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1024A - 모뎀을 이용한 키 전송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모뎀을 이용한 키 전송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1024A
KR20000021024A KR1019980039935A KR19980039935A KR20000021024A KR 20000021024 A KR20000021024 A KR 20000021024A KR 1019980039935 A KR1019980039935 A KR 1019980039935A KR 19980039935 A KR19980039935 A KR 19980039935A KR 20000021024 A KR20000021024 A KR 200000210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transmitting
modem
personal computer
transm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9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75495B1 (ko
Inventor
정창훈
이상이
정교일
Original Assignee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정선종
Priority to KR1019980039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5495B1/ko
Publication of KR20000021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10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5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54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0024Services and arrangements where telephone services are combined with data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모뎀을 이용한 키 전송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고자하는 과제
본 발명은 요구되는 공개키를 PSTN의 다이얼 업 모뎀을 이용하여 전송하므로써, 통신 단말이 컴퓨터 네트웍을 사용하지 않고도 키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키 전송 장치 및 그 방법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키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제어명령 입력수단; 신호들을 접속하기 위한 접속수단; 이중음 다주파신호를 발생 및 수신하는 이중음 다주파신호 발생 및 수신수단; 전달된 키를 변조 및 복조하는 변복조수단; 제어명령에 따라 저장수단에 저장된 키를 복조수단으로 전달하면서 접속수단과 변복조수단을 제어하고, 이중음 다주파신호 발생 및 수신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 및 개인용 컴퓨터와 제어수단 간에 송수신되는 키를 정합하는 정합수단을 포함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PSTN상의 통신 단말에 요구되는 공개 키를 전송하는데 이용됨.

Description

모뎀을 이용한 키 전송 장치 및 그 방법
본 발명은 공중교환 전화망(PSTN :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에 사용되는 키(Key) 전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PSTN 상의 통신 단말에 공개키 암호 시스템을 적용함에 있어 요구되는 공개키를 PSTN의 다이얼 업 모뎀(Dial Up Modem)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키 전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개키 암호 시스템은 컴퓨터 네트웍 환경에서 활용이 되고, 네트웍에서 운영되는 데이타 접속 처리 방식에 따라 키의 전송이 가능하지만, 개인 및 단체의 비밀 보호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컴퓨터 네트웍을 사용하지 않는 각종 통신 단말에 대해서도 공개키 암호 시스템을 도입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공개키 암호 시스템의 경우, 암호/복호에 각각 별도의 키(예를 들어, 공개키 및 개인키 등이 있음)가 사용되고, 이 키들 중에 공개키는 공개된 채널을 통하여 취득하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PSTN의 통신 단말에 대해서도 이러한 공개키 방식의 암호 시스템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공개키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타 전송 장치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PSTN에서의 데이타 전송 장치로써 모뎀이 장착된 컴퓨터를 이용할 수 있으나, 이러한 경우 각 단말마다 컴퓨터를 구비해야 하므로써, 너무 많은 비용이 소요되고, 또한 키전송을 위해 부가적인 접속 절차가 여전히 필요하여, 경제적 및 실용적인 면에 있어 매우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PSTN 상의 통신 단말에 공개키 암호 시스템을 적용함에 있어 요구되는 공개키를 PSTN의 다이얼 업 모뎀을 이용하여 전송하므로써, 통신 단말이 컴퓨터 네트웍을 사용하지 않고도 키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키 전송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PSTN 망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뎀을 이용한 키 전송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3은 오프 라인(Off-Line) 상에서 본 발명의 키 전송 장치와 PC 간의 접속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절차도.
도 4는 온라인(On-line)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수신측 및 송신측 키 전송 장치 사이의 접속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절차도.
