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9966U - 의자 등받이용 머리받침대 - Google Patents

의자 등받이용 머리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9966U
KR20000019966U KR2019990006833U KR19990006833U KR20000019966U KR 20000019966 U KR20000019966 U KR 20000019966U KR 2019990006833 U KR2019990006833 U KR 2019990006833U KR 19990006833 U KR19990006833 U KR 19990006833U KR 20000019966 U KR20000019966 U KR 2000001996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rest
chair
backrest
vertical suppor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68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53650Y1 (ko
Inventor
정해창
Original Assignee
정해차어
주식회사 해정지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해차어, 주식회사 해정지점 filed Critical 정해차어
Priority to KR20199900068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3650Y1/ko
Publication of KR200000199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996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36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365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 A47C7/383Detachable or loose head- or neck-supports, e.g. horse-shoe shaped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단부에 헤드레스트가 구비된 수직지지간을 의자의 등받이 배면에 분리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의자등받이용 머리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의자등받이용 머리받침대는 상단부에 헤드레스트(11) 및 높이조절부(12)가 구비되고, 하단부에는 고정구(13)가 형성된 수직지지간(14)이 의자 좌판부(3)의 후단 중앙부에서 수직으로 연장형성된 등받이 지지대(5)의 하부에 형성된 머리받침대 고정부(15)에 분리가능하도록 고정되는 구조로써, 이때 이들 등받이 지지대(5)와 머리받침대(10)는 여러 가지 방식의 고정장치에 의해서 결합될 수 있음과 아울러 착석자의 필요에 따라 언제든지 머리받침대(10)의 분리 결합이 가능하도록 함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의 머리받침대는 의자 등받이에 특별한 구조 변경이나 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헤드레스트의 결합과 분리가 자유로운 장점이 있고, 착석시 어깨 상부로부터 후두부에 이르는 목 부분을 지지하여 등 중심부 즉, 척추에 가해지는 하중을 등받이와 함께 분산시켜 편안하고 안락한 착석자세를 유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의자등받이용 머리받침대 {Headrest device for backrest of chair}
본 고안은 의자 등받이의 구조 개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의자 등받이의 배면 하단부에 머리받침(head rest)이 구비된 수직지지간이 분리가능하도록 고정되는 구조로서, 착석자의 필요에 따라 간단하게 설치가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헤드레스트의 높이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등받이와 함께 상체 하중의 분산을 유도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머리받침대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한 의자 등받이용 머리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의 등받이는 착석자의 어깨부위에서 허리에 이르는 상체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최근에는 허리에 가해지는 상체의 하중을 효율적으로 분산시켜 지지함과 아울러 편안한 착석자세를 유도하도록 하는 여러 가지 형태의 기능성 의자 등받이가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다.
한편, 대부분의 의자는 둔부를 지지하는 좌판부와 등부위를 지지하는 등받이 만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착석시 어깨부위에서 후두부로 이어지는 척추부위를 제대로 지지하지 못함에 따라 착석자가 오랫동안 의자에 앉아 있거나 등받이에 기대어 휴식을 취할 때 목 또는 어깨가 결리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 바, 이러한 종래 의자의 일예로 도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대표적인 의자의 형태가 알려져 있다.
