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1538A - 비디오 카메라의 자동 초점 시스템 - Google Patents

비디오 카메라의 자동 초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1538A
KR20000021538A KR1019980040689A KR19980040689A KR20000021538A KR 20000021538 A KR20000021538 A KR 20000021538A KR 1019980040689 A KR1019980040689 A KR 1019980040689A KR 19980040689 A KR19980040689 A KR 19980040689A KR 20000021538 A KR20000021538 A KR 200000215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cus
high frequency
video camera
pixel
analo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0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광덕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80040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21538A/ko
Publication of KR20000021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153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Abstract

본 발명은 비디오 카메라가 피사체를 촬영하여 얻은 영상 정보 중 휘도 신호의 고주파 성분이 커지도록 하여 비디오 카메라의 초점을 자동으로 조정하는 비디오 카메라의 자동 초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존에 사용하던 별도의 광학계를 제거하는 대신 비디오 카메라가 피사체를 촬영하여 얻은 영상 정보 중 각 화소의 휘도 신호의 고주파 성분을 하드웨어적으로 추출하고, 추출한 고주파 성분을 이용하여 비디오 카메라의 초점을 자동으로 조정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각 화소의 휘도 신호의 고주파 성분을 추출하는 동시에 그 화소가 에지인가를 판단한 후 에지인 화소의 고주파 성분만 누적하여 그 누적 데이터를 포커스 렌즈의 초점을 맞추기 위한 판단 근거로 사용함으로써 자동 초점 조절 기능의 정확도가 매우 높아지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별도의 광학계를 구비한 종래의 자동 초점 시스템보다 그 구조가 단순화되어 소형 및 경량화될 수 있고, 제품의 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에지인 화소의 고주파 성분만 누적하여 그 누적 데이터를 포커스 렌즈의 초점을 맞추기 위한 판단 근거로 사용하기 때문에 보다 정확하게 비디오 카메라의 초점을 맞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비디오 카메라의 자동 초점 시스템(An automatic focus system of a video camera)
본 발명은 비디오 카메라의 자동 초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비디오 카메라가 피사체를 촬영하여 얻은 영상 정보 중 휘도 신호의 고주파 성분이 커지도록 하여 비디오 카메라의 초점을 자동으로 조정하는 비디오 카메라의 자동 초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디오 카메라에서 자동 초점(automatic focus) 조절 기능은 카메라계의 촬상면에 피사체의 상이 정확하게 맺히도록 하는 비디오 카메라 제어 기술 중 하나이다.
종래에는 비디오 카메라의 초점을 자동으로 맞추기 위하여 외부에 적외선 방출기, 적외선 센서, 빔 스프리터(beam splitter) 등과 같은 별도의 광학계를 사용하였다. 즉, 적외선 방출기가 피사체쪽으로 적외선을 쏘고, 그 피사체로부터 되돌아오는 반사 정보를 적외선 센서가 검출하여 카메라와 피사체 사이의 거리 정보를 구한 다음, 그 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비디오 카메라의 초점을 자동으로 조정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자동 초점 방식은 적외선 방출기, 적외선 센서, 빔 스프리터 등과 같은 별도의 광학계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그 구조가 복잡하여 비디오 카메라의 소형 및 경량화에 큰 걸림돌이 되고, 제품의 원가 상승 요인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방식은 피사체가 적외선을 반사하는 유리 너머에 위치하거나 피사체 자체가 적외선을 흡수하는 검은색인 경우에는 자동으로 초점을 맞추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기존에 사용하던 별도의 광학계를 제거하는 대신 비디오 카메라가 피사체를 촬영하여 얻은 영상 정보 중 각 화소의 휘도 신호의 고주파 성분을 하드웨어적으로 추출하고, 추출한 고주파 성분을 이용하여 비디오 카메라의 초점을 자동으로 조정하는 비디오 카메라의 자동 초점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화소의 휘도 신호의 고주파 성분을 추출하는 동시에 그 화소가 에지인가를 판단한 후 에지인 화소의 고주파 성분만 누적하여 그 누적 데이터를 포커스 렌즈의 초점을 맞추기 위한 판단 근거로 사용함으로써 자동 초점 조절 기능의 정확도가 매우 높아지도록 하는 비디오 카메라의 자동 초점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비디오 카메라의 자동 초점 시스템은 비디오 카메라의 영상 신호 처리부에서 출력되는 각 화소의 휘도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와;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의 