도 5는 도 2의 마이크로프로세서의 키 접속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0: 메모리 220: 키패드
230: 회선 인터페이스 회로 240: 마이크로프로세서
250: 이중음 다주파신호 발생 및 수신부 260: 모뎀
270: 드라이버 280: 표시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키(Key)를 전송하기 위한 키 전송 장치에 있어서, 개인용 컴퓨터로부터 전달되는 키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 상기 키 전송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제어명령 입력수단; 전전자 교환기 및 단말기와 상기 키 전송 장치간에 송수신되는 신호들을 접속하기 위한 접속수단; 상기 전전자 교환기로부터 상기 접속수단을 통해 전달된 이중음 다주파신호를 수신하여 전달하고,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이중음 다주파신호를 상기 접속수단을 통해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는 이중음 다주파신호 발생 및 수신수단;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전달된 키를 변조하여 상기 접속수단으로 전달하고, 상기 접속수단으로부터 전달된 키를 복조하여 상기 제어수단으로 전달하는 변복조수단; 상기 개인용 컴퓨터로부터 전달되는 키를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하고, 상기 제어명령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된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키를 상기 변복조수단으로 전달하면서 상기 접속수단과 상기 변복조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이중음 다주파신호 발생 및 수신수단으로부터 이중음 다주파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이중음 다주파신호 발생 및 수신수단을 제어하는 상기 제어수단; 및 상기 개인용 컴퓨터와 상기 제어수단 간에 송수신되는 키를 정합하여 주기 위한 정합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중교환 전화망(PSTN :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를 통하여 키(Key)를 전송하기 위한 키 전송 방법에 있어서, 메모리의 정상 여부에 따라 키의 송수신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 1 단계; 오프 라인(Off-Line)상에서 개인용 컴퓨터에 접속되어 키를 수신받는 제 2 단계; 상기 개인용 컴퓨터로부터 수신된 키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 3 단계; 및 온라인(On-line)상에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키를 상대방과의 모뎀 접속을 통하여 전송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PSTN 망의 구성도로서, 개인용 컴퓨터(PC : Persnal Computer)(110)와, 키 전송 장치(120, 130, 140)들과, 단말기(150)와, PSTN(160)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PSTN 망을 통해 본 발명의 키 전송 장치가 갖는 특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키 전송 장치(120)는 오프 라인(Off-Line) 상에서 PC(110)로부터 직렬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키를 다운로드(down load)받아 저장한다. 본 발명에 따른 키 전송 장치는 송신측과 수신측이 동일한 장비로 구성되지만, 키가 저장된 전송 장치(120)가 주장치가 되고, 여기에 상대방 키 전송 장치(130)가 전화를 걸어 접속한 후 키를 받아 가도록 접속 절차가 구성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키 전송 장치는 단독으로 전화를 걸고, 받을 수 있으며, 전화 접속이 이루어진 후 모뎀 프로토콜에 의해 접속되며, 이후 모뎀 제어에 의하여 키를 전송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며, 이상의 절차가 연속하여 자동으로 진행된다.
그리고, 키 전송 장치(140)와 단말기(150)의 접속은 본 발명의 키 전송 장치가 키 송수신의 용도로 사용되지 않을 경우, 일반 전화 회선상의 입출력 단자를 두어 별도로 커넥터(connector)를 교체하지 않고서도 일반전화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그러므로, 본발명에 따른 키 전송 장치는 전화회선을 절체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뎀을 이용한 키 전송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키 전송 장치는, PC(201)로부터 전달되는 키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210)와, 상기 키 전송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키패드(220)와, 전전자 교환기(202) 및 단말기(203)와 상기 키 전송 장치 간에 송수신되는 신호들을 접속하기 위한 회선 인터페이스 회로(230)와, 전전자 교환기(202)로부터 회선 인터페이스 회로(230)를 통해 전달된 이중음 다주파신호(DTMF : Dual Tone MultiFrequency)를 수신하여 전달하고, 마이크로프로세서(240)의 제어에 따라 이중음 다주파신호를 회선 인터페이스 회로(230)을 통해 단말기(203)로 제공하는 이중음 다주파신호 발생 및 수신부(250)와, 마이크로프로세서(240)로부터 전달된 키를 변조하여 회선 인터페이스 회로(230)로 전달하고, 회선 인터페이스 회로(230)로부터 전달된 키를 복조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240)로 전달하는 모뎀(260)과, PC(201)로부터 전달되는 키를 메모리(210)에 저장하고, 키패드(220)를 통해 입력된 제어명령에 따라 메모리(210)에 저장된 키를 모뎀(260)으로 전달하면서 회선 인터페이스 회로(230)와 모뎀(260)을 제어하고, 이중음 다주파신호 발생 및 수신부(250)로부터 이중음 다주파신호를 입력받아 이중음 다주파신호 발생 및 수신부(250)를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240)와, PC(201)와 마이크로프로세서(240) 간에 송수신되는 키를 정합하여 주기 위한 드라이버(270)를 구비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마이크로프로세서(240)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키 전송 장치의 내부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280)를 더 구비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키 전송 장치에 대한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메모리(210)는 외부에서 입력된 데이타를 저장하는 것으로서, 전원이 나가더라도 기억된 데이타의 내용이 보존되어야 하므로 비휘발성 타입의 메모리를 사용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240)의 데이터 및 어드레스 버스(도시되지 않았음)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키 전송 장치의 동작 초기에 전체 첵섬(check_sum)을 확인하여 그 결과가 표시부(280)에 표시된다.
