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7976A - 조건부 이윤 환원 방식의 상거래 망 시스템 - Google Patents

조건부 이윤 환원 방식의 상거래 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7976A
KR20000017976A KR1019990068390A KR19990068390A KR20000017976A KR 20000017976 A KR20000017976 A KR 20000017976A KR 1019990068390 A KR1019990068390 A KR 1019990068390A KR 19990068390 A KR19990068390 A KR 19990068390A KR 20000017976 A KR20000017976 A KR 200000179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yer
seller
conditional
profit
profit re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8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홍
Original Assignee
이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홍 filed Critical 이홍
Priority to KR1019990068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7976A/ko
Publication of KR20000017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7976A/ko

Links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조건부 이윤 환원 방식의 거래 망 시스템은 판매자가 구매자들에게 이윤의 환원을 조건으로 구매자의 상품 구매를 제안하여 구매자들과의 거래 관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한다. 조건부 이윤 환원 방식의 거래 망 시스템은: 적어도 한 종류의 상품에 대한 이윤 환원의 조건 및 방법과 그 상품의 제공 가능한 가격을 포함하는 조건부 이윤 환원 방식의 판매 제안서를 컴퓨터에 입력하는 단계; 조건부 이윤 환원 방식의 판매 제안서를 다수의 구매자들에게 출력하는 단계; 조건부 이윤 환원 방식의 판매 제안에 응답하는 승인을 구매자로부터 컴퓨터로 입력하는 단계; 및 지불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품 대금을 수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건부 이윤 환원 방식의 상거래 망 시스템{Commercial Transaction Network System Using Conditional Profit Restoring Method}
본 발명은 전기적 망을 이용하여 전기적 계약 체결을 가능하게 하는 거래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소비자의 구매행위는 공급자에게 현물을 구매하고 금전을 주는 간접투자라 할 수 있다. 공급자는 소비자의 구매행위로부터 직접적 이윤을 얻는다. 공급자는 생산설비 또는 자본에 대한 직접투자자와 주식투자자에겐 이윤을 분배하지만 개별적이고 지속적으로 행해지는 소비자들의 소비로 인한 기대이상의 이익은 소비자에게 분배하지 않고 있다.
공급자가 자기의 이익의 일부를 소비자에게 일정한 조건하에 환원하는 것이 전자상거래에서는 필요하며 필수적인 것이다. 공급자는 전자상거래의 발전으로 광고비용, 마케팅비용, 고용비용, 토지, 건물 등 고정비용이 줄어들어 매출이 늘어날수록 수확이 체증하는 유리한 측면이 있는 반면에 모든 공급자가 소비자에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고, 모든 소비자 역시 모든 공급자의 정보를 받아볼 수 있기 때문에 공급이 수요를 초과하고, 가격과 서비스면에서 완전자유경쟁시장이 되어 많은 이윤을 남기지 못하게 되는 불리한 면도 있다. 따라서 공급자는 자기와 소비자를 묶어줄 좀 더 긴밀한 끈이 필요하게 되었고 이는 소비자를, 소비를 통해 간접적으로 투자하는 투자자로 인식하고, 이러한 소비(간접투자)로 인해 발생한 이익을 환원할 것을 일정한 방법과 조건으로 미리 제시해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소비를 유도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었다.
공급자가 이익을 환원하기 위한 조건과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10000$의 차를 10만대 팔아야 손익분기점을 넘는 자동차 회사가 있다고 가정하자. 이 회사는 만약 20만대가 팔리면 가격의 5%를, 30만대가 팔리면 10%를 현금으로 환원한다. 또는 15만대이상이 팔릴 경우 모든고객에게 신차를 5% 싸게 구입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라는 조건을 제시할 수 있다. 또한 여러 공급자가 제휴하여 자기 또는 다른 공급자의 상품 또는 서비스를 구매할 수 있는 권리 또는 기회제공등 가격, 물건, 기회, 서비스, 환금 등 그 외 다양한 방법으로 이익을 환원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이익을 환원하는 방식을 통해 공급자는 한번의 소비자를 계속적 관계로 유지할 수 있으며, 소비자들은 한 번 구매한 공급자에게 제품을 계속 구매하려 할 것이며 다른 소비자들을 유인하는 부수적인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소비자들은 가격 뿐 아니라 공급자가 제시한 여러 환원조건들을 비교평가하여 구매결정을 하며, 다른 소비자들을 자기가 구매한 제품을 공급자에게 유도하게 될 것이다.
또 다른 예를보면 한 철강회사가 그 철강으로 제품을 생산하는 중간 생산자와의 거래에서 일정기간에 10만톤의 철강을 팔았고 그로 인해 기대 이상의 이익을 보았다면 앞의 자동차와 같이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한 소비자가 A백화점을 이용할 때 의류, 잡화, 식품등 많은 종류의 상품을 구매를 할 것이며, 이를 일정기간 누적적 합계로 적정한 이익의 환원이 제시된다면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고객이 될 것이다.
기존의 전통적인 상거래에서는 소비자는 수동적으로 공급자가 제시한 가격이나 조건에 순응해 왔다. 뿐만아니라, 공급자의 큰 매출과 이익은, 공급자의 막대한 마케팅비용 투자와 제품성능, 그리고 경영능력등 오로지 공급자의 공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전자상거래 시대에는 공급자의 모든 비용이 절감되는 반면, 공급과잉, 소비자 주권의 확대로 소비자가 얼마든지 동종의 다른 공급자, 다른제품을 선택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공급자는 실현된 이익을 소비자와 나눔으로서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관계를 유지해야 한다. 또한 소비자에 따라서 동일한 제품을 다른 가격에 산다면 (할인기간중 구매여부에 따라) 소비자는 손해를 입었다는 심리적 상실감을 갖게 되고, 구매를 할인기간으로 늦추게 되고, 이는 곧 공급자의 장기적 계속적 할인판매를 가져와 공급자에겐 유리하지 못하다.
따라서 일정 기간후에 일정한 방법으로 모든 소비자를 대상으로한 이익의 분배가 소비자의 안정적 소비를 가져오고 공급자에게도 지속적인 이윤을 보장해 줄 수 있다.
한편 인터넷을 이용한 전자상거래를 통해 소비자가 가격 또는 조건을 제시하고 공급자가 이를 받아들여 거래가 성사되는 방식이 미합중국 특허 제5,794,207호에 개시되어 있으나, 이는 개별적으로 소비자가 공급자를 상대함으로써 결국은 협상력있고 능력이 뛰어난 극소수의 소비자만이 기존방식보다 이익을 볼 것이며, 대량생산하의 공급체계에서는 개별적 조건들을 일일이 공급자가 협상할 수 없는 문제점을 안게 된다.
또한 공급자들이 소비자를 경품방식으로 유인하지만 이는 복권 당첨자처럼 어느 한 명의 소비자에게 국한된 일이며, 일정액 이상의 상품을 구매한자에게 사은품을 제공하는 것은 소량을 지속적으로 구매하는 소비자에게는 아무런 혜택이 없을 뿐 아니라 일회성에 그친다.
이와같은 기존방식에서 벗어나, 공급자는 일정기간에 구매액, 구매횟수, 구매량등 기타기준에 따라 이익을 환원하는 조건, 방법, 기간, 종류 등을 미리 제시하고 소비자의 소비를 이끌어내고 조건 성취시에 조건에 부합한 모든 소비자에게 합당한 이익을 환원 함으로써 소비자를 공급자에 대한 투자자의 일원으로 인정하는 것이다. 이와같이 하기 위해서는 공급자가 일률적으로 조건을 제시하여 공시하기 위한 중앙 제어 장치(Central Controller) 와 소비자의 구매에 관한 모든 정보를 처리하는 시스템이 필요하고, 분쟁 발생시에 소비자집단이 공급자를 상대로 한 법적해결방안이 준비되고, 이러한 시스템이 이를 대행해야 할 것 이다.
한편 기존의 전자상거래와 비전자상거래를 할 때 소비자는 반드시 신용카드 또는 현금을 소지하여야 했다. 이는 신용카드를 갖지 못한 소비자를 전자상거래에서 제외하는 결과가 되고, 신용카드의 수수료를 기피하는 소비자들은 이를 이용하지 못한다. 또한 비전자 상거래에서도 신용카드나 현금, 또는 직불카드를 소지해야하는 이유로 소비자에게는 분실의 경우도 있고, 잠시 소지하지 못했을 때는 거래를 할 수 없는 결과가 된다. 그리고 현금을 받는 공급자 또한 분실, 도난, 직원의 횡령, 강도에 대한 불안과 은행을 오가는 불편, 그리고 거스름돈을 항상 준비해야 되는 번거로움등이 많다. 전자화폐 또한 분실과 강·절도의 대상이 될 수 있고 항상 소지해야하는 점은 똑같다.
