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8713B1 - 정보메시지의확인잠금및확인통보방법 - Google Patents

정보메시지의확인잠금및확인통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8713B1
KR100318713B1 KR1019980053323A KR19980053323A KR100318713B1 KR 100318713 B1 KR100318713 B1 KR 100318713B1 KR 1019980053323 A KR1019980053323 A KR 1019980053323A KR 19980053323 A KR19980053323 A KR 19980053323A KR 100318713 B1 KR100318713 B1 KR 1003187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essage
received
password
messag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3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8353A (ko
Inventor
박미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80053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8713B1/ko
Publication of KR20000038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83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8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87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04M1/667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 H04M1/67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by electronic means
    • H04M1/673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by electronic means the user being required to key in a c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단문메시지나 음성메시지의 확인 동작에 관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단문메시지나 음성메시지 수신시에 타인에 의한 정보의 유출을 막을 수 있으며 메시지를 수신자가 확인하였음을 송신자가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구현함에 있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의 첫 번째 요지는 패스워드를 입력받아 정보메시지 확인 잠금 기능을 설정하여 저장하고, 정보메시지가 수신되었으면 알람동작을 수행하는 무선 단말기의 정보메시지 확인 잠금 방법에 있어서, 정보메시지 확인 모드를 선택하는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정보메시지 확인 잠금 기능이 설정되었는지 검사하고, 상기 정보메시지 확인 잠금 기능이 설정되었으면 패스워드를 입력받아 상기 저장된 패스워드와 일치할 시에 상기 수신된 정보메시지의 확인 모드가 계속해서 수행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두 번째 요지는 송신측에서 정보메시지와 함께 패스워드 데이터를 전송하고, 수신측에서 정보메시지가 수신되었으면 알람동작을 수행하는 무선 단말기의 정보메시지 확인 잠금 방법에 있어서, 정보메시지 확인 모드를 선택하는 데이터가 입력되면 패스워드를 입력받아 상기 수신한 패스워드 데이터와 일치하는지 검사하고, 상기 검사결과 상기 입력받은 패스워드와 상기 수신한 패스워드가 일치할 시에 상기 수신된 정보메시지의 확인 모드가 계속해서 수행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 번째 요지는 정보메시지가 수신되면 알람동작을 수행하는 무선 단말기의 정보메시지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정보메시지 확인 모드를 선택하는 데이터가 입력되면 수신된 정보메시지로부터 발신자 전화번호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한 전화번호를 자동으로 다이얼링하여 정보메시지 확인 신호를 전송함을 특징으로 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단문메시지나 음성메시지의 서비스에 이용된다.

Description

정보메시지의 확인 잠금 및 확인 통보방법{LOCKING AND INFORMING METHOD OF INFORMATION-MESSAGE CONFIRMATION IN WIRELESS TELEPHONE SET}
본 발명은 단문메시지나 음성메시지와 같은 정보메시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보메시지가 수신될 시에 타인에 의한 정보의 유출을 방지하고 확인 시에 이를 송신자에게 알려주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단문메시지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는 송신자가 단문메시지를 단말기나 컴퓨터 등을 이용하여 입력하고 전송할 전화번호(DESTINATION ADDRESS)를 입력하여 이를 통신 시스템으로 전송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면 통신 시스템에서는 수신된 메시지를 해당 전화번호의 단말기로 송신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기는 가입자카드나 메모리에 단문메시지를 저장할 수 있으며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그러면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인지한 사용자는 표시부에 표시된 내용이나 상기 저장된 단문 메시지를 확인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경우 단문메시지가 직접적으로 표시부로 표시됨으로써 메시지 정보가 타인에게 유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메시지가 표시부로 표시되지 않고 단말기에 저장되어 사용자의 확인요구에 의하여 메시지가 표시된다하여도 아무런 보안시스템이 되어 있지 않아 타인이 단말기의 확인 버튼을 누름으로써 메시지 정보가 표시됨으로 인해 정보가 유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통상적으로 단말기에서는 잠금 기능을 이용하여 단말기의 사용을 제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경우와 같이 수신동작에 관해서는 잠금 기능이 지원되지 않고 있다.
