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3764A - 이동조립식 건축물 - Google Patents

이동조립식 건축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3764A
KR20000023764A KR1019997000230A KR19997000230A KR20000023764A KR 20000023764 A KR20000023764 A KR 20000023764A KR 1019997000230 A KR1019997000230 A KR 1019997000230A KR 19997000230 A KR19997000230 A KR 19997000230A KR 20000023764 A KR20000023764 A KR 200000237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f
hinged
ceiling
main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0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91111B1 (ko
Inventor
제이. 라몬 칼리노우스키
Original Assignee
짜이 티엔칭
제이. 라몬 칼리노우스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짜이 티엔칭, 제이. 라몬 칼리노우스키 filed Critical 짜이 티엔칭
Priority to KR10-1999-7000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1111B1/ko
Publication of KR20000023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37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1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11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4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with hinged parts
    • E04B1/3442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with hinged parts folding out from a core ce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조립/이동식 건축물은 쉬운 기계적인 조작과 수송을 하기에 우수한 국제표준화규격의 컨테이너 외부 용적에 알맞게 접어질 수 있다. 건축물(20)은 주 마루면(38), 주 벽면(58) 및 주 지붕면(56)을 갖는 견고한 주 지지대를 포함한다. 상기 건축물이 펼쳐졌을 때 서로 힌지 연결된 마루면(36, 44)들과 주 마루면(38)으로부터 연장된 지붕면(52, 54)과 상기 주 마루면과 주 지붕면 사이에 펼쳐진 벽면(82, 86)은 전체적으로 수평한 평면으로 힌지 결합된다. 상기 벽면(82, 86)은 서로 힌지 연결된 하나의 끝 벽면(76), 두 개의 첫째 벽면(86) 및 두 개의 둘째 벽면(82)를 포함한다. 상기 건물이 접혀졌을 때 벽면(82, 86)은 주 벽면(58)에 인접하여 위치되고, 지붕면(52, 54)은 주 벽면(58)으로부터 이동되어 벽면(82, 86)의 모퉁이에 수직으로 위치되고, 마루면(36, 44)은 접혀진 벽면(82, 86)과 지붕면(52, 54)의 바깥쪽에 수직으로 위치된다. 상기 지붕면(52, 54)는 지붕기부(96), 트러스(98) 및 외부 지붕부재(100)을 포함하는 접혀질 수 있는 지붕시스템을 형성한다. 상기 트러스(98)는 서로 다른 것에 평행하고 전체적으로 지붕기부(96)를 가로질러 펼져지고 힌지 연결된다. 상기 외부 지붕부재(100)는 트러스(98)에 경사지게 놓여진다. 최소의 수직면이 표준규격의 컨테이너 크기에서 요구하는 천장 높이에 적합한 지붕시스템으로 접기 위해 요구된다.

Description

이동조립식 건축물{FOLDABLE PORTABLE BULDING}
발명의 배경
본 발명은 평행육면체상자형 구조로, 내부형강으로, 일정규격의, 손쉽고, 안전한 국제표준규격(I.S.O.) 운송컨테이너의 최상급인 1AA, 1BB, 1CC에 적합한, "고품질"의 내부 적재공간으로 신축자재로 이동가능한 조립식 건축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대한 설명
조립식으로 접혀지는 이동가능한 건축구조물은 그 설치를 쉽게 하기 위여 분해된 형태로 건축물을 선적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조립식으로 접을 수 있는 이동식 건축물을 개발하는 한가지 목적은 운반용도의 조립식 형태로 건축물의 부피를 최소화하는 한편, 조립건축물의 평면적을 최대한으로 하는 것이다. 이는 이러한 건축물의 보다 경제적 수송을 위해 건축물내 공간의 불필요한 수송을 피할 수 있게 된다. 동시에, 분해시 접을 수 있게 건축물의 부품들을 매달아 연결하는 작업에서 상당한 비용과 시간절약으로 미숙련 작업기술에 의한 조립장소에서 이들 건축물의 조립을 용이하게 해준다.
특별히 표준 컨테이너 크기로 채택된 육상, 해상, 항공수송이 가능한 일정한 컨테이너규격으로 하역을 포함한, 컨테이너화한 화물수송의 성공적 개발로 상당한 비용절감과, 전반적으로 보다 안전하고 신속한 범세계적 수송이 가능하게 되었다. 국제표준규격(I.S.O.)의 수송컨테이너는 범세계적으로 가장 현대적 수송수단으로 채택되고 있고, 실제로 모든 국가에서 이러한 컨테이너를 전세계 어느 곳에나 국제표준규격의 컨테이너를 선적할 수 있게 됨으로써, 현재 이를 취급하고 납품할 수 있다.
컨테이너화된 수송으로 인한 잇점으로, 국제표준규격(I.S.O.)에 부합하는 해상컨테이너의 외부 규격에 맞게 접는 방식의 이동가능한 간이조립식 건축물의 도입은 바람직한 것이다.
그러나, 국제표준규격의 해상컨테이너에 맞도록 접혀지는 이동가능한 간이조립식 건축물의 개발과 관련한 한가지 문제는, 가장 보편적인 국제표준규격 해상컨테이너의 총높이가 대략 8.5피트 정도라는 사실이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인체공학적 측면과 건축기준에 의한, 바닥에서 천장까지의 높이는 7.5피트로 이동식 건축물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문제는 이러한 건축물의 경사진 지붕을 설치하는 데 있다. 최소 7.5피트의 천장높이와 최소 6인치 두께로 조립된 마루의 건축물에서 원하는 높이로 경사진 지붕을 지탱하는 트러스를 설치하기 위해, 전체 높이가 국제표준규격 컨테이너 높이를 넘어선 수준인 8.5피트를 초과해야 된다. 천장과 지붕꼭대기까지 거리는 8.5피트이상의 충분한 높이와 표준 해상컨테이너의 최대 높이보다 더 크게 확장된다.
지붕 트러스를 확장하여 경사진 지붕을 갖춘 이동식 건축물은 L. Tatevossian씨의 미국 특허번호 3,348,344호에서 발표된 바 있다. Tatevossian씨의 건축물은 경사진 지붕을 지탱하는 트러스를 설치하기 위해 천장위에 견고한 중앙지붕을 확장하였다. 만약 건축물의 천장높이가 최소 7.5피트라면, 위로 확장된 트러스와 마루의 두께는 국제표준규격해상컨테이너의 최대높이인 8.5피트보다 훨씬 더 큰 접혀진 건축물의 높이를 형성한다. 위로 연장된 트러스의 꼭대기는 주 버팀목의 상단부를 형성한다. 본 상단부는 천장면을 지탱하는 측벽면의 상단부보다 훨씬 더 높다.
따라서, 접혀진 상태에서, 동 건축물은 일정규격으로, 국제표준규격 운송용 컨테이너의 1AA, 1BB 및 1CC급이나 “고급”해상컨테이너 수준에 적합하도록, 적당히 배열된, 간이조립식, 이동가능한 건축물을 필요로 하고 있다. 이는 합리적인 비용으로 어느 곳이든, 거의 모든 운송수단에 의해 수송취급이 가능케 한다. 동시에, 본 건축물은 접을 수 있어, 숙달된 기술이나 중장비를 필요로 하지않고, 재래식 수동 공구로 단시간에 현장에서 쉽게 조립할 수 있다. 본 건축구조물은 접혀지는 컨테이너 크기로서, 건물의 벽과 마루로 대부분 구성되었기 때문에 조립후, 자재의 잔여물이나 회수할 수 있는 부품 또는 상자들이 거의 없고, 더욱이 수송과 취급비용 및 환경에 부담을 주지 않는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이동가능한 간이조립식 건축물로서, 접은 상태에서 눕히면 국제규격의 표준컨테이너에 알맞게 내장되도록 일정한 규격으로 되어 있다. 특히 접었을 때, 본 발명은 국제표준규격의 1AA 및 1BB, 1CC등급이나 “고급”해상컨테이너의 규격에 맞추어 저장과 취급이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본 제품이 접은 상태에서는 수송 및 취급비용이 훨씬 감소되며, 현대적인 어떠한 수송수단에서도 효과적이다. 접어진 건축물은 쉽게 수송될 수 있어, 공장에서 현대적 대량생산방식으로 효율적으로 생산될 수 있다. 또한 건축자재들이 분해된 상태에서 재래식 주택에서 볼 수 있는 필수적인 부속자재들을 컨테이너에 선적할 수 있다. 컨테이너가 적당한 장소에 위치하여, 건축물은 현장에서 소수의 미숙련 인부만으로도 신속하고 쉽게 조립된다. 조립된 건축물은 그 주거공간이 재래식 컨테이너규격이라고 해서 불리하지 않도록, 최소 천장높이가 7.5피트로서 낙하물을 외부로 넘기기 위해 경사지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인, 이동조립식 건축물은 조립시, 주 기둥과 대체로 수평으로 평평하게 서로 연결된 다수의 마루면과, 대체로 수평으로 평평하게 서로 연결된 다수의 지붕면, 대체로 수직으로 서로 연결된 다수의 벽면으로 구성된다. 주 지지대는 마루에 의해 지지되며, 지붕을 지탱하는 벽으로 이들 상호간에 견고히 연결된 마루와 벽, 지붕으로 구성된다. 마루면은 주 마루면과 서로 연결되어 매달린 1층을 의미한다. 지붕은 마루와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져 있고 지붕면과 서로 연결된 첫째 지붕을 의미한다. 벽면은 마루면의 가까운 반대편 끝에 위치하여, 마루의 반대편 끝머리에 근접한 첫째와 둘째 벽면은 벽 끝과 두 개의 첫째 벽면, 첫째와 둘째 벽면으로 최소 한 개 이상이 가로질러 위치한다. 첫째와 둘째 벽면들은 서로 인접한 양 끝으로 연결되고, 반대편 옆 끝은 주 벽면과 벽면 끝 부분으로 각각 비슷하게 밑으로 연결되어 있다. 첫째나 둘째 또는 끝 벽면 중 적어도 한 개는 벽면의 위치를 일정하게 신축적으로 이동하므로써, 마루면에 의해서 지탱되고 이동된다.