도1은 종래 의자의 전체 구조를 보인 사시도로서 이에 의거하여 종래 의자의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같이, 종래의 의자는, 의자본체(1)를 지지하는 다리부(2)와, 다리부(2)의 상부에 지면과 일정한 높이로 수평상태를 이루어 결합된 좌판부(3)와, 상기 좌판부(3)의 후단부에 대략 수직으로 설치되는 등받이부(4)가 결합되어진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다리부(2)는 좌판부(3)의 저면에 수직지지대(2a)가 고정되고, 그 하단부에 방사상으로 연장형성된 다수개의 다리(2b)가 형성되며, 상기 다리(2b)의 외측하단부 각각에는 캐스터(2c)가 결합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좌판부(3)는 착석자 둔부의 형상에 따라 중앙이 오목한 형태의 구조를 취하고, 좌판부(3)의 후단 중앙부에서 수직으로 연장형성된 등받이 지지대(5)가 결합되며, 상기 등받이 지지대(5)의 전면에는 판형의 등받이 또는 양편에 말안장 형상의 표면부를 갖는 한쌍의 등받이(4)가 서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채로 고정되어 착석자의 등부위를 밀착 지지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상기 종래의 의자(1)는 한쌍의 등받이(4)가 겨드랑이 아래의 등짝부위를 감싸는 형태로 접촉지지되며, 착석자의 자세변화에 대응하여 두 등받이(4)가 독립적으로 변화됨에 따라 착석자의 척추에 걸리는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해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상기 종래의 의자(1)는 착석초기에는 둔부 및 허리부분이 등받이(4)와 밀착 지지되어 안락하고 편안한 상태를 느끼게 되나 착석자가 등받이(4)에 기대서 휴식을 취할 경우 또는 의자(1)에 앉은 채로 수면을 취할 경우에 상기 의자(1)는 착석자의 머리부위를 지지하는 헤드레스트가 구비되지 않음으로써 충분한 휴식을 취할 수 없고 상체가 구부정한 자세로 이루어짐에 따라서 척추가 휘어진 채로 유지되어 휴식후에 신체의 피로감이 더하고 목이 결리는 등의 통증이 유발되기도 한다.
한편, 종래 일부의 의자중에는 착석자의 편안함과 안락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의자 등받이 구조로써 등 전체를 감싸면서 착석자의 후두부를 지지하도록 등받이의 상부를 연장시키거나 등받이의 상단부에 별도로 헤드레스트를 결합하여 착석 상태에서 등받이에 상체를 기대었을 때, 후두부까지 등받이의 상단부나 헤드레스트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한 형태가 알려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형태의 의자는 통상적으로 가죽이나 레자를 씌워서 외관을 미려하게 꾸미고 그 크기가 일반 의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고가의 가격이 유지되며, 또한 공간을 많이 차지함으로 해서 학생이나 직장인들이 사용하기에는 무리가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종래 의자에서 제기되고 있는 제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좌판부의 후단 중앙부에 입설되어 고정된 등받이 지지대 배면 하부에 헤드레스트 및 높이조절부가 구비된 수직지지간이 등받이와 평행한 상태로 결합되는 구조로써 손쉽게 머리받침대의 분리 또는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저렴한 비용으로 헤드레스트를 구비할 수 있도록 한 착탈가능한 의자 등받이용 머리받침대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1은 종래 의자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 머리받침대의 사시도.
도3은 본 고안 머리받침대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4는 본 고안 머리받침대가 결합된 상태의 의자에 대한 배면도.
도5는 도3 및 도4에 대한 의자의 측면도.
도6은 본 고안 머리받침대의 다른 실시예 고정방식을 보인 의자의 측면도.
도7은 본 고안 머리받침대의 다른 실시예 고정방식을 보인 의자의 측면도.
도8은 도7의 "A" 부분에 대한 확대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머리받침대 11. 헤드레스트
12. 높이조절부 12a. 누름버튼
13. 고정구 13a. 고정홈
13b. 고정편 14. 수직지지간
15. 머리받침대 고정부 15a. 나사공
15b.고정편 삽입공 16. 조임노브
17.탄성연결부재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의자 등받이를 지지하는 등받이 지지대의 배면 하부에 상단부에는 헤드레스트 및 높이조절구가 구비되고 하단부에는 고정구가 형성된 수직지지간이 결합되는 구조에 의해서 달성된다.
