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0827U - 압착이 가능한 음료캔 - Google Patents

압착이 가능한 음료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0827U
KR20000020827U KR2019990008233U KR19990008233U KR20000020827U KR 20000020827 U KR20000020827 U KR 20000020827U KR 2019990008233 U KR2019990008233 U KR 2019990008233U KR 19990008233 U KR19990008233 U KR 19990008233U KR 20000020827 U KR20000020827 U KR 2000002082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ion line
beverage
container
cans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82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식
Original Assignee
박경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식 filed Critical 박경식
Priority to KR20199900082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20827U/ko
Publication of KR200000208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0827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0292Foldable 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4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 B65D17/401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for opening partially by means of a tearing ta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각종 음료나 맥주등을 담는 캔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 캔용기는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요입압축선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캔을 사용후 상하면부에서 일정압력을 가하면 압착됨으로써, 압축기계가 필요없이 간편하게 부피를 줄여 빈캔회수시 운반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하고, 재활용에 효율성을 기할 수 있는 잇점을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압착이 가능한 음료캔{Squashy container for beverage}
본 고안은 각종 음료나 맥주등을 담는 캔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캔용기의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요입압축선을 형성하고 있는 캔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이온, 탄산음료등등의 다양한 음료들이나 맥주등은 그 운반 및 사용의 편의성을 추구하기 위해 캔용기에 담아서 출시하는 제품이 급속이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캔용기는 보통 뚜껑을 쉽게 원터치로 개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휴대가 간편하고 깨지거나 부서지지 않아 내용물의 보관이 안전하며 휴대시 파손의 염려가 없는 등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그것들을 회수하여 재활용하기가 쉽다는 데 큰 장점으로 작용하고 있다.
캔은 그 내부의 내용물을 마시고 난 후, 즉 용기를 사용하고 난 후에는 쓰레기통에 버리게 되는 데, 이 버려진 캔들은 회수되어 그 상태로 차에 싣고 재생공장으로 운반하여 그곳에서 압축기로 압축한 후 재생처리공정을 거쳐 재생되게 된다. 그러나, 기존에는 캔들이 통상 사용후에도 별도의 장비가 아니면 압축이 불가능하였으므로 빈 캔을 수집시 원형을 유지하고 있는 캔통들을 그대로 회수운반함으로써 운반시 점유면적을 많이 차지하여 운반효율을 떨어뜨리는 것은 물론 보관시에도 점유면적이 커서 공간이용효율이 떨어지는 폐단이 있었다. 또한, 재생처리공정에 앞서 압축기기를 사용하여 캔을 압축시키는 공정이 필요하게 되고, 따라서 고가의 압축기기의 설치비가 소요될 뿐만아니라, 압축기기의 불필요한 설치로 인한 재생공장의 공간활용도도 떨어지는 폐단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제결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그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요입압축선을 형성함에 의하여 사용한 후 빈 캔을 양손 또는 발로 상하면부에서 일정압력을 가하여 압착함으로써 압축기계가 필요없이 간편하게 부피를 줄여 빈캔회수시 운반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고가의 압축기계의 구입이 필요없어 경제적이고 재활용에 효율성을 기할 수 있게 하는 압착이 가능한 음료캔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압착이 가능한 음료캔의 일부 절결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전단면도,
도 3은 도 1의 음료캔의 부피를 줄여 폐기운송하기 위해 압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압착이 가능한 음료캔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전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 : 캔(Can) 11a,11b : 요입압축선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압착이 가능한 음료캔은 내부에 음료, 맥주등등의 내용물을 담는 캔용기에 있어서, 상하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일정압력을 가하면 내외부로 압축되도록 상기 캔의 내주면을 일주하며 그 길이방향을 따라 요입압축선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압착이 가능한 음료캔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를 종방향으로 자른 전단면도이다.
음료캔(10)(이하, 캔이라 함)의 내부에는 그 내주면에 요입압축선(11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요입압축선(11a)은 도시한 바와 같이 나선형으로 캔(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회전하며 형성되며, 그 간격은 캔(10)의 길이나 직경에 따라 적정하게 가변조정될 수 있다. 즉, 그 간격을 멀리하면 접히는 폭이 크게 되고, 작게 하면 접히는 폭이 작아지게 된다. 이것은 제작시 용도에 따라서도 선택조절된다. 특히, 요입압축선(11a)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캔(10)의 금속두께를 얇게 하여 캔(10)의 상/하부에서 압축하는 힘(압력 또는 하중)을 주었을 경우 사람의 손이나 발의 힘에 의해 쉽게 압착이 가능한 두께를 형성한다. 따라서, 캔(10)내부의 내용물을 비운 후, 양손으로 비틀거나 누르면 쉽게 캔(10)은 도 3과 같이 압축되게 된다. 물론, 캔(10)을 세워놓은 후 발로 밟아도 쉽게 캔을 압축시킬 수 있다.
도 3은 캔(10)을 이와같은 방법으로 압착한 상태에 대한 사시도를 보여주고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압착이 가능한 음료캔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를 종방향으로 자른 전단면도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다.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나선형으로 요입압축선(11a)을 형성하는 것 이외에도, 원형으로 캔(10)내부에 내주면을 일주하며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여러개 요입압축선(11b)을 형성해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캔(10) 내주면에 원형의 요입압축선(11b)을 상부로부터 하부까지 연속하여 일정간격으로 형성한다. 이때, 원형의 요입압축선(11b)의 간격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캔(10)의 직경이나 길이 등을 고려하여 원하는 힘에서 압축이 가능하도록 설계하게 된다.
이상의 도 1 또는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캔(10)내주면에 형성된 요입압축선(11a,11b)에 더하여, 그 외주면에도 미세한 외부압축선(미도시)을 형성하면 압축성능을 배가할 수 있다. 물론, 외부압축선도 도 1 또는 도 4의 내주면에 형성된 요입압축선과 같이 나선형이나 원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상 서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압착이 가능한 음료캔은 그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내주면을 일주하며 연속적으로 요입압축선을 형성하여 사용한 후 빈 캔은 양손으로 상하면부에서 일정압력을 가하면 압착됨으로써 재활용시 압착공정이 필요없어 공정을 줄일 수 있을 뿐만아니라 압착에 필요한 설비를 구입하지 않아도 되므로 시설비를 절감할 수 있고 생산공장을 최대한으로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손으로 쉽게 압착하여 그 부피를 줄여 폐기 및 빈캔회수시 점유공간을 절감하여 수거를 용이하게 하고 보관시 공간의 이용도를 극대할 수 있는 잇점을 가지고 있다.

