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8606U - 교량빔의 낙하방지장치 - Google Patents

교량빔의 낙하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8606U
KR20000018606U KR2019990004714U KR19990004714U KR20000018606U KR 20000018606 U KR20000018606 U KR 20000018606U KR 2019990004714 U KR2019990004714 U KR 2019990004714U KR 19990004714 U KR19990004714 U KR 19990004714U KR 20000018606 U KR20000018606 U KR 2000001860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strand
beams
bridge beam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47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규성
Original Assignee
정규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규성 filed Critical 정규성
Priority to KR20199900047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8606U/ko
Publication of KR200000186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8606U/ko

Links

Landscapes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량빔(1)의 낙하를 방지하기 위한 교량빔(1) 간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교각(2)의 상단부에 인접 설치되는 양측 교량빔(1)의 단부 양측벽에 각각 소정 각도를 이루며 대향되게 고정 설치되는 정착구(10)와, 이들 양측 정착구(10)에 의해 양단부가 지지되어 상기 양측 교량빔(1)의 단부를 서로 연결하도록 배치되는 강연선(5)과, 양측 교량빔(1)의 측면 하단 모서리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강연선(5)이 적절한 장력을 유지하는 곡선형태로 배치되도록 지지함과 아울러 교각(2)의 붕괴에 따른 각 교량빔(1)의 위치변형시 상기 강연선(5)의 좌우 이동을 원활히 안내해주는 새들(20)로 구성된 것으로서, 지진 등의 외력으로 인하여 교각(2)이 붕괴되거나 전도됨에 따라 교각(2)의 상부에 배치된 교량빔(1)이 지상으로 낙하되는 경우, 양측 교량빔(1)의 단부를 연결하는 강연선(5)이 보다 이상적인 지지구조를 이루는 정착구(10)와 새들(20)에 의해 지지되게 하여, 교량빔(1)의 위치변형에 의한 하중전달시 발생되는 응력을 적절히 분배하여 수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교량빔(1)을 포함하는 상부 구조물의 낙하를 방지하여 구조물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인명의 피해를 예방할 뿐만 아니라, 낙하 파손된 상부 구조물의 재 가설에 따른 막대한 경제적 손실 및 붕괴된 교량 구조물의 잔해로 인한 주변 피해를 최소화하여 신속하고 용이한 보수 공사를 수행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교량빔의 낙하방지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COLLAPSE FO BRIDGE BEAM}
본 고안은 교량빔의 낙하를 방지하기 위한 교량빔 간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진 등의 발생에 따라 교각이 붕괴되었을 때 상기 교각 위에 설치된 교량빔 및 그 상부 구조물이 동시에 낙하하여 막대한 경제적 손실 및 인명 피해가 발생하는 것을 막고, 지상으로 낙하된 교량 구조물의 잔해로 인한 주변 피해를 최소화하며, 신속하고 용이한 보수 공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인접 교량빔 간의 양단부 사이를 보다 효율적으로 연결 및 지지해주는 교량빔의 낙하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이르러 산업 구조가 급속히 발전하면서 대형 프리스트레스 구조물(Prestress Structure)을 이용한 장대형 철도교 및 교량 등이 많이 건설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교량 구조물들에 대한 지속적인 유지 및 보수 관리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인명 피해와 막대한 재산상의 손실을 가져오는 대형 사고가 자주 발생하여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되고 있다.
