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9231U - 재생p.v.c 또는 재생고무를 이용한 벽면하단부의 마감재 - Google Patents
재생p.v.c 또는 재생고무를 이용한 벽면하단부의 마감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00019231U KR20000019231U KR2019990005632U KR19990005632U KR20000019231U KR 20000019231 U KR20000019231 U KR 20000019231U KR 2019990005632 U KR2019990005632 U KR 2019990005632U KR 19990005632 U KR19990005632 U KR 19990005632U KR 20000019231 U KR20000019231 U KR 20000019231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ll
- finishing material
- recycled
- present
- fittin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 E04F2019/04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E04F2019/042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organic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s or filling material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 E04F2019/045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with decorative eff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Finishing Wall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물의 마루(FLOORING) 및 벽체의 시공시 벽면의 하단부에 구성되는 재생P.V.C 또는 재생고무를 이용한 벽면하단부의 마감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다수의 피스공(11)이 천공되고 내측에 관통공(12)이 형성된 마감재본체(10)를 구비하되 상기 마감재본체는 관통공에 끼움편(21)으로 끼워지는 이음쇠(20)로 연결하는 한편, 마감재본체는 재생P.V.C 또는 재생고무로 그리고 이음쇠는 재생P.V.C로 사출 성형하여된 구조이다.
본 고안은 원자재비가 저렴하고 작업성이 우수하여 시공비의 현저한 절감효과가 있다. 특히 부패가 되지 않아 실내환경을 항상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교체된 폐자재는 재활용 할 수 있으므로 매우 경제적이다.
본 고안의 마감재는 종래 목재 마감재에 수반되는 도색작업이 배재되며 사출 성형시 다양한 색상을 선택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건물의 마루(FLOORING) 및 벽체의 시공시 벽면의 하단부에 구성되어 벽체의 오염을 방지하는 벽면하단부용 마감재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고안은 재생P.V.C 나 재생고무 등 제반 폐자재를 이용한 마감재로서 자재비의 절감 및 부식의 방지 그리고 간단한 조립수단과 함께 피스공을 이용한 피스의 결합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신속한 시공은 물론 시공비의 현저한 절감을 기대하는 한편, 마감재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일반적으로 마루와 이어지는 벽체의 하단부는 마루청소시 물걸레와 자주 접촉하게 되고 또 마루와 근접되어 있어 쉽게 오염되므로 이부분을 용이하게 교체하거나 오염상태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마감재가 시공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마감재는 마루와 벽체가 이어지는 벽체 하단부의 가로방향으로 상,하 적정의 소폭으로 부착, 구성되며 일반적으로 검정색이나 진한밤색 등으로 도색하여 오염부분이 쉽게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마감재는 상기한 바와같이 마루청소시 물걸레로부터 벽체의 하단부를 보호하고자 하는 기능이 강함으로 통상 후로링 마감 걸레받이로 불리워지고 있으며 주로 목재의 마감재가 사용되고 있다.
한편으로는 상기한 바와같은 별도의 마감재 대신에 벽체의 하단부에 검정 또는 진한밤색 등으로 단순히 도색 처리하는 경우도 있으며 공히 오염이 심하면 다시 도색을 하거나 목재의 마감재의 경우 심하면 교체하기도 한다.
그러나 별도의 마감재 대신에 벽체의 하단에 단순히 도색하는 것은 품위가 없으며 조악하여 건물의 가치를 저하시키는 폐단이 있으므로 목재의 마감재를 선호하고 있는바, 현재 목재 마감재의 경우 다음 몇가지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첫째, 종래의 목재마감재는 목재를 재단하고 또 이를 수공으로 대패질하여 가공한 다음 도장하는 일련의 작업과정으로 이루어지므로 작업성이 크게 떨어지고 있으며 이에따른 인력의 손실은 물론 특히 목재를 자재로 사용하는데 따른 가중한 재료비의 지출이 초래되고 있다.