본 고안의 머리받침대는 등받이 지지대의 배면에서 분리 또는 결합이 손쉽게 이루어지고, 일반적인 의자 등받이 형상에 구애됨이 없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구성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의 의자 등받이용 머리받침대에 대한 상기 목적과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작용효과에 관한 사항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설명에 의해서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먼저, 도2는 본 고안 의자 등받이용 머리받침대의 사시도이고, 도3은 본 고안 의자등받이용 머리받침대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시도로서, 이들 도면에 도시된 구성중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도1과 같은 부호를 부여하였다.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의 의자 등받이용 머리받침대는 상단부에 헤드레스트(11) 및 높이조절부(12)가 구비되고 하단부에 고정구(13)가 형성된 수직지지간(14)이 등받이 지지대(5)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등받이 지지대(5)의 하부에는 머리받침대(10)가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머리받침대 고정부(15)가 구비된다. 상기 머리받침대 고정부(15)는 조임노브(16)가 결합되는 나사공(15a)과 고정편(13b)이 삽입되는 고정편 삽입공(15b)이 형성되어 이들 통공(15a)(15b)에 머리받침대(10)의 고정구(13)가 결합됨으로써 등받이 지지대(5)상에 머리받침대(10)의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수직지지간(14)의 하단부에 형성된 고정구(13)는 "ㄱ"자 형상으로 절곡형성된 고정편(13b)이 구비되고, 그 위쪽으로는 머리받침대 고정부(15)의 나사공(15)을 통해 조임노브(16)의 단부가 체결되도록 고정홈(13a)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고정구(13)는 등받이 지지대(5)의 하부에 구비된 머리받침대 고정부(15)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다음, 도4는 본 고안 머리받침대가 결합된 상태의 의자에 대한 배면도로서,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의 머리받침대(10)는 등받이(4)와 평행을 이루어 좌판부(3)에 대하여 대략 수직으로 결합되고, 상기 수직지지간(14)의 상단부에는 헤드레스트(11)가 구비되며, 그 하부로는 높이조정이 가능하도록 높이조절구(1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두 부재(11)(12)는 탄성을 보유한 합성수지 또는 고무로 구성된 탄성연결부재(17)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어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수직지지간(14)은 헤드레스트(11)에 기대는 하중에 의해서 변형이나 파단이 일어나지 않도록 경질의 합성수지 또는 금속 재질을 사용하여 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지지간(14)에 외삽되는 높이조절부(12)는 배면에 누름버튼(12a)이 구비되고, 수직지지간(14)의 외주면상에는 높이조절용 홈(14a)이 구비되어 의자 사용자가 누름버튼(12a)을 눌러 높이조절부(12)를 상하로 유동시켜 착석자의 신장이나 신체적 조건에 적합한 높이로 조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헤드레스트(11)와 높이조절부(12)는 탄성을 보유한 탄성연결부재(17)에 의해서 결합되며, 이 탄성연결부재(17)는 헤드레스트(11)의 배면에 고정되어 착석자가 헤드레스트(11)에 기대는 방향에 따라 상하좌우로 탄성의 의한 소정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다음, 도5 내지 도7은 본 고안 머리받침대가 결합된 상태의 의자 측면도로서, 머리받침대의 고정구조를 서로 달리하는 실시예들을 도시하고 있다.