소비자는 은행등 금융기관에 돈을 예치하여 안정성과 이율을 보장받고, 전자상거래 및 비전자상거래를 할 수 있기를 희망할 것이다. 공급자는 신용카드를 갖지 못한 많은 사람을 상대로 거래 하기를 원할 것이며 판매대금이 바로 공급자의 계좌로 들어온다면 분실, 도난등 많은 위험요소와 번거로움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을 것이다.
이와같은 불편은 각 금융기관과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된 Central Controller, 그리고 그 Central Controller와 유, 무선으로 연결된 각 공급자의 단말기를 통해, 소비자가 지불해야하는 금액보다 소비자의 은행잔고가 많고 적음을 확인하고, 소비자의 ID와 Password를 확인하여 은행에서 곧바로 공급자계좌로 이체함으로써 해결된다. 또한 소비자는 자기가 가진 여러은행의 총 잔고 만큼 구매할 수 있다. 이는 Central Controller가 소비자의 한 은행잔고가 지불해야할 대금보다 부족하거나 소비자가 여러은행을 거래하여 어느은행에 얼마의 잔고가 있는 지 모를때, Central Controller가 모든 은행을 동시에 연결하여, 총잔고 범위 안에서 지불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B,C,D 네 은행에 계좌를 갖고 있는 한 소비자가 외출을 하여 차 한 대 구입하고, 외식을 하고, 식료품을 사고, 그 모든것을 계좌이체로 했을때 Central Controller는, 소비자가 특정은행을 지정하지 않을 경우, 또는 그 지정은행의 잔고가 부족할 때, A,B,C,D 전 은행의 잔고를 검색하여 잔고가 많이 남아 있는 계좌순으로, 또는 적게 남아 있는 순으로 공급자에게 이체할 것을 은행에 지시하고 그 결과를 공급자와 소비자의 단말기로 즉시 통보하거나 소비자가 명세표를 원할 경우 우편 발송하는 역활을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화폐나 신용카드를 소지함으로써 생기는 공급자와 소비자가 갖는 부작용과 위험을 피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매자들에 이윤을 환원하기에 적합하게끔 판매자 구동형 조건부 판매 제의를 이용하여 설계된 상거래 망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건부 이윤 환원 방식의 상거래 망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
도 2 는 도1에 도시된 판매자 중계기의 상세 블록도.
도 3 은 도1에 도시된 구매자 중계기의 상세 블록도.
도 4 는 도1에 도시된 중앙 제어 장치의 상세 블록도.
도 5A 는 조건부 이윤 환원 방식의 판매 제안서를 등록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5B 는 조건부 이윤 환원 방식의 판매 제안서를 도시하는 도면.
도 6 은 이윤 환원 조건의 달성 시 구매자에게 이윤 환원을 공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7 은 구매자가 도1의 상거래 망 시스템을 이용하여 구매한 물품 및 서비스를 제공 받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8 은 구매자가 도1의 상거래 망을 통해 구매할 물품을 지정하여 구매가 체결될 때까지의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9 는 구매자의 구매 체결을 통지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10 은 구매자가 물품 대금의 지불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11 은 판매자의 이윤 환원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12 는 도1의 상거래 망 시스템 상에서 거래의 위한 판매자와 구매자의 비밀번호 및 식별코드를 지정받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13 은 판매자의 공급 능력 및 CPRO의 유효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14 는 도1의 상거래 망 시스템에서의 대칭 키 방식의 암호화 통신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15 는 도1의 상거래 망 시스템에서의 비대칭 키 방식의 암호화 통신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16 은 도1의 상거래 망 시스템에서의 디지털 서명 방식의 암호화 통신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17 은 도1의 상거래 망 시스템에서의 메시지 인증 코드 방식의 암호화 통신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18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조건부 이윤 환원 방식의 상거래 망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실시 예에 따른 조건부 이윤 환원 방식의 거래용 컴퓨터 이용 방법은: 적어도 한 종류의 상품에 대한 이윤 환원의 조건 및 방법과 그 상품의 제공 가능한 가격을 포함하는 조건부 이윤 환원 방식의 판매 제안서를 컴퓨터에 입력하는 단계; 조건부 이윤 환원 방식의 판매 제안서를 다수의 구매자들에게 출력하는 단계; 조건부 이윤 환원 방식의 판매 제안에 응답하는 승인을 구매자로부터 컴퓨터로 입력하는 단계; 및 지불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품 대금을 수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실시 예에 따른 조건부 이윤 환원 방식의 거래 장치는 저장 소자와 이 저장 소자에 접속되어진 프로세서를 구비한다. 저장 소자는 프로세서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다.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되어: 적어도 한 종류의 상품에 대한 이윤 환원의 조건으로 하여 그 상품의 제공 가능한 가격을 포함하는 조건부 이윤 환원 방식의 판매 제안서를 판매자로부터 입력 받고; 조건부 이윤 환원 방식의 판매 제안서를 적어도 한 사람의 구매자에게 출력하고; 조건부 이윤 환원 방식의 판매 제안에 응답하는 승인을 구매자로부터 입력하고; 그리고 지불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품 대금을 수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들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도1 내지 도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1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거래 망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거래 망 시스템은 중앙 제어 장치(40)에 공통적으로 접속되어진 판매자 중계기(10), 구매자 중계기(20) 및 은행 중계기(30)를 구비한다. 판매자 중계기(10), 구매자 중계기(20), 은행 중계기(30) 및 중앙 제어 장치(40)는 지역 전화 운영 회사에 의해 제공되는 것과 같은 공중 절환 전화 망을 이용하는 인터넷 접속을 통해 접속되게 된다. 이러한 접속은 데디케이티드 데이터 라인들 (Dedicated Data Lines), 셀루러 (Cellular), 개인 통신 시스템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마이크로웨이브 (Microwave) 또는 위성 망 (Satellite Networks)에 의해서도 형성될 것이다. 판매자 중계기(10), 구매자 중계기(20) 및 은행 중계기(30)는 중앙 제어 장치(40)와의 접속을 위한 입력 및 출력 게이트 웨이들 (Gateways)을 각각 가진다. 이상의 구성요소들을 이용하여, 본 발명은 이윤 환원 조건부 구매 제안서들과 이윤 환원 조건부 판매 의향서들을 배달하여 잠재적인 판매자들 및 구매자들에게 이용될 수 있게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판매자 및 구매자가 이윤 환원 조건부 구매 제안서들 및 이윤 환원 조건부 판매 의향서들을 종합하게 하여 법률적으로 결합하는 계약을 체결하게 한다.
도2를 참조하면, 판매자 중계기(10)가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매자 중계기(10)는 판매자 단말기(11)에 공통적으로 접속된 비디오 모니터(12), 모뎀(13), 바이오매트릭 소자(14) 및 입력 소자(15)를 포함한다. 판매자 단말기(11)는 모뎀과 접속된 CPU(100)와, 이 CPU(100)에 공통적으로 접속되어진 암호 처리기(101), RAM(102), ROM(103), 클록 발생기(104), 운영 시스템(105), 지불 처리기(106) 및 데이터 저장 소자(107)를 구비한다. 또한, 판매자 단말기(11)는 CPU(100)와 모뎀(13) 사이에 접속되어진 통신 포트(108)와 그리고 비디오 모니터(12)와 CPU(100) 사이에 접속되어진 비디오 드라이버(109)를 추가로 구비한다. 판매자 중계기(10)로는 키보드, 마우스 또는 통상의 음성 인식 소프트웨어 패키지와 같은 입력 소자; 비디오 모니터와 같은 표시 소자; CPU와 같은 처리 소자; 및 모뎀과 같은 망 중계기를 가지는 통상의 개인용 컴퓨터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판매자 중계기(10)는 중앙 제어기(40)와 판매자를 중계하게 된다. 다시 말하여, 판매자 중계기(10)는 음성 우편 시스템, 또는 전기적 혹은 음성 통신 시스템도 될 수 있다. 나아가, 팩시밀리 머쉬인들 또는 페이저들도 역시 적절한 판매자 중계기가 될 수 있다. CPU(100)로는 인텔 사 (Intel Inc.)에 의해 통상 제작되는 100㎒ P54C와 같은 펜티엄 프로세서가 사용된다.
데이터 저장 소자(107)은 데이터베이스 뱅크로 이용된다. 이 데이터베이스 뱅크에는 구매자 데이터베이스(110), 구매 확인 데이터베이스(111), 환원 데이터베이스(112), 구매자 계산 데이터베이스(113), RCSO 데이터베이스(114) 및 결산 (또는 회계) 데이터 베이스(115)가 포함되게 된다. 구매자 데이터베이스(110)는 구매자의 고유 식별 코드 (Identification Code, 예를 들면 주민등록번호), 비밀번호, 이름, 주소 (전화번호 포함)와 함께 계속적 거래관계를 위해 중앙 처리기와 약속된 새로운 식별코드, 비밀번호 및 이름 등이 저장되게 된다. 고유 식별코드와 이름은 각 은행에 구매자의 잔액 확인 시에 사용되게 된다. 구매 확인 데이터베이스(111)는 구매액, 상품의 종류, 구매 일 시, 회사명 등을 저장한다. 이들 구매액, 상품의 종류, 구매 일 시 및 회사명 등은 이윤 환원 시 자료로서 사용되게 된다. 환원 데이터베이스(112)는 구매자에게 이윤이 환원되어진 상태에 대한 자료를 저장하게 된다. 구매자 계산 데이터베이스(113)는 이윤 환원이 직접적인 환불의 형태로 될 경우에 돌려 받을 계좌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게 된다. RCSO 데이터 베이스(114)는 조건부 이윤 환원의 조건, 일시, 방법 및 종류 등과 같이 판매자가 제시한 조건부 이윤 환원 방식(Conditional Profit Returning Offer)의 판매 제안서(이하, "CPRO"라 함)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결산 (또는 회계) 데이터베이스(115)는 구매자들에게 환원된 이윤들에 대한 결산, 회계 처리 정보들을 저장한다.