둘째, 목재의 마감재는 장기간 사용시 마루를 청소할 때 마다 걸레와의 반복적인 접촉에 의해 습기가 침투되며 따라서 쉽게 부패되어 심한 악취가 발생되고 결국은 벽체에서 떨어지게 되므로 자주 보수 및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벽체의 부착수단에 있어서도 가공된 마감재를 적당한 길이로 단순히 절단하여 연결 시공함에 따라 그 연결수단이 용이하지 못할 뿐 아니라 연결부분 또한 정교하지 못하며 못 등으로 강제 결합함으로써 마감재의 의 표면이 손상되고 또 마감재의 교체시 벽체가 훼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가격 및 가공상의 문제점을 안고 있는 목재를 탈피하여 재생 P.V.C 또는 재생고무 등 제반 폐자재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함으로써 자재비를 현저히 절감하는 한편 목재가 갖는 부식 등의 염려를 해소하고 내구성을 확보하도록 한다.
본 고안은 마감재본체를 다수의 단위구성체로 구성하되 그 내측에는 좌우로 관통된 관통공을 형성하고 또 이 관통공을 통하여 마감재본체를 용이하게 연결하는 이음쇠를 제공하는 한편 마감재본체에는 다수의 피스공을 천공하여 피스로 박아 줌으로써 벽체와의 결합이 극히 용이하면서도 마감재의 교체시 벽체의 훼손을 최소화 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평단면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마감재본체 11 : 피스공
12 : 관통공 20 : 이음쇠
21 : 끼움편
다수의 피스공(11)이 천공되고 내측에 관통공(12)이 형성된 마감재본체(10)를 다수의 단위구성체로 구성하되 이는 재생P.V.C 또는 재생고무로 구성하고 양쪽으로 끼움편(21)이 형성된 이음쇠(20)를 재생P.V.C로 구성하여 상기 끼움편(21)을 관통공(12)의 양쪽에 끼워 마감재본체(10)를 연결한 구조이다.
미설명부호(30)은 피스, (40)은 벽체를 보인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시공시 이음쇠(20)의 양쪽에 일체로 형성된 끼움편(21)을 이용하여 단위구성체의 마감재본체(10)를 연결함으로써 그 연결수단이 극히 용이하고 연결부위의 외관이 매우 정교하다.
마감재본체(10)는 다수로 제공되나 마감재가 시공되는 벽체(40)의 길이에 비례하여 제공되며 벽체의 길이에 일치시키기 위해 최종 연결되는 마감재본체(10)는 일부 절단 할 수도 있다.
마감재본체(10)는 상기한 바와같이 이음쇠(20)로 간단히 연결되며 이와같이 다수로 연결된 마감재본체(10)를 일시에 벽체(40)하단부에 부착하여 피스(30)로 고절 할 수도 있고 한편으로는 단위구성체의 마감재본체(10)를 일단에서부터 부착, 피스로 고정하고 이어 이음쇠(20)로 계속하여 연결하면서 점진적으로 시공 할 수도 있다.
한편 마감재본체(10)를 벽체(40)에 피스(30)로 고정함에 있어서도 본 고안은 마감재본체(10)에 미리 다수의 피스공(21)이 천공되어 있어 피스(30)가 벽체(40)에 진입하기가 수월함에 따라 시공이 극히 신속하며 이 경우 마감재본체(10)를 벽체와 분리 하는데에도 극히 용이하여 마감재본체(10)의 손상 내지는 장기간 사용으로 인한 마감재본체(10)의 교체시 그 교체수단이 용이함은 물론 벽체(40)의 훼손도 최소화하게 된다.
