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9420A -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호 절환 차단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호 절환 차단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9420A
KR20000019420A KR1019980037512A KR19980037512A KR20000019420A KR 20000019420 A KR20000019420 A KR 20000019420A KR 1019980037512 A KR1019980037512 A KR 1019980037512A KR 19980037512 A KR19980037512 A KR 19980037512A KR 20000019420 A KR20000019420 A KR 200000194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obile communication
call
subscriber
b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7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70379B1 (ko
Inventor
박홍주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37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0379B1/ko
Publication of KR20000019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94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0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03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4Arrangements for diverting calls for one subscriber to another predetermined subscrib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6Registration at serving network Location Register, VLR or user mobility ser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호 전환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임의의 이동통신가입자로부터 전환되는 호의 수신을 차단할 수 있는 호 전환 차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가입자에 의해 설정되는 전환 번호를 포함하는 호 전환 정보와 호 전환 차단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다수의 이동통신 가입자에 대한 정보 영역을 가지는 소속 위치 등록기를 구비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호 전환 서비스 차단 방법에 있어서, 발신측 가입자가 제 1이동통신가입자로 호를 요구하면, 상기 발신측 가입자가 속하는 교환국이 상기 제 1이동통신가입자에 대한 정보를 가지는 해당 소속 위치 등록기를 찾아 상기 제 1이동통신가입자에 대한 정보를 요구하는 제 1과정과, 상기 교환국이 제 1이동통신가입자에 대한 정보 요구에 응답하여 제 1이동통신가입자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정보에 호 전환을 위한 전환 번호를 포함하는지를 검사한 다음, 전환 번호를 포함하고 있으면 맵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전환 번호를 가지는 제 2이동통신가입자에 대한 정보를 가지는 소속 위치 등록기를 찾은 다음, 상기 제 2이동통신가입자의 정보를 가지는 소속 위치 등록기를 찾으면 상기 소속 위치 등록기로 상기 제 2이동통신가입자 정보를 요구하는 제 2과정과, 상기 교환국이 제2이동통신가입자 정보를 요구하면 상기 제 2이동통신가입자 정보를 가지는 소속 위치 등록기가 상기 제 2이동통신가입자 정보를 검사하여 호 전환 차단이 설정되어 있는지를 검사하는 제 3과정과, 상기 검사 결과, 상기 호 전환 차단이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소속 위치 등록기가 상기 교환국으로 연결 거절 정보를 포함하는 제 2이동통신가입자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호 전환 차단이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전환 승인 정보를 포함하는 제 2이동통신가입자 정보를 상기 교환국으로 전송하는 제 4과정과, 상기 교환국이 상기 제 2이동통신가입자 정보를 가지는 소속 위치 등록기로부터 제 2이동통신가입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 2이동통신가입자 정보에 전환 승인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제 2이동통신가입자를 포함하는 이동교환국을 통해 발신측 가입자와 제 2이동통신가입자 간의 호를 설정하고, 전환 거부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발신측 가입자로 호 설정 실패를 통보하는 제 5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호 절환 차단방법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호 전환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임의의 이동통신가입자로부터 전환되는 호의 수신을 차단할 수 있는 호 전환 차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국 디지탈 셀룰라 시스템(American Digital Cellular System: ADC), 유럽형 이동전화 시스템(Global Service for Mobile Communication: GSM)과 같은 이동통신시스템은 부가서비스로서, 특정 다이얼링 번호로 시도된 호를 다른 다이얼링 번호(이하 "전환 번호"라 함)로 전환하는 호 전환 서비스를 제공한다.
도 1은 호 전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통신시스템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서 제 1이동교환국 107은 내부에 방문자 위치 등록기(VLR)(도시하지 않음)를 가지고 있으며, 다른 이동교환국인 제 1-1이동교환국 108과 연결되고 다수의 무선기지국103, 105과 연결된다. 상기 각 무선기지국 103, 105는 다수의 이동통신가입자 단말기와 무선링크를 통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 1이동교환국 107과 제 1-1이동교환국은 제 1소속 위치 등록기 109와 맵 인터페이스로 연결된다. 상기 제 1소속 위치 등록기 109는 상기 제 1이동교환국 107과 제 1-1이동교환국 108에 의해 공유된다.