도3은 구매자 중계기(20)를 상세하게 도시한다. 도3의 구매자 중계기(20)는 구매자 단말기(21)에 공통적으로 접속된 비디오 모니터(22), 모뎀(23), 바이오매트릭 소자(24) 및 입력 소자(25)를 포함한다. 구매자 단말기(21)는 모뎀과 접속된 CPU(200)와, 이 CPU(200)에 공통적으로 접속되어진 암호 처리기(201), RAM(202), ROM(203), 클록 발생기(204), 운영 시스템(205), 지불 처리기(206) 및 데이터 저장 소자(207)를 구비한다. 또한, 구매자 단말기(21)는 CPU(200)와 모뎀(23) 사이에 접속되어진 통신 포트(208)과 그리고 비디오 모니터(22)와 CPU(200) 사이에 접속되어진 비디오 드라이버(209)를 추가로 구비한다. 구매자 중계기(20)로는 키보드, 마우스 또는 통상의 음성 인식 소프트웨어 패키지와 같은 입력 소자; 비디오 모니터와 같은 표시 소자; CPU와 같은 처리 소자; 및 모뎀과 같은 망 중계기를 가지는 통상의 개인용 컴퓨터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매자 중계기(20)는 중앙 제어기(40)와 구매자를 중계하게 된다. 다시 말하여, 구매자 중계기(20)는 음성 우편 시스템, 또는 전기적 혹은 음성 통신 시스템도 될 수 있다. 나아가, 팩시밀리 머쉬인들 또는 페이저들도 역시 적절한 판매자 중계기가 될 수 있다. CPU(200)로는 인텔 사 (Intel Inc.)에 의해 통상 제작되는 100㎒ P54C와 같은 펜티엄 프로세서가 사용된다. 클록 발생기(204)로는 판매자 중계기(10)에 의하여 생성되어진 카운터오퍼(Counteroffer)를 제공할 수 있는 표준 칩형 클록발생기가 사용된다. 모뎀(23)은 대부분의 카운터오퍼들이 길지 않은 텍스트형인 경우에 고속 데이터 전송을 요구하지 않는다. 암호 처리기(201)가 요구된다면, "Motorola MC68HC16"의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사용될 수도 있다. 바이오매트릭스(24)는 암호 인증 실시 예와 관련되게 된다.
데이터 저장 소자(207)는 데이터베이스 뱅크로 이용된다. 이 데이터베이스 뱅크에는 환원 데이터베이스(210), 구매자 계산 데이터베이스(211), 결산 (또는 회계) 데이터 베이스(212) 및 구매 확인 데이터베이스(213)가 포함되게 된다. 환원 데이터베이스(210)는 판매자에 의해 이윤이 환원되어진 상태에 대한 자료를 저장하게 된다. 구매자 계산 데이터베이스(211)은 이윤 환원이 직접적인 환불의 형태로 될 경우에 돌려 받을 계좌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게 된다. 결산 (또는 회계) 데이터베이스(212)는 판매자들에 의해 환원된 이윤들에 대한 결산, 회계 처리 정보들을 저장한다. 구매 확인 데이터베이스(213)는 구매액, 상품의 종류, 구매 일 시, 회사명 등을 저장한다.
도4는 중앙 제어 장치(40)를 상세하게 도시하는 상세 블록도이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제어 장치(40)는 중앙 제어기(42)와 망 중계기(44)를 구비한다. 중앙 제어기(42)는 망 중계기(44)와 접속되어진 CPU (Central Processor, 400)와, 이 CPU(400)에 공통적으로 접속되어진 암호 처리기(401), RAM (Random Access Memory, 402), ROM (Read Only Memory, 403), 클록 발생기(404), 운영 시스템(405), 지불 처리기(406) 및 데이터 저장 소자(407)를 구비한다. 중앙 제어기(42)로는 충분한 메모리와 충분한 처리 용량을 가지는 통상의 개인용 컴퓨터 (Personal Computer) 또는 컴퓨터 워크스테이션(Computer Workstation)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중앙 처리기(42)는 판매자에 의해 생성된 이윤 환원 조건부 판매 제안서들 및 구매자들에 의해 생성된 이윤 환원 조건부 구매 의향서들의 수신 및 전송 양자가 가능한 웹 서버 (Web Sever)로서 동작될 것이다. 중앙 제어기(42)는 큰 볼륨 거래 (또는 교류) 처리, 처리 통신에서의 충분한 수의 수학적 연산 수행 및 데이터베이스 서치가 가능하여야만 한다. 인텔 사 (Intel Inc.)에 의해 통상 제작되는 100㎒ P54C와 같은 펜티엄 프로세서가 CPU(400)로 사용될 것이다. 이 펜티엄 프로세서는 32-비트 구조를 이용한다. 또한, "Motorola 120 ㎒ PowerPC 604" 또는 "Sun Microsystems 166 ㎒ UltraSPARC-L"가 동등한 프로세서로 이용될 수도 있다.
데이터 저장 소자(207)은 데이터베이스 뱅크로 이용된다. 이 데이터베이스 뱅크에는 구매자 데이터베이스(410), 구매 확인 데이터베이스(411), 환원 데이터베이스(412), 구매자 계산 데이터베이스(413), 은행 정보 데이터베이스(414), 판매자 데이터베이스(415), RCSO 데이터베이스(416), 암호키 데이터베이스(417), 결산 (또는 회계) 데이터 베이스(418) 및 판매자 계산 데이터베이스(419)가 포함되게 된다. 구매자 데이터베이스(410)는 구매자의 고유 식별 코드 (Identification Code, 예를 들면 주민등록번호), 비밀번호, 이름, 주소 (전화번호 포함)와 함께 계속적 거래관계를 위해 중앙 처리기와 약속된 새로운 식별코드, 비밀번호 및 이름 등이 저장되게 된다. 고유 식별코드와 이름은 각 은행에 구매자의 잔액 확인 시에 사용되게 된다. 구매 확인 데이터베이스(411)는 구매액, 상품의 종류, 구매 일 시, 회사명 등을 저장한다. 이들 구매액, 상품의 종류, 구매 일 시 및 회사명 등은 이윤 환원 시 자료로서 사용되게 된다. 환원 데이터베이스(412)는 구매자에게 이윤이 환원되어진 상태에 대한 자료를 저장하게 된다. 구매자 계산 데이터베이스(413)는 이윤 환원이 직접적인 환불의 형태로 될 경우에 돌려 받을 계좌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게 된다. 은행 정보 데이터베이스(414)에는 각 은행들과의 계좌 이체를 위한 은행명, 계좌 이체 기록 정보가 저장되게 된다. 판매자 데이터베이스(415)는 판매자의 식별코드, 비밀번호, 회사명 등 기타 판매자에 관계된 정보를 저장한다. CPRO 데이터 베이스(416)SMS 조건부 이윤 환원의 조건, 일시, 방법 및 종류 등과 같이 판매자가 제시한 CPRO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암호키 데이터베이스(417)는 구매자들 및 판매자들이 사용하는 암호키들을 저장한다. 결산 (또는 회계) 데이터베이스(418)는 구매자들에게 환원된 이윤들에 대한 결산, 회계 처리 정보들을 저장한다. 판매자 계산 데이터베이스(419)에는 계좌 이체나 신용카드 결제를 위한 판매자의 계좌들이 저장되게 된다.