실제로 불과 수년전에 대교가 붕괴되는 참사를 경험한 바 있으며, 이와 같은 갑작스런 사고로 인하여 귀중한 인명의 피해가 발생됨은 물론, 장기간에 걸쳐 막대한 예산과 인력을 투입하여 건설한 대형 교량 구조물이 일순간에 붕괴됨으로써 이를 복구 및 재건축하는데 많은 시간과 예산을 낭비하게 되는 등의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지진 발생 등에 의한 지반의 붕괴에 따라 교량이나 철도교 등의 하부 구조물인 교각이 기울어지거나 쓰러지는 경우에는 그 폐해가 더욱 심하여, 교각 위에 설치된 교량빔 및 상판도 동시에 낙하되거나 함몰됨으로써, 잔해처리 작업이 상당히 지연될 뿐만 아니라, 교량빔과 같은 상부 구조물의 복구가 거의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이에 대한 즉각적이고도 효율적인 보수 및 보강이 이루어져야만 하며, 그렇지 못할 경우에는 전체 교량의 붕괴와 같은 대형사고의 위험을 배제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 및 철도교의 구조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 간격을 두고 고정 배치되는 다수의 교각(2)과, 이 교각(2)들의 상부에 설치되어 외부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교좌장치(3)와, 인접하는 각 교각(2)간 교좌장치(3)의 상부에 양단이 각각 얹혀져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교량빔(1)과, 이 교량빔(1)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판(4)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교량빔(1)은 상기 교좌장치(3)에 의해 전후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며, 주위의 온도 변화에 따라 그 이동량은 불균일하게 나타난다.
최근에는 교량이 장대화되면서 상기 교좌장치(3)의 기능도 상당한 발전을 이루어 온도 변화에 따른 주형의 이동이 더욱 원활해지고, 지각 변동 등에 의한 외부하중이 하부구조에 작용하여 교각(2)이 변형되지 않는 한 상기 교량빔(1)이 상하 좌우 방향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교좌장치(3)가 개발되어 있다.
또한, 근래에는 교량의 상부구조 즉, 상호 인접한 양측 교량빔(1)의 외측면에 양 교량빔(1)의 단부 사이를 서로 연결할 수 있는 안전장치로서, 상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강연선을 이용한 낙하방지장치(A')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낙하방지장치 인접하는 양쪽 교량빔(1)의 양단부 측면상에 소정 길이의 강연선(5)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이 강연선(5)의 양단부가 지지되는 각 교량빔(1)의 측면부에는 상기 강연선(5)의 양단을 각각 탄력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정착구(110)가 소정 거리를 두고 각각 대향되게 고정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강연선(5)의 양단부에는 나사부(5a)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정착구(110)는 강연선(5)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양쪽 교량빔(1)의 측단부에 각각 체결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 강연선(5)의 양단을 각각 관통 삽입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복수개의 정착판(111)과, 상기 각 정착판(111)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강연선(5)의 나사부(5a)에 각각 체결되는 너트(112)와, 상기 정착판(111)과 너트(112) 사이에 각각 설치된 완충스프링(113)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완충스프링(113)은 통상 원추형 코일스프링이 사용되고, 이 완충스프링(113)의 양단부에는 스프링 지지판(114)이 개재되어 상기 너트(112)와 정착판(111)의 내, 외측에 각각 접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정착판(111)과 이에 접하는 스프링 지지판(114)의 사이에는 완충패드(115)가 개재되어 있고, 외측에 보호캡(116)이 씌워진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낙하방지장치는 지각 변동 등의 원인으로 인하여 어느 한 곳의 교각(2)이 붕괴되었을 때 그 상부에 위치한 양측 인접 교량빔(1) 간의 연결 상태를 유지시켜 줌으로써 상기 교량빔(1)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더 이상의 연쇄적인 추가 붕괴 현상을 막아주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낙하방지장치는 양측 교량빔(1)의 단부를 연결하는 강연선(5)의 설치방향이 그 양측 교량빔(1)에 장착된 각 정착구(110)의 설치 방향을 따라 일직선상으로 유지됨으로써, 지진 발생 등의 경우와 같이 매우 큰 외부하중이 교량빔(1)과 교각(2)에 반복적으로 전달될 때에는 상기 교량빔(1) 및 교각(2)이 예상하지 못한 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는 구조적인 결함을 갖고 있다.