상기 키 전송 장치는 자체적으로 동작이 가능하고, 이 경우 상기 키 전송 장치의 조작을 위하여 키패드(220)가 필요하다. 키패드(220)에는 '0'에서 '9'까지의 숫자와 '*' 및 '#'이 표시되어, 키패드(220)는 전자식 단말기 버튼의 역할을 하며, 그 외에 기능 버튼을 두어 상기 키 전송 장치 자체의 테스트와 조작에 필요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또한, 키패드(220)는 마이크로프로세서(240)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입력시키는 제어명령을 마이크로프로세서(240)에 전달한다.
회선 인터페이스 회로(230)는 모뎀(260)으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단말기(203)에 접속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아울러, 단말기(203)로부터의 호 접속 유지 상태를 감지하고, 링(ring) 입력을 감지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240)에 보고한다. 또한, 회선 인터페이스 회로(230)는 전전자 교환기(202)로부터 전달된 이중음 다주파신호의 레벨을 조절하여 이중음 다주파신호 발생 및 수신부(250)로 전달하고, 이중음 다주파신호 발생 및 수신부(250)로부터 전달된 이중음 다주파신호의 레벨을 조절하여 단말기(203)로 전달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240)는 드라이버(270)를 구동하여 PC(201)로부터 해당하는 키 데이타를 다운로드(down load) 받아 이를 메모리(210)에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키패드(220)를 통해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입력받아 상기 키 전송 장치 내부의 상태를 표시부(280)로 표시하며, 회선 인터페이스 회로(230)로부터 전달되는 호 접속 정보(예를 들어, 링 및 호접속 유지 상태 등이 있음)를 분석하고, 모뎀(260)을 구동하여 상대방과의 모뎀(260) 접속 처리를 수행하고, 데이타의 송수신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드라이버(270)는 마이크로프로세서(240)의 직렬 입출력을 통하여 연결되고, 키패드(220) 및 표시부(280)는 마이크로프로세서(240)의 병렬 입출력 포트를 통하여 연결되며, 모뎀(260)은 마이크로프로세서(240)의 직렬 또는 병렬 입출력을 통하여 연결된다.
또한, 마이크로프로세서(240)는 해당 어드레스를 주어 메모리(210)를 관리하고, 회선 인터페이스 회로(230) 및 이중음 다주파신호 발생 및 수신부(250)는 병렬 포트 및 인터럽트(interrupt)에 의해 마이크로프로세서(240)에 연결된다. 게다가, 마이크로프로세서(240)는 각각의 주변 소자에 대하여 입출력 어드레스를 주어 관리하며, 실시간 동작을 위하여 각 주변소자의 인터럽트에 의해 동작이 진행되도록 한다.
이중음 다주파신호 발생 및 수신부(250)는 전전자 교환기(202)로부터 회선 인터페이스 회로(230)를 통해 전달된 이중음 다주파신호를 수신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240)로 전달한다. 이렇게, 이중음 다주파신호를 입력받게 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240)는 이중음 다주파신호 발생 및 수신부(250)를 제어하여 이중음 다주파신호를 발생하도록 제어하게 되며, 이에 따라 이중음 다주파신호 발생 및 수신부(250)는 마이크로프로세서(240)의 제어를 받아 이중음 다주파신호를 회선 인터페이스 회로(230)를 통해 단말기(203)로 제공한다.
모뎀(260)은 회선 인터페이스 회로(230)로 부터 전달되는 신호에서 디지털 데이타를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특히 초기 모뎀 접속 시에는 모뎀 접속 프로토콜을 수행하여 모뎀과 모뎀의 접속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모뎀(260)의 변복조 속도는 일반적으로 PSTN 망의 다이얼 업 모뎀의 표준에 준하여 적용한다. 또한, 모뎀(260)은 병렬 인터페이스 또는 직렬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240)에 연결되고, 모뎀(260)의 아날로그 입출력은 회선 인터페이스 회로(230)에 연결된다.