본 고안의 마감재본체(10)는 재생P.V.C 또는 재생고무로 구성되고 이음쇠 (20)는 재생P.V.C로 구성되는바, 이는 종래 목재로 가공된 마감재에 비하여 자재비가 현저히 절감되며 사출, 성형이 가능하여 대량생산이 이루어지므로 더욱 저렴하게 공급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원자재비가 저렴하고 작업성이 우수하여 시공비의 현저한 절감효과가 있으며 부패가 되지 않아 실내환경을 항상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교체된 폐자재는 재활용 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며 환경보호에도 매우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마감재는 종래 목재 마감재에 수반되는 도색작업이 배재되며 사출 성형시 다양한 색상을 선택적으로 구성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1)
- 다수의 단위구성체로 이루어지고 다수의 피스공(11) 및 내측에 관통공(12)이 형성된 마감재본체(10)를 재생P.V.C또는 재생고무로 구성하고, 양쪽으로 끼움편 (21)이 형성된 이음쇠(20)를 재생P.V.C로 구성하여 상기 끼움편(21)을 관통공(12)의 양쪽에 끼워 마감재본체(10)를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P.V.C 또는 재생고무를 이용한 벽면하단부의 마감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90005632U KR200245678Y1 (ko) | 1999-04-07 | 1999-04-07 | 재생p.v.c 또는 재생고무를 이용한 벽면하단부의 마감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90005632U KR200245678Y1 (ko) | 1999-04-07 | 1999-04-07 | 재생p.v.c 또는 재생고무를 이용한 벽면하단부의 마감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19231U true KR20000019231U (ko) | 2000-11-06 |
KR200245678Y1 KR200245678Y1 (ko) | 2001-10-27 |
Family
ID=54761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90005632U KR200245678Y1 (ko) | 1999-04-07 | 1999-04-07 | 재생p.v.c 또는 재생고무를 이용한 벽면하단부의 마감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45678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81659B1 (ko) * | 2006-01-26 | 2006-05-22 |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금성 | 벽체와 체결 결합하는 걸레받이 |
-
1999
- 1999-04-07 KR KR2019990005632U patent/KR200245678Y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81659B1 (ko) * | 2006-01-26 | 2006-05-22 |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금성 | 벽체와 체결 결합하는 걸레받이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45678Y1 (ko) | 2001-10-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245678Y1 (ko) | 재생p.v.c 또는 재생고무를 이용한 벽면하단부의 마감재 | |
EP2037056A2 (de) | Sockelleiste | |
EP0169863B1 (en) | Plastic gutter | |
KR100931571B1 (ko) | 가구용 연결부재 | |
JP3387844B2 (ja) | 幅木材と床材の納まり構造 | |
KR200299607Y1 (ko) | 환기공이 형성된 걸레받이 | |
SE9603310L (sv) | Väggbeklädnad för bland annat våtrum | |
KR960009411Y1 (ko) | 벽판넬의 코너부 조립구조 | |
KR200210994Y1 (ko) | 조립식 칸막이벽의 상부 고정재 | |
KR200189723Y1 (ko) | 건축용 마감판재 | |
KR200174416Y1 (ko) | 산소공급장치가 구비된 물탱크 | |
KR970005982Y1 (ko) | 와이퍼 아암의 노들 결합구조 | |
KR900009848Y1 (ko) | 욕실용 합성수지제 문지방 | |
CN2493693Y (zh) | 一种墙角脚踢板 | |
KR0125806Y1 (ko) | 건물용 선반 구조 | |
KR100240574B1 (ko) | 건축용 출입문의 조립구조 | |
JP2501252Y2 (ja) | 換気装置 | |
JPH0759675A (ja) | カウンター | |
KR200146824Y1 (ko) | 벽돌조적형태의 조립식보드 | |
KR200159415Y1 (ko) | 벽돌조적형태의 일체형보드 | |
DE59800838D1 (de) | Fräswerkzeug zur bearbeitung von werkstücken aus holz, einem holzwerkstoff, einem kunststoff oder dergleichen | |
KR830002615Y1 (ko) | 건축용판재 조립구 | |
KR200186916Y1 (ko) | 문틀용 조립식 마감재 | |
JPH11164744A (ja) | キャビネットおよびカウンタ | |
KR200363431Y1 (ko) | 가구용 패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829 Year of fee payment: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