또한, 상기 교량빔(1)이 최악의 조건을 조성하는 방향으로 낙하된다고 가정하였을 때, 종래의 낙하방지장치(A)는 상기 정착구(110)와 강연선(5)의 어느 한곳에 응력이 집중되지 않고 적절히 분배될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하지 못함으로써 고가(高價)의 교량빔(1)에 변형 및 손상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정착구(110)가 변형되거나 상기 강연선(5)이 파단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지진 등의 발생에 따라 교각이 붕괴되었을 때 상기 교각 위에 설치된 교량빔이 동시에 낙하하여 막대한 경제적 손실 및 인명 피해가 발생하는 것을 막고, 지상으로 낙하된 교량 구조물의 잔해로 인한 주변 피해를 최소화하며, 신속하고 용이한 보수 공사를 수행함과 아울러, 외력에 의해 발생된 응력이 어느 한곳에 집중되지 않고 분배될 수 있도록 인접 교량빔 간을 이상적인 곡선형태로 연결 및 지지해주는 교량빔의 낙하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낙하방지장치가 적용된 교량빔의 일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낙하방지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낙하방지장치의 정착구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낙하방지장치의 강연선 안내부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의 정착구에 적용된 완충부재의 작용을 도시한 것으로.
도 5a는 강연선에 장력이 발생하기 전의 변형전 내부 구조를 개략 도시한 개념도.
도 5b는 강연선에 장력이 발생하여 완충부재가 탄력적으로 압축 변형된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6a 및 도 6b는 본 고안에 따른 낙하방지장치가 통상의 교량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 6a는 정면에서 본 설치 상태도.
도 6b는 상부에서 본 설치 상태도.
도 7은 외력에 의해 교각이 전도되는 과정에서 본 고안의 낙하방지장치에 의한 교량빔간의 연결 지지 상태를 도시한 작용 상태도.
도 8은 종래 기술에 따른 교량빔 낙하방지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정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A ; 낙하방지장치 1 ; 교량빔
2 ; 교각 3 ; 교좌장치
4 ; 상판 5 ; 강연선
5a ; 나사부 10 ; 정착구
11 ; 정착기판 12 ; 정착판
13, 23 ; 보강지지판 14 ; 너트
15 ; 완충부재 15a ; 완충패드
16 ; 지지판 20 ; 새들
21 ; 고정판 22 ; 곡면 안내판
24 ; 걸림판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교량빔 낙하방지장치는 교각의 상단부에 인접 설치되는 양측 교량빔의 단부 양측벽에 각각 경사방향으로 대향되게 고정된 정착구와, 이들 양측 정착구에 의해 양단부가 지지되어 상기 양측 교량빔의 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강연선과, 상기 양측 교량빔의 하단부 모서리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강연선의 중간부를 하향 만곡된 곡선형태로 장력을 유지하여 지지함과 아울러 교각의 붕괴에 따른 교량빔의 낙하시 상기 강연선의 좌우 이동을 원활히 안내해주는 새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교량빔(1)의 낙하방지장치(A)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교량 즉, 소정 간격을 두고 고정 배치되는 다수의 교각(2)과, 이 교각(2)들의 상부에 설치되어 외부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교좌장치(3)와, 인접하는 각 교각(2)간 교좌장치(3)의 상부에 양단이 각각 얹혀져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교량빔(1)과, 이 교량빔(1)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판(4)으로 구성되는 일반 교량 및 철도교 등에 적용 가능하다.