드라이버(270)는 마이크로프로세서(240)의 직렬 인터페이스로부터 오는 신호를 PC(201)에 적합한 신호 규격으로 전환하여 PC(201)로 전달하고, 또한 PC(201)로부터 전달되는 키 데이터를 마이크로프로세서(240)가 처리하기에 적합한 신호로 전환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240)로 전달한다.
표시부(280)는 마이크로프로세서(240)에 연결되어 상기 키 전송 장치의 상태를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표시부(280)는 메모리(210) 내부의 키의 저장 상태, 사용자 버튼 입력값, 회선 접속 상태 및 키값 전송의 성공적 완료 여부 등을 표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키 전송 장치는 크게 2가지의 동작 기능을 갖는데, 이를 다음과 같이 구분할 수 있다.
첫째, 오프라인(Off-Line) 상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240)는 PC(201)로부터 키를 다운로드 받아서 메모리(210)에 저장하는 기능이 있다.
둘째, 온라인(On-Line) 상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240)가 상대방과의 모뎀 접속을 통하여 메모리(210)에 저장된 키를 모뎀(260)으로 전송하는 기능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키 전송 장치가 오프 라인(Off-Line)상에서 PC에 접속되어 키를 다운로드 받을 때, PC와 키 전송 장치 사이에 진행되는 접속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절차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PC(201)가 ASCII 코드의 접속 허용 신호(Ack)를 보내어 상기 키 전송 장치의 상태를 문의하면(301), 상기 키 전송 장치는 내부의 장애 상태를 검사한 뒤, 장애 검사 결과에 따라 접속 허용 신호 또는 접속 불가 신호를 PC(201)로 송신한다(302).
이어서, PC(201)는 다운로딩(down loading)하기 위한 키 데이타 파일의 이름(Code_name)을 상기 키 전송 장치로 전송한(303) 후, PC(201)는 다운로딩 할 데이타의 갯수(Code_length)를 상기 키 전송 장치로 전송한다(304).
연속적으로, PC(201)는 다운로딩할 데이터 갯수 만큼 실제 데이터를 상기 키 전송 장치로 전송한(305) 후, 마지막으로 데이타의 장애 여부를 검사하기 위한 첵섬을 상기 키 전송 장치로 전송한다(306).
이어서, 상기 키 전송 장치는 내부에 다운로딩된 데이타의 첵섬을 검사해서, 그 결과에 따라 데이터에 대한 정상 신호 또는 데이터에 대한 장애 신호를 PC(201)로 전송한다(307).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다운로딩된 키 데이터는 메모리(210)에 저장된다.
도 4는 온라인(On-line)상에서 상기 도 2의 메모리에 저장된 키 데이타가 상대방과의 모뎀 접속을 통하여 전송될 때, 양측 키 전송 장치 사이의 접속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절차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키 데이타를 수신하고자 하는 키 수신측의 키 전송 장치가 훅오프(Hook Off)한(401) 후, 키 송신측의 키 전송 장치에 배정되어 있는 전화번호를 다이얼링(dialing)하면(406), PSTN은 링 신호를 키 송신측의 키 전송 장치로 링을 울린다(403). 이렇게, 키 데이타를 저장하고 있는 키 송신측의 키 전송 장치는 링 울림을 감지한 후, 자동으로 훅오프된다(404).
이어서, 키 송신측의 키 전송 장치가 키 송신측임을 알리는 "DTMF D, D, D"를 키 수신측의 키 전송 장치로 송신하면(405), 키 수신측의 키 전송 장치는 수신된 DTMF를 이용하여 자신의 식별자(ID)를 키 송신측의 키 전송 장치로 송신한다(406).
이렇게, 전송된 사용자 ID가 키 송신측의 키 전송 장치에 맞으면, 키 송신측은 사용자 ID를 확인하고, 맞으면 키 수신측의 키 전송 장치와 키 수신측의 키 전송 장치간에 ITU-T의 V.8 프로토콜에 준하는 모뎀 접속 절차를 수행한다(407).
그리고, 모뎀 접속 절차가 완료되면, 키 수신측의 키 전송 장치는 전송받고자 하는 키 번호를 키 송신측의 키 전송 장치로 전송한다(408).
