)는 하향으로 절곡되는 드럼식으로 구비되고, 그 내부에서 캠의 작동에 의해 라이닝이 디스크(81)를 제동토록 구성된 것이다.
즉, 케이스(101)내의 저면상에 고정판부재(82)가 고정설치되고 이의 상면에는 슬라이드홈내에 체결되는 볼베어링(83)에 의해 캠부재(80)가 구비되어 캠부재(80)의 회전작동에 따라 볼베어링(83)이 슬라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드 작동됨으로써 캠부재(80)가 일정한 간격만큼 승강작동되어 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캠부재(80)는 동기모우터(58)와 와이어(59)로 연결되어 회전작동되는 것이며, 이의 외주연과 근접되는 위치, 즉 디스크(81)의 내부면에는 작동판(84)이 복귀스프링(85)에 의해 탄력설치되고 이의 외주면상에는 디스크(81)의 내부면에 밀착되어 제동력을 제공하는 라이닝(86)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캠부재(80)는 동기모우터(58)의 작동에 의해 고정판부재(82)에 지지된채로 회전운동과 동시에 볼베어링(83)의 작동에 따라 일정한 간격만큼 승강작동도 하게 됨으로써 동력전달수단을 작동시켜 세탁 및 탈수행정을 수행하게 될 뿐만 아니라 드럼하우징(11)을 제동하게 되는 것이다.
즉, 세탁행정시에는 첨부된 도면의 도24 내지 도2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동기모우터(58)에 의해 캠부재(80)가 고정판부재(82)에 안내되어 회전작동 및 상승작동을 하게 됨으로써 동력전달수단의 동력을 차단하게 됨과 동시에 작동판(84)이 디스크(81)로 부터 밀착되어 드럼하우징(11)을 제동하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탈수행정시에는 첨부된 도면의 도27 내지 도2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동기모우터(58)의 작동에 의해 와이어(59)가 캠부재(80)를 회전작동시키게 됨으로써 상기 캠부재(80)는 고정판부재(82)에 의해 안내되어져 회전작동과 동시에 하강작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동력전달수단의 동력을 연결함과 동시에 드럼하우징(11)의 제동력을 해제하게 됨으로써 원할한 탈수행정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첨부된 도면의 도30 에서는 상기한 실시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여기서는 상기한 디스크(81)를 제동시키도록 하는 작동판(84a)을 삼방향으로 각각 구비함으로써 성능 향상을 기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첨부된 도면의 도31 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드럼하우징(11)을 제동하는 수단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는 드럼하우징(11)을 통상에서와 같이 금속재질로 구비한 상태에서, 케이스(101)의 일측면상에 스프링(87)에 의해 탄력설치되는 작동판(88)을 구비하며, 상기 작동판(88)의 전단에는 드럼하우징(11)에 제동력을 제공하게 되는 라이닝(89)을 구비하여서 된 것이다.
즉, 상기 작동판(88)의 후면에는 연결봉(91)이 구비되고, 이의 연결봉(91)은 케이스(101)에 고정설치된 고정판(92)에 지지되어 회전 및 진퇴작동되는 회전판(93)에 의해 회전 및 진퇴작동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판(92)과 회전판(93)은 볼베어링(94)에 의해 체결되어 회전운동을 진퇴작동으로 변환하는 구성으로서 이미 전술한 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갖추고 있고, 역시 동기모우터(58)와 연결된 와이어(59)에 의해 작동되어 지는 것이다.
또한, 첨부된 도면의 도32 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여기서는 드럼하우징(11)의 하부에 별도의 디스크(95)가 고정구비되고, 상기 디스크(95)의 일측 표면을 잡아주거나 놓아주는 방식으로 제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즉, 케이스(101)상에는 공회전가능토록 구비되면서도 왼나사 및 오른나사를 동시에 갖춘 작동봉(96)이 구비되고, 상기 작동봉(96)에는 한쌍의 작동판(97)(98)이 각나사부에 나사체결됨과 동시에 상기 작동판(97)(98)에는 디스크(95)를 제동하는 라이닝이 구비된다.
