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8811U - 척추 교정용 나사 - Google Patents
척추 교정용 나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00018811U KR20000018811U KR2019990005042U KR19990005042U KR20000018811U KR 20000018811 U KR20000018811 U KR 20000018811U KR 2019990005042 U KR2019990005042 U KR 2019990005042U KR 19990005042 U KR19990005042 U KR 19990005042U KR 20000018811 U KR20000018811 U KR 20000018811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crew
- fastener nut
- cylindrical extension
- jaw
- rod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나사부(A)의 원통형 연장부(20)에 위치한 막대 고정 홈(21)이 입구에 구획턱(23)에의해 구분되어 2개의 원이 연결된 모양으로 파여져 있어 지지 막대(D)가 막대 고정 홈(21)에 배치된 다음 패스너 너트(C)로 고정하였을 때, 좌우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지지 막대(D)의 횡방향으로의 이동시 회전축으로 작용 할 수 있도록 원통형 연장부 내벽 중앙 부분에 지랫대 턱(24)을 설치하며, 지지 막대(D)와 나사부(A)를 고정하는 패스너 너트(C)가 일체형으로 구성하므로써, 지지 막대와 나사 사이의 접촉면적을 최대한 확대하여, 척추에 대한 척추 교정 장치의 부하를 최소화하고, 환자의 체중과 신체 움직임에 대한 적절한 응력을 부여하도록 한 척추 교정 나사를 제공하였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척추를 교정하기 위하여 추골에 삽입하여 고정하고 지지하는 교정 장치에서 사용되는 척추 교정 나사에 대한 것 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원통형 의 지지 막대(D)가 배치되는 원통형 연장부(20)의 막대 고정 홈(21)이 외관상으로 구획턱(23)에의해 구분되어 2개의 원형이 연결된 모양으로 파여있고, 내부적으로는 원통형 연장부(20)의 내벽 중앙 부분에 지랫대 턱(24)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교정 나사에 대한 것 이다.
의자에서의 생활이 많아지면서 바르지 못한 자세때문에 허리 디스크와 같은 퇴행성 척추 질환을 앓고 있는 현대인이 증가하면서, 다양한 형태의 척추 교정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특히 퇴행성 척추 질환은 외부 충격등에 의해 골절되는 경우와는 달리, 장기간에 걸쳐 탈골 등과 같은 뼈 사이의 어긋남이 발생된 상태에서 굳어진 것이기 때문에, 물리 치료와 같이 일시적인 방법만으로는 정상적인 자세로의 교정이 어렵고, 오히려 물리 치료 이후에는 치료전의 척추 질환 상태로 복귀하는 경향을 보인다.
따라서, 이들 환자의 경우에는 강제적인 방법에 의해 바른 자세로 교정하도록 한 다음, 이를 일정 기간 동안 고정시켜 생체적으로 바른 자세를 인지하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퇴행성 척추 질환 환자에게 사용되는 척추를 교정하는 장치는 추골에 삽입되는 두쌍 이상의 나사와 이들 나사를 연결하여 트러진 척추를 정상 형태로 맞추는 지지 막대(D)로 구성되어 있다.
도 4는 종래 기술에 의한 나사의 분해 사시도로서, 상기 나사는 나사부(A)와 와셔부(B)와 패스너 너트부(C')로 이루어져 있다.
나사부(A)는 추골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나선부(10)과 나선부로 부터 연장되어 지지 막대(D)로 고정되어 인접된 다른 나사와 연결되도록 구성된 원통형 연장부(20')가 설치되어 있다.
나선부에는 추골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나선형태의 나사골(11)이 형성되어 있고, 원통형 연장부(20')에는 지지 막대(D)를 배치할 수 있는 막대 고정 홈(21')이 파여있어서, 지지 막대(D)를 이러한 막대 고정 홈(21')에 위치시킨 후 죄어 붙이는 패스너 너트(C')에 의해 홈에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상기 패스너 너트(C') 한쪽 단부 안쪽으로 육각 렌치에 의하여 상하로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육각 너트 홈(31')과 나사부의 암나사 홈(22')에 죄어지는 패스너 너트 숫나사 골(32')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또한, 지지 막대(D)를 죄어 주는 지지 막대 고정 숫나사가 내부에 삽입되어있고, 이들 2개의 숫나사는 동심을 지니며 바깥쪽 숫나사 부분의 안쪽으로 지지 막대 고정 숫나사(33')를 내부에 삽일 할 수 있도록 암나사 홈이 파져있어, 지지 막대 고정 숫나사(33')와 나선에 의해 서로 맞물리도록 되어 있었다.
또한 와셔부(B)는 나사부(A)와 패스너 너트부(C')의 움직임을 방지하도록 삽입되었다.