벽면의 상단은 양쪽사이에서 확장되는 지붕위에서 지지되도록 상호간 대체로 동일 평면상에 있다. 벽면의 상단은 주 버팀목의 주 지붕면보다 더 낮은 표면과 동일 평면상에 있다.
더욱이 지붕면은 벽에 의해 지탱되는 최소 한개 이상의 천장부재와 외부지붕부재, 다수의 트러스 등으로 구성된다. 각 외부지붕부재는 앞서의 천장부재와 관계가 있는 각각의 회전축에 관한 외부지붕부재의 회전을 위한 기초 천장부재의 반대편 끝과 경첩으로 연결되어 있다. 트러스는 반대편 끝으로 부터 천장기부를 가로질러 대체로 확장되도록 서로 평행하여 위치한다. 트러스는 천장기부에서 수직으로 뻗어 확장된 위치까지, 천장기부에 전반적으로 평행하여 인접한, 신축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천장기부에 힌지 결합되어 있다. 각각의 트러스는 꼭대기까지 닿도록 줄이 늘어져 있는데, 트러스가 수축상태에서는 외부지붕과 천장기부간에 수평으로 놓이고, 트러스가 확장상태에서는 트러스의 꼭대기 줄에 외부지붕기부가 얹혀있게 된다.
가급적, 주 벽면은 중앙벽체와 반대편 공간에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주 지붕면의 낮은 표면에 중앙 벽체면으로부터 수직으로 뻗어 있다. 또한, 주 지붕면은 주 마루면 위에 위치하여 중앙벽에 의해 지탱되고, 다수의 지붕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여, 첫째 지붕면에 힌지 결합되어 첫째 테두리를 이룬다. 또한, 주 지붕면은 첫째 테두리의 반대편에 위치한 둘째 테두리가 있어 첫째 지붕면으로부터 앞서의 건물의 반대편의 여러 지붕면의 추가되는 첫째 지붕과 힌지 결합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접는 방식 지붕은 접은 상태에서도 세울 수 있으며, 본 방식은 천장기부 및 다수의 트러스, 지붕외부를 포함한다. 천장기부는 대체적으로 수평으로 지지되도록 채택되어 그 테두리를 이룬다. 트러스는 앞서 언급한 테두리에서 천장기부를 가로질러 전반적으로 확장되도록 각각 평행을 이루어 자리를 잡고 있다. 트러스가 천장기부로부터 위로 확장되어 확장된 상태까지, 천장기부에 평행으로 인접한 수축된 상태에서 천장기부까지 연결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트러스는 걸쳐져 있다.
각 트러스는 최소 한 개의 늘어진 상현이 있다. 외부 지붕기부는 지붕시스템이 접혀졌을 때, 지붕의 외부기부가 전체적으로 천장판넬과 평행을 이루고 트러스가 수축된 상태에서 지붕의 외부기부와 천장기부간에 삽입될 수 있도록 앞서의 천장기부 테두리에 힌지 결합되어 중심부에 자리잡고 있다. 지붕시스템이 세워졌을 때, 트러스는 확장상태에서 회전가능하고, 외부지붕기부는 천장기부에 비스듬이 기울어져 있게 트러스의 경사진 줄에 의해 지탱되므로서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접는 지붕방식은 수축상태에서 세워질 수 있으며 서로 연결된 천장기부와 다수의 트러스 및 외부의 지붕기부들로 구성된다. 천장기부는 대체로 수평으로 지탱될 수 있고 제각기 반대편에 테두리가 있다. 트러스는 각각의 테두리 사이에 제각기 천장기부를 가로질러 전반적으로 확장될 수 있게 서로 평행하여 각각 천장기부에 힌지 결합되어 있다. 트러스는 제각기 천장기부에서 상부로 확장된 상태까지, 트러스가 각각의 천장기부와 대체로 평행하여 인접한 수축된 상태에서 각각의 천장기부와 연결되어 회전되도록 트러스가 힌지 결합되어있다. 각 트러스는 최소한 한 개의 늘어진 상현이 있다. 각 쌍의 외부지붕기부는 지붕시스템이 수축될 때, 외부지붕기부가 각각의 천장기부에 전반적으로 평행하여, 트러스는 지붕기부와 각각의 천장기부간의 수축된 상태에서 중간에 삽입되어, 각 쌍의 외부지붕기부의 끝부분에서 서로 중첩되도록, 각각 천장기부의 반대편 테두리와 중심부에 힌지 결합되어 있다. 지붕시스템이 세워질 때, 지붕의 맨 위에서 대부분 서로 인접해 있는 각 쌍의 외부지붕기부의 맨 끝부분에 각각 천장기부에 각각 비스듬이 경사지도록 트러스는 확장상태에서 회전되고 특정한 외부지붕의 기부는 트러스의 늘어진 상현에 의해 지탱되면서 회전된다.
본 발명에 의한 이동조립식 건축물은, 조립시, 주 지지대와 대체로 수직으로 힌지가능하게 상호 결합된 다수의 지붕면과 대체로 수직으로 서로 힌지 결합된 다수의 지붕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면들은 견고하게 서로 연결되고 주 마루면은 평행육면체로 된 상자와 같은 컨테이너의 바닥으로 나타낸다. 마루면은 반드시 통로가 방해받지 않도록 상자와 같은 일면으로 경계되도록 주 마루면으로부터 수직으로 확장되어 주 마루면에 서로 힌지 결합된 첫째 마루면을 포함한다. 벽면은 끝 벽면과 두 개의 첫째 벽면, 두 개의 둘째 벽면에 가로질러 위치하여 최소 한 개 이상으로 구성된다.
첫째와 둘째 벽면은 서로 힌지 결합된 양쪽 테두리가 인접해 있고 반대편 테두리는 밑면과 제각기 유사하게 주 벽면과 끝 벽면과 서로 힌지 연결되어있다. 첫째 및 둘째, 끝 벽면은 제각기 주 지붕면과 주 마루면에 바싹 인접한 상/하부 테두리를 지니고, 첫 벽면은 주 벽면에 바싹 인접해 있다. 지붕면은 주 지붕면과 서로 힌지 연결된 첫째 지붕면을 포함한다. 다수의 지붕면은 다수의 지붕면이 벽면과 마루면 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주 벽면에서 떨어져 대다수의 벽면의 한 면에 위치한다.