도5A는 중앙 제어 장치(40)가 판매자의 이윤 환원 조건부 판매 제안서를 등록하는 방법을 단계 별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5A에 있어서, 중앙 제어 장치(40)는 판매 가능한 상품 및 서비스에 대한 분류 테이블을 판매자 중계기(10)를 통해 판매자에게 공급한다 (제50 단계). 그러면, 판매자는 자동차 또는 강철과 같이 굳이 한가지 상품에 국한되지 않고 백화점 및 도매상 등의 업체 영역 등으로 구분되어진 상품 및 서비스 분류표를 통해 자신이 판매 가능한 상품들 또는 서비스 품목들을 선택하게 한다. 또한, 판매자는 자신이 선택한 상품들 또는 서비스 품목들 각각에 대한 조건부 판매 제안들을 설정하고 그 조건부 판매 제안들을 이용하여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은 CPRO를 마련한다. 이 CPRO를 통하여, 판매자는 추후 어떠한 조건이 성취되었을 때 어떠한 방법과 종류로 그 이익을 환원할 것인가를 구매자들에게 제시하는 것이다. 도5B에서의 첫 번째와 같은 "이 차종이 10만대 팔리게 되면, 모든 고객에게 판매대금의 10%를 환불한다."의 제안을 자동차 회사가 차를 시판하면서 할 수 있고, 두 번째의 "1년간 이용한 금액의 10%를 다른 제품을 구입하실 때, 싸게 구입하실 수 있는 기회를 추후에 제공한다"라는 제안은 백화점과 같은 다류의 상품을 시판하는 판매자가 상품의 판매을 촉진하기 위해 할 수 있다. 세 번째의 "3년 동안 보험액을 한번도 연체하지 않은 고객에게는 어떠한 보장을 추가로 서비스 한다."라는 제안의 경우는 보험회사가 할 수 있고, 네 번째의 "상반기 매출의 10%를 고객에게 환원한다."와 같은 제안은 생산업체들이 할 수 있다. 상품 및 서비스 분류 테이블의 전송 후, 중앙 처리 장치(40)은 판매자 중계기(10)로부터 CPRO가 수신될 때까지 대기한다 (제51 단계). 판매자 중계기(10)로부터 CPRO가 수신되면, 중앙 제어 장치(40)는 현재까지 CPRO들에 부여된 일련번호에 "1"을 가산하고, 그 가산된 일련번호를 수신된 CPRO에 부여한다 (제52 단계). 또한, 중앙 제어 장치(40)는 수신된 CPRO에 그것이 수신된 시간을 부가한 다음 (제53 단계), 일련번호 및 시간이 부가된 CPRO를 CPRO 데이터 베이스(416)에 저장한다 (제54 단계). 마지막으로, 중앙 제어 장치(40)은 판매자의 CPRS의 일련번호가 구매자에 의해 처음으로 요구될 수 있는 CPRO 테이블에 포함되게끔 CPRO 테이블을 갱신한다 (제55 단계).
도6은 CPRO 상의 환원조건이가 성취되었을 때 이를 중앙 제어 장치(40)에 게시하여 각 해당 구매자들에게 인지될 수 있는 상태로 두거나 통보하기 까지의 과정을 단계 별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6을 참조하면, 판매자는 도5의 제51 단계에서 CPRO를 통해 제시한 이윤 환원 조건이 성취되었음을 인정한다 (제60 단계). 이러한 환원 조건의 성취 여부를 평가하고 확인하는 과정은 제3자가 할 수 있고, 환원 조건이 성취된 때에는 중앙 제어 장치(40)에 저장된 자료가 인증자료로서 사용된다. 이어서, 환원 받을 이윤을 각각 모든 구매자들에게 환원하기 위하여, 그 근거가 되는 구매자들의 구매자료를 검색하여 그 구매 총액 및 일시 등으로 분류한다 (제61 단계). 또한, 판매자는 환원 조건에 모든 환원을 위한 구체적인 방법, 일시 및 종류 등을 제시하여야 하나 이는 추후에 결정하여도 무방한 부수적인 요소를 감안하여 결정한다 (제62 단계). 이는 구매자들에게 제시한 근본 이익을 저해하는 요소들이 제외되어야 함과 아울러 법적인 검토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법적인 검토는 인증된 제3자에 의한 검토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판매자는 제61 단계 및 제62 단계을 통하여 얻어진 자료들에 근거하여 이윤의 환원을 받을 구매자들을 분류하고 분류된 구매자들을 리스트화 한다 (제63 단계). 판매자는 분류되어진 구매자 리스트를 중앙 제어 장치(40)을 통해 구매자들에게 게시·통지한다 (제64 단계). 이러한 게시·통지의 방법은 전자 및 비전자 수단과 온-라인(On-line) 및 비 온-라인 수단 등 모든 방법이 동원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판매자는 이미 제시한 환원 조건에 의해 약속되어진 이익이 구매자들에게 환원되게 한다 (제65 단계). 이 때, 판매자는 현금으로 환불 받기를 원했던 구매자에 대해서는 그 구매자의 구매 행위 시에 저장하였던 구매자 계산 계좌로 환원될 금액을 이체시킴과 아울러 금액의 이체를 구매자에게 게시·통지한다. 이와는 달리, 구매자가 다른 서비스를 원하거나 또는 다른 상품을 싸게 구입하고 하는 구매자가 있는 경우에 판매자는 "어떠한 유리한 기회"의 형태로 이윤이 환원되게끔 행사를 마련하고 그러한 행사가 마련되었음을 구매자들에게 게시·통지하여야 한다. 이러한 행사의 마련과 그 행사에 대한 게시·통지에 의하여 구매자에 대한 이윤 환원 행사가 실현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이윤 환원 행사는 여러 가지 중에서 선택적으로 제시될 수 있다. CPRO가 어떠한 상품으로 환원을 약속한 경우에는 그 약속된 상품의 배달 과정도 포함되어야 한다. 따라서, 판매자는 구매자의 상품 구매 시와 동일한 방법으로 그 약속한 상품을 구매자에게 배달하거나 구매자로 하여금 가까운 판매자의 매장에서 전달 받을 수 있게 하여야 한다. 구매자가 판매자의 매장에서 약속된 상품을 전달 받는 경우, 판매자는 구매자의 구매 시와 동일하게 판매자 중계기(10)를 경유하여 구매자의 식별코드, 비밀번호 및 이름(익명 포함)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판매자의 이익 환원은 중앙 제어 장치(40)을 통하여 다른 판매자들 및 각 구매자들에게 통보되어 확인될 수 있게 된다.
도7은 구매자가 중앙 제어 장치(40)을 통하여 물품 또는 서비스를 구매할 때 판매자로부터 구매한 물품의 배달 또는 구매한 서비스를 제공받는 과정을 단계 별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7에 있어서, 판매자는 구매자가 중앙 제어 장치(40)을 통해 주문한 상품이 구매자에게 배달되게 하거나 또는 주문한 서비스가 구매자에게 제공되게 한다 (제70 단계). 다음으로, 구매자는 판매자가 배달한 물품이 올 바른 것인가 또는 판매자가 제공한 서비스가 정당한 것인가를 판단한다 (제71 단계). 제71 단계에서 구매자가 주문한 물품 또는 서비스가 정상적으로 제공되지 않은 경우, 구매자는 구매자 중계기(20)를 경유하여 중앙 제어 장치(40)에 마련되어진 분쟁 해결 사이트에 접속하여 약정된 약관에 따라 비정상적으로 제공된 물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분쟁을 해결한다 (제72 단계). 이와는 달리, 제71 단계에서 구매자가 주문한 물품 또는 서비스가 정상적으로 제공되어진 경우, 구매자는 구매자 중계기(20)를 경유하여 중앙 제어 장치(40)에 자신이 주문한 물품 또는 서비스가 정상적으로 제공되었다는 확인 메세지를 전달하거나 특별한 메시지 없이 거래를 정상적으로 종료할 수 있다 (제73 단계).