출력값을 3×3 구조의 필터 계수로 공간 고주파 필터링하여 해당 화소의 휘도 신호의 고주파 성분값을 출력하는 공간 고주파 필터부와; 상기 공간 고주파 필터부의 출력값을 선택적으로 누적하는 동작을 1 필드 화면의 전체 화소에 대해 반복 수행하여 누적 데이터를 출력하는 선택 누산부와;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의 출력값을 로빈슨(Robinson) 에지 추출 기법으로 처리하여 그 출력값에 해당되는 화소가 에지인가를 판단한 후 그 화소가 에지일 때만 상기 선택 누산부가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의 출력값에 해당되는 고주파 성분값을 누적하도록 상기 선택 누산부를 제어하는 누산 제어부와; 상기 누적 데이터를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누적 데이터가 작으면 상기 비디오 카메라의 포커스 렌즈를 소정량 이동시키고, 누적 데이터가 크면 최적의 초점 상태로 판단하여 상기 포커스 렌즈를 현재 위치에 고정시키는 초점 조정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초점 조정부의 기준값을 변경시키기 위한 기준값 설정 신호를 상기 초점 조정부에 제공하는 기준값 제어부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초점 조정부는 상기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키는 포커스 모터와; 상기 포커스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포커스 모터 구동부와; 상기 누적 데이터를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누적 데이터가 작으면 상기 포커스 모터의 구동 방향을 결정하여 상기 포커스 모터 구동부에 제공하고, 누적 데이터가 크면 상기 포커스 모터의 구동 정지 명령을 상기 포커스 모터 구동부에 제공하는 마이컴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초점 시스템이 적용된 비디오 카메라의 기능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 초점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공간 고주파 필터의 내부 회로도,
도 4a는 3×3 구조의 화소값을 나타내는 도면,
도 4b는 공간 고주파 필터링에 사용되는 3×3 구조의 필터 계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4c는 공간 고주파 필터링에 사용되는 3×3 구조의 필터 계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자동 초점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자동 초점 시스템 110: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120: 공간 고주파 필터 130: 선택 누산기
140: 누산 제어부 150: 초점 조정부
151: 포커스 모터 152: 포커스 모터 구동부
153: 마이컴 154: 기준값 제어부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초점 시스템이 적용된 비디오 카메라의 기능 블록도로서, 포커스 렌즈(focus lens, 1)와 줌 렌즈(zoom lens, 2)와 아이리스 렌즈(iris lens, 3)로 구성된 렌즈 어셈블리는 피사체의 상을 접속하여 2차원 이미지 센서(CCD: Charge Coupled Device, 4)에 맺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2차원 이미지 센서(4)는 피사체의 상이 맺어지면 광전 변환하여 R(Red), G(Green), B(Blue) 신호를 영상 신호 처리부(5)로 출력하고, 상기 영상 신호 처리부(5)는 입력받은 R, G, B 원색 신호를 휘도 신호와 색차 신호로 변환하여 인코더(6)로 출력하며, 상기 인코더(6)는 입력받은 휘도 신호와 색차 신호를 인코딩하여 복합영상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인코더(6)에서 출력되는 복합영상신호는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VCR, 도면상 도시되지 않음)에 입력되어 녹화되거나 모니터(도면상 도시되지 않음)에 입력되어 디스플레이된다.
한편, 상기 렌즈 어셈블리의 핀트를 정확하게 맞추기 위해서는 포커스 렌즈(1)를 전·후로 이동하여 최적의 위치에 포커스 렌즈(1)가 놓이도록 해야 한다.
본 발명의 자동 초점 시스템(10)은 영상 신호 처리부(5)에서 출력되는 각 화소의 휘도 신호를 디지털화한 후 공간 고주파 필터링하여 각 화소의 고주파 성분을 추출하고, 그와 동시에 로빈슨(Robinson) 에지 추출 기법을 이용하여 그 화소가 에지인가를 판단한 후 1 필드 화면에 대한 각 화소의 고주파 성분 중 에지인 화소의 고주파 성분만 누적하여 얻은 누적 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포커스 렌즈(1)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를 결정함으로써 포커스 렌즈(1)가 최적의 위치에 놓이도록 제어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 초점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로서, 상기 자동 초점 시스템(10)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C, 110)와, 공간 고주파 필터(120)와, 선택 누산기(130)와, 누산 제어부(140)와, 초점 조정부(150)로 구성된다.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10)는 비디오 카메라의 영상 신호 처리부(5)에서 출력되는 각 화소의 휘도 신호를 8비트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공간 고주파 필터(120)로 출력한다.