다음과 같이, 본 도면과 관련하여, 상세한 내용은 별도로 설명하는 것보다 그 구조를 그림으로 설명되도록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도 1은 확장된 건축물을 지탱하기 위해 자리잡은 받침대를 갖는 본 발명의 접을 수 있는 컨테이너크기의 이동조립식 건축물의 사시도,
도 2는 부분적으로 펼쳐진 천장 및 마루판을 갖는 도 1의 건축물의 사시도,
도 3은 펼쳐진 마루 및 천장과 부분적으로 펼쳐진 벽판을 갖는 도 1의 건축물의 사시도,
도 4는 지붕을 경사지도록 지붕면의 천장판과 힌지 결합된 접을 수 있는 지붕트러스와 지붕판을 나타낸 도 1의 건축물의 사시도,
도 5는 완전히 조립된 상태의 도 1의 건축물의 사시도,
도 6은 표준컨테이너 규격내에 들어가는 완전히 접혀진 상태에서의 도 1의 건축물의 평면도,
도 6a는 도 6의 확대도,
도 7은 도 6의 7-7에 따라 도시된 측단면도,
도 7a는 도 7의 확대도,
도 8은 모든 마루판이 조립된 상태에서 도 1의 건축물의 평면도,
도 9는 도 8의 9-9에 따라 도시된 측단면도,
도 10은 완전히 조립된 천장판을 나타낸 도 1의 건축물의 측면도,
도 11은 주름형 벽면이 완전히 펼쳐진 상태의 도 1의 건축물의 평면도,
도 12는 도 11의 12-12에 따라 도시된 측단면도,
도 13은 완전히 조립된 지붕 트러스기부를 나타낸 도 1의 건축물의 측면도,
도 14는 완전히 조립된 상태에서의 경사진 지붕판이 지지되도록 펼쳐진 상태로 트러스가 확장되는 것을 나타낸 도 13의 14-14에 따라 그려진 측단면도,
도 15는 지붕 및 마루판의 벽판이 연결된 부분 확대도,
도 16은 도 1의 건축물의 연결고리가 끼워지는 구석의 확대도.
도 1은 포장된 미조립 상태의 전체적인 이동 간이조립식 건축물(20)을 나타낸다. 건축물(20)은 대체로 다음과 같은 표준규격인 1AA, 1BB, 1CC형의 국제표준규격이나 표준 "고품질" 해상컨테이너와 동등한 크기의 평행육면체의 형태로 정의된다.
컨테이너유 형 길 이ft. in. 폭ft. in. 높 이ft. in.
국제표준규격 1AA 40' - 0" 8' - 0" 8' - 6"
국제표준규격 1BB 29' - 11 1/4" 8' - 0" 8' - 6"
국제표준규격 1CC 19' - 10 1/2" 8' - 0" 8' - 6"
high cube 40' - 0" 8' - 0" 9' - 0"
high cube 40' - 0" 8' - 0" 9' - 6"
수축 또는 접혀진 상태에서, 건축물(20)은 양상단 모서리 지지대(22)과 양상면 모서리 지지대(24), 양하단 모서리 지지대(23), 양하면 모서리 지지대(25)에 의해 그 모서리가 지탱된다. 지지대 22, 23, 24 및 25는 컨테이너크기의 접혀진 상태의 건축물(20)의 상하차 하역작업이 용이하도록 표준컨테이너규격에 따라 배치된, 도 1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모서리 연결부(26)와 볼트로 체결되어 연결되어 있다.
도 16에서와 같이, 모서리 조립연결부(26)는 지게차의 포크날이 삽입될 수 있도록, 또한 같은 방법으로 컨테이너를 수송, 상/하역용 장비에 의해 건축물(20)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규격과 위치가 알맞게 되어있는 구멍(162)에 조립구역(160)이 있다. 모서리 연결조립부(26)는 접혀진 건축물(20)의 구석을 조립하는 방법으로 펼쳐진 삼각부자재가 있다. 모퉁이 부위(164)는 인접한 상단 지지대(22)와 상측단 지지대(24)로 서로 연결되고, 마찬가지로 인접한 하단 지지대(23) 및 하측단 지지대(25)부위를 통하여 (보이지는 않음) 볼트를 끼울 수 있도록 여러 개의 볼트구멍(166)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모서리 연결부품(26)은 표준 국제표준규격나 고품질 해상컨테이너와 같은 방식으로 건축물(20)의 보호 및 취급이 가능하도록 접혀진 건축물(20)에 견고한 형틀을 형성하기 위해, 지지대 22, 23, 24 및 25와 단단히 연결된다.
접혀졌을 때, 건축물(20)은 보강된 상부 즉, 덮개(28) 및 보강된 밑바닥(보이지는 않음), 보강된 양측단 즉, 덮개(30) 그리고 양측면(32)로 구성된다. 밑바닥 면은 물론 덮개 28 및 30, 그리고 표면(32)은 건축물(20)의 내장품을 포함, 항해 중 그 내장물을 보호한다. 덧붙여, 다음에 논의되지만, 표면(32)과 밑바닥 면은 건축물(20)의 내부구조물의 일부로 조립과정의 일부로 펼쳐진다. 검토사항으로, 도 1에 묘사된 바와 같이 미조립 상태에서, 어느 곳이나, 어떤 수단으로도, 컨테이너수송에 맞도록 운반될 수 있다.
컨테이너크기의 건축물(20)은 평판 트럭이나 컨테이너수송용 장비와 같은 육상수송수단에 의한 건축물 조립장소에 도착할 수 있게 된다. 건축물(20)은 컨테이너이동에 알맞은 한 개의 단위로서 어떠한 수송수단으로도 이동할 수 있다. 건축물(20)이 콘크리트바닥이나 땅바닥, 자갈 위를 포함한 다른 바닥위에 세울 수 있는 반면, 마루의 수평조절을 용이하게 하고 밑바닥을 고르게 하기 위해, 여러개의 나사잭이나 기둥(34)을 조정하여 건축물(20)를 세우는 것이 좋다. 가급적이면, 기둥(34) 네 개는 접혀진 컨테이너화된 건축물(20)의 네 곳의 밑쪽에 자리잡는 것이 좋다. 기둥(34) 한쌍이 첫째 마루부문의 외부 모퉁이 끝에 대체로 자리잡은 마루의 확장부위에 매달린 쪽으로 밖에 자리잡고 있다. 기둥(34) 한 쌍이 둘째 마루부문의 외부 모퉁이 끝에 첫째 기둥의 한 쌍으로부터 바깥 쪽으로 자리잡고 있다. 비슷하게 컨테이너 건축물(20)의 다른쪽 면위에, 네 개의 기둥의 추가분이 자리잡는다. 컨테이너화된 건축물(20)은 그 구석에 자리잡은 네 개의 중심 기둥(34)이 자리잡는다.
도 6 및 도 7과 관련하여, 완전히 접혀진 이동식 건축물(20)은 컨테이너화된 건축물(20)의 외부 끝을 의미하는 임시 끝면과 상부 및 측면에 나타난다. 첫 마루부문(36)의 측면(32)은 컨테이너화된 건축물(20)의 외부면을 의미한다. 첫 마루부문(36)은 수직으로 향하게 하고 주 마루부문(38)과 주 지붕부문(56)의 끝에서 바깥쪽에 배치된다.(도 7에 나타남)
건축물(20)을 조립하기 위해, 상하부 모서리 조립부품(26)들은 분리한다. 상단 지지대(22)는 안전하고 순서대로 조립이 용이하도록, 임시로 건축물(20)위에 남겨둔다.
도 2, 도 8 및 도 9와 관련하여, 각 첫 마루면(36)은 경첩(42)에 주 마루면(38)의 양단(40)과 힌지 연결되어 있다. 접혀진 건축물(20)의 외부 측벽을 의미하는, 측면(32)으로 첫 마루면(36)보다 더 낮은 면을 이룬다. 첫 마루면(36)은 주 마루면(38)으로서 동일 평면상에 놓이도록, 화살표(43)방향으로 경첩(42) 부근에서, 수직위치에서 수평위치로, 부위(36)가 90도 각도로 세워진 위치로 이동된다. 두 번째 마루면(44)은 경첩(46)에 의해 인접한 첫 마루면에 힌지 연결된다. 일단 첫 마루부문(36)이 낮추어지면, 외부 끝단(48)은 그 끝에 위치한 한 쌍의 받침대(34)위에 놓인다.
그때 둘째 마루면(44)은 측면으로 뻗어있는 수평위치까지 180도를 돌아 화살표(45)방향으로, 첫 마루면(36)과 똑같은 평면상에 경첩(46) 부근에서 회전된다. 둘째 마루면(44)의 외부끝단(50)은 대부분 끝모서리(50) 근처에 위치한 한 쌍의 외부받침대에 놓이게 된다. 주 마루면(38)의 각 면에 마루면(36)과 (44)를 완전히 펼쳐 세우기 위해 첫째와 둘째 마루면(36)과 (44)의 같은 세트로 주 마루면(38)의 다른 쪽에도 이러한 과정을 되풀이한다. 이리하여, 다 세워졌을 때, 건축물은 서로 매달린 마루면들이 대부분 수평으로 평면상에 즉, 수평면 내에서 건물이 마루위에 조립된다.
