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9350U - 세차용 증기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세차용 증기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9350U
KR20000019350U KR2019990005819U KR19990005819U KR20000019350U KR 20000019350 U KR20000019350 U KR 20000019350U KR 2019990005819 U KR2019990005819 U KR 2019990005819U KR 19990005819 U KR19990005819 U KR 19990005819U KR 20000019350 U KR20000019350 U KR 2000001935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water supply
car wash
car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58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33412Y1 (ko
Inventor
박재일
Original Assignee
윤창환
유진에스앤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창환, 유진에스앤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창환
Priority to KR20199900058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3412Y1/ko
Priority to PCT/KR2000/000327 priority patent/WO2000061411A1/en
Publication of KR200000193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935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34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3412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27/00Instantaneous or flash steam boilers
    • F22B27/16Instantaneous or flash steam boilers involving spray nozzles for sprinkling or injecting water particles on to or into hot heat-exchange elements, e.g. into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4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 B60S3/045Other hand-held cleaning arrangements, e.g. with sponges, brushes, scrapers or the like
    • B60S3/047Other hand-held cleaning arrangements, e.g. with sponges, brushes, scrapers or the like using liquid or gas distributing means

Abstract

본 고안은 세척수를 사용하지 않고 증기를 이용하여 세차를 가능하게 하는 세차용 증기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가열수단과 연결된 물공급관의 중간부에 열감지센서를 부착하여 이를 부져와 연결하므로서, 가열수단에 의해 증기발생수단이 일정온도 이상 가열되면 부져가 울리게 되므로 사용자는 증기발생 순간을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으므로 시간지연에 따른 불필요한 시간의 낭비가 없으며, 기기 하부 저면에는 별도의 바람막이판을 형성하므로서 통기가 가능하면서도 바람에 의해 불꽃이 소화되는 문제점을 제거한 세차용 스팀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세차용 증기발생장치{Vapor Generating Device for Washing Cars}
본 고안은 세척수를 사용하지 않고 증기를 이용하여 세차를 가능하게 하는 세차용 증기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팀 발생온도를 인지케 하는 부저에 의해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하고, 스팀발생실에 안전밸브를 장착하므로서 기기의 부하를 최소화하며, 바람이나 기기의 이동중에도 가열수단이 소화되지 않는 세차용 증기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세척은 기계장치가 완비된 세차장 혹은 일반가정을 비롯한 기사식당가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세차방법은 고압의 물을 차량에 분사시켜 표면에 점착된 먼지 혹은 각종 이물질등을 세척한 후에 광택제등을 사용하여 차량에 광을 내는 것으로 세차를 마치게 되는데, 이때 한번의 세차시에 사용되는 세척수량은 일반가정에서 하루를 소비하고도 남을 정도로 그에 따르는 에너지의 낭비는 매우 심한 것이다.
또한, 식당가 등지의 도로가에서 세차를 하는 경우 지나는 행인이 피해를 입게되는 문제점을 가지며 정화되지 않은 세척수가 그대로 버려져 환경오염을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겨울철의 경우 세차장, 기사식당이 운집된 지역의 도로는 세척수의 배출로 인해 도로가 얼어버리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에 본 고안 출원인에 의해 1998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877호와 같이 증기발생수단과 급수수단, 가열수단 및 분사수단을 구비하여 다량의 세척수를 사용치 아니하고도 세차가 가능하게 하였으며, 그에 따른 에너지 절감은 물론 휴대가 매우 용이하여 가정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게 한 세차용 증기발생장치가 출원된바 있다.
그러나, 전기한 바와 같은 세차용 증기발생장치는 그 증기 발생수단의 가열되는 시간이 어느정도 소모되므로, 증기발생수단의 가열상태를 알 수 없어 수회 급수수단을 펌핑하여 보거나 상당시간을 지체한 후 급수수단을 펌핑하는 방법을 택하므로 증기가 분사되기까지 기다리거나, 증기발생실내의 증기가 외부로 완전히 빠져나간 상태에서도 제때에 급수수단을 펌핑하지 않아 증기발생수단이 과열되는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 저면의 가열수단 역시 불꽃이 외부에 노출된 상태이어서 바람이 불거나 기기를 신속히 이동하는 경우에는 불꽃이 소화되어 점화를 재시도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특히 바람이 많이 부는 기후에서는 그 사용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제거코져 안출된 것으로서, 가열수단과 연결된 물공급관의 중간부에 열감지센서를 부착하여 이를 부져와 연결하므로서 가열수단에 의해 증기발생수단이 일정온도 이상 가열되면 부져가 울리게 되므로 사용자는 증기발생 순간을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시간의 낭비가 없으며, 기기 하부 저면에는 별도의 바람막이판을 형성하므로서 통기가 가능하면서도 바람에 의해 불꽃이 소화되는 문제점을 제거한 세차용 스팀발생장치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세차스펀지가 부착된 세차기에 블레이드를 형성한 회전레버를 축설하므로서 차체 표면의 수분을 말끔히 제거하므로, 얼룩등이 남지 않게 하는데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정면설명도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확대도
도 3은 본 고안 롤러의 작동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가열수단 12 : 연소수단
13 : 가스통장착부 14 : 본체
15 : 연결호스 16 : 연소기
17 : 공기유입공 18 : 바람막이판
20 : 급수수단 22 : 공급펌프
23 : 누름봉 24 : 스프링
25 : 물공급관 26 : 열감지센서
27 : 부저 30 : 증기발생실
31 : 안전밸브 40 : 분사수단
41 : 분사노즐 42 : 세차스펀지
43 : 세차기 44 : 연결호스
45 : 연결구 46 : 회전레버
47 : 블레이드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설명도이고, 도 2는 증기 발생장치의 요부확대도이며, 도 3은 롤러의 작동설명도이다.