각각의 나사 쌍은 상기 막대 고정 홈(21')이 지지 막대(D)에 연결되어 있었다. 이때, 평행한 위치에서 빗나간 방향으로 나사를 삽입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나사 및 추골의 축 방향을 조절하기 위하여, 지지 막대에 트위스팅을 주어야 하기 때문에 추골 삽입 방향으로 양쪽 나사의 조절을 필요로 하며, 심할 경우에는 나사를 풀어서 다시 삽입하는 경우가 발생했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위하여 타원형의 홈이 제안되고 있으나 홈과 지지 막대사이에 점접촉이 이루어짐으로써 환자의 체중과 신체 움직임에 따른 척추 교정 장치로의 힘이 전달이 일부분만 이루어졌다.
그 결과 추골에 삽입한 다음 신체에 대한 부하로 말미암아 신체내부에서 예견할 수 없는 문제를 일으킬 수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트위스팅에 의한 나사 조절을 줄임으로써 추골에 삽입한 다음 신체에 대한 부하를 최소화하는 최적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환자의 체중과 신체 움직임에 대한 적절한 응력을 부여하도록 지지 막대와 나사 사이의 접촉면적을 최대한 확대한 척추 교정 나사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기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나사부에 지지 막대가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는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나사부에 지지 막대가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는 평면도이며,
도 4는 종래 기술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나사부 B : 와셔부
C,C' : 패스너 너트부 D : 지지 막대
10 : 나선부 11 : 나선형 나사골
20,20' : 원통형 연장부 21,21' : 막대 고정 홈
22 : 암나사홈 23 : 구획턱
24 : 지랫대 턱 31' : 육각 너트홈
32,32' : 패스너 너트의 숫나사 골 33' : 지지 막대 고정 숫나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위한 본 고안은 나사부(A)의 원통형 연장부(20)에 위치한 막대 고정 홈(21)이 입구에 구획턱(23)에의해 구분되어 2개의 원이 연결된 모양으로 파여져 있어 지지 막대(D)가 막대 고정 홈(21)에 배치된 다음 패스너 너트(C)로 고정하였을 때, 좌우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지지 막대(D)의 횡방향으로의 이동시 회전축으로 작용 할 수 있도록 원통형 연장부 내벽 중앙 부분에 지랫대 턱(24)을 설치하며, 지지 막대(D)와 나사부(A)를 고정하는 패스너 너트(C)가 일체형으로 구성하므로써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종래 전술한 동일한 구성을 갖는 동일 명칭과 동일 부호에 대입하여 좀더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기위한 분해 사시도로서, 나사부(A)와 와셔부(B)와 패스너 너트부(C)로 이루어져 있다.
나사부(A)는 추골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나선부(10)과 나선부로 부터 연장되어 지지 막대(D)로 고정되어 인접된 다른 나사와 연결되도록 구성된 원통형 연장부(20)가 설치되어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나사에 지지 막대가 결합된 상태에 대한 정면도로서, 원통형 연장부(20)를 정면에서 볼 때, 막대 고정 홈(21)이 입구에 구획턱(23)에의해 구획a와 구획b으로 구분되는 2개의 원형이 연결된 모양으로 파여져 있기 때문에, 지지 막대(D)가 막대 고정 홈(21)에 배치된 다음 패스너 너트(C)로 고정하였을 때, 좌우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발생하지 않지만, 패스너 너트(C)를 이완시켰을 때는, 용이하게 좌우 방향으로 움직이게된다.
한편, 도 3은 본 고안의 나사에 지지 막대가 결합된 상태에 대한 평면도로서, 원통형 연장부(20) 내벽 중앙 부분에 지랫대 턱(24)을 설치하므로서, 패스너 너트(C)가 이완된 상태에서 지지 막대(D)를 횡방향으로 이동할 때 회전축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평행한 위치에서 빗나간 방향으로 나사가 삽입된 상태에서 지지 막대(D)에 연결되는 경우에도 신체에 대한 부하를 최소화하는 상태로 트위스팅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홈에 있는 구획턱(23)과 지랫대 턱(24)에 의하여 지지 막대(D)를 감싸듯이 접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 방법에 의한 것 보다 지지 막대(D)와의 접촉 면적이 크게 되므로 환자의 체중과 신체 움직임에 대한 적절한 응력을 부여할수 있게된다.
최소한 두개 이상의 나사 쌍이 상기 막대 고정 홈(21)을 통해 지지 막대에 연결되어 척추 고정을 하게되는데, 평행한 위치에서 빗나간 방향으로 나사를 삽입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나사 및 추골의 축 방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지지 막대(D)를 홈에 위치시킨 후 죄어 붙이는 패스너 너트(C)를 내부에 삽일 할 수 있도록 암나사 홈이 파져있다.