본 고안에 따른 낙하방지장치(A)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각(2)의 상단부에 인접 설치되는 양측 교량빔(1)의 단부 양측벽에 각각 소정 각도를 이루며 대향되게 고정 설치되는 2개 한조의 정착구(10)와, 이들 양측 정착구(10)에 의해 양단부가 지지되어 상기 양측 교량빔(1)의 단부를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소정 길이의 강연선(5)과, 상기 양 교량빔(1)의 하단 모서리부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강연선(5)의 중간부가 하향 만곡된 곡선형태로 장력을 유지하도록 지지함과 아울러 교각(2)의 전도나 붕괴에 따른 교량빔(1)의 변형 또는 낙하시 상기 강연선(5)의 좌우 이동을 원활히 안내해주는 새들(2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강연선(5)은 여러가닥의 피씨 강연선을 꼬아 코팅처리한 것으로,
상기 강연선(5)의 양단부에는 소정 길이의 강봉이 압착 고정되어 있고, 그 각 강봉의 외주면에는 상기 정착구(10)에 연결 고정되는 나사부(5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 정착구(1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접하는 교량빔(1) 양측면의 대응 위치에 각각 소정 경사각도로 고정 설치되는 정착기판(11)과, 이 정착기판(11)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교되게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정착기판(11)의 외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강연선(5)의 양단부가 삽입 관통되는 정착판(12)과, 이들 정착판(12)의 양측에 그 정착판(12)의 길이 방향으로 고정 설치되어 상기 정착판(12)을 보강 지지하기 위한 복수개의 보강지지판(13)과, 상기 정착판(12)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노출된 상기 강연선(5) 양단의 나사부(5a)부에 각각 체결되어 상기 강연선(5)에 작용되는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너트(14)와, 상기 정착판(12)과 너트(14)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강연선(5)의 장력을 완충시켜주기 위한 완충부재(15) 및 상기 완충부재(15)의 양단부와 상기 너트(14) 및 정착판(12) 사이에 각각 개재되어 상기 완충부재(15)를 지지해주는 복수의 지지판(16)으로 구성된다.
상기 정착기판(11)은 그 가장자리 둘레에 다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어, 그 각 관통구멍을 통해 상기 교량빔(1)의 양 측면부에 매설된 앵커보울트가 관출되어 각각의 너트로 고정되며, 상기 정착판(12)의 중앙부에는 상기 강연선(5)의 양단에 형성된 나사부(5a)를 각각 관통 삽입시킬 수 있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완충부재(15)는 교각(2) 붕괴시 양측 교량빔(1) 간을 연결하는 강연선(5)에 순간적으로 가해지는 전단력을 탄력적으로 완충시킬 수 있는 신축성 중공 네오프렌수지로 구성되고, 상기 정착판(12)과 일측 지지판(16) 사이에는 소정 두께를 갖는 별도의 완충패드(15a)가 개재되며, 상기 강연선(5)의 양단부가 상기 완충부재(15) 및 완충패드(15a)의 중앙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판(16)은 상기 완충부재(15)의 양단부와 상기 너트(14) 및 정착판(12) 사이에 각각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한편, 상기 새들(2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 교량빔(1)의 하단 모서리부를 감쌀 수 있도록 그 각 모서리부의 변부에 밀착 고정되는 고정판(21)과, 그 각 고정판(21)의 외측면에 곡선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강연선(5)의 좌우 이동을 원활히 안내 및 지지하기 위한 곡면 안내판(22)과, 이 곡면 안내판(22)을 보강 및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보강지지판(23)과, 상기 강연선(5)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판(24)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 낙하방지 장치의 설치공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의낙하방지 장치를 설치하고자 하는 교량빔(1)의 단부 표면을 연마석으로 연마하고, 에어 공구 등으로 깨끗이 청소함과 아울러 표면의 습기를 완전 제거한 후, 그 표면에 에폭시 프라이머를 도포한다.
상기 새들(20)은 상기 교량빔(1)의 하단부 규격에 맞도록 다수의 고정판(21), 곡면 안내판(22), 보강지지판(23) 및 걸림판(24)을 용착하여 미리 제작한 후, 그 내측면에 에폭시 수지를 도포하고 별도의 앵커보울트로 상기 교량빔(1)의 하단에 체결하여 고정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교량빔(1)과 새들(20)이 완전히 일체화될 수 있도록 상기 새들(20)의 외부를 에폭시 퍼티계로 도포함으로써 내부의 에폭시 수지가 흘러 나오지 않게 처리한다.
이와 같이 에폭시 퍼티의 도포 공정이 마무리되면, 에폭시 수지를 0.5 ~ 1.0kg/cm2의 저압 상태로 서서히 주입하여 기포가 발생하지 않도록 완전 충전한 후, 충분한 시간동안 양생하여 설치 공정이 완료된다.