이어서, 키 송신측의 키 전송 장치가 키 수신측의 키 전송 장치로부터 전송된 키 번호에 맞는 실제 키 데이터를 키 수신측의 키 전송 장치로 전송하면(409), 키 수신측의 키 전송 장치는 키 데이타가 제대로 전송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 후, 확인 결과를 키 송신측의 키 전송 장치로 송신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거쳐 키를 수신하고자 하는 키 수신측의 키 전송 장치는 해당하는 키 데이타를 수신할 수 있으나, 만일 키 수신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요구하는 키번호를 재 전송하여 전송 절차를 수행한다.
도 5는 도 2의 마이크로프로세서의 키 접속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화를 진행한 후 메모리(210)가 정상인지 판단하여(501), 메모리(210)에 오류가 발생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240)는 상기 키 전송 장치의 동작을 중지시킨다(502).
만일, 메모리(210)의 정상 여부 판단 과정(501)에서, 메모리(210)가 정상으로 판단되면, PC(201)로부터 정상적인 키 데이터가 수신되었는지를 확인하여(503), PC(201)로부터 비정상적인 키 데이터가 수신되었으면, 링 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여(504), 링 신호가 입력되지 않았으면 메모리(210)의 정장 여부 판단 과정(501)으로 넘어간다.
만일, 링 신호의 입력 여부 판단 과정(504)에서, 링 신호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키 데이타를 수신하고자 하는 키 수신측의 키 전송 장치를 훅오프(Hook Off)한 후, 키 송신측의 키 전송 장치에 배정되어 있는 전화번호를 다이얼링(dialing)한다(505).
이어서, 키 송신측의 키 전송 장치로부터 키 송신측임을 알리는 DTMF가 수신되었는지를 확인하여(506), 수신되지 않았으면 DTMF의 수신 대기 상태를 유지하면서 DTMF가 수신될 때까지 DTMF의 수신 확인 과정(506)을 재 수행한다.
만일, DTMF의 수신 확인 과정(506)에서 DTMF가 수신된 것으로 확인되면, ITU-T의 V.8 프로토콜에 준하는 모뎀 접속 절차를 수행한다(507).
그리고, 모뎀 접속 절차가 완료되면, 요구 키 번호를 수신하여(508), 수신된 요구 키 번호에 해당하는 실제 키 데이터를 전송한다(509).
한편, 정상적인 키 데이터의 수신 여부 확인 과정(503)에서, 정상적인 키 데이터가 수신된 것으로 확인되면, 내부의 장애 상태를 검사한 뒤, 장애 검사 결과에 따라 접속 허용 신호 또는 접속 불가 신호를 PC(201)로 송신한다(302).
이어서, 다운로딩(down loading)하기 위한 키 데이타 파일의 이름(Code_name)을 수신한(511) 후, 다시 다운로딩 할 데이타의 갯수(Code_length)를 수신한다(512). 연속적으로, 다운로딩할 데이터 갯수 만큼 실제 키 데이터를 수신한(513) 후, 데이타의 장애 여부를 검사하기 위한 첵섬을 수신한다(514).