도8A는 구매자가 중앙 제어 장치(40)를 통해 CPRO를 검색하여 구매할 상품 또는 서비스를 선택함과 아울러 편리한 지불 방식 및 배달 방법을 지정하는 과정과, 구매자의 구매 제의에 대해 중앙 제어 장치(40)가 식별코드 및 타임 스탬프를 부여하는 과정과, 그리고 구매자가 제3자에 의해 정형화된 거래 약관을 인증하여 판매자와 계약을 체결하는 과정을 단계 별로 설명한다. 도8A를 참조하면, 구매자는 구매자 중계기(20)을 경유하여 중앙 제어 장치(40)에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 또는 서비스의 종류를 지정한다 (제80 단계). 구매자는 구매자 중계기를 통하여 중앙 제어 장치(40)로부터의 지정한 상품 또는 서비스의 종류에 해당하는 잠재적 판매자 목록을 검색한다 (제81 단계). 또한, 구매자는 잠재적 판매자들이 제시한 CPRO를 검색하여 본인에게 적합한 CPRO를 선정한다 (제82 단계). 구매자가 CPRO를 선택할 때, 구매자는 CPRO 상에 기재된 이익 환원 정도와 함께 CPRO의 이행 여부의 신뢰성이 큰 기준이 될 수 있다. 또한, 구매자는 제3자에 의해 작성되어진 CPRO의 기존의 이행된 횟수와 분쟁 발생 횟수에 대한 정보를 참조할 수도 있다. 이어서, 구매자는 구매자 중계기(20)를 경유하여 중앙 제어 장치(40)에 거래 대상 회사, 구매할 상품 및 상품의 수량을 지정한다 (제83 단계). 구매자는 구매자 중계기(20)를 경유하여 중앙 제어 장치(40)에 주문한 상품의 배달 방업 또는 주문한 서비스의 제공 방법을 지정한다 (제84 단계). 이 때, 구매자는 판매자가 직접 배달하게끔 지정하거나 또는 판매자의 매장을 방문하여 주문한 상품 또는 서비스를 직접 받을 수 있다. 이 경우, 판매자의 매장에서는 개인용 컴퓨터나 기타 전자 및 비전자 수단을 이용하여 식별코드와 비밀번호를 확인하는 절차를 거치게 된다. 다음으로, 구매자는 구매자 중계기(20)를 경유하여 중앙 제어 장치(40)에 계약이 이행되어야 할 만기일을 지정한 다음 (제85 단계), 자신의 식별코드 및 비밀번호를 연속적으로 중앙 처리 장치(40)에 입력한다 (제86 단계). 또한, 구매자는 구매자 중계기(20)를 경유하여 중앙 제어 장치(40)가 제안하는 대금 지불 방법들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게 된다 (제87 단계). 그러면, 중앙 제어 장치는 구매자의 조건부 구매 의향서에 대하여 고유번호를 부여한다 (제88 단계). 조건부 구매 의향서는 법적 분쟁 발생 시 또는 구매자의 자료 검색 시 필연적으로 사용되게 된다. 중앙 제어 장치는 구매자의 조건부 구매 의향서에 대하여 판매자가 수락한 경우에 구매자의 구매 의향서에 타임 스탬프를 부여하고 (제89 단계), CPRO가 약정된 환불 조건으로 할 때, 중앙 제어 장치(40)는 구매자의 계좌번호를 구매자 중계기(20)를 경유하여 입력하게 된다 (제8A 단계). 다음으로, 중앙 제어 장치(40)는 공정한 제3자에 의해 미리 마련되어진 거래 약관을 확인하여 법적인 확인 절차를 수행한다 (제8B 단계). 이 때, 거래 약관은 판매자와 구매자를 구속하게 되고, 추후 판매자와 구매자와의 사이에 발생되는 분쟁의 중요한 판단 기준이 된다. 이러한 법적 확인 절차가 수행되어진 후, 중앙 제어 장치(40)는 입력되어진 모든 정보를 저장하게 된다 (제8C).
도9는 구매자가 현금 카드 정보를 구매자가 중앙 제어 장치(40) 또는 판매자에게 직접 통지하는 과정과, 중앙 제어 장치(40)가 구매 계약 체결 상태를 판매자 및 구매자들에게 통지한 과정을 단계 별로 설명한다. 도8B를 참조하면, 구매자는 자신의 현금 카드 정보를 중앙 제어 장치(40)를 경유하여 판매자에게 직접 통지하거나 구매자 중계기(20)에 접속되어진 카드회사의 단말기에 통지하여 그에 의해 처리된 결과를 판매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제90 단계). 그러면, 중앙 제어 장치(40)은 구매 계약이 체결되었음을 판매자 중계기(10)를 경유하여 판매자에게 게시·통지하게 된다 (제91 단계). 또한, 중앙 제어 장치(40)는 구매 계약이 체결되었음을 구매자 중계기(20)를 경유하여 구매자에게 게시·통지하게 된다 (제92 단계).
도10은 구매자가 구입한 물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지불 방법을 단계 별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10의 흐름도는 중앙 제어 장치(40)에 의하여 수행되게 된다.
구매자는 신용카드를 이용하여 대금 결제를 할 수 있음과 아울러 그 와는 다른 계좌 이체를 이용하여 대금 결제를 할 수 있다. 계좌 이체를 원하는 경우, 제3자가 구매자와 은행들간의 정보 교환을 매개할 수 있거나 또는 구매자가 직접 은행과 정보를 교환할 수도 있다. 이러한 계좌 이체의 경우, 기존의 각 은행간 온-라인 또는 비 온-라인 망을 통해 가능하다. 중앙 제어 장치(40)는 각 은행과 연결된 온-라인 또는 비 온-라인 망을 통해 고객의 계좌에 남아 있는 잔액 (요구불예금만)이 구매자가 지불해야할 금액보다 많은지만을 평가하여 그 평가된 결과를 구매자와 판매자에게 통지한다. 이 때, 구매자가 어떤 한 은행의 잔고를 지정할 수도 있다. 또한 자기가 거래하는 몇 개 또는 모든 은행의 총 잔고로서 지불 의사를 밝힐 때, 중앙 제어 장치(40)는 전체 은행 또는 몇 개의 은행으로부터의 구매자의 잔액을 통보 받아 총 잔고가 지불 대금 보다 많은가를 평가하여 그 평가된 결과를 구매자 및 판매자에게 통지한다. 지불대금의 계좌 이체는 잔고가 많이 남아 있는 은행부터 또는 잔고가 적게 남아 있는 은행부터 순차적으로 판매자의 계좌로 이체되게 된다. 이러한 계좌 이체에 의한 대금 결제의 경우, 구매자가 처음 중앙 제어 장치(40)를 이용하는 때에 중앙 제어 장치(40)로부터 부여 받거나 또는 부여한 구매자가 지정한 식별코드와 비밀번호 그리고 본명 또는 익명을 통해서 중앙 제어 장치(40)의 확인 과정을 거쳐 각 은행에 통보·조회되게 된다. 이 결과, 구매자가 직접 판매자의 매장에서 물품을 구입하고 계좌 이체를 이용할 때에도 그 정보가 비밀로 유지되어 질 수 있게 된다. 판매자의 단말기(11)에 구매자가 직접 식별코드, 비밀번호 및 이름을 입력하거나 또는 바이오매트리스를 통해 입력되므로 개인 정보에 대한 보안이 유지되게 된다. 이러한 노-캐쉬-노-크레디트 카드 (No-Cash-No-Credit Card)의 특징은 구매자가 어떠한 신용을 징표하는 지불도구 (신용카드, 화폐, 전자 화폐 등)을 소지하지 않고서도 중앙 제어 장치(40)에 연결되어 있는 모든 판매자와의 물품 구매를 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노-캐쉬-노-크레디트 카드 (No-Cash-No-Credit Card)의 특징은 구매자로 하여금 자기가 가진 총 지불능력 (총 은행 잔고와 신용 지불 능력)의 한도 내에서 한번의 조작(One-Click)에 의해 한번의 물품 구입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은 시스템 속에서는 개인 정보 보안 유지를 위한 수단 또는 방법들이 보완되어야만 한다. 본원 발명의 시스템에는 기존의 다른 전자 상거래의 보안 시스템 또는 더 발전적인 보안 시스템이 사용될 수 있다.
노-캐쉬-노-크레디트 카드 (No-Cash-No-Credit Card)는 각 개인이 자신의 퍼스널 컴퓨터를 통하여 또는 유선 전화 및 무선 전화 등을 통하여 상거래를 가능하게 하며, 또한 중앙 제어 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다른 모든 판매자 (예를 들면, 생산자, 도매인, 소매인 및 서비스 제공업자 등)의 단말기를 통해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상거래를 가능하게 한다. 이에 따라, 구매자는 현금, 수표, 기타 모든 카드 등을 전혀 소지할 필요가 없으므로 그것들의 분실, 강도 및 절도의 위험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음은 물론 이거니와 입출금을 위하여 은행을 오가는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구매자는 한번의 조작으로 자기가 거래하는 전체 은행들의 잔고로서 물품 대금의 지불이 가능하므로 신용의 확대 및 휴면 계좌의 발생 방지 등의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노-캐쉬-노-크레디트 카드 (No-Cash-No-Credit Card)의 지불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이 된다. 먼저, 중앙 제어 장치(40)는 구매자가 신용카드 결제 및 계좌 이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였는가를 검출한다 (제1000 및 제1001 단계). 제1000 단계에서 구매자가 신용카드 결제를 선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중앙 제어 장치(40)는 신용카드 사용기관과 통신하여 신용카드 사용기관으로부터 신용카드 거래에 대한 승인번호를 접수한다 (제1002 단계). 중앙 제어 장치(40)는 신용카드 사용기관과 통신하여 구매자의 신용카드의 사용액이 물품 구매에 충분한가를 조회한다 (제1003 단계). 제1003 단계에서 구매자의 신용카드 사용 한도액이 부족 또는 연체 등의 이유로 충분하지 않을 경우, 중앙 제어 장치(40)는 구매자에게 다른 신용카드를 요구한 다음 제1002 단계로 되돌아 간다 (제1004 단계). 반면, 구매자의 신용카드 사용 한도액이 물품 구매에 충분한 경우에 중앙 제어 장치(40)는 신용카드로의 결제를 신용카드 사용기관 및 구매자에게 통보한다(제1005 단계).