따라서, 동기모우터(58)의 작동에 의해 와이어(59)가 작동봉(96)을 회동작동시키게 됨으로써 작동판(97)(98)은 제자리에서 공회전작동되는 것이고, 이에 따라 이와 나사결합된 작동판(97)(98)은 오므라졌다 벌어졌다 하여 디스크(95)를 제동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첨부된 도면의 도33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는 세탁 및 탈수행정에 따른 동력전달수단을 개선하면서도 제동수단은 종래와 동일한 구조를 갖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풀리(21)를 통하여 전달되는 동력을 세탁 및 탈수행정에 따라 풀리회전축(14) 및 드럼하우징(11)으로 조절토록 하는 클러치수단을 개선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수단은 드럼하우징(11)내의 풀리회전축(14)상에 회전원판(110)이 일체로 구비됨과 동시에 이의 회전원판(110)의 외주연상에는 다수개의 걸림홈(111)이 구비된다.
상기 회전원판(110)은 첨부된 도면의 도33에서 더욱 상세히 나타낸 바와 같이 드럼하우징(11)내의 드럼플레이트(11a)와 근접되는 위치에 구비되고, 이의 외주연상에 구비되는 걸림홈(111)들은 반원형으로 구비되면서도 원주방향을 따라 대략 8개 정도로 설치되는 것이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걸림홈(31)의 개수를 달리하여도 무방하다 할 것이다.
또한, 상기 드럼하우징(11)의 하부에는 스프링(121)에 의해 탄력설치되는 연결봉(120)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봉(120)은 드럼하우징(11)에 관통되게 구비되면서도 그 내부에 위치되는 상단부는 절곡되어 회전원판(110)의 걸림홈(111)에 삽탈되는 걸림턱(122)을 갖추어 구비되고, 하부는 드럼하우징(11)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구비되면서 스프링(121)에 의해 지지되어 항상 하향으로 작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 드럼하우징(11)의 드럼하우징(11)의 하부에는 압축스프링(123)에 의해 탄력설치되는 작동원판(124)이 구비되어 항상 상향으로 작용하게 되고, 상기 작동원판(124)의 하부 양측에는 브레이크 레버(19)에 의해 작동원판(124)을 하향으로 작동시키도록 하는 와이어(125)가 연결구비된다.
상기 와이어(125)는 다수개의 안내로울러(126)들에 지지되면서 브레이크 레버(19)에 연결되어 이의 작동에 의해 작동원판(124)을 작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세탁행정시에는 통상에서와 같이 브레이크 밴드(20)가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드럼하우징(11)을 제동함과 동시에 와이어(125)를 놓게 됨으로써 첨부도면 도34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드럼하우징(11) 하부에 구비되는 압축스프링(123)의 탄성력에 의해 작동원판(124)이 상승하여 드럼하우징(11)에 체결된 연결봉(120)의 하부를 밀어올리게 된다.
상기 연결봉(120)은 작동원판(124)의 상승작용에 의해 그 하부의 스프링(123)을 압축하면서 상승작용을 하게 되어 그 상단의 걸림턱(122)이 회전원판(110)의 걸림홈(111)으로부터 이탈되어 지는 것이다.
따라서, 구동모우터(6)의 회전동력이 풀리(21)를 통하여 풀리회전축(14)으로 전달되는 동력은 드럼하우징(11)의 기어군(12)과 회전축(13)을 거쳐 펄세이터(5)로만 전달되어져 통상에서와 같은 세탁행정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풀리회전축(14)에 일체로 구비되는 회전원판(110)은 연결봉(120)의 상승작동에 의해 드럼하우징(11)과는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공회전작동을 하게 되는 것이고, 이에 따라 드럼하우징(11)측으로는 동력이 전달되지 않고 차단되어 탈수행정은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와는 반대로 탈수행정시에는 세탁기 제어부의 신호에 의해 통상에서와 같이 브레이크 레버(19)가 작동되면서 브레이크 밴드(20)는 드럼하우징(11)을 제동함과 동시에 첨부도면의 도34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와이어(125)를 당기게 된다.