도 1에서 상기 제 1이동교환국 107, 제 2이동교환국 120, 제 3이동교환국 130은 공중전화교환망(Public Switching Telephone Network: PSTN) 110을 통해 연결된다. 상기 각각의 소속 위치 등록기 109, 125, 135는 상기 각 이동교환국 107, 120, 130과 맵 인터페이스(MAP-Interface)로 상호 연결된다. 상기 맵 인터페이스는 상기 이동교환국과 소속 위치 등록기간의 프로토콜이다.
상기 소속 위치 등록기109, 125, 135는 동일한 동작을 함으로, 상기 소속 위치 등록기 109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상기 소속 위치 등록기 109는 독립적인 장치이고 가입자 정보를 포함한 데이터베이스, 그리고 가입자의 실제 위치가 아닌 현재 위치 등록 정보와 관련된 정보로 구성되고, 상기 현재 위치 등록 정보는 각 이동교환국에 의해 업데이트된다. 즉, 상기 현재 위치 정보는 내부에 포함되어 있는 VLR(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업데이트된다. 그리고 상기 소속 위치 등로기 109는 가입자 승인을 위한 비밀 데이터를 취급하며, 이동통신단말기나 그와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인증센터(AUC)를 부속부로 둔다. 특히, 상기 가입자 정보를 포함한 데이터베이스에는 부가서비스로서 호 전환 서비스를 설정한 가입자에 대해서 호 전환을 하기 위한 전환 번호를 가지고 있으며, 이에 의해 라우팅(Routing)을 결정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호 전환 서비스는 일반전화 가입자(115)와 이동통신가입자101, 102, 123, 133간, 이동통신단말기 가입자101, 102, 123, 133간에 이루어진다.
도 2는 일반적인 이동통신가입자 단말기간의 호 전환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로서, 이동통신가입자(이하 "발신측 가입자"라 함) 101이 이동통신가입자(이하 "제 1이동통신가입자"라 함) 123으로 호를 시도하고, 상기 제 1이동통신가입자 123이 공지의 호 전환을 설정 과정을 통해서 제 호 전환 대상 가입자(이하 "제 2이동통신가입자"라 함) 133으로 설정해 놓은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우선, 201단계에서 발신측 가입자 101이 제 1이동통신가입자 123의 다이얼링 번호로 발신을 시도하여 무선기지국 103을 통해 제 1이동교환국 107에 호 설정을 요구한다. 상기 발신측 가입자가 101가 호를 요구하면, 제 1이동교환국 107은 상기 발신측 가입자 101이 상기 제 1이동통신가입자 123의 다이얼링 번호를 검출하고, 맵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 1이동통신가입자 123의 다이얼링 번호를 가지는 제 2소속 위치 등록기 125를 찾는다. 제 1이동교환국 107은 상기 다이얼링 번호를 가지는 제 2소속 위치 등록기 125를 찾으면, 203단계에서 맵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 2소속 위치 등록기 125로 제 1이동통신가입자에 대한 정보를 요구한다. 상기 제 2소속 위치 등록기 125는 상기 제 1이동교환국 107로부터 제 1이동통신가입자 123에 대한 정보 요구를 입력받고, 상기 제 1이동통신가입자 123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리드하여 205단계에서 맵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 1이동교환국 107로 알려준다. 여기서 상기 제 1이동통신가입자 123에 대한 정보에 호 전환이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제 1이동교환국 107은 발신측 가입자 101에게 호가 설정되었음을 통보하고 상기 제 1이동통신가입자 123와 무선기지국 121을 통해 호를 설정한다(도시하지 않음). 그러나 상기 제 1이동통신가입자 123에 대한 정보에 호 전환을 위한 특정 전환 번호가 포함되어 있으면, 제 1이동교환국 107은 상기 전환 번호(예: 제 2이동통신가입자(133)의 다이얼링 번호)를 가지는 제 3소속 위치 등록기 135를 찾는다. 제 3소속 위치 등록기 135를 찾으면 상기 제 1이동교환국 107은 207단계에서 상기 제 3소속 위치 등록기 135에 제 2이동통신가입자에 대한 정보를 요구한다. 