또한, 상기 정착구(10)는 상기한 바와 같은 동일한 방법으로 정착기판(11)의 외측면에 에폭시 수지를 도포함과 아울러 상기 정착구(10)가 설치될 교량빔(1)의 표면에도 에폭시 수지를 도포한다. 즉, 정착기판(11), 정착판(12) 및 보강지지판(13)을 용착하여 미리 제작한 상기 정착구(10)의 정착기판(11) 외측 고정면에 에폭시 수지를 도포한 다은, 강연선(5)이 역 포물선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각도 및 위치시키고 별도의 앵커보울트로써 각 정착구(10)를 교량빔에 체결 고정한다.
그 다음, 상기 새들(20)의 설치 공정에서와 같이 상기 교량빔(1)과 정착구(10)가 완전히 일체화될 수 있도록 상기 정착구(10)의 외부를 에폭시 퍼티로 도포하고, 저압 상태로 에폭시 수지를 서서히 주입하여 기포가 발생하지 않도록 완전 충전한 후, 충분한 시간동안 양생시켜 설치 공정을 완료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각 교량빔(1)의 단부에 정착구(10)와 새들(20)의 설치가 완료되면, 상기 정착구(10) 및 새들(20)에 강연선(5)을 배치한다.
상기 강연선(5)은 상기한 바와 같이 여러가닥의 피씨 강연선을 꼬아 그 외부를 경질 염화비닐로 코팅 처리하고, 상기 강연선(5)의 양단부에는 소정 길이의 강봉을 압착 고정하여 그 외주면 상에 나사부(5a)를 형성시킨 것으로서, 상기와 같이 강연선의 외부를 코팅 처리함으로써 오, 폐수에 직접 노출되지 않게 되어 강연선(5)의 산화를 방지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상기 강연선(5)의 양단을 양쪽 정착판(12)의 외측으로 각각 관통 삽입하고, 이 강연선(5)의 각 단부에는 다수의 지지판(16)과 완충패드(15a) 및 완충부재(15) 등을 삽입한 후, 나사부(5a)에 너트(14)를 체결하여 고정한다.
상기 교량빔(1)의 크기가 장대한 경우에는 온도 변화에 따른 교량빔(1)의 신축량을 고려하여 완충부재(15)의 이동량 및 크기를 결정한 후, 이에 충분한 완충력을 발휘할 수 있는 부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설치되는 본 고안에 따른 낙하방지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낙하방지장치(A)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각 변동 등의 원인으로 인하여 일부 교각(2) 즉, 양측 교량빔(1)을 떠받치고 있던 하부 구조물이 전도되거나 붕괴될 경우 이들 교량빔(1)의 단부를 상기 강연선(5)이 잡아주어 양 교량빔(1)이 하부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바, 이때 본 고안에 의한 강연선(5)은 양측 교량빔(5)의 단부를 역 포물선 형태로 연결 지지하여 줌으로써, 하부 구조물이 없어진 양 교량빔(1)의 연결상태를 가장 이상적으로 유지하여 그 각 교량빔(1) 자체의 낙하를 방지하게 됨은 물론 더 이상의 연쇄적인 추가 붕괴 현상을 막아줄 수 있게 된다.