상기 공간 고주파 필터(120)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10)의 출력값을 3×3 구조의 필터 계수로 공간 고주파 필터링하여 해당 화소의 휘도 신호의 고주파 성분값을 선택 누산기(130)로 출력한다.
상기 선택 누산기(130)는 공간 고주파 필터(120)부의 출력값을 선택적으로 누적하는 동작을 1 필드 화면의 전체 화소에 대해 반복 수행하여 그 결과 얻어지는 누적 데이터를 초점 조정부(150)로 출력한다.
상기 누산 제어부(140)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10)의 출력값을 로빈슨 에지 추출 기법으로 처리하여 그 출력값에 해당되는 화소가 에지인가를 판단한 후 그 화소가 에지일 때만 선택 누산기(130)가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10)의 출력값에 해당되는 고주파 성분값을 누적하도록 상기 선택 누산기(130)를 제어한다.
상기에서 로빈슨 에지 추출 기법은 현재 처리할 화소가 에지인가 아닌가를 판단할 수 있는 문턱값을 결정하는 기법으로서, 그 문턱값 LAT(Locally Adaptive Threshold)는 다음 수학식 1을 통해 구할 수 있다.
아울러, 다음에서는 도 4a에 도시된 3×3 구조의 화소값 P0 ∼ P9를 예로 들어 설명하며, 여기서 현재 처리할 화소는 P5 에 위치한 화소이다.
상기 수학식 1에서 Mo는 다음 수학식 2와 같이 정의되고, Z0∼ Z3은 다음 수학식 3과 같이 정의된다.
상기한 수학식 1, 2, 3 을 통해 현재 처리할 화소의 문턱값 LAT 이 구해지면 상기 LAT 가 1 보다 큰가를 판단하여 LAT > 1 이면 현재 처리할 화소가 에지라고 최종 결정하고, LAT ≤ 1 이면 현재 처리할 화소가 에지가 아니라고 최종 결정한다.
상기 초점 조정부(150)는 입력받은 누적 데이터를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누적 데이터가 작으면 비디오 카메라의 포커스 렌즈(1)를 소정량 이동시키고, 누적 데이터가 크면 최적의 초점 상태로 판단하여 상기 포커스 렌즈(1)를 현재 위치에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 초점 조정부(150)는 포커스 렌즈(1)를 이동시키는 포커스 모터(151)와; 상기 포커스 모터(151)의 구동을 제어하는 포커스 모터 구동부(152)와; 선택 누산기(130)로부터 입력받은 누적 데이터를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누적 데이터가 작으면 상기 포커스 모터(151)의 구동 방향을 결정하여 상기 포커스 모터 구동부(152)에 제공하고, 누적 데이터가 크면 상기 포커스 모터(151)의 구동 정지 명령을 상기 포커스 모터 구동부(152)에 제공하는 마이컴(153)으로 구성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공간 고주파 필터(120)의 내부 회로도로서, 상기 공간 고주파 필터(120)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10)의 8비트 출력값을 도 4b 또는 도 4c에 도시된 3×3 구조의 필터 계수로 공간 고주파 필터링하기 위하여 1 필드 화면 중 연속하는 2개 수평 라인 분량의 화소값을 저장하기 위한 2개의 1H(H: 수평 주기) 지연소자(121, 122)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1 필드 화면의 해상도가 640×480 일 경우 각각의 1H 지연소자(121, 122)는 640 바이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바이트 단위의 FIFO(First-In First-Out) 메모리이다.
즉, 상기 공간 고주파 필터(120)에서 처리되는 3×3 구조의 화소값을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P1∼P9 이라 할 경우 연속하는 3개 수평 라인 중 첫 번째 라인에 해당되는 각 8비트 화소값(P1∼P3)은 제 1 FIFO 메모리(131)에 저장되고, 두 번째 라인에 해당되는 각 8비트 화소값(P4∼P6)은 제 2 FIFO 메모리(132)에 저장되며, 세 번째 라인에 해당되는 각 8비트 화소값(P7∼P9)은 D 플립플롭부(D1)에서 차례대로 출력된다. 여기서, 고주파 성분이 추출되는 화소는 P5 에 위치한 화소이다.