그러면 제 3소속 위치 등록기 135는 상기 제 1이동통신가입자 123에 의해 설정된 호 전환 서비스에 대해 어떠한 인증 및 확인 없이, 즉 제 2이동통신가입자 133의 의사와는 상관없이 상기 제 2이동통신가입자 133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리드하고, 209단계에서 맵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 2이동통신가입자 133에 대한 정보를 제 1이동교환국 107로 전송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호 전환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호 전환 대상인 이동통신가입자의 의사에 상관없이 임의의 다른 이동통신가입자가 상기 호 전환 대상인 이동통신가입자로 호 전환을 설정해 놓은 경우 호 전환 대상 이동통신가입자는 원하지 않는 호를 수신하여야 함으로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수신된 호에 대해서 사용자가 호를 종료해야 함으로써 불필요한 시그널링으로 채널 효율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호 전환 대상인 이동통신가입자(도 1에서 제 2이동통신가입자)가 임의의 이동통신단말기 가입자에 의해 전환된 호를 자동으로 차단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이동통신가입자에 의해 설정되는 전환 번호를 포함하는 호 전환 정보와 호 전환 차단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다수의 이동통신 가입자에 대한 정보 영역을 가지는 소속 위치 등록기를 구비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호 전환 서비스 차단 방법에 있어서, 발신측 가입자가 제 1이동통신가입자로 호를 요구하면, 상기 발신측 가입자가 속하는 교환국이 상기 제 1이동통신가입자에 대한 정보를 가지는 해당 소속 위치 등록기를 찾아 상기 제 1이동통신가입자에 대한 정보를 요구하는 제 1과정과, 상기 교환국이 제 1이동통신가입자에 대한 정보 요구에 응답하여 제 1이동통신가입자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정보에 호 전환을 위한 전환 번호를 포함하는지를 검사한 다음, 전환 번호를 포함하고 있으면 맵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전환 번호를 가지는 제 2이동통신가입자에 대한 정보를 가지는 소속 위치 등록기를 찾은 다음, 상기 제 2이동통신가입자의 정보를 가지는 소속 위치 등록기를 찾으면 상기 소속 위치 등록기로 상기 제 2이동통신가입자 정보를 요구하는 제 2과정과, 상기 교환국이 제2이동통신가입자 정보를 요구하면 상기 제 2이동통신가입자 정보를 가지는 소속 위치 등록기가 상기 제 2이동통신가입자 정보를 검사하여 호 전환 차단이 설정되어 있는지를 검사하는 제 3과정과, 상기 검사 결과, 상기 호 전환 차단이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소속 위치 등록기가 상기 교환국으로 연결 거절 정보를 포함하는 제 2이동통신가입자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호 전환 차단이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전환 승인 정보를 포함하는 제 2이동통신가입자 정보를 상기 교환국으로 전송하는 제 4과정과, 상기 교환국이 상기 제 2이동통신가입자 정보를 가지는 소속 위치 등록기로부터 제 2이동통신가입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 2이동통신가입자 정보에 전환 승인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제 2이동통신가입자를 포함하는 이동교환국을 통해 발신측 가입자와 제 2이동통신가입자 간의 호를 설정하고, 전환 거부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발신측 가입자로 호 설정 실패를 통보하는 제 5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이동통신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일반적인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호 전환 방법을 나타낸 절차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전환된 호의 차단 방법을 나타낸 절차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호 전환 차단 설정 방법을 나타낸 절차도.
도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호 전환 차단 해제 방법을 나타낸 절차도.
도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호 전환 차단 여부 조회방법을 나타낸 절차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구성은 동일하며, 본 발명에 따라 다른 기능을 가지는 구성은 소속 위치 등록기 109, 125, 135로서 호 전환 차단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상기 각 소속 위치 등록기 109, 125, 135의 상기 호 전환 차단 상태의 결정은 자신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고 있는 이동통신가입자 영역의 호 전환 차단 상태 플래그에 따라 결정된다. 예를 들면, 상기 플래그의 상태가 "1"이면 호 전환 거부 또는, "0"이면 호 전환 승인으로 판단하고 이에 따른 라우팅을 결정한다. 상기 호 전환 차단 여부의 설정은 이하 도 4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호 전환 차단방법을 나타낸 절차도이다.