도 2 및 도 10과 관련하여, 지붕면의 조립에 대해 논의하면,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첫 지붕면(52)와 둘째 지붕면(54)는 우선적으로 주 지붕면(56)으로부터 수직으로 매달리게 된다. 첫째 및 둘째 지붕면 52와 54는 건축물(20)이 마루면 36과 44에 의해 접혀진 상태에서 유지된다.(도 7 참조) 이번에는, 주 지붕면(56)은 주 마루면(38)의 끝단(60)(도 8)에 인접한 주 마루면(38)에 부착된 한 쌍의 반대편 주 중앙벽에 의해 지지된다. 주 지붕면(56), 두 개의 중앙벽면(58)과 주 마루면(38)은 주 지지대 및 견고한 중앙구조물로 형성된다. 주 지붕면(56)의 옆 모퉁이(62)(도 9)들은 주 지붕면(56)보다 더 낮은 구석에 마련된 경첩(64)에 의하여 첫째 지붕면(52)에 힌지가능하게 붙어있다. 첫째 지붕면(52)은 경첩(64)에 의해 주 지붕면에 의해 지탱된다. 주 지붕면(56)은 주 마루면(38)위에 전반적으로 수평면 공간 내에서 중앙벽(58)에 의해 지탱된다.
건축물(20)의 지붕을 조립하기 위해, 경첩(64) 근처의 수평위치까지 90도 위로 향해 화살표 방향(53)으로 회전되고 첫 지붕면의 끝단(68)과 마루면(36) 양쪽의 입구쪽으로 삽입되는 C-형 지지대(66)에 의해 임시로 지탱된다. 지지대(66)는 둘째 지붕면의 경첩 기능과 벽면의 확장으로 충돌을 피하기 위해 C-형으로 되어 있다. 첫 지붕면(52)은 주 지붕면(56)으로서, 동일한 수평면상에서 첫 마루면(36) 상부의 공간 속에서 수평으로 힌지되어 있다.
다음 둘째 지붕면(54)은 경첩(70) 근처에 회전하여 수평위치로 180도 돌아 외부 화살표(55)방향으로 회전된다. C-형의 임시 지지대(72)의 둘째 장치는 둘째 지붕면(54)의 끝단(74)(도 2)와 마루면(44)의 끝단(75)의 입구 속으로 삽입된다. 둘째 지붕면(54)은 임시 지지대(72)로 둘째 마루면(44) 위에서 지탱되면서 연결된다. 지지대(72)는 조립상태에서 벽면의 확장으로 부딪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지지대(66)으로서, C-형으로 되어있다. 둘째 지붕면(54)는 지붕면 56과 52로, 동일한 평면상에 힌지되어 있다. 비슷하게, 반대편 첫째 지붕면(52)와 둘째 지붕면(54)은 주 지붕면(56)의 다른 쪽으로부터 뻗어있고 첫째 지붕면(52) 및 둘째 지붕면(54)의 첫째 세트로서 같은 방법으로 그 위치에서 펼쳐진다. 이렇게 조립되었을 때, 건축물은 마루면 위에 대부분 수평, 평면상에 상호 연결되어 매달린 지붕면의 공간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제 도 3, 도 6a, 도 11 및 12)와 관련하여, 건축물(20)의 벽의 확장과 조립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 11과 관련하여, 벽은 화살표(78)방향으로 주 마루면(38)으로부터 외부로 벽끝 면(76)을 이동시키므로서 펼쳐진다. 벽끝 면(76)의 끝 모서리(80)는 뒤로 물리면서 경첩(84)에 의하여 둘째 벽체면의 외부 끝과 힌지 연결된다. 다음에는, 첫째 벽면(86)은 경첩(88)에 의한 둘째 벽면(82)의 외부 끝과 경첩(89)에 의한 내부 벽면(58)이 서로 힌지 연결된다.
화살표(78)방향으로 벽끝 면(76)의 이동은 벽면 82와 86이 주 마루면(38)위에 수축된 상태로부터 움직이게 되고 벽끝 면(76)과 중앙 벽면(58)으로서 동일한 평면상에서 수직을 이루어 펼쳐진 상태까지 벽끝 면(76)과 평행을 이루게 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화살표(78)방향으로 벽끝 면(76)의 이동은 화살표(90) 방향으로 경첩(88)과 부착된 모서리 면 82 및 86을 이동하게 된다. 벽끝 면(76)이 외부 끝단(50)(도 2)에 인접한 끝 위치까지 확장될 경우, 모서리 면 82 및 86는 마루면 36, 38 및 44의 끝을 따라 수직벽을 일렬로 형성하도록 동일 수직면에서 수직 정렬로 일정방향으로 나아간다. 펼쳐진 벽 82와 86의 위에 지붕면 52와 54를 잡고 있는, 임시 지지대 66 및 72는 그 때 분리될 수 있으며, 지붕면 52와 54는 벽면 76 82 및 86에 의해 지탱된다. 비슷하게, 주 마루면(38)의 반대편에, 벽면 76, 82 및 86은 확장될 수 있고 벽면 76, 82 및 86이 지붕면 52 및 54를 지지되도록, 임시 지지대 66 및 72는 분리된다. 특히, 도 3을 참조하여, 펼쳐진 위치까지 양측면(38)위에 벽체면 76, 82 및 86이 골풀무처럼(bellows-like) 이동할 수 있도록 묘사되었다.
벽면의 수축과 확장상태 간에 벽면 76, 82 및 86의 골풀무처럼 이동을 쉽게 할 수 있도록, 긴 줄로 나란히 홈이 패인 한 쌍(92)이 마루면 38 36 및 44의 끝단에 (도 3과 도 8) 가까이 평행하여 즉, 앞서의 마루면의 옆 모퉁이와 수직으로 이루어졌다. 도 1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문지방 홈(92)은 벽 끝단(76)의 외부와 인접한 벽면(76)의 낮은 쪽으로부터 밑으로 뻗어있는 호차(94)로 벽면을 이동한다.
도 6a와 관련하여, 벽면 86 및 82의 인근 모서리들은 경첩(88)에 의하여 연결되어 표시된다. 전천후 봉인을 위해, 내부모서리 146과 148은 조립주택안으로 인근 내부 모퉁이를 통하여 누수 및 다른 외부물질의 침투를 최소화하기 위해 벽단 받침대 모서리를 설치하기 위해 대체로 L-형으로 되어있다. 인접한 내부 모퉁이146 및 148의 봉인이 좀 더 쉽도록, L-형 틈막이(보이지는 않음)가 벽면(82)의 내부모퉁이의 일부를 따라 설치한다. 평평한 틈막이(보이지는 않음)는 벽면(86)의 내부 모퉁이(148)의 일부를 따라 놓여진다. 벽면들이 완전히 조립될 경우, 동일 평면상의 정렬로, 일부 틈막이는 이러한 L-형 부재간에 빈틈없는 전천후 봉인을 봉합하기 위해 겹쳐 놓는다. 가급적, 틈막이 부재는 각각 벽면 82와 86의 인근 모퉁이 146과 148의 봉합을 돕기 위해 탄력있는 고무와 같은 구조물로 되어있다. 유사한 틈막이 부재들은 다른 벽 모퉁이의 봉합에 쓰인다.
요약하면, 건축물의 중요한 특성은 건축물의 중앙으로 자리잡은 중앙지지대와 관련이 있으며 주 마루면(38)과 주 지붕면(56), 그리고 주 마루면에 의해 지지되며 주 지붕면을 지지하는 두 개의 중앙 벽면을 포함한다. 특히 심사청구 분야에 있어, 전문용어의 편의상, 두 개의 중앙 벽면은 주 벽면이라고 불리운다. 주 지지대 면들은 모든 잔여 구조물들이 펼쳐있는 곳으로부터 견고한 지지대가 되도록 서로 견고하게 연결되어 있다. 건축물이 조립되었을 때, 수평면상에 서로 힌지 연결된 마루면 및 지붕면과 건축물이 해체되었을 경우, 수직으로 배치되어 쌓아올리는 등, 두 가지의 유사한 그룹에 덧붙여, 본 발명은 또한 대체로 수직으로 벽면에 상호 힌지 연결되어 두 가지 그룹으로 구성된다. 마루면 및 지붕면의 그룹과 비슷하게, 벽면의 그룹은 주 지지대의 각 면위에 첫째 및 둘째 마루면과 지붕면이 어울려 돕도록 주 지지대의 각 면에 자리잡고 있다. 주 지지대 한쪽 위에 벽면은 서로 가로질러 배치된 끝 벽면(76) 및 두 개의 첫 벽면(86), 두 개의 둘째 벽면(82)들로 구성된다. 첫째 및 둘째 벽면은 마루면의 인근 반대편 끝에서, 서로 힌지 연결되어 양 단과 주 벽면(58)에 힌지 연결되고 하단까지 각각 비슷하게 끝 벽면(76) 반대쪽 면과 인접하여 있다. 적어도 첫째, 둘째 및 끝 벽면 중의 하나는 수축 및 확장상태간의 벽면 이동으로서, 마루면에 의하여 지지되고 안내된다. 덧붙여, 벽면의 상단은 서로 뻗어있는 지붕면을 지지하도록 각각 동일 평면상에 전반적으로 걸쳐서 있다. 분명히, 벽면의 상단들은 주 지지대의 주 지붕면의 더 낮은 표면상에 대부분 동일 평면상에 있다.