한편, 상기 단문 메시지를 전송한 송신측에서는 수신측 사용자의 단말기가 단문메시지를 수신했는지에 대한 정보만을 상기 송신측에 전송하도록 되어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경우 수신측의 사용자가 단문메시지를 확인했는지 하지 않았는지를 송신측 사용자가 알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단문메시지가 수신되면 진동이나 벨이 울리게되고 이를 인지한 수신측 사용자가 단문 메시지를 확인하는 플로우를 가지고 있다. 그런데 상기 벨이나 진동을 사용자가 감지 못하는 경우 일정 시간이 지나면 벨이나 진동은 발생되지 않고 단지 표시부로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나타내는 표시만 해줄 뿐이다. 그럴 경우 송신측 사용자는 단문메시지가 수신측에 수신되었음을 확인하는 메시지를 통신시스템을 통해서 받음으로써 단문 메시지가 수신측 사용자에게 완벽하게 전달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단문메시지에 약속 시간이나 중요한 내용이 있을 경우 송신측 사용자는 단문메시지의 내용이 수신측 사용자에게 전달된 것으로 착각함으로써 기약 없이 기다린다거나 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와 같이 수신측 사용자가 단문메시지가 수신되었음에 대하여 송신측에 전화연락이나 그에 상응하는 응답이 없을 경우에 송신측에서는 수신측 사용자가 메시지를 확인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하여 계속해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은 음성메시지에 대하여도 동일한 문제점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술한바와 유사하게 음성메시지가 수신되면 단말기 사용자 외에 타인이 확인이나 발신키를 누름으로써 타인에게 음성메시지 정보가 유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정보메시지가 타인에게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보메시지를 수신한 사용자가 메시지 정보를 확인하였을 때에 이를 송신측에 알려주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첫 번째 요지는 패스워드를 입력받아 정보메시지 확인 잠금 기능을 설정하여 저장하고, 정보메시지가 수신되었으면 알람동작을 수행하는 무선 단말기의 정보메시지 확인 잠금 방법에 있어서, 정보메시지 확인 모드를 선택하는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정보메시지 확인 잠금 기능이 설정되었는지 검사하고, 상기 정보메시지 확인 잠금 기능이 설정되었으면 패스워드를 입력받아 상기 저장된 패스워드와 일치할 시에 상기 수신된 정보메시지의 확인 모드가 계속해서 수행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두 번째 요지는 송신측에서 정보메시지와 함께 패스워드 데이터를전송하고, 수신측에서 정보메시지가 수신되었으면 알람동작을 수행하는 무선 단말기의 정보메시지 확인 잠금 방법에 있어서, 정보메시지 확인 모드를 선택하는 데이터가 입력되면 패스워드를 입력받아 상기 수신한 패스워드 데이터와 일치하는지 검사하고, 상기 검사결과 상기 입력받은 패스워드와 상기 수신한 패스워드가 일치할 시에 상기 수신된 정보메시지의 확인 모드가 계속해서 수행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 번째 요지는 정보메시지가 수신되면 알람동작을 수행하는 무선 단말기의 정보메시지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정보메시지 확인 모드를 선택하는 데이터가 입력되면 수신된 정보메시지로부터 발신자 전화번호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한 전화번호를 자동으로 다이얼링하여 정보메시지 확인 신호를 전송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문메시지 수신시의 제어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특정(特定)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제어부(100)는 무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정보메시지가 수신되어 사용자의 확인 요구가 있으면, 기 설정된 패스워드 또는 송신측에서 보내온 패스워드와 입력되는 패스워드를 비교하여 정보메시지 확인 동작을 수행하고 송신측으로 정보메시지 확인 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동작을 수행한다. 메모리(130)는 동작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롬(ROM)과 전기적으로 프로그램이 가능한 이이피롬(EEPROM)과 램(RAM)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별히 메모리(130)는 패스워드 저장영역(131)과 단문메시지 저장영역(132)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정보메시지 확인 잠금 동작과 확인 신호 전송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다. 표시부(120)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 LCD) 등과 같은 표시장치이다. 표시부(120)는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를 받아 무선 단말기의 상태나 프로그램의 진행 상황, 본 발명에 따른 단문메시지 등을 표시한다. 키입력부(110)는 다수의 숫자 키와 각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 키로 이루어지며, 외부의 조작에 의해 제어부(100)로 키 데이터를 출력한다. RF부(150)는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를 받으며, 안테나를 통해 기지국으로 각종 데이터를 송신한다. 신호 처리부(140)는 마이크로폰(Microphone)으로부터 입력된 음성 신호를 변조하여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RF부(150)로부터 입력된 음성 데이터를 음성신호로 복조하여 스피커(Speaker)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에 앞서 본 실시예는 단문메시지를 예로들어서 설명하고 있으며, 먼저 송신측의 단문메시지 송신 동작을 하기에 설명한다.