Claims (4)

  1. 캔용기에 있어서,
    상기 캔의 내주면에 사전설정된 간격으로 요입압축선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이 가능한 음료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요입압축선은 나선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이 가능한 음료캔.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요입압축선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다수의 홈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이 가능한 음료캔.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요입압축선에 일치되는 위치의 외주면에 외부압축선을 더 포함하는 압착이 가능한 음료캔.
KR2019990008233U 1999-05-14 1999-05-14 압착이 가능한 음료캔 KR2000002082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8233U KR20000020827U (ko) 1999-05-14 1999-05-14 압착이 가능한 음료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8233U KR20000020827U (ko) 1999-05-14 1999-05-14 압착이 가능한 음료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0827U true KR20000020827U (ko) 2000-12-15

Family

ID=54762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8233U KR20000020827U (ko) 1999-05-14 1999-05-14 압착이 가능한 음료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20827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8701A (ko) * 2001-12-31 2003-07-07 이병진 음료수 용기 캔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8701A (ko) * 2001-12-31 2003-07-07 이병진 음료수 용기 캔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11051B2 (en) Metal container capable of retaining a state of being reduc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reduction method thereof
US20020023929A1 (en) Synthetic resin liquid container
CA1065266A (en) Collapsible container
JP4016248B2 (ja) 長さ方向が縮小された状態を保つことが可能な容器とその縮小方法
US6736284B2 (en) End closure structure and method and container having reinforcing rib structures
KR20000020827U (ko) 압착이 가능한 음료캔
JPH04102544A (ja) 可圧潰缶
US20030006240A1 (en) Synthetic resin liquid container
KR200241870Y1 (ko) 부피 축소가 용이한 액체 수납용기
WO2003055757A1 (en) Beverage can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US20020023931A1 (en) Synthetic resin liquid container
KR200381453Y1 (ko) 식후 수거를 용이하게 하기위해 수축하는 캔
EP1184287A1 (en) Collapsible, synthetic resin container
JP3068694U (ja)
JP2916396B2 (ja) 缶容器
JP3039935U (ja) ペットボトルの側面を蛇腹状態にし、消費量に合わせ伸縮できるようにしたペットボトル
KR20020006246A (ko) 합성 수지제 액체 용기
KR200163527Y1 (ko) 음료수 페트(pet)병
RU48924U1 (ru) Бутылка
KR19990014478A (ko) 플라스틱 캔 용기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50094167A (ko) 길이방향이 축소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페트병의제조방법
JP2536898Y2 (ja) カン容器
KR101596740B1 (ko) 다단으로 절첩이 가능한 페트병
JP2002104509A (ja) 複合容器
KR20120001901U (ko) 캔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