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7869U - 자동차용 전압조정기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전압조정기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7869U
KR20000017869U KR2019990003550U KR19990003550U KR20000017869U KR 20000017869 U KR20000017869 U KR 20000017869U KR 2019990003550 U KR2019990003550 U KR 2019990003550U KR 19990003550 U KR19990003550 U KR 19990003550U KR 20000017869 U KR20000017869 U KR 2000001786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regulator
housing
terminal
circuit package
regulator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35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인
Original Assignee
배길훈
한국델파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길훈, 한국델파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길훈
Priority to KR20199900035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7869U/ko
Publication of KR200000178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7869U/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9/00Synchronous motors or generators
    • H02K19/16Synchronous generators
    • H02K19/22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windings each turn of which co-operates alternately with poles of opposite polarity, e.g. heteropolar gener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04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for rectification
    • H02K11/049Rectifiers associated with stationary parts, e.g. stator cores
    • H02K11/05Rectifiers associated with casings, enclosures or brack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9/00Synchronous motors or generators
    • H02K19/16Synchronous generators
    • H02K19/36Structural association of synchronous generators with auxiliary electric devices influencing the characteristic of the generator or controlling the generator, e.g. with impedances or switches
    • H02K19/365Structural association of synchronous generators with auxiliary electric devices influencing the characteristic of the generator or controlling the generator, e.g. with impedances or switches with a voltage regula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고안은 자동차용 전압조정기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단자판어레이를 인서트하여 단자커넥터(2),단자편(3)등을 배선체로서 인서트성형한 전압조정기하우징(1)의 하우징리드프레임(20)과, 전압조정기의 회로부를 수납하고 그 일단부에 다수의 단자핀인 팩리드프레임(11)을 가지는 회로팩키지(10)를 전기적으로 결선구성하는 자동차용 전압조정기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전압조정기하우징(1)의 상방으로 연장돌출하고 그 전방이 개방된 프레임커넥터하우징(50)의 내방에 상기 단자판어레이와 전기적으로 결선한 단면 " U " 형의 탄성금속편의 탄성리드편(60,61)을 다수의 접속핀형상으로 대향접속하도록 배설하여, 상기 회로팩키지(10)의 팩리드프레임(11)을 상기 탄성리드편(60,61) 사이에 삽입고정및 이탈시킴으로서 전기적인 접속관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본고안의 자동차용 전압조정기어셈블리는;종래 납땜등의 방법으로 고착하여 구성한 전압조정기하우징(1)상의 회로팩키지의 부착및 교환을 용이한 끼움구성으로 함으로서 조립이 극히 간단하여지고 교체시에도 최소의 소자만의 교체로 수리가 가능하게 하는 유용성을 가진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전압조정기어셈블리{Regulator assembly for vehicle}
본 고안은 자동차용 전압조정기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부재의 접속구성을 개선하여 부재간의 장착및 교환이 용이하게 구성한 것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전압조정기는 통상, 교류발전기의 내방하우징에 수납되거나 하우징에 인접하여 장착되어 교류발전기로부터의 출력발생전압을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하여 전체 자동차의 전장품으로 공급하는 부재이다. 
이러한 종래로부터의 전압조정기는 최근에 이르러 전압조정및 균일화를 다수의 직접회로와 수동소자로서 별도로 팩키지화하여 구성하여 방열판및 단자판을 수용하는 전체 하우징에 수납하여 차량에 장착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전압조정기의 고장은 이러한 회로팩키지에서 유발되는 과전압및 오손에 기인하는 것이므로 고장시에는 회로팩키지의 교환만으로 수리가 가능하지만 종래로부터는 상기의 회로팩키지를 전체 전압조정기의 하우징에 수납함에 있어서 리드프레임간을 납땜의 방법으로 경납땜등의 고정방식을 채용함에 기인하여 하기와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우선,회로팩키지만의 고장시에도 전체 전압조정기를 교체하여야 함으로서 수리비의 앙등이 유발되고, 
조립시에도 납땜을 수행하기가 대단히 어려운 다수의 리드프레임간에서 작업을 행하여야 하므로 접촉불량및 오배선이 다발함으로서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고 조립시간 또한 상대적으로 많이 요구하였다.
도 1 은 종래의 자동차용 전압조정기어셈블리의 구성을 도시하는 예시적인 전압조정기의 평면도.
도 2 는 종래의 자동차용 전압조정기어셈블리의 구성의 B 부확대도.