아울러, 상기 3×3 구조의 화소값(P1∼P9) 중 P5 에 위치한 화소의 휘도 신호의 고주파 성분값을 얻기 위해서는 역시 3×3 구조인 도 4b 또는 도 4c에 도시된 필터 계수(a∼i)를 이용하여 "P1×a + P2×b + P3×c + P4×d + P5×e + P6×f + P7×g + P8×h + P9×i" 연산을 수행하여야 한다.
따라서, 상기 공간 고주파 필터(120)는 각각의 화소값(P1∼P9)과 해당 필터 계수(a∼i)를 곱셈 연산하기 위한 9개의 승산기(M1∼M9)와, 8개의 가산기(A1∼A8)와, 21개의 D 플립플롭부(D2∼D2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 초점 시스템의 작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비디오 카메라의 영상 신호 처리부(5)에서 출력되는 각 화소의 휘도 신호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10)에 의해 8비트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후 공간 고주파 필터(120)로 입력된다. 여기서, 각 화소의 휘도 신호는 비디오 카메라가 촬영한 1 필드 화면의 스캔 순서대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10)에 직렬로 입력된다.
상기 공간 고주파 필터(120)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20)의 8비트 출력값을 차례대로 도 4b 또는 도 4c에 도시된 3×3 구조의 필터 계수로 공간 고주파 필터링하여 해당 화소의 휘도 신호의 고주파 성분값을 추출한다.
예를 들어, 상기 공간 고주파 필터(120)의 제 1 FIFO 메모리(121)에 도 4a에 도시된 화소값 P1∼P3 이 저장되고, 제 2 FIFO 메모리(122)에 화소값 P4∼P6 이 저장되고, D 플립플롭부(D1)에 화소값 P7 이 저장된 상태에서 1개 클록이 입력되면 화소값 P1, P4, P7 은 승산기 M1, M4, M7 에 각각 입력되어 해당 필터 계수 a, d, g 와 각각 곱해진 후 D 플립플롭부 D2, D9, D15 에 각각 저장된다.
그 후, 다시 1개 클록이 입력되면 D 플립플롭부 D2, D9, D15 에 각각 저장되어 있던 값은 D 플립플롭부 D3, D10, D16 에 각각 저장되고, 그와 동시에 화소값 P2, P5, P8 은 승산기 M2, M5, M8 에 각각 입력되어 해당 필터 계수 b, e, h 와 각각 곱해진 후 D 플립플롭부 D4, D11, D17 에 각각 저장된다.
그 후, 다시 1개 클록이 입력되면 D 플립플롭부 D3 과 D4 에 저장되어 있던 값이 가산기 A1 에 의해 더해져서 D 플립플롭부 D5 에 저장되고, D 플립플롭부 D10 과 D11 에 저장되어 있던 값이 가산기 A3 에 의해 더해져서 D 플립플롭부 D12 에 저장되고, D 플립플롭부 D16 과 D17 에 저장되어 있던 값이 가산기 A5 에 의해 더해져서 D 플립플롭부 D18 에 저장되며, 그와 동시에 화소값 P3, P6, P9 는 승산기 M3, M6, M9 에 각각 입력되어 해당 필터 계수 c, f, i 와 각각 곱해진 후 D 플립플롭부 D6, D13, D19 에 각각 저장된다.
그 후, 다시 1개 클록이 입력되면 D 플립플롭부 D5 과 D6 에 저장되어 있던 값이 가산기 A2 에 의해 더해져서 D 플립플롭부 D7 에 저장되고, D 플립플롭부 D12 와 D13 에 저장되어 있던 값이 가산기 A4 에 의해 더해져서 D 플립플롭부 D14 에 저장되며, D 플립플롭부 D18 과 D19 에 저장되어 있던 값이 가산기 A6 에 의해 더해져서 D 플립플롭부 D20 에 저장된다.
그 후, 다시 1개 클록이 입력되면 D 플립플롭부 D7 에 저장되어 있던 값은 D 플립플롭부 D8 에 저장되며, D 플립플롭부 D14 와 D20 에 저장되어 있던 값이 가산기 A7 에 의해 더해져서 D 플립플롭부 D21 에 저장된다.
