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8395U - 연소장치 - Google Patents

연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8395U
KR20000018395U KR2019990004363U KR19990004363U KR20000018395U KR 20000018395 U KR20000018395 U KR 20000018395U KR 2019990004363 U KR2019990004363 U KR 2019990004363U KR 19990004363 U KR19990004363 U KR 19990004363U KR 20000018395 U KR20000018395 U KR 2000001839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fuel
main body
combustion space
exhaus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43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규
Original Assignee
이승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규 filed Critical 이승규
Priority to KR20199900043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8395U/ko
Publication of KR200000183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8395U/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80/00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ans creating a distinct flow path for flue gases or for non-combusted gases given off by the fuel
    • F23B80/04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ans creating a distinct flow path for flue gases or for non-combusted gases given off by the fuel by means for guiding the flow of flue gases, e.g. baff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60/00Combustion apparatus in which the fuel burns essentially without mo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연료가 연소하는 연소공간이 형성된 통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영역에 설치되어 연소가스가 배출되는 배기부를 갖는 연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연소공간과 상기 배기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연소공간에서 형성된 화염이 상기 배기부로 배출되는 것을 억제하는 화염차단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연소공간에서 연소하는 연료의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연소장치{COMBUSTION APPARATUS}
본 고안은 연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소공간을 형성하는 본체와, 본체의 일측영역에 설치되어 연소가스가 배출되는 배기부를 갖는 연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목재나 화석연료(기름, 석탄, 연소가스) 등 연소시켜 이때, 발생되는 열에너지를 직접 이용하거나, 열에너지를 다른 에너지로 변환하여 이용하는 장치를 일컬어 연소장치라 한다.
도 4는 이러한 종래의 연소장치의 중 난로의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연소장치의 본체(101) 내부에는 연료(113)가 적재되어 연소되는 연료적치부(115)가 마련되어 있으며, 본체(101)의 상부에는 연료적치부(115)에 적치된 연료(113)가 연소할 때 발생하는 연소가스를 배출할 수 있도록 배기부(103)가 본체(101)와 연통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또한, 연료적치부(115)의 하부에는 연료적치부(115)에서 연료(113)가 연소됨에 따라 생성된 재가 수용되는 재수용부(117)가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하여, 연료적치부(115)에서 연료가 연소되면서 연소가스는 배기부(10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연료가 연소됨에 따라 발생된 재는 재수용부(117)에 수용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연소장치의 사용 중, 연료적치부에 적치된 연료가 연소할 때 발생된 화염이 배기부를 통해 배출되어 그 열기가 배출됨에 따라 발열효율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연소공간에서 연소하는 연료의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연소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난로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연소장치 중 난로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난로의 단면도,
도 4는 종래의 연소장치 중 난로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3 : 배기구
5 : 흡기부 11 : 연소공간
15 : 연료적치부 19 : 격벽
21 : 관통공 23 : 격판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연료가 연소하는 연소공간이 형성된 통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영역에 설치되어 연소가스가 배출되는 배기부를 갖는 연소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소공간과 상기 배기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연소공간에서 형성된 화염이 상기 배기부로 유출되는 것을 억제하는 화염차단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화염차단부재는, 상기 본체의 내벽면으로부터 높이차를 두고 교호적으로 내향 돌출되어 있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난로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소장치는 연료가 연소하는 연소공간을 형성하는 본체(1)와, 본체(1)의 상부에 설치되어 연소가스가 배출되는 배기부(3)와, 본체(1)의 하부영역에 설치되어 연소공간에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는 흡기부(5)를 가진다.
또한, 흡기부(5)의 상부영역에는 연소공간에 연료를 공급하기 위해 연료공급용 도어(7)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연료공급용 도어(7)의 하부에는 연소공간에서 연료가 연소되어 생성된 재를 회수할 수 있도록 재회수도어(9)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연소장치 중 난로의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 내부의 연소공간(11)에는 연료(13)가 적치되는 연료적치부(1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연료적치부(15)의 하부에는 연소에 의해 발생된 재가 수용되는 재수용부(17)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연료적치부(15)로부터 소정 이격된 상부영역에는, 본체(1)의 내벽면으로부터 내향돌출된 복수의 격벽(19)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 격벽(19)의 소정 높이차를 두고 본체(1) 내벽면의 원주방향을 따라 교호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각 격벽(19) 중 하부에 위치한 격벽(19)의 길이를 상부에 위치한 격벽(19)보다 짧게 하여 배기가스의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하여, 난로를 사용할 경우, 연료적치부(15)에 적치된 연료(13)는 흡기부(5)를 통해 공급된 연소공기에 의해 연소하게 된다. 이렇게, 연료(13)가 연소함에 따라 발생된 화염은, 본체(1)의 상부영역으로 상승하다가 복수의 격벽(19)에 의해 상승이 차단되어 본체(1) 내부에 체류하게 된다. 그리고, 연소가스는 격벽(19)의 사이를 통과하여 배기부(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난로의 단면도이다. 이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적치부(15)로부터 소정 이격된 상부에는, 판면에 복수의 관통공(21)이 형성되어 있는 격판(23)이 배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조에 의하여, 연료적치부(15)에 적치된 연료(13)가 흡기부(5)에서 공급되는 연소공기를 통해 연소되면, 연소가스는 격판(23)에 형성된 관통공(21)을 통과하여 배기부(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화염은 격판(23)에 부딪혀 배기부(3)로 향하는 것이 억제된다.
이와 같이, 연료가 연소함에 따라 발생된 화염이 배기부로 직접 배출되는 것을 억제되어 연소공간에 체류하게 됨에 따라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소공간에서 불완전 연소에 의해 발생된 매연이 연소공간에 체류하면서 재연소됨에 따라 배기구를 통해 유해한 매연이 배출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어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의 도면은 난로를 그 예로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연소장치는 소각로, 보일러 등 연료를 연소시켜 연료에서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는 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연소공간에서 연소하는 연료의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연소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2)