이하 도 1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301단계에서 발신측 가입자 101이 제 1이동통신가입자 123의 다이얼링 번호로 발신을 시도하여 무선기지국 103을 통해 제 1이동교환국 107에 호 설정을 요구한다. 상기 발신측 가입자가 101이 호를 요구하면, 제 1이동교환국 107은 상기 발신측 가입자 101이 상기 제 1이동통신가입자 123의 다이얼링 번호를 검출하고, 맵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 1이동통신가입자 123의 다이얼링 번호를 가지는 제 2소속 위치 등록기 125를 찾는다. 제 1이동교환국 107은 상기 다이얼링 번호를 가지는 제 2소속 위치 등록기 125를 찾으면, 303단계에서 맵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 2소속 위치 등록기 125로 제 1이동통신가입자에 대한 정보를 요구한다. 상기 제 2소속 위치 등록기 125는 상기 제 1이동교환국 107로부터 제 1이동통신가입자 123에 대한 정보 요구를 입력받고, 상기 제 1이동통신가입자 123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리드하여 305단계에서 맵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 1이동교환국 107로 알려준다. 여기서 상기 제 1이동통신가입자 123에 대한 정보에 호 전환이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제 1이동교환국 107은 발신측 가입자 101에게 호가 설정되었음을 통보하고 상기 제 1이동통신가입자 123와 무선기지국 121을 통해 호를 설정한다(도시하지 않음). 그러나 상기 제 1이동통신가입자 123에 대한 정보에 호 전환을 위한 특정 전환 번호가 포함되어 있으면, 제 1이동교환국 107은 상기 전환 번호(예: 제 2이동통신가입자(133)의 다이얼링 번호)를 가지는 제 3소속 위치 등록기 135를 찾는다. 제 3소속 위치 등록기 135를 찾으면 상기 제 1이동교환국 107은 307단계에서 상기 제 3소속 위치 등록기 135에 제 2이동통신가입자 133에 대한 정보를 요구한다.
상기 307단계에서 제 1이동교환국 107이 제 2이동통신가입자에 대한 정보를 요구해 오면 제 3소속 위치 등록기 135는 308단계에서 자신의 데이터베이스의 제 2이동통신가입자 133 영역의 호 전환 차단 플래그를 검사한다. 검사 결과, 상기 제 2이동통신가입자 133 영역의 호 전환 차단 플래그가 활성화되어 있으면 상기 제 3소속 위치 등록기 135는 호 전환 거부 정보를 포함하는 제 2이동통신가입자 정보를, 상기 호 전환 차단 플래그가 비활성화되어 있으면 호 전환 승인정보를 포함하는 제 2이동통신가입자 정보를 309단계에서 상기 제 1이동교환국 107로 전송한다.
제 1이동교환국 107은 상기 309단계에서 제 2이동통신가입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정보를 분석하여 호 전환 거절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311단계에서 호 전환이 거절되었음을 발신측 가입자에게 알려준다. 반면, 상기 정보에 호 전환 승인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313단계에서 호 전환이 승인되었음을 알려주고, 315단계에서 제 2이동통신가입자가 속해 있는 제 3이동교환국 130을 통해 제 2이동통신가입자 133과 호를 설정한다.
상기 본 발명을 실시 예에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기 제 2이동통신가입자 133이 호 전환 차단을 설정한 이후의 과정을 설명하였다. 이하 도 4,5,6을 참조하여 제 2이동통신가입자 133이 호 절환 차단 설정, 해제 설정, 조회 방법을 설명한다.
도 4는 호 절환 차단 설정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우선 호 절환 차단 설정 방법을 설명하면, 제 2이동통신가입자 133이 401단계에서 호 절환 차단 설정 요구 신호를 송신한다. 그러면 제 3이동교환국 130은 상기 호 절환 차단 설정 요구 신호를 수신하고 403단계에서 제 3소속 위치 등록기 135로 스위칭한다. 상기 제3소속 위치 등록기 135는 상기 제 3이동교환국 130으로부터 호 전환 차단 설정 요구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제 2이동통신가입자 133의 해당 영역의 호 절환 차단 플래그를 셋 시킨다.
그리고 나서 상기 제 3소속 위치 등록기 135는 405단계에서 호 전환 차단 설정 여부 정보를 상기 제3이동교환국 130으로 전송한다. 상기 제 3이동교환국 130은 407단계에서 상기 제 2이동통신가입자 133으로 스위칭하여 상기 호 전환 차단 설정 여부 정보를 송신하면 제 2이동통신가입자는 상기 호 전환 차단 설정 여부 정보를 수신하여 차단이 설정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린다.