이와 같이 와이어(125)가 당겨지게 되면, 와이어(125)는 다수의 안내로울러들에 안내되면서 드럼하우징(11) 하부의 작동원판(110)을 당기게 되는 것이고, 상기 작동원판(110)은 압축스프링(123)을 압축하면서 하강하게 된다.
작동원판(110)이 하강하게 됨에 따라 첨부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결봉(120)은 그 하부에 구비되는 스프링(123)의 탄성력에 의해 하강작동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연결봉(120)의 상단 걸림턱(122)이 회전원판(110)의 걸림홈(111)에 삽입체결된다.
즉, 플리회전축(14)의 회전작동에 따라 회전원판(110)이 회전되는 상태에서 연결봉(120)이 하강하게 되면, 회전원판(110)의 외주연상에 구비되는 걸림홈(111)이 연결봉(120)의 걸림턱(122)에 위치하는 순간 결합되어 지는 것이다.
따라서, 풀리회전축(14)의 회전동력은 상기 회전원판(110)과 드럼플레이트(11a)를 거쳐 드럼하우징(11)으로 전달되어져 이를 회전구동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통상에서와 같이 상기 드럼하우징(11)의 상부에 구비되는 스핀회전축(23)을 통하여 탈수조(4)를 회전구동시킴으로써 탈수행정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세탁기의 감속기 어셈블리에 있어 구동모우터의 회전동력을 세탁 및 탈수행정에 따라 변환토록 하는 동력전달수단을 간단한 구성으로 개선함으로써 즉, 종래에는 동력전달을 변환시키기 위하여 클러치 스프링 등과 같은 복잡한 구조들의 관련부품들이 필연적으로 요구됨에 따라 관련부품의 수가 증가되던 것에 비하여, 그 구조를 단순히 함으로써 제조성 및 생산성의 향상을 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드럼하우징을 제동하는 제동수단은 동기모우터를 이용하여 와이어로서 작동시키게 됨으로써 그 구조가 단순해짐은 물론 이에 따라 작동도 단순해져 정확하고도 안정된 작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드럼하우징을 합성수지 재질로 사출성형할 수 있음으로써 드럼하우징의 제조성을 향상시켜 원가의 절감은 물론 소음을 줄이게 되는 등의 장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Claims (14)

  1. 세탁기 구동모우터의 회전동력을 세탁 및 탈수행정에 따라 변환토록 하는 동력전달수단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이 회전동력을 드럼하우징측으로 전달토록 하는 회전원판을 일체로 구비한 회전축과,
    상기 회전원판에 결합 및 분리되는 착탈수단을 구비한 드럼하우징에 의해 동력을 전달하여 세탁 및 탈수행정을 수행토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감속기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원판(30)은 외주연에 래칫(31)을 구성하고, 상기 드럼하우징(11)의 착탈수단은 스프링(34)에 의해 탄력설치되면서 회전축(32)을 지지점으로 회동작동되어 회전원판(30)의 래칫(31)에 결합 및 분리되어 동력을 전달 및 분리토록 하는 스톱퍼(33)를 구비하여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감속기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33)은 드럼하우징(11)상에 설치된 작동핀(40)과 결합되어 작동하되, 상기 작동핀(40)은 상,하부측에 각각 체결된 상,하부스프링(41)(42)에 의해 탄발설치되며, 그 하부에는 일단부가 하우징의 하부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고 별도의 수단에 의해 승강작동하는 하부밀판(43)을 하우징 내부에 구비하여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감속기 어셈블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과 일체로 구비되는 회전원판(110)을 외주연상에 다수개의 반원형 걸림홈(111)을 가지며,
    상기 드럼하우징(11)은 하부에 스프링(121)에 의해 탄력설치되고 상단부에 는 회전원판(110)의 걸림홈(111)에 삽입 및 이탈되는 절곡된 걸림턱(122)을 가지는 연결봉(120)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봉(120)의 직하부에는 스프링(123)에 의해 탄력설치되어 제동수단의 브레이크 레버(19)와 와이어(125)로 연결되어 연결봉(120)을 승강작동시키도록 하는 작동원판(124)을 구비하여 동력을 변환시킴으로써 세탁 및 탈수행정을 수행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감속기 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원판(110)의 반원형 걸림홈(111)을 원주연상에 8개로 형성하되, 이를 균등간격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감속기 어셈블리.