마지막으로, 다운로딩된 키 데이타의 첵섬을 검사해서, 그 결과에 따라 키 데이터에 대한 정상 신호 또는 키 데이터에 대한 장애 신호를 전송한다(515).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PSTN 상의 통신 단말에 공개키 암호 시스템을 적용함에 있어 요구되는 공개키를 PSTN의 다이얼 업 모뎀을 이용하여 컴퓨터 네트웍이 갖추어지지 않은 환경에서도 키의 전송 및 교환을 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컴퓨터 네트웍이 갖추어지지 않은 PSTN용 통신 단말에 대해서도 공개키 암호 시스템의 적용이 가능하며, 특히 컴퓨터 네트웍보다 다소 안전한 일반 전화망에서 데이타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향후 전자상거래 및 전자문서 등의 활용에 있어서 컴퓨터 네트웍에 비해 안전성이 요구되는 비교적 중요한 데이타의 전송에 활용할 수 있는 매우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9)

  1. 키(Key)를 전송하기 위한 키 전송 장치에 있어서,
    개인용 컴퓨터로부터 전달되는 키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
    상기 키 전송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제어명령 입력수단;
    전전자 교환기 및 단말기와 상기 키 전송 장치간에 송수신되는 신호들을 접속하기 위한 접속수단;
    상기 전전자 교환기로부터 상기 접속수단을 통해 전달된 이중음 다주파신호를 수신하여 전달하고,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이중음 다주파신호를 상기 접속수단을 통해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는 이중음 다주파신호 발생 및 수신수단;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전달된 키를 변조하여 상기 접속수단으로 전달하고, 상기 접속수단으로부터 전달된 키를 복조하여 상기 제어수단으로 전달하는 변복조수단;
    상기 개인용 컴퓨터로부터 전달되는 키를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하고, 상기 제어명령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된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키를 상기 변복조수단으로 전달하면서 상기 접속수단과 상기 변복조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이중음 다주파신호 발생 및 수신수단으로부터 이중음 다주파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이중음 다주파신호 발생 및 수신수단을 제어하는 상기 제어수단; 및
    상기 개인용 컴퓨터와 상기 제어수단 간에 송수신되는 키를 정합하여 주기 위한 정합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모뎀을 이용한 키 전송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키 전송 장치의 내부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모뎀을 이용한 키 전송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오프라인(Off-Line) 상에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개인용 컴퓨터로부터 키를 다운로드(down load) 받아서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하고,
    온라인(On-Line) 상에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대방 단말기와의 접속을 통하여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키를 상기 변복조수단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뎀을 이용한 키 전송 장치.
  4. 공중교환 전화망(PSTN :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를 통하여 키(Key)를 전송하기 위한 키 전송 방법에 있어서,
    메모리의 정상 여부에 따라 키의 송수신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 1 단계;
    오프 라인(Off-Line)상에서 개인용 컴퓨터에 접속되어 키를 수신받는 제 2 단계;
    상기 개인용 컴퓨터로부터 수신된 키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 3 단계; 및
    온라인(On-line)상에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키를 상대방과의 모뎀 접속을 통하여 전송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모뎀을 이용한 키 전송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상기 메모리가 정상인지를 판단하는 제 5 단계;
    상기 제 5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메모리가 정상이 아니면, 키의 송수신을 중지하도록 하는 제 6 단계; 및
    상기 제 5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메모리가 정상이면, 상기 개인용 컴퓨터로부터 수신된 키가 정상인를 판단하는 제 7 단계;
    상기 제 7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키가 정상이 아니면, 링(ring) 신호가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제 8 단계;
    상기 제 8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링 신호가 수신되지 않았으면, 상기 제 5 단계로 넘어가는 제 9 단계;
    상기 제 8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상기 링 신호가 수신되었으면, 상기 제 2 단계로 넘어가는 제 10 단계; 및
    상기 제 7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키가 정상이면, 상기 제 4 단계로 넘어가는 제 11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모뎀을 이용한 키 전송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개인용 컴퓨터와의 접속이 가능한지를 문의하는 제 5 단계;
    내부의 장애를 검사하여, 장애 검사 결과에 따라 상기 개인용 컴퓨터와의 접속가능 여부를 송신하는 제 6 단계;.
    상기 개인용 컴퓨터와의 접속가능 여부에 따라, 상기 개인용 컴퓨터는 다운로딩(down loading)하기 위한 키 파일의 이름을 송신하는 제 7 단계;
    상기 개인용 컴퓨터는 다운로딩할 데이타의 갯수를 전송하는 제 8 단계;
    상기 개인용 컴퓨터는 다운로딩할 데이터 갯수 만큼 실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9 단계;
    상기 개인용 컴퓨터는 키의 장애 여부를 검사하기 위한 첵섬(check_sum)을 전송하는 제 10 단계; 및
    내부에 다운로딩된 키의 첵섬을 검사해서, 검사 결과에 따라 키에 대한 정상 여부를 상기 개인용 컴퓨터로 전송하는 제 11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모뎀을 이용한 키 전송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6 단계는,
    내부의 장애 검사 결과, 내부에 장애가 발생되었으면, 상기 개인용 컴퓨터와의 접속을 중지하는 제 12 단계; 및
    내부의 장애 검사 결과, 내부에 장애가 발생되지 않았으면, 상기 개인용 컴퓨터와의 접속을 수행는 제 13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모뎀을 이용한 키 전송 방법.