청구범위의 용어는 편의상, 주 지지대의 한쪽 면에 위치하여 주 지붕면과 주 마루면에 직접 힌지된 특정 지붕면과 마루면은 각각, "첫 지붕면과 첫 마루면"이라고 칭하고, 반대편 주 지지대의 한쪽 면에 위치하여 주 지붕면과 주 마루면에 직접 힌지된 특정 지붕면과 마루면은 각각, "추가 첫 지붕면과 추가 첫 마루면"이라고 칭한다.
경사진 지붕의 조립에 대해, 도 4, 도 13 및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지붕면 52, 54 및 56은 기초 천장부재 96와 98 및 외부 지붕부재(100)으로 구성된다. 트러스(98)는 천장들보(112)에 트러스(98)을 연결한 트러스경첩(102)에 기초 천장부재(96)를 연결하여 매단다. 트러스(98)은 해상수송을 위해 수축된 상태에서 기초 천장부재(96)에 대해 평평하게 놓여 포개어져 있다. 수축된 상태에서, 트러스(98)는 기초 천장부재(96)와 외부 지붕부재(100) ; 평행면으로 정의되는 지붕부재(100)와 기초 천장부재(96) 사이에 삽입되어져 있다. 외부 지붕부재(100)의 인근 낮은 부문은 지붕면 52, 54 및 56의 끝 모퉁이 평면과 나란히 지붕부재 경첩 축 근처의 지붕부재(100)의 매달린 회전운동을 위한 기초 천장부재(96)의 끝을 따라 뻗어있는 끝 대들보(104)까지 경첩(101)에 의해 힌지된 있다. 지붕부재의 경첩은 트러스경첩과 수직으로 위치한 것을 볼 수 있다.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외부 지붕부재(100)는 보통 외부 지붕부재에 힌지된 뻗어있는 골이진 평행선으로 얇은 골이진 박판으로 형성되어 있다. 외부 지붕부재가 접혀져 수평을 이룰 때 건축물의 반대편에 외부 지붕부재의 멀리 떨어져 놓여있는 최소공간을 점유하도록 건축물의 한쪽 면에 외부 지붕부재가 멀리 떨어져 있을 수 있도록, 건축물의 한쪽 면의 함석이 건축물 반대편에 "조화를 이루어" 자리 잡는다.
건축물(20)에 트러스를 세우고 경사진 지붕을 만들기 위해, 지붕부재(100)은 경첩(101) 부근에 화살표(106)방향으로 위로 우선하여 회전되어야 한다. 천장기부(96)의 외부 끝단에 연결되어 매달린, 박공벽(108)은 도 4와 도 13에 묘사된 바와 같이 수평상태에서 수직상태로 향해 화살표(110)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트러스(98)는 화살표(99)방향에서 세워진 수직방향으로 90도 각도로 접혀진 수평위치로부터 도 13 및 도 15의 경첩(102)으로 회전된다. 수직위치에서, 트러스(98)는 지붕면 52, 54 및 56의 끝단 간에 천장기부(96)를 따라 세로로 뻗어 있는 천장들보(112)를 지탱한다. 접혀진 위치에서, 들보(112)는 트러스(98)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일단, 모든 트러스(98)가 세워진 위치에서 수직으로 회전될 때, 지붕부재(100)는 트러스(98)의 상현(114)에 낮게 놓여진다. 상현(114)이 정점(116)과 끝 들보(104)사이에 경사지어 있으므로, 지붕면은 지붕면 52, 54 및 56의 정점에서 외부끝단 아래쪽으로 비스듬이 경사지게 된다. 이는 외부 지붕부재(100)위에 물이나 눈등, 물체들이 떨어지기 쉽게 하도록하기 위해 경사진 지붕을 형성한다.
첨부된 도 15는 외부지붕부재 및 트러스, 벽체부문의 연결부위를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외부 지붕부재(100)는 경첩(101)에 의하여 지붕면(52) 천장기부(96)의 끝단 들보(104)에 절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외부 지붕부재(100)는 수축 및 확장 상태에 사이에서(외부점선으로 보임) 절첩된다. 트러스(98)는 외부 지붕부재(l00)의 위치를 지지하도록 세워지고 점선부분은 수축위치에서의 모습이 보인다.
요약하여, 천장기부(96)과 트러스(98), 외부 지붕부재(100)는 수축된 상태에서 조립할 수 있고 최소한 적어도 천장기부와 관련한 회전을 위해 매달린 한쌍의 트러스와, 적어도 천장기부의 끝과 연결되어 매달린 낮은 끝단이 있는 외부 지붕부재로서, 접는 지붕방식을 갖추고 있다. 트러스는 그 끝단으로부터 천장기부를 가로질러 전반적으로 뻗어질 수 있도록, 서로 평행하여 위치하고 있다. 트러스는 천장기부로부터 상부로 뻗어 있는 곳까지 뻗힐 수 있도록, 천장기부와 평행하여 가까이 놓여 있는 수축된 위치로부터 트러스의 회전을 가능토록 기부와 연결되어 힌지되어 있다. 각각의 트러스는 적어도 경사진 상현을 한 개씩 가지고 있다. 외부 지붕부재는 앞서 천장기부의 끝에 절첩가능하게 결합되어, 전반적으로 낮은 끝단에 인접하여, 그 중심 부위에 위치해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지붕시스템이 수축될 때, 외부 지붕부재는 전반적으로 천장기부판과 평행하여 있고, 트러스는 다른 지붕부재와 천장기부간 중간에 위치하여 수축된 상태에 있다. 지붕시스템이 조립되었을 경우, 트러스는 펼쳐진 위치에서 회전되고, 외부 지붕부재는 천장기부에 대해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도록 트러스의 경사진 상현에 의해 지지되도록 회전된다.
도 4에서 묘사된 바와 같이, 벽면 82와 86은 사용에 알맞도록 창문 120과 122를 포함하고 있다. 도 1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접혀진 지붕면 52와 54 및 접혀진 마루면 36과 44에 의해서 뿐 아니라 벽 끝단(76)에 의해 손상을 막을 수 있다.
조립시, 지붕의 트러스 구역으로의 누수 및 여타 물질의 유입을 막기 위해,세로 지붕 꼭대기(124)( 도 5 및 14)가 발판(116)이 놓일 수 있도록 인근의 말단부분이나 지붕의 상부(100)를 조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트러스는 기 묘사된 방법으로 해체/조립될 수 있도록 각 지붕면 52, 54 및 56 내에 전반적으로 놓인 방향으로 되어 있다. 이는 트러스(98)가 지붕면 52, 54 또는 56 내에 전반적으로 놓일 수 있도록 한다.
국제표준규격의 컨테이너 1AA, 1BB 또는 1CC 등급 이내에 알맞는 접혀진 크기를 마련할 수 있도록, 지붕면 52와 54가 약 90인치정도의 폭을 가지고 있다. 지붕면(52)의 폭은 경첩(64)과 경첩(70)간의 거리이다. 지붕면(54)의 폭은 경첩(70)과 반대편 끝단(54) 사이의 거리이다. 이는 주 마루면(38)과 접촉되는 지붕면52와 54가 없이 경첩(64)에 주 지붕면(56)으로부터 지붕면 52와 54의 수직확장을 가능케 한다. 또한, 만약 트러스의 높이가 즉, 천장들보(112)와 꼭대기(116) 사이의 거리가 약 30인치라면, 3개의 트러스는 각 지붕면 52와 54 이내에 알맞게 된다.
비슷하게, 만약 주 지붕면(56)이 약 60인치 폭(즉, 주 지붕면(56)의 각 면에 경첩(64) 사이의 거리)이라면, 이때 정확히 두 개의 30인치 트러스는 트러스가 접혀졌을 때, 주 천장판 내에 알맞게 된다. 주 지붕면(56)의 중앙에 지지대를 마련하기 위하여, 지붕면(56)은 수축상태에서 트러스(98)에 겹쳐있는 중앙 트러스(111)를 포함할 수 있다.
트러스의 확장상태에서, 지붕의 경사도는 지붕면 52, 54 및 56의 길이에 따라 다르다. 1CC 등급의 컨테이너 크기의 이동식 건축물(20)을 예로 들면, 지붕면52, 54 및 56은 각각 약 20인치이다. 30인치의 트러스는 네 개의 경사면에 한 개를 마련한다.