먼저, 도5는 앞서 살펴본 도4의 의자 등받이에 본 실시예 구조의 머리받침대가 고정된 의자의 측면도로서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머리받침대(10)는 등받이 지지대(5)의 하부에 구비된 머리받침대 고정부(15)의 고정편 삽입공(15b)을 통해서 수직지지간(14)의 하단부에 절곡형성된 고정편(13b)이 삽입되어 결합되므로써, 수직지지간(14)이 의자의 좌판부(3)에 대하여 대략 수직으로 고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머리받침대(10)는 머리받침대 고정부(15)의 나사공(15a) 배면에 고정구(13)의 고정홈(13a)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이에 나사공(15a)을 관통하는 조절노브(16)를 체결하여 조절노브(16)의 단부가 고정구(13)의 고정홈(13a)에 체결되도록 함으로서 머리받침대(10)와 등받이 지지대(5)가 보다 확실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한편, 상기 헤드레스트(11)는 착석자가 머리를 기댔을 때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충분한 쿳션재가 충진되고, 그 형상은 착석자의 후두부 형상, 즉 후두부에서 이어지는 목부위를 밀착 지지할 수 있도록 중앙부가 오목한 형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다음, 도6은 본 고안 머리받침대의 다른 실시예 고정방식을 보인 의자 측면도로서 도시된 바와같이, 본 실시예의 머리받침대(10)는 하단부가 고정편(21)으로만 구성된 구조로서, 상기 등받이 지지대(5) 하부에 요홈(22a)이 구비되고 위쪽으로 고정편 삽입공(22)을 형성하여 그 고정편 삽입공(22)에 고정편(21)이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두 부재(21)(22)가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직지지간(14)의 하부에 형성된 고정편(21)은 도5에 도시된 고정편(13b)을 한번 더 절곡형성한 "ㄷ"자 형상으로서, 그 단부가 상기 요홈(22a)에 삽입되어 조절노브(16) 없이도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등받이 지지대(5)의 하부에 구비된 고정편 삽입공(22)은 착석자가 헤드레스트(11)에 기댈 때 걸리는 응력을 견딜 수 있은 한도 내에서 상기 고정편(21)이 삽입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이룰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다음, 도7은 본 고안 머리받침대의 다른 실시예 고정방식을 보인 것이고, 도8은 도7의 "A" 부분에 대한 확대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의 머리받침대(10)는 수직지지간(14)의 하단부에 상부와 전면이 틔여진 직육면체 형태의 고정구(30)가 형성되고, 상기 등받이 지지대(5)의 배면 하부에도 동일한 형상의 고정구(31)가 용접등에 의해서 고정되며, 이들 고정구(30)(31) 양측부에는 삽입공(30a)(31a)이 각각 형성되어 그 삽입공(30a)(31a)을 통해 고정봉(32)이 삽입되어 두 부재가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각각의 고정구(30)(31)는 상면과 전면이 틔어진 직육면체의 형상을 이루는데 고정후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각의 저면은 반드시 막혀있어야 하고, 결합후에 미관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 상면 또한 막힌 구조로 이루어져서 두 고정구(30)(31)가 결합된 후의 형상은 사각함체의 형태를 취하게 됨으로써 머리받침대(10)와 등받이 지지대(5)가 일체로 형성된 것 같은 외관을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두 고정구(30)(31)의 양측부에 형성된 삽입공(30a)(31a)에 삽입되어 결합을 이루는 고정봉(32)은 삽입공(30a)(31a)의 지름과 거의 같거나 약간 작은 지름으로 형성되고, 저면 양편으로 고정홈(32a)이 구비되어 두 고정구(30)(31)가 결합시에 각각의 삽입공(30a)(31a)들이 머리받침대(10) 상부의 하중에 의해서 양측의 고정홈(32a)에 끼워지므로 착석자가 기대는 하중에 의해서 머리받침대(10)가 유동이 생기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의자 등받이용 머리받침대(10)는 각각의 실시예에 따른 설치 방법 및 그 역순의 분리과정에 따라서 착석자의 필요에 의해 머리받침대(10)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머리받침대(10)의 고정방식 외에도 여러 가지의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본 고안의 머리받침대는 좌판부 후단 중앙부에 수직으로 연장형성된 등받이 지지대의 배면에 헤드레스트를 구비한 수직지지간이 의자 등받이와 평행을 이루어 여러 가지 방식으로 분리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구조로써, 머리받침대가 구비된 고가의 의자를 별도로 구입하지 않고 착석자의 필요에 따라 분리 또는 결합함과 아울러 손쉽고 간단하게 설치가능함으로 인해서 헤드레스트가 일체로 고정된 고가의 의자와 같은 효과를 이룰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의 머리받침대는 저렴한 비용으로 의자등받이에 특별한 장치 또는 구조의 변경없이도 간단하게 일반 의자의 등받이 지지대에 부착 고정함으로써 편안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머리받침대는 사용자의 신장 또는 신체적 조건에 맞추어 상기 헤드레스트의 높이조정을 할 수 있으므로 착석자의 후두부에서 