그 후, 다시 1개 클록이 입력되면 D 플립플롭부 D8 과 D21 에 저장되어 있던 값이 가산기 A8 에 의해 더해져서 D 플립플롭부 D22 에 저장되어 결국 D22 에는 P1×a + P2×b + P3×c + P4×d + P5×e + P6×f + P7×g + P8×h + P9×i 값(고주파 성분값)이 저장된다.
그 후, 다시 1개 클록이 입력되면 D 플립플롭부 D22 에 저장되어 있던 고주파 성분값은 선택 누산기(130)로 입력된다.
한편, 상기 공간 고주파 필터(120)가 현재 처리할 화소(예를 들어 P5 에 위치한 화소)의 고주파 성분을 추출하고 있는 동안 누산 제어부(140) 역시 그 화소값을 입력받아 상기에서 설명된 수학식 1, 2, 3 을 통해 해당 화소의 문턱값 LAT 를 구한 다음 그 값이 1 보다 큰가를 판단하여 해당 화소가 에지인가 아닌가를 결정한다. 상기 누산 제어부(140)는 현재 처리할 화소가 에지라고 결정되면 즉, LAT > 1 이면 선택 누산기(130)를 제어하여 해당 화소의 고주파 성분값이 누적되도록 하고, 에지가 아니면 즉, LAT ≤ 1 이면 선택 누산기(130)를 제어하여 해당 화소의 고주파 성분값이 누적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선택 누산기(130)는 공간 고주파 필터(120)의 D 플립플롭부 D22 로부터 입력받은 화소의 고주파 성분값을 누산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선택적으로 누적한다.
아울러, 상기에서 설명된 공간 고주파 필터(120)와 선택 누산기(130)와 누산 제어부(140)의 작용은 1 필드 화면의 전체 화소에 대해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한편, 상기 선택 누산기(130)는 1 필드 화면의 전체 화소의 고주파 성분값에 대한 선택적 누적 결과 얻어지는 누적 데이터를 초점 조정부(150)의 마이컴(153)으로 출력한다.
상기 초점 조정부(150)의 마이컴(153)은 선택 누산기(130)로부터 입력받은 누적 데이터를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누적 데이터가 작으면 현재 초점이 정확하게 맞지 않다고 판단하여 포커스 모터(151)의 구동 방향을 결정한 다음 상기 포커스 모터 구동부(152)에 제공하고, 누적 데이터가 크면 현재 초점이 정확하게 맞다고 판단하여 상기 포커스 모터(151)의 구동 정지 명령을 상기 포커스 모터 구동부(152)에 제공한다.
상기 포커스 모터 구동부(152)는 마이컴(153)의 제어를 받아 포커스 모터(151)를 구동 또는 정지시키고, 상기 포커스 모터(151)는 포커스 모터 구동부(152)에 의해 구동되어 비디오 카메라의 포커스 렌즈(1)를 소정량 이동시키거나 현재 위치에 고정시킨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자동 초점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로서, 상기 자동 초점 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성에 기준값 제어부(154)가 더 구비되어 있다. 아울러, 도 5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도 2)에 구비된 구성 요소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로 기재하였다.