도 5는 호 전환 차단 해제 방법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 2이동통신가입자 133이 501단계에서 호 전환 차단 해제 요구 신호를 송신한다. 그러면 제 3이동교환국 130은 상기 호 전환 차단 해제 요구 신호를 수신하고 503단계에서 제 3소속 위치 등록기 135로 스위칭 한다. 상기 제 3소속 위치 등록기 135는 상기 제 3이동교환국 130으로부터 호 전환 차단 해제 요구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제 2이동통신가입자 133의 해당 영역의 호 전환 차단 플래그를 리셋시킨다. 그리고 나서 상기 제 3소속 위치 등록기 135는 505단계에서 호 전환 차단 해제 여부 정보를 상기 제 3이동교환국 130으로 전송한다. 상기 제 3이동교환국 130은 507단계에서 상기 제 2이동통신가입자 133으로 스위칭 하여 상기 호 전환 차단 해제 여부 정보를 송신하면 제 2이동통신가입자 133은 상기 호 전환 차단 해제 여부 정보를 수신하여 차단이 해제되었음을 알린다.
도 6은 호 전환 차단 여부 조회방법을 나타낸 도면으로, 이를 참조하여 호 전환 차단 여부 조회방법을 설명하면 제 2이동통신가입자 133이 601단계에서 호 전환 차단 여부 조회 요구를 송신한다. 그러면 제 3이동교환국 130은 상기 호 전환 차단 여부 조회 요구 신호를 수신하고 603단계에서 제 3소속 위치 등록기 135로 스위칭 한다. 상기 제 3소속 위치 등록기 135는 상기 제 3이동교환국 130으로부터 호 전환 차단 여부 조회 요구 신호를 입력받고, 데이터베이스의 이 사용자에 대한 호 전환 차단 여부 정보를 리드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제 3소속 위치 등록기 135는 605단계에서 호 전환 차단 여부 정보를 상기 제 3이동교환국 130으로 전송한다. 상기 제 3이동교환국 130은 607단계에서 상기 제 2이동통신가입자 133으로 스위칭하여 상기 호 전환 차단 여부 정보를 송신하면 제 2이동통신단말기 133은 상기 호 전환 차단 여부 정보를 수신하여 현재의 차단 여부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린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호 전환 대상 이동통신가입자가 전환된 호를 수신하고 싶지 않을 경우 상기 호 전환 대상 이동통신가입자의 단말기로 경보 없이 자동적으로 그 호를 차단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전환된 호가 걸려올 경우 매번 호를 종료함으로 인한 불필요한 시그널링이 발생하게 되는데 호 전환을 자동 차단함으로써 불필요한 시그널링으로 야기되는 채널 효율의 감쇠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7)

  1. 이동통신가입자에 의해 설정되는 전환 번호를 포함하는 호 전환 정보와 호 전환 차단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다수의 이동통신 가입자에 대한 정보 영역을 가지는 소속 위치 등록기를 구비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호 전환 서비스 차단 방법에 있어서,
    발신측 가입자가 제 1이동통신가입자로 호를 요구하면, 상기 발신측 가입자가 속하는 교환국이 상기 제 1이동통신가입자에 대한 정보를 가지는 해당 소속 위치 등록기를 찾아 상기 제 1이동통신가입자에 대한 정보를 요구하는 제 1과정과,
    상기 교환국이 제 1이동통신가입자에 대한 정보 요구에 응답하여 제 1이동통신가입자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정보에 호 전환을 위한 전환 번호를 포함하는지를 검사한 다음, 전환 번호를 포함하고 있으면 맵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전환 번호를 가지는 제 2이동통신가입자에 대한 정보를 가지는 소속 위치 등록기를 찾은 다음, 상기 제 2이동통신가입자의 정보를 가지는 소속 위치 등록기를 찾으면 상기 소속 위치 등록기로 상기 제 2이동통신가입자 정보를 요구하는 제 2과정과,
    상기 교환국이 제2이동통신가입자 정보를 요구하면 상기 제 2이동통신가입자 정보를 가지는 소속 위치 등록기가 상기 제 2이동통신가입자 정보를 검사하여 호 전환 차단이 설정되어 있는지를 검사하는 제 3과정과,
    상기 검사 결과, 상기 호 전환 차단이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소속 위치 등록기가 상기 교환국으로 연결 거절 정보를 포함하는 제 2이동통신가입자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호 전환 차단이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전환 승인 정보를 포함하는 제 2이동통신가입자 정보를 상기 교환국으로 전송하는 제 4과정과,
    상기 교환국이 상기 제 2이동통신가입자 정보를 가지는 소속 위치 등록기로부터 제 2이동통신가입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 2이동통신가입자 정보에 전환 승인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제 2이동통신가입자를 포함하는 이동교환국을 통해 발신측 가입자와 제 2이동통신가입자 간의 호를 설정하고, 전환 거부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발신측 가입자로 호 설정 실패를 통보하는 제 5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측 가입자가 이동통신가입자 또는 일반전화가입자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호 전환 차단 설정은,
    상기 호 전환 대상인 제 2이동통신가입자가 자신의 이동교환국을 통해 자신의 정보를 가지는 소속 위치 등록기에 호 전환 차단 정보를 전송하는 제 1단계와,
    상기 소속 위치 등록기가 제 3이동교환국을 통해 호 전환 차단 설정 요구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 2이동통신가입자의 정보의 호 전환 차단 정보에 호 전환 차단을 설정하고, 상기 이동교환국을 통해 호 전환 차단 설정 여부를 알려주는 제 2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호 전환 차단의 해제는,
    상기 제 2이동통신가입자가 호 전환 차단 해제 요구 정보를 송신하는 제 1단계와,