상기 패스너 너트는 패스너 너트의 내부에 별도의 숫나사를 설치하지 않고, 패스너 너트와 지지 막대 고정 숫나사를 일체화하므로써, 지지 막대(D)와 패스너 너트(C)의 접촉 면적을 크게하였다.
그 결과, 지지 막대(D)와의 접촉 면적이 크게 되므로 환자의 체중과 신체 움직임에 대한 적절한 응력을 부여할수 있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원통형 연장부의 막대 고정 홈 입구에 구획턱을 설치하고, 내벽 중앙 부분에 지랫대 턱을 설치하며, 일체형 패스너 너트를 설치하므로써 추골에 삽입한 다음 신체에 대한 부하를 최소화하는 최적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환자의 체중과 신체 움직임에 대한 적절한 응력을 부여하도록 지지 막대와 나사 사이의 접촉면적을 최대한 확대한 척추 교정 나사를 제조할 수 있는 바람직한 고안인 것이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1)
- 나선부와 원통형 연장부로 이루어진 나사부와, 동심을 지니는 2개의 숫나사로 이루어진 패스너 너트와, 나사부와 패스너 너트부를 결속하는 와셔부로 구성된 척추 교정용 나사에 있어서, 나사부(A)의 원통형 연장부(20)에 위치한 막대 고정 홈(21)이 입구에 2개의 원이 연결된 모양이 되도록 구획턱(23)을 설치하고, 원통형 연장부(20) 내벽 중앙 부분에 지랫대 턱(24)을 설치하며, 패스너 너트(C)가 1개의 숫나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교정용 나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90005042U KR20000018811U (ko) | 1999-03-29 | 1999-03-29 | 척추 교정용 나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90005042U KR20000018811U (ko) | 1999-03-29 | 1999-03-29 | 척추 교정용 나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18811U true KR20000018811U (ko) | 2000-10-25 |
Family
ID=54760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90005042U KR20000018811U (ko) | 1999-03-29 | 1999-03-29 | 척추 교정용 나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00018811U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46308B1 (ko) * | 1999-11-02 | 2002-07-27 | 김성곤 | 척추경 나사못 |
KR100491055B1 (ko) * | 2000-10-19 | 2005-05-24 | 최길운 | 척추경 나사못 |
CN111786397A (zh) * | 2020-08-04 | 2020-10-16 | 盾石磁能科技有限责任公司 | 多能源耦合系统的控制方法、装置及终端设备 |
-
1999
- 1999-03-29 KR KR2019990005042U patent/KR20000018811U/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46308B1 (ko) * | 1999-11-02 | 2002-07-27 | 김성곤 | 척추경 나사못 |
KR100491055B1 (ko) * | 2000-10-19 | 2005-05-24 | 최길운 | 척추경 나사못 |
CN111786397A (zh) * | 2020-08-04 | 2020-10-16 | 盾石磁能科技有限责任公司 | 多能源耦合系统的控制方法、装置及终端设备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10068869A1 (en) | Growth Directed Vertebral Fixation System With Distractible Connector(s) And Apical Control | |
US8900276B2 (en) | Adjustable occipital plate | |
EP2174609B1 (en) | Spinal Rod Connector | |
AU2001289108B2 (en) | Posterior fixation system | |
US8025679B2 (en) | Method for spinal stabilization using a rod connector | |
EP1210914B1 (en) | Intervertebral fixing system used in treatments of the spinal column | |
US20140277146A1 (en) | Cross-braced bilateral spinal rod connector | |
US6050997A (en) | Spinal fixation system | |
US5275599A (en) | Biocompression external fixator for osteosynthesis | |
US20100222822A1 (en) | Posterior Fixation System | |
US20030073996A1 (en) | Split ring bone screw for a spinal fixation system | |
US20070270832A1 (en) | Locking device and method, for use in a bone stabilization system, employing a set screw member and deformable saddle member | |
PT1313403E (pt) | Sistema dinâmico móvel para o tratamento dos problemas raquidianos | |
JP2002524188A (ja) | 可変角度背骨固定システム | |
JPH05501671A (ja) | 骨合成デバイス用、特に背柱矯正用移植片 | |
KR20000018811U (ko) | 척추 교정용 나사 | |
WO2002041797A1 (en) | Set of surgical instruments for the fixation of vertebrae | |
AU2015201395B2 (en) | Growth directed vertebral fixation system with distractible connector(s) and apical control | |
KR20030097249A (ko) | 척추고정방법 및 그 시스템 | |
AU2004202174B2 (en) | Posterior fixation system | |
CA2583093C (en) | Posterior fixation system | |
KR200291302Y1 (ko) | 척추고정 시스템 | |
KR20010047359A (ko) | 척추고정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