한편, 제1001 단계에서 구매자가 계좌 이체를 선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중앙 제어 장치(40)는 구매자로부터 구매자의 식별코드를 입력한 다음 (제1006 단계), 구매자로부터 구매자의 비밀번호를 입력한다 (제1007 단계). 만약, 구매자가 처음으로 중앙 제어 장치(40)와 연결된 경우에 중앙 제어 장치는 구매자가 원하는 (지정하는) 식별코드 및 비밀번호를 순차적으로 입력한다. 이와는 다른 경우, 중앙 제어 장치(40) 자기가 구매자에게 부여한 식별코드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확인하게 된다. 중앙 제어 장치(40)는 구매자로부터 입력된 식별코드로 구매자의 신원 (예를 들면, 주민등록번호 등)을 확인한 다음(제1008 단계) 구매자로부터 물품 구입 금액을 입력하고 (제1009 단계) 특정한 은행을 구매자가 지정하였는가를 검사한다 (제1010 단계). 다시 말하여, 중앙 제어 장치(40)는 구매자가 특정한 은행의 잔고만으로 물품대금을 지불하고자 하는가의 여부를 입력하게 된다.
제1010 단계에서 구매자에 의해 특정한 은행이 지정된 경우, 중앙 제어 장치(40)는 특정한 은행과 통신 채널을 개통하고 (제1011 단계) 구매자의 식별코드를 이용하여 구매자의 계좌(예를 들면, 주민등록번호 및 계좌번호 등)를 조회한다 (제1012 단계). 이어서, 중앙 제어 장치(40)는 조회된 구매자의 계좌에 있는 잔고가 물품대금 보다 많은가를 검사한다 (제1013 단계). 구매자의 특정한 은행에서의 잔고가 물품대금 보다 적은 경우, 중앙 제어 장치(40)는 구매자로부터 다른 은행을 지정 받은 다음 제1011 단계로 되돌아 간다 (제1014 단계). 반면, 구매자의 특정한 은행에서의 잔고가 물품대금 보다 많은 경우에 중앙 처리 장치(40)는 은행 거래에 필요한 구매자의 비밀번호를 입력 받아 그 비밀번호을 이용하여 특정한 은행에 물품대금에 해당하는 금액을 판매자의 계좌로의 이체를 요청한 다음 물품대금에 해당하는 금액이 구매자 계좌에서 판매자 계좌로의 이체 확인한다 (제1015 단계). 또한, 중앙 제어 장치(40)는 물품대금의 이체가 완료되었음을 구매자 및 판매자에게 통보한다 (제1016 단계).
한편, 제1010 단계에서 구매자에 의해 특정한 은행이 지정되지 않으면, 중앙 제어 장치(40)는 구매자의 식별코드를 이용하여 각 은행에 구매자의 계좌들을 조회하고 (제1017 단계), 각 은행의 구매자의 계좌들에 있는 총 잔고가 물품대금보다 많은가를 검사한다 (제1018 단계). 제1018 단계에서 구매자의 은행 계좌들에 있는 총 잔고가 물품대금 보다 작은 경우, 중앙 제어 장치(40)는 현재의 구매자의 총 잔고로는 물품대금에 해당하는 금액의 이체가 불가능하다는 것을 구매자 및 판매자에게 통보함으로써 물품대금의 계좌 이체를 거절한다 (제1019 단계). 반면, 제1018 단계에서 구매자의 은행 계좌들에 있는 총 잔고가 물품대금보다 많은 경우에 중앙 제어 장치(40)는 은행들과의 거래에 필요한 구매자의 비밀번호들을 입력 받아 그 비밀번호들을 이용하여 각 은행에 금액의 이체를 요구하여 물품대금에 해당하는 금액이 구매자의 계좌들로부터 판매자의 계좌로의 이체되게 한다. 또한, 중앙 제어 장치(40)는 물품대금에 해당하는 금액이 구매자 계좌들로부터 판매자 계좌로 이체되었음을 확인한다 (제1020 단계). 이 경우, 구매자의 은행 계좌들중 잔액이 큰 순서 또는 작은 순서로 차례로 구매자의 은행 계좌 상의 잔고들이 판매자의 계좌로 이체될 수 있다. 이러한 잔액에 따른 구매자의 은행 계좌들의 이체 순서는 중앙 제어 장치(40)에 미리 설정된 약관이나 당사자와의 사전 협의에 의해 결정되게 된다. 물품대금에 해당하는 금액의 계좌 이체를 확인한 후, 중앙 제어 장치(40)는 물품대금의 이체가 완료되었음을 구매자 및 판매자에게 통보한다 (제1021 단계).
마지막으로, 제1001 단계에서도 계좌 이체가 선택되지 않았을 경우, 중앙 제어 장치(40)의 거래가 취소되었을 판매자 중계기(10) 및 구매자 중계기(20)을 경유하여 판매자 및 구매자에게 통보하게 된다(제1022 단계).
도11은 CPRO가 달성된 때에 판매자의 이윤을 구매자들에게 환원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11에 따르면, 판매자는 매출 및 상품의 판매량 등이 CPRO에서 제시한 조건들을 만족하게 되었는가를 확인한다 (제1100 단계). 이러한 제1100 단계는 판매자는 제3자에 의뢰하여 행할 수도 있다. CPRO가 성취되었을 때, 구매자는 CPRO가 성취되었다는 메시지를 판매자 중계기(10)를 경유하여 중앙 제어 장치(40)에 게시함으로써 구매자들과 다른 판매자들이 각각의 중계기(10,20)를 경유하여 받아 볼 수 있게 한다 (제1101 단계). 이어서, 판매자는 CPRO에 이윤 환원의 방법이 미리 지정되어 있는가를 검사한다 (제1102 단계). 제1102 단계에서 이윤 환원의 방법이 CPRO 상에 지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판매자는 이윤의 환원 방법, 종류 및 기간을 설정한다 (제1103 단계). 제1103 단계에서 설정해야할 방법, 종류 및 기간 등은 부수적이고 절차적인 것을 한정하는 것이며, CPRO의 중심적인 사항들은 항상 미리 지정되어야만 한다. 제1103단계의 수행 후 또는 제1102 단계에서 이윤의 환원 방법, 종류가 지정되어진 경우, 판매자는 구매자들에 대한 구매자료들을 검색하여 구매 금액 등에 따라 구매자료들을 분류한다 (제1104 단계). 다음으로, 판매자는 분류된 구매자료들에 근거하여 환원하기로 한 이윤을 구매자들에게 환원하게 된다 (제1105 단계).
도12는 최초 판매자가 CPRO를 마련하여 중앙 제어 장치(40)에 게시하기 위한 CPRO 등록 절차와 구매자가 중앙 제어 장치(40)와 통신하여 물품의 구매하는 구매자의 물품 구매 절차를 단계 별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12를 참조하면, 구매자 와 판매자는 각각의 중계기(10,20)을 경유하여 중앙 제어 장치(40)에 식별코드를 지정하거나 또는 중앙 제어 장치(40)로부터 식별코드를 부여 받는다 (제1200 단계). 또한, 판매자와 구매자는 각각의 중계기(10,20)을 경유하여 중앙 제어 장치(40)에 비밀번호를 지정(즉, 입력)한 다음 (제1201 단계), 자신들의 익명 (가명)을 중앙 제어 장치(40)에 지정한다 (제1202 단계). 그러면, 중앙 제어 장치(40)은 구매자 중계기(20) 및 판매자 중계기(10)로부터의 구매자 및 판매자 각각에 대한 식별코드, 비밀번호 및 익명을 제1 보안 키를 이용하여 1차적으로 암호화 한다 (제1203 단계). 또한, 중앙 제어 장치(40)은 1차적으로 암호화된 식별코드, 비밀번호 및 익명을 제2 보안 키를 이용하여 2차적으로 암호화 한다 (제1204 단계). 나아가, 중앙 제어 장치(40)은 2차적으로 암호화된 식별코드, 비밀번호 및 익명을 제3 보안 키를 이용하여 3차적을 암호화하게 된다 (제1205 단계). 제1203 내지 제1205 단계에서 사용되는 제1 내지 제3 보안 키들로는 대칭 암호키, 비대칭 암호키 및 이들의 혼합형 암호키들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암호 키들은 기존 전자 상거래에 쓰이는 방식의 것일 수 있거나 또는 더 발전되어진 방식의 것이 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중아 제어 장치(40)는 3차적으로 암호화된 식별코드, 비밀번호 및 익명을 저장하게 된다 (제1206 단계)
도13은 중앙 제어 장치(40)가 구매자에게 구매자의 지불 능력과 판매자의 물품 공급 및 배달 능력, 그리고 CPRO의 유효 여부를 확인하여 주는 절차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13에 따르면, 중앙 제어 장치(40)는 구매자 중계기(20)로부터 구매자가 구매를 원하는 상품(또는 서비스)과 회사에 대한 정보가 입력될 때까지 대기한다 (제1300 단계). 구매 상품 및 회사에 대한 정보가 입력된 때, 중앙 제어 장치(40)는 판매자 또는 제3자가 판매자 중계기(10)를 통해 자신에게 미리 입력한 판매자 (즉, 회사)의 대한 자료로부터 판매자의 진실성과 배달 능력에 대하여 검색하여 그 검색된 결과를 구매자 중계기(20)를 경유하여 구매자에게 전달한다 (제1301 단계). 이어서, 중앙 제어 장치(40)는 판매자가 게시하였던 CPRO들과 그 CPRO들 상의 조건이 달성되었던 경우와 그 경우에 이윤의 환원 실적 등을 검색한다 (제1302 단계). 또한, 중앙 제어 장치(40)는 검색된 CPRO의 달성 및 이윤의 환원 실적 등을 일정한 판단 기준에 적용하여 판매자의 CPRO의 유효성을 판단한다 (제1303 단계). 제1303 단계에서 판매자의 CPRO가 유효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중앙 제어 장치(40)는 구매자 중계기(20)를 경유하여 구매자가 지정한 회사의 CPRO는 유효하지 않다는 메시지를 구매자에 통보한다 (제1304 단계). 반면, 제1303 단계에서 판매자의 CPRO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중앙 제어 장치(40)는 판매자의 CPRO와 관련한 거래 체결 순서에 따른 일련번호를 구매자와의 거래 체결 일련번호로 할당하여 구매자와 판매자와의 거래를 체결시킨다 (제1305 단계). 또한, 중앙 제어 장치(40)는 구매자 중계기(20)을 통하여 거래 체결 번호를 구매자에게 전달하여 거래가 체결되었다는 것을 구매자에게 알림함과 아울러 판매자 중계기(10)을 통해서도 거래 체결 번호를 판매자에게도 전달하여 거래가 체결되었다는 것을 판매자에게 알린다 (제1306 단계). 마지막으로, 중앙 제어 장치(40)는 그 거래 체결 번호를 거래 확인 데이터 베이스(411)에 저장한다 (제1307 단계).