이어지는 목을 안정적으로 떠받치고 착석자세의 올바른 교정을 도모함은 물론 휴식시간을 이용한 수면을 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의자 등받이(4)의 배면 하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구(13)가 하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수직지지간(14)과, 그 수직지지간(14)의 상단에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헤드레스트(11)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등받이용 머리받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 지지대(5)는 하부에 나사공(15a)과 고정편 삽입공(15b)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지지간(14)의 고정구(13)에는 고정편(13b)이 형성되어 나사공(15a)에는 조절노브(16)가 결합되고, 고정편 삽입공(15b)에는 고정구(13)의 고정편(13b)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등받이용 머리받침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 지지대(5)는 하부에 고정편 삽입공(22)이 구비되고, 수직지지간(14)은 하단부에 대략 "ㄷ"자로 절곡형성된 고정편(21)이 구비되어 상기 고정편 삽입공(22)에 고정편(21)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등받이용 머리받침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 지지대(5)는 배면 하부에 전면이 틔인 고정구(30)가 구비되고, 수직지지간(14)은 하단부에 동일한 형상의 고정구(31)가 구비되어 상기 고정구(30)에 사각함체의 형상으로 결합되며, 그 양측부로 구비된 삽입공(31a)(31b)에 고정봉(32)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등받이용 머리받침대.
KR2019990006833U 1999-04-24 1999-04-24 의자 등받이용 머리받침대 KR2002536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6833U KR200253650Y1 (ko) 1999-04-24 1999-04-24 의자 등받이용 머리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6833U KR200253650Y1 (ko) 1999-04-24 1999-04-24 의자 등받이용 머리받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9966U true KR20000019966U (ko) 2000-11-25
KR200253650Y1 KR200253650Y1 (ko) 2001-11-16

Family

ID=54762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6833U KR200253650Y1 (ko) 1999-04-24 1999-04-24 의자 등받이용 머리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365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4318A (ko) * 2001-02-06 2001-06-05 강규수 척추가 편한 의자
KR100846733B1 (ko) * 2001-06-13 2008-07-16 이병오 의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4318A (ko) * 2001-02-06 2001-06-05 강규수 척추가 편한 의자
KR100846733B1 (ko) * 2001-06-13 2008-07-16 이병오 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3650Y1 (ko) 2001-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95177B2 (ja) 姿勢保持具
EP1255471B1 (en) Device for supporting a seated person and method for adjusting, designing and/or manufacturing such a device
EP0712286B1 (en) Adjustable backrest
US4634178A (en) Adaptable seating device
US20220167748A1 (en) Chair having open shoulder backrest
US6499804B1 (en) Easy chair device
KR200253650Y1 (ko) 의자 등받이용 머리받침대
KR200323355Y1 (ko) 등받이의 조절기능이 부여된 의자
KR100355031B1 (ko) 다기능 의자
KR100981057B1 (ko) 의자용 신체받이류의 결합연결구조
KR100435846B1 (ko) 척추 교정용 의자
KR19990046590A (ko) 의자등받이
KR100734166B1 (ko) 체형에 따라 조절 가능한 의자
KR200314480Y1 (ko) 전후 회전 머리받침
KR200371544Y1 (ko) 머리받침대 및 옷걸이가 구비된 의자
KR200327969Y1 (ko) 탄성부를 갖는 등받이 의자
KR200340688Y1 (ko) 자세교정용 의자
KR102182578B1 (ko) 탈부착형 가슴받이
KR200371543Y1 (ko) 의자의 등받이 결합구조
KR200358143Y1 (ko) 등받이 겸용 머리 받침대를 갖는 의자
KR20100007999U (ko) 경사조절이 가능한 의자
KR102497522B1 (ko) 자세 교정과 안락감을 제공하는 좌식 의자
KR20050023593A (ko) 의자 등받이 및 좌판의 탄성 결합 구조
KR200302692Y1 (ko) 의자의 등받이
KR0140441Y1 (ko)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