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8406A - 온풍 난방기의 열교환용 파이프 배열 구조 - Google Patents

온풍 난방기의 열교환용 파이프 배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8406A
KR20000018406A KR1019980035985A KR19980035985A KR20000018406A KR 20000018406 A KR20000018406 A KR 20000018406A KR 1019980035985 A KR1019980035985 A KR 1019980035985A KR 19980035985 A KR19980035985 A KR 19980035985A KR 20000018406 A KR20000018406 A KR 200000184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
pipe
air
heat
h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5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종순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80035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8406A/ko
Publication of KR20000018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8406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4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 F24H3/0488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using flu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54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air heaters
    • F24H9/187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 F24H9/188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using fluid fu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rect Air Heating By Heater Or Combustion G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의 온풍 난방기의 열교환용 파이프 배열 구조가 송풍 블로워에서 송풍된 송풍 공기가 바깥쪽의 파이프 및 안쪽의 파이프에 의해 동심원의 중심측으로 진입하기가 곤란하게 되어 내부 파이프 쪽에서는 거의 열교환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므로 열교환 효율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온풍 난방기에서 연소 가스와 송풍 공기 사이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용 파이프를 배치함에 있어서, 열교환용 파이프를 동심원의 원주를 따라 배열하되, 송풍 블로워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의 유입이 원활하도록 하단부와 중앙부에는 열교환용 파이프가 없도록 함으로써,
열교환용 파이프 전체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열교환기의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온풍 난방기의 열교환용 파이프 배열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온풍 난방기의 열교환용 파이프 배열 구조
본 발명은 연소가스와 송풍 공기 사이의 열교환을 통해 실내를 난방하는 온풍 난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연소 가스와 송풍 공기 사이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용 파이프를 적절하게 배치하여 열교환시의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온풍 난방기의 열교환용 파이프 배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온풍 난방기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저부에 설치된 연료 탱크(11)와, 상기 연료 탱크(11)의 연료를 연소시키는 오일 버너(15)와, 상기 오일 버너(15)의 동작에 따라 연료의 연소가 이루어지는 연소실(13)과, 상기 연소실(13)에서 발생된 연소 가스가 내부를 흐르고 외측을 따라 흐르는 송풍 공기와 열교환을 통해 데워주는 열교환용 파이프(14)와,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연소실(13) 및 열교환용 파이프로 송풍하여 따뜻한 공기가 토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송풍 블로워(12)와, 상기 케이스(10)의 내벽에 설치되어 송풍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에어 가이드(16)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온풍 난방기는 연소 가스와 송풍 공기 사이의 열교환을 통해 뜨거워진 공기를 실내로 배출하여 실내를 난방시키도록 되어 있다.
온풍 난방기를 가동시키면 송풍 블로워(12)가 구동되어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를 상측으로 송풍하게 되고, 오일 버너(15)는 연료 탱크(11)의 연료를 점화시켜 연소실(13)에서 연소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연소실에서 연료의 연소에 의해 발생된 연소 가스는 열교환용 파이프(14)의 내부를 흐르게 되고, 열교환용 파이프(14)의 외부를 따라 흐르는 송풍 공기와의 사이에 열교환을 하게 된다. 연소 가스와의 열교환을 통해 가열된 송풍 공기는 토출구를 통해 실내로 배출되어 실내를 난방하게 된다.
이때, 에어 가이드(16)는 송풍 공기가 열교환용 파이프(14) 사이로 흐를 수 있도록 송풍 공기를 안내하고, 열교환을 마친 연소 가스는 배출 파이프(미 도시)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여기서, 종래의 열교환용 파이프의 배열 구조를 살펴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환용 파이프(14)가 동심원의 원주를 따라 2중으로 배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송풍 블로워(12)에서 송풍된 송풍 공기가 바깥쪽의 파이프(14) 및 안쪽의 파이프(14')에 의해 동심원의 중심측으로 진입하기가 곤란하게 되어 내부 파이프(14') 쪽에서는 거의 열교환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므로 열교환 효율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열교환용 파이프의 배열 구조를 일부 변경함으로써, 열교환용 파이프 전체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온풍 난방기의 열교환용 파이프 배열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온풍 난방기의 내부 구조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측면이 도시된 측면 구성도,
도 3은 종래의 열교환용 파이프 배열 구조가 도시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온풍 난방기의 열교환용 파이프 배열 구조가 도시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온풍 난방기의 공기 흐름이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1 : 연료 탱크 52 : 송풍 블로워
53 : 연소실 54 : 열교환용 파이프
56 : 에어 가이드
본 발명은 온풍 난방기에서 연소 가스와 송풍 공기 사이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용 파이프를 배치함에 있어서, 열교환용 파이프를 배열할 때 송풍 블로워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의 유입이 원활하도록 하단부와 중앙부에는 열교환용 파이프가 없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온풍 난방기의 열교환용 파이프의 배열 구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환용 파이프(54)를 동심원의 원주를 따라 배열하고, 중앙부와 하단부는 비워둔 채로 배치를 완료한다.
상기한 구조에 따라 열교환용 파이프가 배치된 온풍 난방기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데, 송풍 공기가 유입되는 부분이 비어 있으므로 송풍 블로워에 의해 송풍된 공기의 유입이 원활하여 열교환용 파이프 전체에서 열교환을 하게 된다.
온풍 난방기를 가동시키면 송풍 블로워(52)가 구동되고, 송풍 블로워(52)는 흡입구를 통해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상측으로 송풍하게 된다. 또한, 오일 버너(미 도시)가 가동되어 연료 탱크(51)의 연료를 연소시켜 연소실(53)에서 고온의 연소 가스가 발생되도록 한다.
상기 연소실(53)에서 발생된 연소 가스는 열교환용 파이프(54)의 내부를 흐르게 되고, 열교환용 파이프(54)의 외부를 따라 흐르는 송풍 공기와의 사이에 열교환을 하게 된다. 연소 가스와의 열교환을 통해 가열된 송풍 공기는 토출구를 통해 실내로 배출되어 실내를 난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열교환용 파이프(54)는 하측과 중앙이 빈 상태의 동심원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송풍 블로워(52)에 의해 송풍된 공기는 비어 있는 부분을 통해 열교환용 파이프(54) 사이를 흐르게 되어 열교환용 파이프(54) 전체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 상기 에어 가이드(56)는 송풍 공기가 열교환용 파이프(54) 사이로 흐를 수 있도록 송풍 공기를 안내하고, 열교환을 마친 연소 가스는 배출 파이프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온풍 난방기의 열교환용 파이프 배열 구조는 열교환용 파이프 전체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열교환기의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온풍 난방기에서 연소 가스와 송풍 공기 사이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용 파이프를 배치함에 있어서,
    열교환용 파이프를 배열할 때 송풍 블로워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의 유입이 원활하도록 하단부와 중앙부에는 열교환용 파이프가 없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풍 난방기의 열교환용 파이프 열 구조.
KR1019980035985A 1998-09-02 1998-09-02 온풍 난방기의 열교환용 파이프 배열 구조 KR200000184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5985A KR20000018406A (ko) 1998-09-02 1998-09-02 온풍 난방기의 열교환용 파이프 배열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5985A KR20000018406A (ko) 1998-09-02 1998-09-02 온풍 난방기의 열교환용 파이프 배열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8406A true KR20000018406A (ko) 2000-04-06