    상기 제 3소속위치등록기가 상기 제 3이동교환국을 통해 호 전환 차단 해제 요구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 2이동통신가입자의 정보의 호 전환 차단 정보에서 호 차단 설정을 해제한 다음, 상기 이동교환국을 통해 호 전환 차단 해제 여부를 알려주는 제2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동통신가입자가 호 전환 차단 여부를 조회하면, 이에 응답하여 호 전환 차단 여부를 상기 제2이동통신가입자에게 통보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호 전환 차단 여부 조회는,
    상기 제 2이동통신가입자가 호 전환 차단 여부 조회 요구 정보를 송신하는 제1단계와,
    제3소속위치등록기가 상기 제3이동교환국을 통해 상기 호 전환 차단 여부 조회 요구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2이동통신가입자의 정보의 호 전환 차단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호 전환 차단 정보에 따른 호 전환 차단 설정 여부를 상기 제2이동통신가입자로 송신하는 제2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호 전환 차단 정보가 호 전환 차단 플래그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80037512A 1998-09-11 1998-09-11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호 절환 차단방법 KR100270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7512A KR100270379B1 (ko) 1998-09-11 1998-09-11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호 절환 차단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7512A KR100270379B1 (ko) 1998-09-11 1998-09-11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호 절환 차단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9420A true KR20000019420A (ko) 2000-04-06
KR100270379B1 KR100270379B1 (ko) 2000-11-01

Family

ID=19550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7512A KR100270379B1 (ko) 1998-09-11 1998-09-11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호 절환 차단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03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5408A (ko) * 2001-12-26 2003-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망에서의 선택적 호 거절 서비스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5408A (ko) * 2001-12-26 2003-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망에서의 선택적 호 거절 서비스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70379B1 (ko) 2000-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19880B2 (en) Method of forwarding an SMS messag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5384824A (en) Method for carrying out a location updating from a mobile cellular radiophone system to another cellular radiophone system
CA2336621C (en) Telecommunications system and call set-up method
JP3514458B2 (ja) 通話を確立する方法
US7058415B2 (en) System for providing unified cellular and wire-line service to a dual mode handset
CA2328223C (en) International automatic roaming service method
US6850762B1 (en) Procedure and system for setting up a telecommunication connection
KR100391171B1 (ko) 이동통신망과 사설무선망간의 이동 단말기 착신호 처리 방법
US6888823B1 (en) Method for providing alternative network-associated service address mobile registration
US6405042B1 (en) Provision of cellular/wire-line service
KR0182235B1 (ko) 국제 이동전화망간 또는 이기종 이동전화망간의 로밍서비스 방법
KR100270379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호 절환 차단방법
KR100323757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광역 근거리 착신 서비스 운용 방법
KR100408183B1 (ko) 자동 착신 전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321786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대표번호 서비스 구현 방법
KR20040041226A (ko) 이동통신망에서 발신단말기와 착신단말기간의 위치정보제공방법
KR100329650B1 (ko) 이동통신시스템의착신호전환방법
KR19990005349A (ko) 개인 이동 통신 교환기에서 선택적인 호 인가 방법
KR20000044332A (ko) 교환시스템에서 선택적 착신 거부 방법
KR100827127B1 (ko) 착신 통화 전환 제어 방법
KR19980061810A (ko)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비상호 처리 방법
KR100560568B1 (ko) 이동통신교환기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 방법
KR100283080B1 (ko) 위성 통신망과 무선 통신망간의 망 연동방법
KR0124032B1 (ko) 개인 통신 서비스를 위한 무선 사설 교환기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0242696B1 (ko) 브이에이디가 없는 개인 통신 교환기의 음성 다이얼 서비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