본 고안 증기발생장치는 함체상의 본체(14) 내부에 가열수단(10)과 급수수단(20), 증기발생실(30)을 구성하고, 본체(14)의 외측에는 가스통장착부(13) 및 분사수단(40)이 연결구성되어 있다.
가열수단(10)은 가열판(11)과 연소수단(12)으로 구성하되, 가열판(11)의 하부에 연소기(16)가 위치되게 하여, 이를 가스통장착부(13)와 연결호스(15)에 의해 연결되게 하며, 연소기(16)의 일측에는 점화기(3)를 구성하여, 이에 의해 가스가 공급되는 연소기(16)가 점화되게 하므로서 그 불꽃에 의해 가열판(11)이 가열되게 하고, 본체(14)의 하부에 형성된 공기유입공(17)에는 통기가 가능한 바람막이판(18)을 삽입형성하므로서 바람이나 기기의 이동시 연소기(16)의 불꽃이 소화되지 않게 한 것이다.
또, 급수수단(20)은 본체(14)의 내측 상부에 위치하되, 그 저수조(21)의 상부에는 누름봉(23)이 스프링(24)에 의해 탄설된 공급펌프(22)와 물을 주입할 수 있는 주입구(1)가 형성되어 있으며, 도면에는 미도시된 수위표시기 또는 배출구를 형성하므로서 저수조(21)에 채워진 물의 량을 가늠하거나 본 고안 기기를 사용하고 난 후에 배출구를 통하여 물을 빼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급수수단(20)의 공급펌프(22)는 물공급관(25)과 연결되어 있고, 그 물공급관(25)의 일단은 증기발생실(30)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며, 물공급관(25)의 중간부에는 열감지센서(26)를 부착형성하여 이를 본체(14)의 일측에 부착된 부져(27)와 연결구성하므로서 열감지센서(26)의 반응에 의해 부져(27)가 동작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 함체상의 증기발생실(30)은 상부에 물이 공급되는 물공급관(25)이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부 일측에는 안전밸브(31)가 결합되어 있으며, 그 저면에는 가열판(11)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증기발생실(30)의 일측에는 증기호스(2)를 연결하여, 내부에서 가열된 고압의 증기가 증기호스(2)를 통하여 외부로 빠져나가게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증기호스(2)와 연결구(45)에 의해 결합된 분사수단(40)으로 증기가 이동되고, 세차기(43)의 분사노즐(41)을 통해 증기가 분사되게 한 것이며, 그 선단에는 세차스펀지(42)를 결합하고 이에 회전가능한 블레이드(47)가 회전레버(46)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체(14)는 그 하부에 다수의 캐스터(4)를 결합하므로서 이동 및 보관이 용이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의 도시와 같이 사용자는 급수수단(20)의 상부에 형성된 주입구(1)에 물을 채운다음, 가열수단(10)의 점화기(3)를 사용하여 연소수단(12)을 점화하게 된다.
이때, 가열수단(10)의 하부에는 연소수단(12)이 점화됨에 따라 산소를 공급해주어야 하므로 공기유입공(17)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에 바람막이판(18)을 결합하여 구성하므로서, 통기는 가능하게 하면서도 외부의 바람이나 기기의 신속한 이동에 따른 연소수단(12)의 소화가 방지되게 하였으며, 가스통장착부(13)를 본체(14) 외측에 형성하므로서, 사용중 가스가 떨어지는 경우에도 가스통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게 하였으며, 열원인 연소수단(12)으로부터 이격되게 하여 폭발의 위험이 없게 한 것이다. 또, 급수수단(20)의 주입구(1)에는 그물망등의 필터를 사용하여 이물질이 저수조(21)내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되게 한 것이다.
이렇게, 연소수단(12)의 가열에 의해 증기발생실(30)이 가열되고, 그 열이 물공급관(25)으로 전도되며 이를 가열하게 된다.