요약하여, 도 7과 도 7a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건축물이 접혀졌을 때, 마루면과 벽면, 지붕면에 여러개가 서로 힌지 연결되어 최소한의 크기로 차지하도록 서로 빼곡이 쌓고 전반적으로 수직으로 자리잡고 있다. 주 마루면(38)은 컨테이너와 같은 육각면체의 밑바닥과 주 마루면(36)의 통상 내부면(즉, 더 낮은)과 통상 표면에 한정되고 추가 첫 마루면(36)은 컨테이너의 반대편 면에 한정된다. 그러므로, 첫 마루면(36)의 통상적인 내부표면(즉, 상부 마무리 마루표면)은 건축물이 접혀졌을 때 보호된다. 덧붙여, 첫째 마루면(36)과 둘째 마루면(44)의 내부 마감은 건축물이 접혀졌을 때 서로 마주 보게 된다. 비슷하게, 첫째 지붕면(52) 및 둘째 지붕면(54)의 일반적인 내부면(천장마감재에 밑으로 향한)은 또한 건축물이 접혀졌을 때 서로 마주 본다. 따라서, 더렵혀지는 마루표면은 서로 접촉되고, 항상 비교적 깨끗한 천장면은 서로 맞닿게 되어, 내부마루와 천장간에 확실한 분리로, 상호간의 더렵혀짐을 막을 수있다. 각 면은 재래식 설비를 사용하는 컨테이너의 통상적인 보관과 취급의 상호 방해를 최소화하도록 반드시 차단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고 또한 알려져 있다. 첫째와 둘째, 그리고 마지막 벽면의 각각(86, 82, 76)은 주 지붕면과 주 마루면, 각각이 더욱 가까이 있는 상단과 하단을 가지고 있다. 아울러 주 지지대의 각 면의 첫 벽면은 주 벽면에 가까이 있다. 즉 주지지대의 각 면에 있는 중앙 벽면(58)인 것이다. 다수의 지붕면은 주 지지대의 각 면에 벽면과 마루면 간에 삽입될 수 있도록, 주 벽면으로부터 떨어진 다수의 벽면의 한쪽에 소재해 있다. 주 마루면(38)의 첫째 및 둘째 끝단(40)간의 거리는 주 지붕면(56)의 첫째 및 둘째 끝단(62)간의 거리보다 더 크다. 실제로 주 마루면의 첫째 및 둘째 끝단 간의 거리와 주 지붕면의 첫째 및 둘째 끝단 사이의 거리와의 차이는 둘째 지붕면(44)과 첫째 지붕면(52)의 두께의 두배보다 더 크거나 같다.
선택적인 지지대면(130)은 두 개의 중앙 벽면(58)과 주 마루면(38), 주 지붕면(56)에 의해 형성된 주 지지대를 더욱 단단하게 보강하기 위해 주 지붕면(56)과 중앙 벽면(58), 주 마루면이 서로 연결된다. 선택적 지지대면(130)은 중앙 벽면(58)과 수직으로 되어 있다.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접혀져 있을 경우, 벽면(86)과 주 지지대면(130), 중앙 벽면(58)은 접혀진 건축물(20)의 중앙 면에 있는 중앙 지지대에 구멍(132)이 나있다. 구멍(132)은 수송용 건축물(20)의 각종 부품들을 저장하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면, 사전 마감 내부 칸막이들은 내부 벽체조립을 용이하게 하도록 되어있다. 또한 구멍부위(132)는 한 컨테이너 크기의 접은 건축물에 모든 필요한 부품들을 넣어 반드시 자체 포장 건축물이 되도록, 다락방이나 전기부품, 가정용품등을 위해 가구나 설비, 배관부품, 온방기구, 절연물질등을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지지대면(130)은 구멍(132)내에 연결되어 달려 있는 배관 및 전기장치에 맞도록 되어 있다.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선택될 수 있는 대안으로서, 지지대(22)의 끝단의 상부에 그 접혀진 수직위치에서 그 펼쳐진 수평위치까지 마루면 44와 36 및 지붕면 52와 54의 이동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멍을 볼트로 조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볼트구멍은 벽면 82, 86 및 76의 골풀무 확장과 같은 조절용으로 또한 사용된다. 외부구멍(보이지는 않음)은 마루면 36과 44의 이동을 조절한다. 외부구멍(보이지 않음)에 삽입된 볼트는 그 수직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마루면 36과 44을 고정시킨다. 외부구멍으로부터 볼트를 제거하려면, 마루면 36과 44는 도 9에서 가장 잘 묘사된 바와 같이, 수평위치로 경첩(42)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된다.
알맞은 구멍에 삽입된 볼트(보이지 않음)는 도 10에서 묘사된 바와 같이, 평행한 평면배열에서 서로 인접한 접혀진 상태에서 벽면 82, 86 및 76을 고정시킨다. 만약 볼트가 내부구멍이 아닌, 외부구멍으로부터 분리된다면, 마루면 36과 44의 조립조정이 부주의한 벽면 82, 86 및 76의 개구와 확장으로부터 간섭없이, 일어날 수 있다. 또한, 무게가 수직으로 접혀져 배열된 지붕면 52와 54를 지탱한다. 수평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지붕면 52와 54를 고정시키기 위해 임시 지지대 66과 72의 삽입으로 도 10에서 묘사된 바와 같이, 지붕면 52와 54가 펼쳐진 상태로 회전된 후에, 볼트는 도 11과 도 12에서 묘사된 바와 같이, 펼쳐진 상태로 벽면 82, 86 및 76의 골풀무와 같이 확장될 수 있도록 내부구멍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마루면 36와 44 그리고 벽면 82, 86와 76는 다른 부품의 간섭없이, 통제된 안전한 방법으로 시행될 수 있다.
도 5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원하면, 마루면 36, 38 및 44 사이에 마루밑의 좁은 공간이 가장자리의 면(126)에 의해 덮혀진다. 또한, 계단(128)은 건축물(20)의 출입을 편하게 할 수 있도록 인근에 현관문(122)이 자리잡고 있다.