통상 임의의 사용자가 단문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무선 단말기나 컴퓨터 통신망을 이용하여 메시지와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전송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메시지 외에 패스워드 데이터를 더 입력하여 수신측으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패스워드는 수신측의 사용자와 약속된 것을 말한다. 상기와 같은 경우 단문메시지 전송 시에 시스템으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상기 표1과 같이 시스템으로 데이터가 전송되어 오면 시스템은 수신측 전화번호를 검출하고 그 번호의 사용자를 찾아 메시지와 송신측 전화번호를 전송해준다.
200 단계에서 제어부(100)는 단문메시지가 수신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단문메시지가 수신되면 210 단계로 진행하여 알람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상기 알람 동작을 수행하기에 앞서 제어부(100)는 수신된 단문메시지 데이터 외에 상기 표1의 패스워드 데이터 송신측 전화번호, 수신된 시간 등을 단문 메시지 저장영역(132)에 저장하게 된다. 상기 저장 예는 하기 표2에 나타내었다.
[표 2]
이때 상기 수신한 단문메시지 데이터 중에 패스워드 데이터가 있는 것으로판단되면 표시부(120)를 통해 "단문 메시지가 수신되었습니다(패스워드 입력요구)"와 같이 표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단문메시지가 수신되었습니다"와 같이 표기하고 있다. 이후 제어부(100)는 220 단계에서 종래와 마찬가지로 수신이 완벽하게 이루어졌음을 알리는 수신확인 메시지를 시스템으로 전송하게 된다. 230 단계에서 제어부(100)는 사용자가 상기 알람동작을 통해 단문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인지하고 메시지 확인을 위하여 확인버튼을 누르거나 함으로써 단문메시지 확인 모드를 선택하는 키 데이터가 키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키데이터가 입력되면 240 단계에서 잠금 기능이 설정되었는지 검사하는 단계이다.
상기 잠금 기능이라 함은 일반적으로 단말기의 송신을 제한하기 위한 기능과 유사하며 단말기 사용자가 미리 설정하여 둔다. 상기 잠금 기능은 단말기에 단문메시지가 수신되면 메시지의 내용을 표시부(110)로 표시하지 않고 단지 메시지가 왔음을 알려주도록 한다. 또한 패스워드를 입력받아 미리 메모리(130)의 패스워드 저장영역(131)에 저장하여 둠으로써 메시지 확인 시에 패스워드 입력을 요구하고 그 값에 따라 메시지의 확인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240 단계에서 잠금 기능이 설정되어 있으면 241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250 단계로 진행한다. 241 단계에서 제어부(100)는 패스워드입력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표시부(120)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패스워드를 입력하시요!"와 같이 표시한다. 242 단계에서 입력된 패스워드와 패스워드 저장영역(131)에 저장된 데이터와 일치하면 250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260 단계로 진행하여 경보 메시지를 발생하게 한다. 250 단계에서 제어부(100)는 단문메시지 수신시에 함께 패스워드 데이터가 수신되었는지 검사한다. 상기 패스워드 데이터는 송신측에 의한 것으로 표1에 나타낸 패스워드를 말한다. 251 단계에서 제어부(100)는 241 단계와 마찬가지로 사용자에게 패스워드 입력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표시부(120)로 출력한다. 252 단계에서 제어부(100)는 수신된 패스워드 데이터와 입력된 패스워드를 비교하여 일치하면 270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260 단계로 진행한다. 280 단계에서 제어부(100)는 사용자가 단문 메시지를 확인하였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송신측으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전송은 