물공급관(25)이 가열됨에 따라 일정한 온도에서 반응하는 열감지센서(26)가 일정온도 이상이 되면 반응하며 이와 연결된 부저(27)을 울리게 되고, 이 반응소리에 의해 사용자는 증기발생실(30)이 충분히 가열되었음을 인지하게 됨과 동시에 급수수단(20)의 공급펌프(22)에 형성된 누름봉(23)을 펌핑하므로서, 이에 의해 물이 물공급관(25)을 타고 증기발생실(30) 내부에 물을 분사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물이 물공급관(25)을 타고 흘러가면서 뜨거워진 물공급관(25)을 식히게 되므로 열감지센서(26)가 반응을 멈추면서 부저(27)는 더이상 동작을 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 공급펌프(22)의 압력이 떨어져 물분사가 더이상 이루어지지 않아 다시 증기발생실(30)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고 물공급관(25)이 가열되면, 다시 열감지센서(26)가 반응하며 부저를 울리게 되므로 사용자는 다시 공급펌프(22)를 펌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열감지센서(26)에 의해 사용자는 공급펌프(22)의 펌핑시간을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펌핑작업이나 증기발생실(30)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가열된 증기발생실(30)내로 분사된 물은 뜨거워진 증기발생실(30) 내부에서 급속히 기화되며 압력이 팽창하게 되고, 그 증기압은 상대적으로 압력이 낮은 증기호스(2)를 따라 외부로 나가게 되며, 그 압력이 과다하여 증기호스(2)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계속적으로 압력이 상승하게 되면 기기의 손상 또는 폭발의 위험이 있으므로 안전밸브(31)를 증기발생실(30)의 상부에 형성하므로서, 증기호스(2)로 빠져나가는 증기의 량보다 많은 증기가 형성되는 경우 안전밸브(31)가 작동하며 압력을 낮추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안전밸브(31)는 통상적으로 체크밸브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그외에도 압력의 변화에 따라 작용하는 밸브의 종류이면 모두 가능하다.
이렇게 압력의 상승에 의해 증기가 증기호스(2)를 타고 외부로 빠져나가게 되는데, 증기호스(2)는 가열된 증기발생실(30)의 외부에 수회 권회된 상태이므로 지속적으로 가열되므로 액체상태의 물이나 수분의 입자를 더욱 기화되게 하므로서 증기가 외부로 빠져나가는 동안에도 압력이 낮아져 액화상태로 환원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되게 한 것이다.
증기호스(2)를 빠져나간 고압의 증기는 연결구(45)에 의해 결합된 세차기(43)의 분사노즐(41)로 뿜어져 나가게 되는데, 그 선단에는 세차스펀지(42)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증기가 분사된 차체를 세차스펀지(42)에 의해 문질러주면 먼지 혹은 이물질등이 제거되는 것이다.
이러한 세차스펀지(42)에는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세척제 또는 광택제를 묻혀 작업하면 더욱 그 효과가 증대되게 하는 것이다.
또, 세차스펀지(42)의 좌우에 회전레버(46)를 축설하고 이에 블레이드(47)를 형성하므로서, 자동차를 세차스펀지(42)에 의해 세차하는 경우에는 도 3의 도시와 같이 회전레버(46)를 분사노즐(41)측으로 접어놓고, 수분이나 빗물등에 얼룩진 부분을 제거할 시에는 회전레버(46)를 회전시켜 그 블레이드(47)에 의해 말끔히 제거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세차기(43)의 손잡이(5)에는 그 회전이 자유자재인 니플을 사용하므로서 선단의 세차스펀지(42)를 사용함에 있어서, 각도에 구애받지 않고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작용에 의한 본 고안 세차용 증기발생장치는 기기내의 증기발생 순간을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시간의 낭비가 없으며, 바람에 의해 불꽃이 소화되는 문제점을 제거하였으며, 세차기의 블레이드에 의해 차체 표면의 수분을 말끔히 제거하므로, 얼룩등이 남지 않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가열판(11)과 연소수단(12)으로 되는 가열수단(10)과, 저수조(21)와 공급펌프(22)로 되는 급수수단(20)과, 가열 및 급수에 의해 증기가 발생되는 증기발생실(30)과, 발생된 증기를 분사하는 분사수단(40)으로 된 세차용 증기발생장치에 있어서,
    가열수단(10)의 연소수단(12)은 가스통장착부(13)를 본체(14) 외측에 형성하여 연결호스(15)에 의해 내부의 연소기(16)와 연결하고, 저면의 공기유입공(17)에는 바람막이판(18)을 형성하며,
    급수수단(20)의 공급펌프(22)는 누름봉(23)을 스프링(24)으로 탄설하고 그 물공급관(25)의 중간부에 열감지센서(26)를 부착하여 이를 별도의 부저(27)와 연결형성하며, 증기발생실(30)은 안전밸브(31)를 장착하며,
    분사수단(40)은 분사노즐(41)과 세차스펀지(42)가 구성된 세차기(43)의 연결호스(44)를 그 연결구(45)에 의해 착탈되게 연결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차용 증기발생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세차기(43) 선단의 세차스펀지(42)의 좌우에 회전레버(46)를 축설하여 이에 블레이드(47)를 장착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차용 증기발생장치.