도14는 판매자 중계기(10)와 중앙 제어 장치(40)가 하나의 키를 공유하는 대칭 키 방식의 암호화 통신 방법을 단계 별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따라서, 판매자 응답의 암호화 및 복호화 모두는 동일한 키로 실행되게 된다. 이 암호화는 DES (FIPS PUB 46에서 특정된 U.S. Goverment standard), 또는 알려진 IDEA, Blowfish, RC4, RC2, SAFER 등의 다양한 알고리즘중 어느 것으로 구현된다. 판매자 중계기(10)는 암호화 처리기(101)를 이용하여 자신에게 할당된 대칭 키로 판매자 응답안을 암호화 한다 (제1400 단계). 그 대칭 키는 거래 확인 데이터 베이스(111)에 저장되거나 또는 다르게 저장되고 혹은 판매자에 의해 기억될 것이다. 그 때, 암호화된 판매자 응답안은 제1401 단계에서 중앙 제어 장치(40)의 암화화 처리기(402) 쪽으로 전송된다. 중앙 제어 장치(40)의 암호화 처리기(402)는 제1402 단계에서 판매자 응답안으로부터 판매자의 식별코드를 추출하고, 제1403 단계에서는 암호 키 데이터베이스(417)로부터 판매자의 대칭 키를 검색한 다음, 제1404 단계에서 그 대칭 키로 판매자 응답안을 복호하게 된다. 암호 키 데이터베이스(417)는 암호화, 복호화 및/또는 인증 메시지들을 포함한다. 제1405 단계에서, 결과 메시지가 명확하면, 그 때 결과 메시지는 동일한 대칭 키로 암호화 됨으로써 판매자가 판매자 응답안의 작성자라는 것을 인증한다.
이러한 절차는 허락되지 않은 판매자가 스스로 정당한 판매자로서 표방하는 것을 충분하게 어렵게 한다. 암호화 절차가 없다면, 정당한 판매자로부터 판매자 응답안의 샘플을 얻은 허락되지 않은 판매자가 판매자 식별코드를 추출할 수 있게 될 것이고, 그 때 허락되지 않은 판매자 응답안에 그 식별코드가 부가될 것이다. 그러나, 판매자 응답안이 대칭 키로 암호화 되었다면, 판매자 응답안의 샘플을 얻은 허락되지 않은 판매자는 단지 판매자의 식별코드만을 찾아 낼 뿐 대칭 키는 찾을 수 없게 된다. 이 대칭 키가 없으면, 허락되지 않은 판매자는 허락된 판매자가 행하였던 동일한 방법으로 메시지를 암호화 할 수 없기 때문에 중앙 제어 장치(40)에 의해 발견될 수 조차 없는 판매자 응답안도 만들 수 없게 된다. 또한, 대칭 키 프로코콜은 메시지의 교환이 대칭 키의 인식을 요구하기 때문에 판매자 응답안이 전송되는 기간에 변경되지 않게끔 보장한다. 암호화된 판매자 응답안은 또한 판매자와 익명으로 제공된다.
도15는 판매자 응답안이 비밀 키로 암호화되고 공개 키로 복호화되는 비 대칭 프로코콜을 단계 별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러한 절차를 위한 알고리즘들로는 RSA와 DSA의 두가지가 있다. 판매자 중계기(10)는 제1500 단계에서 암호화 처리기(101)를 이용하여 자신의 비밀 키로 판매자 응답안을 암호화하고 제1501 단계에서 중앙 제어 장치(40)의 암호 처리기(401) 쪽으로 전송한다. 중앙 제어 장치(40)의 암호 처리기(401)는 제1502 단계에서 판매자 응답안으로부터 판매자의 식별코드를 추출하고, 제1503 단계에서는 암호 키 데이터베이스(417)로부터 판매자의 관련 공개 키를 검색한 다음, 제1504 단계에서 그 공개 키로 판매자 응답안을 복호하게 된다. 앞에서와 같이, 판매자 응답안이 명확하면, 그 때 중앙 제어 장치(40)제1505 단계에서 판매자를 인증한다. 다시 말하여, 중앙 제어 장치(40)가 수신하기 전에 판매자 응답안을 얻은 허락되지 않은 판매자들은 판매자의 비밀 키를 알 수 없기 때문에 검출될 수 없게 판매자 응답안을 고칠 수 없게 된다. 그러나, 허락되지 않은 판매자들은 판매장의 공개 키를 얻어 관리한다면 메시지를 읽을 수 있게 된다. 만약, 공격자가 판매자 응답안의 열람을 위해서는 판매자의 비밀 키를 알아야만 가능하게 하는 공개 키로 판매자가 판매자 응답안을 암호화 한다면, 판매자 응답안의 보안성이 얻어지게 된다.
도16는 디지털 서명을 이용하여 인증 및 메시지 명확성을 제공하는 암호화 방법을 단계 별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러한 알고리즘의 하나로는 FIPS PUB 186에 특정되어진 미합중국 정부 표준안인 DSA(Digital Signature Algorithm)이 있다. 상기한 비대칭 프로토콜에서와 같이, 각 판매자는 관련 공개 키 및 비밀 키를 가진다. 판매자들은 제1600 단계에서 암호 처리기(401)를 이용하여 자신의 비밀 키로 판매자 응답안에 서명하고, 제1601 단계에서 그 서명된 판매자 응답안을 중안 제어 장치(40)의 암호 처리기(401) 쪽으로 전송한다. 중앙 제어 장치(40)의 암호 처리기(401)는 제1602 단계에서 판매자 응답안으로부터 판매자의 식별코드를 추출하고, 제1603 단계에서는 암호 키 데이터베이스(417)로부터 판매자의 공개 키를 검색한 다음, 제1604 단계에서 그 공개 키와 판매자 응답안을 이용하여 서명을 대조·확인한다. 판매자 응답안이 명확하면, 그 때 중앙 제어 장치(40) 제1605 단계에서 판매자 응답안을 인증된 것으로 받아 들인다.
도17은 판매자 응답안의 인증 및 명확성을 위하여 메시지 인증 코드들을 이용하는 암호화 방법을 단계 별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해쉬(Hash) 프로토콜에 있어서, 판매자 중계기(10)와 중앙 제어 장치(40)는 제1700 단계에서 판매자 응답안의 해쉬화를 포함하는 하나의 대칭 키를 공유한다. 해쉬 프로토콜에 있어서, 일방향 함수가 판매자 응답안의 디지털 표현에 제공되어 판매자 응답안의 지문과 매우 유사하게 작용하는 코드를 발생시킨다. RIPE-MAC, IBC-hash, CBC-MAC 등과 같은 임의의 MAC 알고리즘들이 본원 출원에 적용될 것이다. 제1701 단계에서 중앙 제어 장치(40)의 암호처리기(401) 쪽으로의 판매자 응답안의 전송 후, 암호처리기(401)은 제1702 단계에서 판매자 응답안으로부터 판매자의 식별코드를 추출하고, 제1703 단계에서 판매자의 대칭 키를 검색한 다음, 제1704 단계에서 그 대칭 키로 판매자 응답안을 해쉬화 하고, 그리고 제1705 단계에서 판매자 응답안에 첨부된 해쉬 값과 결과 해쉬 값을 비교한다. 제1705 단계에서 그 해쉬 값들이 일치하면, 판매자 응답안의 명확성이 판매자의 인증과 함께 확인되게 된다.