단문메시지가 수신될 시에 저장된 단문메시지 저장영역(132)의 송신측 전화번호에 의해 송신측으로 전송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단문메시지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단순히 단문메시지의 수신시에만 적용되지 않고 음성메시지의 수신시에도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일반적으로 음성 메시지가 수신되면 사용자가 단말기의 확인키나 발신키를 누름으로써 기지국과 연결되어 음성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에도 타인에게 정보가 유출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 사용되고 있는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음성메시지 확인 시에 타인에 의한 정보의 유출을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문메시지나 음성메시지와 같이 송신측에 의해 일방적으로 수신측에 제공되는 정보메시지의 확인 잠금 기능이 설정된 상태에서 정보메시지가 수신된 후에 사용자가 메시지 확인을 모드를 선택하면 단말기는 패스워드 입력을 요구하게 된다. 이때 입력되는 패스워드와 기 저장된 패스워드가 같을 때에만 수신된 정보메시지를확인할 수 있도록 확인 모드를 계속해서 수행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경우에는 송신측에서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전송할 필요는 없다.
그리고 송신측에서 수신자와 협의 하에 설정된 패스워드가 정보메시지와 함께 수신되면 메시지 확인 시에 상기와 동일하게 패스워드 입력을 요구하고 입력되는 패스워드와 수신된 패스워드가 같을 때 정보 메시지를 표시하거나 청취할 수 있도록 확인모드를 계속해서 수행하도록 한다. 음성메시지의 경우는 기지국과의 연결을 허용함으로써 음성 메시지를 청취할 수 있도록 확인모드를 계속해서 수행하도록 한다. 패스워드가 틀린 경우에는 기지국과의 연결을 차단함으로써 잠금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종래와는 달리 사용자가 정보메시지 확인 모드를 선택하여 정보메시지를 확인하게 되면 정보메시지로부터 송신측 전화번호를 검출하여 상기 전화번호로 자동다이얼링을 수행하고 메시지확인 신호를 전송하여 송신측으로 메시지 확인을 알려주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정보메시지 확인 시에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정보메시지가 타인에게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수신측 사용자가 메시지를 확인하였을 때에 송신측으로 이를 알려줌으로써 송신측 사용자의 불필요한 노력 낭비를 예방할 수 있고 확실하게 메시지가 수신측에 전달되었음을 송신측 사용자가 확인 할 수 있다.

Claims (2)

  1. 송신측에서 정보메시지와 함께 패스워드 데이터를 전송하고, 수신측에서 정보메시지가 수신되었으면 알람동작을 수행하는 무선 단말기의 정보메시지 확인 잠금 방법에 있어서,
    정보메시지 확인 모드를 선택하는 데이터가 입력되면 패스워드를 입력받아 상기 수신한 패스워드 데이터와 일치하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결과 상기 입력받은 패스워드와 상기 수신한 패스워드가 일치할 시에 상기 수신된 정보메시지의 확인 모드가 계속해서 수행되도록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메시지 확인 잠금방법.
  2. 정보메시지가 수신되면 알람동작을 수행하는 무선 단말기의 정보메시지 확인통보방법에 있어서,
    정보메시지 확인 모드를 선택하는 데이터가 입력되면 패스워드를 입력받아 상기 수신한 패스워드 데이터와 일치하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결과 상기 입력받은 패스워드와 상기 수신한 패스워드가 일치할 시에 상기 수신된 정보메시지의 확인 모드가 계속해서 수행되도록 하고, 상기 수신된 정보메시지로부터 발신자 전화번호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검출한 전화번호를 자동으로 다이얼링하여 정보메시지 확인 신호를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메시지 확인 통보방법.