즉,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낙하방지장치는 상기 각 강연선(5)의 단부를 지지하는 양측 정착구(10)가 상호 대항되는 하향 경사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고, 이들 정착구(10)에 의해 지지되는 강연선(5)의 중간부가 각 교량빔(1)의 모서리부에 설치된 새들(20)에 의해 역 포물선의 형태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1차 하중 전달시의 발생 응력은 상기 완충부재(15) 및 완충패드(15a)에서 흡수하게 되고, 상기 완충부재(15) 등의 신축량을 초과하는 2차 하중이 작용하여 양측 교량빔(1)이 하향 이동을 유발하게 되는 경우에는 그 발생 응력을 역 포물선형태의 강연선(5)을 지지하는 정착구(10)와 새들(20)에서 적절히 분배하여 수용하게 됨으로써, 강연선(5)이 양측 교량빔(1)의 변위에 따른 충격을 최소화 하면서 낙하하지 않도록 유연하게 잡아주게 되고 변위시 발생되는 양 교량빔(1) 단부의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새들(20)에 의해 중간부가 지지된 강연선(5)은 그 새들 걸림판(24) 내측의 곡면 안내판(22)에 접촉되어 좌우로 미끄럼 이동하면서 양측 교량빔(1)의 하중을 분산 수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낙하방지 장치는 양측 교량빔(1)의 하중이 한쪽으로 쏠림에 따라 발생되는 급작스런 하중이 강연선(5)에 집중될 때 이에 적절히 대응하게 됨은 물론, 어떠한 방향으로의 휨 변형에도 적절히 대응하게 됨으로써 ,강연선(5) 자체의 파단과 양측 정착구(10)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하고 강연선(5)에 의해 지지된 양측 교량빔(1) 단부 간의 연결상태를 유연하고 안전하게 유지시켜 양측 교량빔(1)의 낙하를 방지함과 아울러, 양 교량빔(1) 단부간의 직접적인 접촉이나 충돌로 인한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완충부재(15)는 네오프렌수지와 같은 중공 탄성 재질로 되어 있으므로 장기간 반복 사용할 경우에도 종래의 완충스프링(113)과 같이 변형되지 않는 장점을 갖는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교량빔의 낙하방지장치(A)는 지진 등의 외력으로 인하여 교각(2)이 붕괴됨에 따라 그 교각(2)의 상부에 배치된 교량빔(1)이 지상으로 낙하되는 경우, 인접한 양측 교량빔(1)의 단부를 연결하는 강연선(5)이 이상적인 지지구조를 이룰 수 있도록 배치되고 정착구(10)와 새들(20)에 의해 그 발생 응력을 적절히 분배하여 수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양 교량빔 간의 연결상태를 보다 효율적으로 유지하여 교량빔(1)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교량 구조물이 일순간에 완전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여 인명 및 재산상의 피해를 줄일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교량빔(1)의 재 가설에 따른 경제적 손실을 줄일 수 있으며, 붕괴된 교량 구조물의 잔해로 인한 주변 피해를 최소화하여 신속하고 용이한 보수 공사를 수행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사고 현장의 복구 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4)

  1. 교각의 상단부에 인접 설치되는 양측 교량빔의 단부 양측벽에 각각 대향되게 설치되는 정착구와, 이들 양측 정착구에 의해 양단부가 지지되어 상기 양측 교량빔의 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강연선과, 상기 양 교량빔의 하단 모서리부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강연선의 중간부가 하향 만곡된 곡선형태로 장력을 유지하도록 지지함과 아울러 교각의 붕괴에 따른 교량빔의 낙하시 상기 강연선의 좌우 이동을 원활히 안내해주는 새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빔의 낙하방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정착구는 인접하는 교량빔 양측면의 대응 위치에 각각 소정 경사각도를 유지하도록 고정 설치되는 정착기판과, 이 정착기판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교되게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정착기판의 외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정착판과, 이 정착판의 외면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정착판을 보강 지지하는 복수개의 보강지지판과, 상기 정착판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노출된 강연선 양단의 나사부에 각각 체결되어 상기 강연선에 작용되는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너트와, 상기 정착판과 너트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강연선의 장력을 완충시켜주기 위한 완충부재와, 상기 완충부재의 양단부와 상기 너트 및 정착판 사이에 각각 개재되어 상기 완충부재를 지지해주는 복수의 지지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빔의 낙하방지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교각 붕괴시 양측 교량빔 간을 연결하는 강연선에 순간적으로 가해지는 전단력을 탄력적으로 완충시킬 수 있도는 중공 신축성 네오프렌수지로 구성되고, 상기 정착판과 일측 지지판의 사이에는 완충패드가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빔의 낙하방지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새들은 상기 양측 교량빔의 하단부 모서리를 감쌀 수 있도록 그 각 모서리부의 4변에 밀착 고정되는 고정판과, 그 각 고정판의 외측면에 곡선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강연선의 좌우 이동을 원활히 안내 및 지지하기 위한 곡면 안내판과, 이 곡면 안내판을 보강 및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보강지지판과, 상기 강연선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빔의 낙하방지장치.