암호화 기술들이 판매자 응답안의 인증에 큰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판매자의 암호 키들이 유출된다면 사용되지 않게 된다. 다른 판매자의 대칭 키를 얻는 공격자는 중앙 제어 장치(40)의 눈에 그 판매자와 구별되지 않는다. 판매자가 판매자 응답안의 진정한 작성자인지 또는 올바른 암호 키들을 가진 공격자가 판매자 응답안의 작성자인를 알 수 있는 방법이 없다. 이 문제를 해결하는 한가지 방법(확인되지 않은 대안으로 알려져 있음)은 지문 판독기, 음성 인식 시스템 및 망막 스캐너 등과 같은 바이오매트릭(Biomatric) 소자들을 이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소자들은 판매자 응답안 내에 판매자의 물리적인 속성을 연관시켜, 그 판매자의 물리적인 속성이 중앙 제어 장치(40) 내의 판매자 데이터 베이스(415)에 저장되어진 값과 비교되게 한다. 본 발명에서는, 그러한 소자들이 판매자 중계기(10)에 부가된다. 이러한 소자들중 지문 판독기 및 음성 인식 시스템을 이용한 방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위에서 언급한 미합중국 특허 제5,794,207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는 중앙 제어 장치(40)는 도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 개로 구분된 구성요소들, 즉 운용 서버(41), 신용 서버(43) 및 본딩 에이전시 서버(45)로 분리된다. 각 서버는 CPRO 관리를 처리함에 있어서 독립적인 작업을 수행한다. 이러한 분리는 단일체 방식 보다는 3분할 방식의 보안성이 우수할 수밖에 없는 것처럼 공격자에 대한 시스템의 노출을 더욱 더 어렵게 만든다.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들 서버들은 구매자 중계기(20)와 판매자 중계기(10)와 연관되게 작업한다. 운용 서버(41)는 CPRO를 배달하는 일을 가짐과 아울러 신용 서버(43)에 의해 미리 인증된 모든 거래를 승인한다. 신용 서버(43)는 구매자와 판매자의 식별을 인증하는 반면, 본딩 에이전시 서버(45)는 구매자의 지불 능력과 판매자의 CPRO의 수행 능력을 확인한다. 이러한 실시 예에 있어서, 각 서버 형태는 서버의 개수로 분류된다. 이들 세 개의 서버들의 상호작용은 상기한 미합중국 특허 제5,794,207호에 기재된 내용을 통하여 충분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건부 이윤 환원 방식의 상거래 망 시스템에서는 이윤 환원을 조건의 판매를 제안하고 그 이윤 환원의 조건이 달성될 때 판매자가 이윤의 일부를 구매자에게 되돌려 줌으로써 구매자와의 안정 거래 관계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이에 더하여, 조건부 이윤 환원 방식의 상거래 망 시스템은 이윤 환원을 통하여 판매자의 소득 재분배를 달성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건전하고 투명한 상거래 질서가 유지되게 할 수 있다. 나아가, 조건부 이윤 환원 방식의 상거래 ?? 시스템은 구매자가 전기적인 회선을 통해 손 쉽게 원하는 상품 및 서비스를 구매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조건부 이윤 환원 방식의 상거래 망 시스템은 구매자가 현금, 신용카드 및 직불카드 등 어느 것도 가지지 않은 상태에서도 식별코드와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상품 및 서비스를 구매할 수 있게 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10)

  1. 판매자와 다수의 구매자간의 거래를 용이하게끔 컴퓨터를 이용하는 상거래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한 종류의 상품에 대한 이윤 환원의 조건으로 하여 그 상품의 제공 가능한 가격을 포함하는 조건부 이윤 환원 방식의 판매 제안서를 상기 컴퓨터에 입력하는 단계;
    상기 조건부 이윤 환원 방식의 판매 제안서를 적어도 한 사람의 구매자에게 출력하는 단계;
    상기 조건부 이윤 환원 방식의 판매 제안에 응답하는 승인을 구매자로부터 컴퓨터로 입력하는 단계;
    상기 지불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품 대금을 수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건부 이윤 환원 방식 거래용 컴퓨터 이용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선택된 구매자가 상기 상품 대금을 신용 카드에 의한 결제를 요구하는가를 검색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건부 이윤 환원 방식 거래용 컴퓨터 이용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선택된 구매자가 상기 상품 대금을 계좌 이체에 의한 결제를 요구하는가를 검색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건부 이윤 환원 방식 거래용 컴퓨터 이용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윤 환원 조건이 선택된 상품의 판매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건부 환원 방식 거래용 컴퓨터 이용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 제안서은 이윤 환원 조건이 성립된 때 그 이윤의 환원하기 위한 방법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건부 이윤 환원 방식 거래용 컴퓨터 이용 방법.
  6. 판매자와 다수의 구매자 간의 거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저장 소자: 및
    상기 저장 소자와 접속되어진 프로세서를 구비하고,
    상기 저장 소자가 상기 프로세서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되어 적어도 한 종류의 상품에 대한 이윤 환원의 조건으로 하여 그 상품의 제공 가능한 가격을 포함하는 조건부 이윤 환원 방식의 판매 제안서를 판매자로부터 입력 받고;
    상기 조건부 이윤 환원 방식의 판매 제안서를 적어도 한 사람의 구매자에게 출력하고;
    상기 조건부 이윤 환원 방식의 판매 제안에 응답하는 승인을 구매자로부터 입력하고; 그리고
    상기 지불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품 대금을 수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건부 이윤 환원 방식 거래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하여 선택된 구매자가 상기 상품 대금을 신용 카드에 의한 결제를 요구하는가의 검색을 추가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건부 이윤 환원 방식 거래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하여 선택된 구매자가 상기 상품 대금을 계좌 이체에 의한 결제를 요구하는가의 검색을 추가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건부 이윤 환원 방식 거래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윤 환원 조건이 선택된 상품의 판매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건부 환원 방식 거래 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 제안서은 이윤 환원 조건이 성립된 때 그 이윤의 환원하기 위한 방법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건부 이윤 환원 방식 거래 장치.
KR1019990068390A 1999-12-31 1999-12-31 조건부 이윤 환원 방식의 상거래 망 시스템 KR200000179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8390A KR20000017976A (ko) 1999-12-31 1999-12-31 조건부 이윤 환원 방식의 상거래 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8390A KR20000017976A (ko) 1999-12-31 1999-12-31 조건부 이윤 환원 방식의 상거래 망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7976A true KR20000017976A (ko) 2000-04-06

Family

ID=19635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8390A KR20000017976A (ko) 1999-12-31 1999-12-31 조건부 이윤 환원 방식의 상거래 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797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0349B1 (ko) * 2000-05-26 2008-02-04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완전 익명 상거래 방법 및 시스템
KR100850367B1 (ko) * 2000-04-28 2008-08-04 이스로엘 레프코위츠 면세품과 함께 국제 여행 티켓을 판매하는 방법 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0367B1 (ko) * 2000-04-28 2008-08-04 이스로엘 레프코위츠 면세품과 함께 국제 여행 티켓을 판매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800349B1 (ko) * 2000-05-26 2008-02-04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완전 익명 상거래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72343B2 (en) Secure and efficient payment processing system
US9959528B2 (en) System for handling network transactions
US8170954B2 (en) Secure and efficient payment processing system with account holder defined transaction limitations
US626002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buyer-driven purchase orders on a commercial network system
CN103858141B (zh) 带有集成芯片的支付设备
US7873580B2 (en) Merchant system facilitating an online card present transaction
US6910023B1 (en) Method of conducting secure transactions containing confidential, financial, payment, credit, or other information over a network
US20160371679A1 (en) Virtual currency transaction through payment card
US20030126064A1 (en) Network-based system
US20030229790A1 (en)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 ticket purchasing and redemption
US20030218062A1 (en) Prepaid card payment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 commerce
US20020194080A1 (en) Internet cash card
JP2002109409A (ja) 電子商取引システムにおける電子商取引方法
WO2002101512A2 (en) Customer identification, loyalty and merchant payment gateway system
US2006003653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micro energy derivatives transactions on a network system
US7430540B1 (en) System and method for safe financial transactions in E.Commerce
WO2001022374A1 (en) A method for the secure transfer of payments
CN109564664A (zh) 用于促进交易的系统和方法
KR20040099751A (ko) 조건부 거래에 따른 전자결제 방법 및 전자결제 서버
US20070100751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and preventing credit card fraud in simultaneous remote wholesale exchange and local fullfillment of retail transactions by third party retailers
KR20030022374A (ko) 전자 상거래 지원 방법
US20030097343A1 (en) Secured purchase card transaction
US20020123935A1 (en) Secure commerce system and method
KR20000017976A (ko) 조건부 이윤 환원 방식의 상거래 망 시스템
KR20020064473A (ko) 전자지갑과 통합된 전자 지불 보증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