  6. 세탁기의 드럼하우징을 제동하도록 하는 제동수단에 있어서,
    상기 제동수단은 케이스의 하부에 구비되면서 동기모우터의 작동에 의해 회전과 동시에 승강작동되는 회전판과,
    상기 드럼하우징의 하부에 스프링에 의해 탄력설치되고 회전판에 의해 승강작동되면서 그 상단의 라이닝이 디스크에 밀착 및 분리되는 작동원판을 갖추어 세탁 및 탈수행정에 따라 드럼하우징을 제동 및 해제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감속기 어셈블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1)의 하부면에 고정구비되고 그 하부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테이퍼지는 슬라이드홈(57)을 갖춘 고정판(55)과,
    상기 고정판(55)에 지지구비되고 그 상부면에 고정판(55)의 슬라이드홈(57)에 체결되어 슬라이드 작동되는 볼베어링(56)을 갖추어 동기모우터(58)의 작동에 따라 회전 및 승강작동을 동시에 이루도록 하는 회전판(54)을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감속기 어셈블리.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수단은 케이스(101)의 일측면상에 스프링(61)에 의해 탄력설치되어 진퇴작동되면서 그 전면상에 드럼하우징(11)의 외주면에 제동력을 제공하는 라이닝(63)을 구비한 작동판(60)과,
    상기 작동판(60)의 일측에 구비되고 동기모우터(58)의 와이어(59)와 연결되어 작동판(60)을 진퇴작동시키도록 하는 레버(64)와,
    케이스(101)의 바닥면에 구비되고 외주연상에 나사를 가지는 스크류축(65)과, 상기 스크류축(65)에 나사체결되고,
    와이어(59)에 의해 회동작동되면서 승강작동되어 동력전달수단의 밀판(43)을 승강작동시키도록 하는 스크류부재(66)를 갖추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감속기 어셈블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하우징(11)을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하면서도 그 외주면상에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밴드(62)를 인서트사출로 성형하여서 상기 밴드(62)에 작동판(60)의 라이닝(63)이 밀착되어 제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감속기 어셈블리.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하우징(11)의 하부에 드럼식 디스크(70)를 고정하고, 상기 케이스(101)의 일측면상에는 스프링(61)에 의해 탄력설치되어 진퇴작동되면서 그 전면에는 디스크(70)의 외주면을 통하여 제동력을 작용토록하는 라이닝(63)을 구비한 작동판(60)을 갖추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감속기 어셈블리.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수단은 드럼하우징(11)의 하부에 고정구비되는 드럼식 디스크(81)와, 케이스(101)내의 저면상에 고정설치되는 고정판부재(82)와,
    상기 고정판부재(82)의 상면에 구비되어 와이어에 의해 회전작동되면서 고정판부재(82)를 따라 승강작동되어 동력전달수단의 밀판(43)을 진퇴작동시키도록 하는 캠부재(80)와,
    상기 캠부재(80)의 하부와 고정판부재(82)의 상면에 구비되고 고정판부재(82)의 슬라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드 작동되어 캠부재(80)를 승강작동시키도록 하는 볼베어링(83)과,
    상기 캠부재(80)와 근접되는 디스크(81)의 내경에 구비되고 복귀스프링(85) 및 캠부재(80)에 의해 진퇴작동되어 디스크(81)를 제동토록 하는 작동판(84)을 갖추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감속기 어셈블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판(84)을 디스크(81)의 내경에 삼방향으로 설치하여 하나의 캠부재(80)에 의해 작동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감속기 어셈블리.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수단은 케이스(101)의 일측면상에 구비되면서 스프링(87)에 의해 탄력설치되고, 전면에 드럼하우징(11)의 외주연에 제동력을 제공하는 라이닝(89)과 후면에는 고정판(92)에 지지되어 슬라이드작동되는 연결봉(91)을 가진 작동판(88)과,
    상기 작동판(88)의 후단에 구비되고 동기모우터의 와이어(59)에 의해 회전작동되면서 작동판(88)을 진퇴작동시키도록 하는 회전판(93)과,
    상기 고정판(92)과 회전판(93) 사이에 구비되어 회전판(93)의 회전에 의해 슬라이드 작동되면서 회전판(93)을 진퇴작동시키도록 하는 볼베어링(94)를 갖추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감속기 어셈블리.