KR2019990004714U 1999-03-24 1999-03-24 교량빔의 낙하방지장치 KR2000001860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4714U KR20000018606U (ko) 1999-03-24 1999-03-24 교량빔의 낙하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4714U KR20000018606U (ko) 1999-03-24 1999-03-24 교량빔의 낙하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8606U true KR20000018606U (ko) 2000-10-25

Family

ID=54760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4714U KR20000018606U (ko) 1999-03-24 1999-03-24 교량빔의 낙하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8606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7467A (ko) * 2002-11-30 2004-06-05 이진용 외부강선을 이용한 콘크리트 보의 보강법
KR100440622B1 (ko) * 2001-08-10 2004-07-21 박재만 교량빔의 보강공법 및 그 장치
CN115050163A (zh) * 2022-06-15 2022-09-13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边坡监测预警系统
CN118087405A (zh) * 2024-04-29 2024-05-28 石家庄铁道大学 一种适用于桥梁转体施工的拉锚器及牵引系统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0622B1 (ko) * 2001-08-10 2004-07-21 박재만 교량빔의 보강공법 및 그 장치
KR20040047467A (ko) * 2002-11-30 2004-06-05 이진용 외부강선을 이용한 콘크리트 보의 보강법
CN115050163A (zh) * 2022-06-15 2022-09-13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边坡监测预警系统
CN115050163B (zh) * 2022-06-15 2023-10-03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边坡监测预警系统
CN118087405A (zh) * 2024-04-29 2024-05-28 石家庄铁道大学 一种适用于桥梁转体施工的拉锚器及牵引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34411B2 (en) Earthquake resisting design method on the basis of PC binding articulation construction method
US5014474A (en) System and apparatus for limiting the effect of vibrations between a structure and its foundation
KR100741718B1 (ko) 프리스트레스가 적용된 마찰 감쇠형 전단키
US5669189A (en) Antiseismic connector of limited vibration for seismic isolation of an structure
NZ196180A (en) Interconnecting system for marina walkway floats
KR100589289B1 (ko) 환봉을 이용한 교량용 내진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내진보강공법
CN211850367U (zh) 一种高延性易修复的混凝土柱脚节点
CN114622481B (zh) 一种带防屈曲支撑的双柱式自复位桥墩结构及其施工方法
KR102081297B1 (ko) 교량용 교좌장치
KR100407513B1 (ko) 연속교 강박스 교량에 있어서 상부구조의 이탈방지장치와그 시공방법
KR20000018606U (ko) 교량빔의 낙하방지장치
US4166344A (en) Earthquake guarding system
CN114165093A (zh) 一种装配式的减震结构及可恢复功能的剪力墙
CN113944097A (zh) 一种摩擦耗能-自复位防落梁装置
KR101259137B1 (ko) 콘크리트 보와 벽체의 연결 구조를 이용한 라멘교
KR100722220B1 (ko) 교량 포트받침용 내진 보강장치
KR100277606B1 (ko) 양방향 트러스를 이용한 구조보강 방법
KR101051059B1 (ko) 면진용 디스크 받침
JP2017166268A (ja) 落橋防止構造
KR100448486B1 (ko) 교좌장치
KR100862118B1 (ko) 교좌장치 및 교좌장치의 설치방법
KR100465439B1 (ko) 강재 정착장치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공법
KR100383565B1 (ko) 연속교의 외부강선 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교의외부강선 보강방법
KR20210041813A (ko) 거더 조인트
KR101974051B1 (ko) 교량용 교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