Claims (31)

  1. (a)상호 견고히 연결되고, 주 마루면과 주 지붕면 및 상기 주 마루면에 의해 지지되고 주 지붕면을 지지하는 주 벽면으로 구성된 주 지지대,
    (b)주 마루면에 서로 힌지 연결된 첫째 마루면을 포함하고, 전체적으로 수평면을 이루며 상호 힌지 연결된 다수의 마루면,
    (c)주 지붕면에 서로 힌지 연결된 첫 지붕면을 포함하고, 전체적으로 수평면을 이루며 상호 힌지 연결된 마루면 위의 다수의 지붕면, 및
    (d)끝 벽면에 상태하여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횡단물을 포함하는 서로 힌지 연결된 다수의 수직 벽면, 마루면의 반대쪽에 단부에 인접하여 위치 하고, 골풀무 형태로 연결되도록 각각의 끝 벽면과 주벽면이 서로 힌지 연결된 반대쪽 옆 모퉁이와 서로 다른 것에 힌지 연결된 인접 옆 모퉁이를 갖는 두 개의 첫 벽면과 두 개의 둘째 벽면을 포함하고,
    첫째, 둘째 또는 끝 벽면의 최소한 한 개는 벽면이 수축 상태 및 확장 상태 간에 이동할 때 마루면에 의해 지지및 인도되고,
    벽면의 상단은 그들 사이에 펼쳐진 지붕면을 지지하도록 전체적으로 상호간 평면을 이루고 주 지지대의 주 지붕면의 하부면과 전체적으로 평면을 이루며,
    상기 지붕면은
    (ⅰ) 벽면에 의해 지지되는 최소 한 개의 천장기부 ;
    (ⅱ) 상기 천장기부에 호응하여 각각의 회전축에 대하여 외부 지붕부재의 회전을 위한 천장기부의 양 끝단과 각각 힌지 연결된 한쌍의 외부 지붕부재 ; 및
    (ⅲ) 그 양편 끝단으로부터 천장기부를 가로 질러 전체적으로 뻗어 서로 평행으로 상태하고, 천장기부로부터 수직으로 뻗어있는 펼쳐진 상태가 되게 전체적으로 천장기부에 평행으로 인접하여 놓여있는 곳으로 수축된 상태로부터 트러스의 회전을 가능하도록 천장기부와 회전가능하게 힌지되고, 각각이 꼭대기에 이르는 경사진 상현을 갖고, 수축된 상태일 때 외부 지붕부재와 천장기부 사이에 전체적으로 수평으로 놓여 있으며, 펼쳐진 상태일 때 상기 상현 위에 외부 지붕부재가 얹혀지는 다수의 트러스를 더 포함하는 건축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 벽면이 일정한 거리를 두고 마주보고 있는 한 쌍의 중앙벽면을 포함하고, 주 지붕면의 저면은 중앙 벽면으로부터 수직으로 펼쳐져 있는 건축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 지붕면이 주 마루면의 위에 배치되어 있고, 중앙 벽면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다수의 지붕면이 동일 평면상에 있으며, 첫째 지붕면에 힌지 연결된 첫째 옆 모퉁이를 갖는 건축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 지붕면이 첫째 옆 모퉁이의 반대편에 상태되고 첫째 지붕면으로부터 상기 건축물의 반대편 면의 다수의 지붕면의 추가 첫째 지붕면에 힌지 연결된 둘째 옆 모퉁이를 갖는 건축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 지붕면이 다수의 마루면과 동일 평면상에 자리잡고 중앙 벽면에 연결되고 지지되는 건축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첫째 마루면이 주 마루면에 힌지 연결된 한 모통이를 갖고, 다수의 마루면의 둘째 마루면은 첫 마루면의 반대편 옆 모퉁이에 힌지 연결되어 있는 건축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주 마루면이 첫 마루면에 힌지 연결된 첫째 옆 모퉁이를 갖는 건축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주 마루면이 첫째 옆 모퉁이 반대편에 첫째 마루면으로부터 건축물의 반대편에 상태한 다수의 마루면의 추가 첫 마루면에 힌지 연결된 둘째 옆 모퉁이를 갖는 건축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주 마루면의 첫째 및 둘째 옆 모퉁이간의 거리가 주 지붕면의 첫째 및 둘째 옆 모퉁이간의 거리보다 더 큰 건축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주 마루면의 첫째 및 둘째 옆 모퉁이간에 거리와 주 지붕면의 첫째 및 둘째 옆 모퉁이간의 거리의 차이는 첫 지붕면에 추가한 둘째 마루면의 두배의 두께보다 크거나 같은 건축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다수의 마루면이 각각의 마루면의 옆 모퉁이에 수직으로 뻗어 세로로 파진 홈을 갖고, 끝 벽면은 끝 벽면의 하부 옆 모퉁이로부터 뻗어 연장되어 끝 벽면이 수축 상태와 연장 상태 간에 이동될 때 끝 벽면을 인도하는 홈 안에서 움직이는 연장부분을 포함하는 건축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마루면이 각각 마루면의 옆 모퉁이에서 수직으로 연장된 한 쌍의 세로 홈을 갖고, 상기 한 쌍의 연장부분이 끝 벽면의 하부 모퉁이의 반대편 면으로부터 뻗어있고, 상기 연장부분이 벽면이 그 수축 상태와 확장 상태 간에 이동될 때 상기 벽면을 인도하기 위해 홈 내에서 이동되도록 제한하는 건축물.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트러스들이 지붕면의 외주면 안쪽에 제한되어 있는 건축물.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지붕부재가 천장기부의 모퉁이들 사이의 거리의 1.5배 보다 더 큰 거리로 천장기부의 반대편 모퉁이를 향하여 천장기부의 각 모퉁이로부터 뻗어 있고, 상기 각 지붕면의 외부 지붕부재의 단부는 수축 상태에서 서로 겹쳐 놓여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외부 지붕부재의 단부는 트러스가 펼쳐진 상태에서 외부 지붕부재가 트러스의 상현에 의해 지탱될 때 서로 맞닿는 건축물.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지붕부재들의 인접한 모퉁이에 인접한 모퉁이를 따라 전천후 봉인을 하도록 연장된 꼭지덮개부재를 더 포함하는 건축물.
  16. 제1항에 있어서, 수축 및 확장 상태간에 벽면이 이동할 때 마루면 위에서 놓여 수평으로 상기 지붕면을 임시로 지탱하도록 하기 위해 지붕면과 마루면 사이에 수직으로 연결된 다수의 C-형 임시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건축물.
  17. (a)전체적으로 수평으로 지지되고 모퉁이를 갖는 개조된 천장기부,
    (b)상기 모퉁이로부터 천장기부를 가로질러 전체적으로 뻗어 있도록 서로간에 평행하여 배치되고, 천장기부로부터 위쪽으로 뻗어가는 상태로 확장할 수 있도록 천장기부에 전체적으로 평행하게 인접하여 놓여진 수축된 상태의 트러스를 회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천장기부에 호응하여 회전되도록 힌지된 다수의 트러스, 및
    (c)지붕시스템이 수축되었을 때 외부 지붕부재가 전반적으로 천장기부와 평행하고 트러스가 외부 지붕부재와 천장기부 사이에 삽입되어 수축된 상태에 있도록하고, 지붕시스템이 조립되었을 때는 트러스들이 펼쳐진 상태에서 회전되고, 외부 지붕부재는 천장기부에 경사지어 기울어지도록, 트러스의 상현에 의해 지지되며 회전되게 하기 위해 상기 천장기부의 옆 모퉁이에 힌지 연결된 인접부분을 갖는 외부 지붕부재를 포함하는 수축된 상태에서 조립될 수 있는 구조적의 접을 수 있는 지붕시스템.
  18. (a)전체적으로 수평으로 지지될 수 있고 각 단부에 모퉁이를 갖는 최소한 한 개의 천장기부,
    (b)천정기부에 힌지 연결되고, 각각의 모퉁이들 사이에 각각의 천정기부를 가로 질러 전체적으로 뻗어 있도록 서로 평행하여 위치하고, 천정기부로부터 위쪽으로 뻗어가는 상태로 확장할 수 있도록 인접하고 천정기부에 전체적으로 평행하여 인접한 수축된 상태에서 트러스의 회전을 가능토록 천정기부와 힌지 연결된 다수의 트러스, 및
    (c)지붕시스탬이 수축될 때 외부 지붕부재는 지붕기부에 평행한 상태가 되고, 트러스는 외부 지붕부재와 각 천장기부 사이에 삽입되어 접혀진 상태에 있고, 서로 겹쳐진 외부 지붕부재의 각각의 쌍은 중앙에 위치하도록 하며, 각각의 천장기부에 경사가 형성되어 있고, 지붕의 각각의 최상단이 인접되어 외부 지붕부재의 각각의 쌍에 중앙부분을 갖고 있어서 지붕시스템이 조립될 때 트러스는 확장 상태로 회전되고 외부 지붕부재의 특정한 한 쌍의 외부 지붕부재는 트러스의 상현에 의해 지탱될 수 있도록 회전되는 최소한 한 쌍의 외부 지붕부재를 포함하는 수축된 상태에서 조립될 수 있는 구조적의 접을 수 있는 지붕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각 트러스는 적어도 한 개의 경사진 상현을 갖는 지붕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a)상기 각 트러스는 한 쌍의 경사진 상현을 갖고
    (b)각 트러스의 경사진 상현은 꼭대기에서 만나고,
    (c)세로축의 꼭지덮개가 각 트러스의 정점을 덮기 위한 외부 지붕부재의 인접한 단부를 따라 뻗어 연결되어 있는 지붕시스템.
  21. 제17항에 있어서,
    (a)상기 트러스는 천장기부에 대하여 회전되기 위해 트러스 경첩 근처에 힌지 연결되어 있고,
    (b)상기 외부 지붕부재는 트러스 경첩에 수직으로 상태한 지붕부재 경첩 근처에 회전되도록 힌지되어진 지붕시스템.
  22. 제18항에 있어서,
    (a)상기 트러스는 각각 트러스 경첩 근처의 천장기부에 대해 회전되도록 힌지되어 있고,
    (b)상기 외부 지붕부재는 트러스 경첩에 수직으로 상태한 각 지붕기부 경첩 근처에 회전되도록 힌지되어진 지붕시스템.