  14.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수단은 드럼하우징(11)의 하부에 고정구비되는 디스크(95)와,
    케이스(101)의 일측면에 체결되고 상,하부가 방향이 서로 다른 나사부를 가지면서 동기모우터(58)의 와이어(59)에 의해 회전작동되는 작동봉(96)과,
    상기 작동봉(96)의 상,하 나사부에 나사체결되어 작동봉(96)의 회전작동에 따라 벌어졌다 오므라졌다 하여 디스크(95)를 제동 및 해제토록 하는 상,하작동판(97)(98)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감속기 어셈블리.
KR1019980043996A 1998-10-20 1998-10-20 세탁기의감속기어셈블리 KR1002973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3996A KR100297305B1 (ko) 1998-10-20 1998-10-20 세탁기의감속기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3996A KR100297305B1 (ko) 1998-10-20 1998-10-20 세탁기의감속기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6466A true KR20000026466A (ko) 2000-05-15
KR100297305B1 KR100297305B1 (ko) 2001-10-26

Family

ID=19554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3996A KR100297305B1 (ko) 1998-10-20 1998-10-20 세탁기의감속기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73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0497B1 (ko) * 2002-07-31 2008-05-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빨래건조기의 롤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0497B1 (ko) * 2002-07-31 2008-05-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빨래건조기의 롤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97305B1 (ko) 2001-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86254B2 (en) Direct-drive washing machine
AU2014399520B2 (en) Clutch driving device for decelerating clutch
US5842358A (en) Power system of clothes washing machine
CN104674507A (zh) 全自动洗衣机减速离合器
KR100229135B1 (ko) 세탁기용 동력전달장치
KR100229134B1 (ko) 세탁기의 동력전달장치
KR100297305B1 (ko) 세탁기의감속기어셈블리
RU2000124924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кстренного торможения, предназначенное для остановки работы пресса
KR100431529B1 (ko) 세탁기클러치장치
KR100308282B1 (ko) 전자동세탁기의구동장치
KR950000942Y1 (ko) 세탁기의 브레이크(Brake)장치
KR950004275B1 (ko) 세탁기 클러치의 세탁/탈수 행정 변환구조
KR200239610Y1 (ko) 세탁기의 브레이크장치
KR20010079463A (ko) 세탁기의 동력절환장치
KR200141507Y1 (ko) 전자동세탁기의 동력전달장치
KR0135158B1 (ko) 전자동 세탁기의 구동장치
KR100213136B1 (ko) 세탁기의 동력전달장치
KR100195452B1 (ko) 세탁기의 동력전달장치
KR100352067B1 (ko) 세탁기의 제동장치
CN113062084B (zh) 一种洗衣机的减速离合装置、洗衣机及其控制方法
CN211815039U (zh) 洗衣机排水系统
KR100720540B1 (ko) 전자동 세탁기의 구동장치
KR100445997B1 (ko) 세탁기용 트랜스미션
KR0132196Y1 (ko) 세탁기용 클러치의 기어 감속장치부 지지구조
KR101957765B1 (ko) 직결식 세탁기용 구동 장치의 스테이터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