  8. 제 4 항에 있어서,
    제 4 단계는,
    키 수신측이 키를 수신하기 위해 훅오프(Hook Off)한 후, 전화번호를 다이얼링(dialing)하는 제 5 단계;
    키 송신측은 링 신호를 수신한 후 자동으로 훅오프되어, 키 송신측임을 알리기 위해 이중음 다주파신호를 송신하는 제 6 단계;
    상기 키 수신측은 수신된 상기 이중음 다주파신호를 이용하여 자신의 식별자를 전송하는 제 7 단계;
    상기 키 수신측으로부터 전송된 식별자와 상기 키 송신측의 식별자의 동일 여부에 따라 모뎀 접속을 수행하는 제 8 단계;
    상기 모뎀 접속이 완료된 후, 상기 키 수신측은 요구 키 번호를 전송하는 제 9 단계;
    상기 키 송신측은 상기 요구 키 번호에 해당하는 실제 키를 전송하는 제 10 단계; 및
    상기 키 수신측은 상기 실제 키의 수신 결과를 전송하는 제 11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모뎀을 이용한 키 전송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8 단계는,
    상기 키 수신측으로부터 전송된 식별자와 상기 키 송신측의 식별자가 동일하지 않으면, 상기 모뎀과 접속을 수행하지 않는 제 12 단계; 및
    상기 키 수신측으로부터 전송된 식별자와 상기 키 송신측의 식별자가 동일하면, 상기 모뎀과 접속하는 제 13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모뎀을 이용한 키 전송 방법.
KR1019980039935A 1998-09-25 1998-09-25 모뎀을 이용한 키 전송 장치 및 그 방법 KR1002754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9935A KR100275495B1 (ko) 1998-09-25 1998-09-25 모뎀을 이용한 키 전송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9935A KR100275495B1 (ko) 1998-09-25 1998-09-25 모뎀을 이용한 키 전송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1024A true KR20000021024A (ko) 2000-04-15
KR100275495B1 KR100275495B1 (ko) 2000-12-15

Family

ID=19551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9935A KR100275495B1 (ko) 1998-09-25 1998-09-25 모뎀을 이용한 키 전송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549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4396B1 (ko) * 2004-12-30 2007-01-03 조종수 쿠션기능을 가지는 통풍 신발.
CN108632476A (zh) * 2018-04-26 2018-10-09 贵阳朗玛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融合pstn的移动互联网语音平台系统及其通信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4396B1 (ko) * 2004-12-30 2007-01-03 조종수 쿠션기능을 가지는 통풍 신발.
CN108632476A (zh) * 2018-04-26 2018-10-09 贵阳朗玛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融合pstn的移动互联网语音平台系统及其通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75495B1 (ko) 2000-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26366A2 (en) Improvements in telephone technician's terminals
GB2384940A (en) Communication system, system information download method, main apparatus, and server apparatus
KR100275495B1 (ko) 모뎀을 이용한 키 전송 장치 및 그 방법
KR100318713B1 (ko) 정보메시지의확인잠금및확인통보방법
US6741857B1 (en) Access method and apparatus for a wireless local loop telephone network
JPH11341151A (ja) ダイヤルアップ接続認証方式
CA1270968A (en) Automatic dialing apparatus for establishing connections between authorized subscribers
US5241596A (en) Facsimile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US646313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lecommunications signal routing and data management
KR100439219B1 (ko) 발신자 세부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사설교환기 및 그제어방법
JP2832449B2 (ja) 秘匿通信制御装置
JP3547967B2 (ja) 集中監視システムにおけるデータ送受信装置
JPS62276939A (ja) デ−タ通信装置
US20060050334A1 (en) Diagnostic tool with data modem test
KR20010083378A (ko) 디지털 가입자 인터페이스 보드를 이용한 호 처리 시험장치 및 방법
US6456401B1 (en) Communication apparatus capable of conducting remote diagnosis using communication circuit
JP3055605B2 (ja) 加入者無線システム用加入者宅装置
JPH08274897A (ja) 端末側通信機器、それの相手通信機器およびそれらを備える通信システム
KR20020054593A (ko) 호출자 아이디 서비스를 응용한 이-메일 전송 방법 및 장치
JP2832447B2 (ja) 秘匿通信制御装置
GB2347046A (en) Method of calling through the intermediary of a call server and associated aut omatic call machine
JPH06253030A (ja) データ伝送装置
JP2000299773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H0257052A (ja) インタフェース装置
JPH07250375A (ja) ディジタルデータ通信アダプ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0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