Family

ID=19549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5985A KR20000018406A (ko) 1998-09-02 1998-09-02 온풍 난방기의 열교환용 파이프 배열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840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08821C2 (ru) Газовый камин (варианты)
US6923173B2 (en) Hot air furnace
EP1052461A2 (en) Water heater
CN105889971A (zh) 基于烟气预热空气的燃烧器及其使用方法
CN205783054U (zh) 基于烟气预热空气的燃烧器
KR20100000619U (ko) 고체연료를 사용하는 3패스 보일러
TWI649522B (zh) 具有頂燒式燃燒組件的熱水器
KR20000018406A (ko) 온풍 난방기의 열교환용 파이프 배열 구조
CN208205406U (zh) 一种燃气节能锅炉
CN105889929A (zh) 利用烟气预热空气的燃烧器及其使用方法
JP4697762B2 (ja) 間接型熱風発生装置
CN212457409U (zh) 一种新型燃气热风炉
CN2476759Y (zh) 高热效率煤气热水器
JPS5939656B2 (ja) 熱風発生機
KR100441129B1 (ko) 흡기겸용 배기팬기구를 갖춘 하향식 보일러의 관연결구조
KR200391170Y1 (ko) 온풍기용 폐기열 회수 장치
KR100433474B1 (ko) 하향 연소식 보일러의 열교환기
CN2213920Y (zh) 高效气化燃烧装置
GB2243205A (en) Boiler
KR890002835Y1 (ko) 팬스토브의 연소가스 흡배기관
KR790001279Y1 (ko) 열풍용 구멍탄 난로
KR940005045Y1 (ko) 가스보일러의 열교환장치
JP4085047B2 (ja) ガスコンロ
KR200142645Y1 (ko) 가스보일러의 배기풍압 보상을 위한 버플플레이트의 구조
KR100267544B1 (ko) 온풍난방기의 열교환기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