상기 기준값 제어부(154)는 마이컴(153)의 기준값을 변경시키기 위한 기준값 설정 신호를 상기 마이컴(153)에 제공한다. 즉, 상기 기준값 제어부(154)는 비디오 카메라 사용자로 하여금 임의로 마이컴(153)의 판단 기준이 되는 기준값을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비디오 카메라 사용자가 현재 상황에 따라 마이컴(153)의 기준값을 적절한 값으로 변경시키면 보다 정확한 자동 초점 조절 기능의 수행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의 광학계를 대신하여 비디오 카메라의 영상 신호 처리부에서 출력되는 휘도 신호의 고주파 성분을 추출한 다음 그 결과치를 근거로 하여 자동으로 초점을 맞추기 때문에 그 구조가 단순화되어 소형 및 경량화될 수 있고, 제품의 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화소의 휘도 신호의 고주파 성분을 추출하는 동시에 그 화소가 에지인가를 판단한 후 에지인 화소의 고주파 성분만 누적하여 그 누적 데이터를 포커스 렌즈의 초점을 맞추기 위한 판단 근거로 사용하기 때문에 보다 정확하게 비디오 카메라의 초점을 맞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비디오 카메라의 영상 신호 처리부에서 출력되는 각 화소의 휘도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와;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의 출력값을 3×3 구조의 필터 계수로 공간 고주파 필터링하여 해당 화소의 휘도 신호의 고주파 성분값을 출력하는 공간 고주파 필터부와;
    상기 공간 고주파 필터부의 출력값을 선택적으로 누적하는 동작을 1 필드 화면의 전체 화소에 대해 반복 수행하여 누적 데이터를 출력하는 선택 누산부와;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의 출력값을 로빈슨(Robinson) 에지 추출 기법으로 처리하여 그 출력값에 해당되는 화소가 에지인가를 판단한 후 그 화소가 에지일 때만 상기 선택 누산부가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의 출력값에 해당되는 고주파 성분값을 누적하도록 상기 선택 누산부를 제어하는 누산 제어부와;
    상기 누적 데이터를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누적 데이터가 작으면 상기 비디오 카메라의 포커스 렌즈를 소정량 이동시키고, 누적 데이터가 크면 최적의 초점 상태로 판단하여 상기 포커스 렌즈를 현재 위치에 고정시키는 초점 조정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카메라의 자동 초점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카메라의 자동 초점 시스템은
    상기 초점 조정부의 기준값을 변경시키기 위한 기준값 설정 신호를 상기 초점 조정부에 제공하는 기준값 제어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카메라의 자동 초점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초점 조정부는
    상기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키는 포커스 모터와;
    상기 포커스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포커스 모터 구동부와;
    상기 누적 데이터를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누적 데이터가 작으면 상기 포커스 모터의 구동 방향을 결정하여 상기 포커스 모터 구동부에 제공하고, 누적 데이터가 크면 상기 포커스 모터의 구동 정지 명령을 상기 포커스 모터 구동부에 제공하는 마이컴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카메라의 자동 초점 시스템.
KR1019980040689A 1998-09-30 1998-09-30 비디오 카메라의 자동 초점 시스템 KR200000215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0689A KR20000021538A (ko) 1998-09-30 1998-09-30 비디오 카메라의 자동 초점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0689A KR20000021538A (ko) 1998-09-30 1998-09-30 비디오 카메라의 자동 초점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1538A true KR20000021538A (ko) 2000-04-25

Family

ID=19552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0689A KR20000021538A (ko) 1998-09-30 1998-09-30 비디오 카메라의 자동 초점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2153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2183A (ko) 2015-03-18 2016-09-28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포커스 제어 장치 및 포커스 측정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2183A (ko) 2015-03-18 2016-09-28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포커스 제어 장치 및 포커스 측정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51027B2 (ja) オートフォーカス装置およびカメラ
US6512549B1 (en) Automatic focusing apparatus
JP4149528B2 (ja) 自動焦点検出装置
US7295243B2 (en) Autofocus apparatus having a flash synchronized to an autofocus sampling time
EP0611125B1 (en) Electronic zoom control and image stabilization
US7151564B2 (en) Image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EP1695542B1 (en) Method and ystem for determining camera operating parameters from a region of interest in evaluation images
US6882754B2 (en) Image signal processor with adaptive noise reduction and an image signal processing method therefor
US20050001924A1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US20020109784A1 (en) Interchangeable lens video camera system
US2002011401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tical system
US6421087B1 (en) Image pickup apparatus having a signal processor for generating luminance and chrominance signals in accordance with image pickup signals
US4717959A (en) Automatic focusing device for video camera or the like
US5436656A (en) Digital electronic still-video camera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US5585942A (en) Image pickup apparatus
EP1542453A1 (en) Image pickup system
JP4013026B2 (ja) 電子カメラ及び自動焦点調節時の画像表示方法
KR20000021538A (ko) 비디오 카메라의 자동 초점 시스템
KR100302126B1 (ko) 비디오카메라의자동초점시스템
JP3866844B2 (ja) オートフォーカス装置及びカメラ
JP3469590B2 (ja) 合焦装置
JP3125257B2 (ja) 撮像装置の自動焦点装置
JP2003114376A (ja) 撮像装置及びその自動合焦方法
JP2003295044A (ja) デジタルカメラ
JP2003319231A (ja) デジタル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