  1. 연료가 연소하는 연소공간이 형성된 통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영역에 설치되어 연소가스가 배출되는 배기부를 갖는 연소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소공간과 상기 배기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연소공간에서 형성된 화염이 상기 배기부로 배출되는 것을 억제하는 화염차단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염차단부재는, 상기 본체의 내벽면으로부터 높이차를 두고 교호적으로 내향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장치.
KR2019990004363U 1999-03-18 1999-03-18 연소장치 KR2000001839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4363U KR20000018395U (ko) 1999-03-18 1999-03-18 연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4363U KR20000018395U (ko) 1999-03-18 1999-03-18 연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8395U true KR20000018395U (ko) 2000-10-16

Family

ID=54760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4363U KR20000018395U (ko) 1999-03-18 1999-03-18 연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8395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3374A (ko) * 2015-02-24 2016-09-01 (주)에스비씨에너텍 벽난로형 화목 보일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3374A (ko) * 2015-02-24 2016-09-01 (주)에스비씨에너텍 벽난로형 화목 보일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25845Y1 (ko) 목재용 온수보일러
KR20000018395U (ko) 연소장치
KR102470351B1 (ko) 하향 연소식 화목 보일러
KR100304423B1 (ko) 폐유연소보일러
KR200249584Y1 (ko) 다중 연소식 벽난로
KR200191915Y1 (ko) 보일러
KR102488755B1 (ko) 친환경 고형연료 보일러
KR0114474Y1 (ko) 조립식 소각로
JPH09229328A (ja) スモ−ク循環型燃焼炉
EP1112464B1 (en) Water heater for central heating
KR200276033Y1 (ko) 석탄류 보일러의 배기장치
KR0128172B1 (ko) 상압식 열분해 가스화 방식에 의한 폐기물 소각장치 및 소각방법
KR19990031517A (ko) 폐 타이어 소각 및 고열발생장치
KR100279079B1 (ko) 소각로
KR0168519B1 (ko) 완전연소가 가능한 소각 장치
KR100388302B1 (ko) 보일러용 소음기
KR920006518Y1 (ko) 하향식 연소장치
KR900010503Y1 (ko) 보일러
KR0134629Y1 (ko) 화장로
KR200380381Y1 (ko) 소각로 연소실 구조
KR200232069Y1 (ko) 가정용 온수 보일러
JP3819970B2 (ja) 排気再燃筒
KR890001767Y1 (ko) 폐기물 소각로의 화격자장치
JPS5838272Y2 (ja) 塵芥焼却炉
KR200249040Y1 (ko) 가스보일러용연소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