KR1019980053323A 1998-12-05 1998-12-05 정보메시지의확인잠금및확인통보방법 KR1003187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3323A KR100318713B1 (ko) 1998-12-05 1998-12-05 정보메시지의확인잠금및확인통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3323A KR100318713B1 (ko) 1998-12-05 1998-12-05 정보메시지의확인잠금및확인통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8353A KR20000038353A (ko) 2000-07-05
KR100318713B1 true KR100318713B1 (ko) 2002-08-13

Family

ID=19561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3323A KR100318713B1 (ko) 1998-12-05 1998-12-05 정보메시지의확인잠금및확인통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871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6730A (ko) * 1999-02-25 2000-09-15 윤종용 휴대폰에서 개인정보 보호방법
KR20030006694A (ko) * 2001-07-14 2003-01-23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비밀속성을 가진 단문메시지의 전송및 수신방법
KR100437758B1 (ko) * 1998-12-31 2004-07-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신시스템에서단문메시지의방송서비스를수행하는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7498B1 (ko) * 2000-12-23 2007-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공유 방법 및 장치
KR20030058710A (ko) * 2001-12-31 2003-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처리 방법
KR100456001B1 (ko) * 2002-11-15 2004-11-08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휴대폰에서 발신자번호표시를 제한하기 위한 자동다이얼링방법
KR100931723B1 (ko) * 2003-02-05 2009-12-14 주식회사 케이티 보안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702514B1 (ko) * 2005-12-21 2007-04-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개인 비밀 메시지 보호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6209A (ko) * 1994-10-25 1996-05-22 구자홍 무선호출기의 수신제어 방법
KR19980075363A (ko) * 1997-03-31 1998-11-16 김인배 암호화 비밀번호를 사용한 무선호출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6209A (ko) * 1994-10-25 1996-05-22 구자홍 무선호출기의 수신제어 방법
KR19980075363A (ko) * 1997-03-31 1998-11-16 김인배 암호화 비밀번호를 사용한 무선호출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7758B1 (ko) * 1998-12-31 2004-07-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신시스템에서단문메시지의방송서비스를수행하는방법
KR20000056730A (ko) * 1999-02-25 2000-09-15 윤종용 휴대폰에서 개인정보 보호방법
KR20030006694A (ko) * 2001-07-14 2003-01-23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비밀속성을 가진 단문메시지의 전송및 수신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8353A (ko) 200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48865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P1755273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henticating a telematics terminal in a vehicle
KR10059034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 잠금 제어 방법
KR100318713B1 (ko) 정보메시지의확인잠금및확인통보방법
KR20010061687A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동송 방법
US8688149B2 (en) Cordless telephone active-call enabled intercom
KR20010074346A (ko) 통신 시스템에서 발신자 정보 자동 송신 방법
KR20000044484A (ko) 무선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 상태 표시 방법
KR20040034865A (ko) 착신측 사용자정보를 제공하는 통신단말장치 및 그 방법
KR20030025046A (ko) 전화기의 부재중 착신 전화정보를 단문 메시지로 제공하는장치 및 그 방법
KR101085740B1 (ko) 이동통신단말에서 통화 내역 세부 정보 제공방법
EP0986272B1 (en) Portable messag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312219B1 (ko) 지에스엠단말기에서발신자를확인하는방법
US679906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dialing announcement in a telephone terminal
JPH09322249A (ja) 無線選択呼出受信機
KR20000044447A (ko) 무선단말기에서 디티엠에프 신호를 이용한 무선 잠금 방법
KR20020093253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 번호 설정방법
KR100239176B1 (ko) 무선통신단말기의 통화 재시도 자동제어장치 및방법
KR20020021835A (ko)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가능 여부를 알려주는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운용방법
KR10040026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응답신호를 이용한 통화 연결정보표시장치 및 그 방법
KR20020068107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메시지 응답 장치 및 방법
KR20010001043A (ko) 발신 전화번호 확인시스템 및 그에 따른 호 처리방법
KR20030048196A (ko) 단전문 메시지를 이용한 잠금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단말기및 그 방법
KR100241898B1 (ko) 전화기의 비밀번호 노출 방지 장치 및 방법
KR20030041566A (ko) 휴대폰에서의 위급상황 알림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