  23. 조립시,
    (a)주 마루면에 의해 지지되고 주 지붕면을 지지하는 주 벽면, 서로 견고하게 연결된 면으로 평행육면체의 상자형의 컨테이너의 밑바닥을 경계로 하는 주 마루면 및 주 지붕면을 포함하는 주 지지대,
    (b)주 마루면에 서로 힌지 연결된 첫째 마루면을 포함하고, 기본적으로 일측이 막힌 상자형의 컨테이너의 한 면을 한정하는 주 마루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된 전체적으로 서로 수직으로 힌지 연결된 다수의 마루면,
    (c)끝 벽면을 가로지르는 최소 한 개의 벽면, 각각에 대하여 골풀무형으로 연결된 형상을 갖도록 하기 위해 서로 힌지 연결된 인접 모퉁이와 주 벽면을 갖고 끝 벽면이 힌지 연결된 양 단부 모퉁이를 갖는 두 개의 첫째 벽면 및 두 개의 둘째 벽면을 포함하고, 상기 첫째, 둘째 및 끝 벽면은 각각 주 지붕면과 주 마루면에 인접하여 면접된 상부 및 하부 모퉁이를 갖고, 첫째 벽면은 주벽면에 인접하여 면접되어 있는 전체적으로 서로 수직으로 힌지 연결된 다수의 벽면, 및
    (d)벽면과 마루면 사이에 삽입되도록 주 벽면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다수의 벽면의 일측에 위치하고, 주 지붕면과 서로 힌지 연결된 첫째 지붕면을 포함하는 전체적으로 서로 수직으로 힌지 연결된 다수의 지붕면을 포함하는 조립/이동식 건축물.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의 규격과 취급 특성이 국제표준화규격의 1AA, 1BB, 1CC 등급이나 "고품질" 컨테이너에 적합한 건축물.
  25. 제23항에 있어서,
    (a)전체적으로 수직으로 서로 힌지 연결된 다수의 벽면이 주 지지대의 반대측에, 가로질러 위치한 추가적인 끝 벽면, 첫째 및 둘째 벽을 포함하고, 첫째 및 둘째 벽면이 골풀무 형태로 연결된 끝 벽면과 주 벽면 반대측에 힌지 연결된 반대편 모퉁이와 서로 힌지 연결된 인접 모퉁이를 갖고, 상기 추가적인 벽면이 각각 주 지붕면과 주 마루면에 인접하여 면접된 상부 및 하부 모퉁이를 갖고, 상기 추가적인 첫째 벽면은 주벽면의 각 면에 위치한 일단의 그룹처럼, 서로 연결된 벽면의 두 개의 분리된 그룹을 제공할 수 있도록 주 벽면의 반대편에 인접하여 면접되고,
    (b)전체적으로 수직으로 서로 힌지 연결된 다수의 지붕면이 주 지지대의 반대측에,
    주 벽면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두 개 그룹의 벽면의 각 외측에 자리잡은 그러한 그룹으로서, 서로 연결된 지붕면의 두 개의 그룹을 제공하도록 주 지붕면의 반대편에 서로 힌지 연결된 추가적인 첫째 지붕면을 포함하는 서로 연결된 추가적인 지붕면을 포함하고, 그리고
    (c)서로 힌지 연결된 다수의 마루면은, 주 지지대의 반대편에, 주벽면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두 개의 지붕면 그룹의 각 외부 면위에 상태한 한 개의 그룹과 같은, 서로 연결된 마루의 두 개의 그룹을 준비하기 위해 주 마루면의 반대편에 서로 힌지 연결된 추가적인 첫째 마루면을 포함하는 서로 연결된 추가적인 마루면을 포함하여 마루면의 두 개 그룹은 두 개 그룹의 지붕면의 외부로 자리잡게 되고, 지붕면은 주 벽면의 각 옆에 자리잡게 되고 주 벽면의 한쪽에 위치한 벽면과 마루면 사이에 배치되며, 첫째 마루면과 추가적인 첫째 마루면은 근본적으로 막혀진 면으로서, 상자형의 컨테이너의 반대면을 한정하는 건축물.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면이
    (a)최소 한 개 이상의 천장기부,
    (b)상기 천장기부에 호응하여 회전축에 대하여 외부 지붕부재의 회전을 위해 천장기부의 모퉁이에 힌지 연결된 외부 지붕부재, 그리고
    (c)반대편 모퉁이간에 전체적으로 천장기부를 가로 질러 펼쳐져 서로 다른것에 평행하게 상태하고, 천장기부에 대하여 확장 상태와 수축 상태 사이에서 회전을 위해 힌지된 다수의 트러스를 포함하여
    지붕면이 수축시, 트러스가 각각의 외부 지붕부재와 천장기부 사이에 자리잡게 되는 건축물.
  27. 제26항에 있어서,
    (a)상기 트러스는 트러스 경첩 근처의 천장기부와 연결되어 회전되도록 힌지되고,
    (b)상기 외부 지붕부재는 트러스 경첩에 수직으로 자리잡은 지붕기부 경첩의 근처에 회전되도록 힌지된 건축물.
  28.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면이
    (a)각각의 반대편에 상태한 모퉁이들을 갖는 지붕기부에 서로 힌지 연결된 다수개와,
    (b)각각 상기 천장기부에 힌지 연결되고, 각각의 모퉁이간에 각각의 천장기부를 가로질러 전체적으로 펼쳐지도록 서로 평행하여 상태해 있고, 각각의 천장기부에 연결된 확장 및 수축 상태 사이에서 회전되도록 힌지된 다수의 트러스, 및
    (c)각 천장기부의 맞은편 모퉁이에 힌지 연결된 인접 부분을 갖는 다수의 외부 지붕부재의 쌍을 포함하여
    지붕면이 수축시, 트러스는 각각의 외부지붕기부와 각각의 천장기부 사이에 자리잡게 되는 건축물.
  29. 제28항에 있어서,
    (a)상기 트러스는 각각의 트러스 경첩에 의해 천장기부에 대하여 회전되게 힌지되어 있고,
    (b)상기 외부 지붕부재는 트러스 경첩들에 대해 수직으로 자리잡은 각각의 지붕기부 경첩에 대하여 회전되도록 힌지된 건축물.
  30. 제23항에 있어서, 첫 마루면은 건축물이 접혀져 있을 경우 내부면을 보호할 수 있도록, 건축물 조립시 제각각 상하로 면해 있고, 건축물이 접혀져 있을 경우에는 제각각 내외부로 면하게 표준 내부면과 맞은 편으로 표준 외부면을 갖는 건축물.
  31. 제30항에 있어서,
    (a)상기 다수의 마루면들이 표준 내부면과 맞은 편으로 표준 외부면을 갖고 첫 마루면에 힌지 연결된 둘째 마루면을 포함하고, 건축물 조립되었을 때에는 제각기 상하로 향하고, 건축물을 접을 때에는 내외부로 향하도록 되어있어, 건축물을 접을 경우 첫째 및 둘째 마루면의 내부면이 서로가 마주보게 되고,
    (b)상기 다수의 지붕면들이 첫째 지붕면에 서로 힌지 연결된 둘째 지붕면을 포함하고, 상기 첫째 및 둘째 지붕면은 건축물을 조립시에는 아래쪽으로 면하고, 건축물을 접을 경우에는 서로 마주보게 되는 표준 내부 천장면을 가지므로 그들 사이가 더렵혀지는 것을 감소시키는 내부 마루와 천장 표면 간에 확실히 격리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건축물.
KR10-1999-7000230A 1999-01-14 1996-07-15 이동조립식 건축물 KR100391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7000230A KR100391111B1 (ko) 1999-01-14 1996-07-15 이동조립식 건축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7000230A KR100391111B1 (ko) 1999-01-14 1996-07-15 이동조립식 건축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3764A true KR20000023764A (ko) 2000-04-25
KR100391111B1 KR100391111B1 (ko) 2003-07-12

Family

ID=19635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0230A KR100391111B1 (ko) 1999-01-14 1996-07-15 이동조립식 건축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11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857Y1 (ko) * 2016-05-10 2017-11-03 강문형 컨테이너 하우스용 수평조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4980B1 (ko) 2012-07-30 2013-08-08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재해지역을 위한 이동가능한 박스 형태의 간이 병동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857Y1 (ko) * 2016-05-10 2017-11-03 강문형 컨테이너 하우스용 수평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91111B1 (ko) 2003-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63456C (en) Foldable portable building
US3832956A (en) Relocatable building module and shipping crate
US5966956A (en) Portable refrigerated storage unit
US5950373A (en) Transportable structure kit
US5706615A (en) Modular structure
CA2135619C (en) A foldable container
CN1065309C (zh) 可折叠的集装箱式轻便遮棚
KR870000727B1 (ko) 이동식 조립형 건물
US9611637B2 (en) Prefabricated foldable building module
US8286391B2 (en) Portable building
US8943759B2 (en) Dual-side unfoldable building modules
US20100018130A1 (en) Collapsible Buildings And Building Modules
IE60765B1 (en) Transportable construction element in the form of a container
US20070084135A1 (en) Construction system for steel-frame buildings
WO1993020297A1 (en) Portable shelter
US6058660A (en) Portable garage
KR20000023764A (ko) 이동조립식 건축물
JP2587646B2 (ja) 移動建物
US20240133197A1 (en) Modular Box Structure
GB2160239A (en) Building system
AU2006264218A1 (en) Collapsible buildings and building modules
NZ622163B2 (en) Rapid deployment modular structures
MXPA99003130A (en) A transportable structure k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