KR2019990005819U 1999-04-09 1999-04-09 세차용 증기발생장치 KR2002334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5819U KR200233412Y1 (ko) 1999-04-09 1999-04-09 세차용 증기발생장치
PCT/KR2000/000327 WO2000061411A1 (en) 1999-04-09 2000-04-08 Vapor generating device for washing ca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5819U KR200233412Y1 (ko) 1999-04-09 1999-04-09 세차용 증기발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9350U true KR20000019350U (ko) 2000-11-15
KR200233412Y1 KR200233412Y1 (ko) 2001-09-25

Family

ID=19574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5819U KR200233412Y1 (ko) 1999-04-09 1999-04-09 세차용 증기발생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233412Y1 (ko)
WO (1) WO2000061411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9081B1 (ko) * 2007-03-28 2007-08-13 대지종건(주) 세관장치
KR100812969B1 (ko) * 2007-11-22 2008-03-11 이재철 가스를 이용한 휴대용 스팀세차기
KR100838153B1 (ko) * 2007-08-09 2008-06-13 주식회사 홈파워 스팀청소기용 증기 인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729C (zh) * 2001-02-23 2003-10-08 郑业琦 产生高压饱和蒸汽的装置
KR100848463B1 (ko) 2008-04-18 2008-07-25 이재철 스팀발생장치
CN105480208A (zh) * 2015-12-09 2016-04-13 无锡西源电力装备厂 一种车辆配件用清洗机
CN106696911A (zh) * 2016-12-26 2017-05-24 深圳市六九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节水节能洗车设备
CN107804291A (zh) * 2017-09-29 2018-03-16 佛山汇众森泰科技有限公司 一种环保节能蒸汽洗车装置
CN108819901A (zh) * 2018-06-14 2018-11-16 贵州大学 一种便于安装的汽车用雨刮器支撑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05355A (ja) * 1986-10-21 1988-05-10 Hosoyama Nekki Kk 湯沸器の沸騰検出方法
KR200191259Y1 (ko) * 1998-01-26 2000-09-01 윤창환 세차용 증기 발생장치
KR19980068943U (ko) * 1998-09-22 1998-12-05 김남환 간이스팀세차기
KR19990040583U (ko) * 1999-06-29 1999-12-06 김형찬 이동스팀세차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9081B1 (ko) * 2007-03-28 2007-08-13 대지종건(주) 세관장치
KR100838153B1 (ko) * 2007-08-09 2008-06-13 주식회사 홈파워 스팀청소기용 증기 인출장치
KR100812969B1 (ko) * 2007-11-22 2008-03-11 이재철 가스를 이용한 휴대용 스팀세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3412Y1 (ko) 2001-09-25
WO2000061411A1 (en) 2000-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33412Y1 (ko) 세차용 증기발생장치
US20080087306A1 (en) Part Washer
KR101141759B1 (ko) 이동식 에어 스팀 세차기
RU2005119135A (ru)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с парогенератором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такой машиной
JP2008248471A (ja) 雨水利用システム
CN108506965A (zh) 一种自动清洗烘干的集成灶
CN107323432A (zh) 便携式车载蒸汽洗车机及其控制方法
US11571720B2 (en) Carwash machine
KR20140127430A (ko) 온수분사가 가능한 고온·고압세척기
KR20000063638A (ko) 자동차세차용 스팀발생방법 및 그 장치
KR100387953B1 (ko) 세차용 스팀발생기
KR200243907Y1 (ko) 스팀 세차기
CN208749607U (zh) 一种消防排烟机
CN105972660A (zh) 一种抽油烟机的油污清洗系统
CN203475377U (zh) 一种燃油贯流蒸汽发生器除冰车
KR200195666Y1 (ko) 스팀 세차기
CN206928232U (zh) 一种便携式蒸汽清洗机
KR200282504Y1 (ko) 스팀세차기
KR200238777Y1 (ko) 스팀 및 온수 겸용 세차기
KR200277380Y1 (ko) 코인식 스팀세차장치
CN209870346U (zh) 一种灵活便捷的蒸汽微水洗车机
CN207106463U (zh) 便携式车载蒸汽洗车机
KR200191259Y1 (ko) 세차용 증기 발생장치
KR20020079337A (ko) 스팀 및 온수 겸용 세차기
KR100824079B1 (ko) 스팀 세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