도 3 은 본 고안의 자동차용 전압조정기어셈블리의 구성을 도시하는 예시적인 전압조정기의 평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자동차용 전압조정기어셈블리의 구성을 도시하는 예시적인 전압조정기의 A-A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 전압조정기하우징
2: 단자커넥터
3: 단자편
20: 하우징리드프레임
본 고안의 자동차용 전압조정기어셈블리는 상기하는 종래 구성의 전압조정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전체 하우징에 대한 회로팩키지부의 교환을 용이하게 하는 구성을 제공함으로서 조립및 수리교환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의 자동차용 전압조정기어셈블리는;
단자판어레이를 인서트하여 단자커넥터,단자편 등을 배선체로서 인서트성형한 전압조정기하우징의 하우징리드프레임과,전압조정기의 회로부를 수납하고 그 일단부에 다수의 단자핀인 팩리드프레임을 가지는 회로팩키지를 전기적으로 결선구성하는 자동차용 전압조정기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전압조정기하우징의 상방으로 연장돌출하고 그 전방이 개방된 프레임커넥터하우징의 내방에 상기 단자판어레이와 전기적으로 결선한 단면 " U " 형의 탄성금속편의 탄성리드편을 다수의 접속핀형상으로 대향접속하도록 배설하여,
상기 회로팩키지의 팩리드프레임을 상기 탄성리드편 사이에 삽입고정및 이탈시킴으로서 전기적인 접속관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의 부수된 도면과 함께 본 고안의 자동차용 전압조정기어셈블리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종래의 자동차용 전압조정기어셈블리의 구성을 도시하는 예시적인 전압조정기의 평면도, 도 2 는 종래의 자동차용 전압조정기어셈블리의 구성의 B 부확대도, 도 3 은 본 고안의 자동차용 전압조정기어셈블리의 구성을 도시하는 예시적인 전압조정기의 평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자동차용 전압조정기어셈블리의 구성을 도시하는 예시적인 전압조정기의 A-A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 에 도시되는 종래의 구성의 자동차용 전압조정기어셈블리는;
그 배면에 방열판을 장착하고 그 내방에 단자판어레이를 인서트하여 성형한 전압조정기하우징(1)을 바디체로서 구비하고 있다
단자판어레이는 각각 인터페이스로서 다수개의 단자핀이 형성되는 단자커넥터(2), 단자편(3)등을 배선체로서 내장하여 성형하고 있다.
따라서, 단자커넥터(2), 단자편(3)의 배선에 의하여 교류발전기와 외부단자등과 전기적인 접속을 수행하고,
입력부인 교류발전기로부터의 발생전압에 대하여 전압조정을 수행하여 출력하는 집적회로형의 회로팩키지(10)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의 단자커넥터(2)및 단자편(3) 등 으로부터의 단자인,
하우징리드프레임(20)과 전기적으로 인터페이스를 수행하기 위하여 그 단부에 팩리드프레임(11)을 다수개 돌출한 핀형상으로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한 하우징리드프레임(20)과 회로팩키지(10)를 수용하여 고정하기 위한 수용공간부(30)가 전압조정기하우징(1)에 함입한 공간형상으로 구비되고 회로팩키지(10)는 방열볼트등으로 고정공(12)에 고정되는 것이다.
종래에는 상기한 구성에서 회로팩키지(10)의 팩리드프레임(11)의 각각의 핀(11')을 수용공간부(30) 내방에서 돌출하는 하우징리드프레임(20)의 각각의 프레임핀(20')과 개별적으로 각각 납땜을 수행하여 조립함으로서 인접한 핀간의 단락및 용착불량등의 문제점이 유발되고,
회로팩키지(10) 만의 고장시에도 전체 전압조정기하우징(1)을 교체하여야 하는 낭비요소가 있었다.
상기 종래구성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본고안의 전압조정기어셈블리가 도 2 에 도시된다.
전압조정기하우징(1)의 하우징리드프레임(20)을 구성함에 있어서,
전압조정기하우징(1)의 상방으로 연장하여 돌출하고 그 전방이 개방된 프레임커넥터하우징(50)을 전압조정기하우징(1)과 일체로 성형하여 구성하고,
상기의 프레임커넥터하우징(50)에는 전압조정기하우징(1)의 내방 인서트된 단자판어레이로부터의 단자선을 연결한 개략 단면 " U " 형의 탄성금속편의 탄성리드편(60,61)을 조립구성하여 상호 대향하도록 배설한다.
대향하는 탄성리드편(60,61)은 각각 자유편부(60',61')를 자유단으로 절곡하여 구비함으로서 충분한 탄성을 부여한다.
이에 대하여 회로팩키지(10)는 별도의 구성없이 종래의 다수의 핀(11')을 가지는 팩리드프레임(11)을 구성하여도 무방하고,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상기의 다수의 팩리드프레임(11)의 핀(11')은 PCB 기판상에 인쇄된 패턴인 것이 좋다.
또한, 전압조정기하우징(1)의 회로팩키지(10) 수용부측의 양단에는 회로팩키지(10)의 평면노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방으로 돌출한 직립가드판(70,71)을 한쌍 더 구비하는 것이 좋다. 80 은 고정공이다.
상기의 구성으로서 본고안의 자동차용 전압조정기어셈블리의 조립및 사용은,
전압조정기하우징(1)의 상방으로 돌출한 프레임커넥터하우징(50)의 전방개구(50') 측으로 회로팩키지(10)의 팩리드프레임(11)을 삽입하여,
프레임커넥터하우징(50) 내방의 한쌍의 대향하는 탄성접속체인 탄성리드편(60,61) 사이에 압입하면 전기적인 접속이 종료되고, 회로팩키지(10)의 바디부(10')를 전압조정기하우징(1)의 회로팩키지(10) 수용부측의 양단의 직립가드판(70,71) 사이에 안치한 상태에서 고정공(80)으로서 볼트고정 등을 함으로서 조립은 완성되며 별도의 납땜 등의 작업이 불요하게 된다.
또한, 고장발생시의 교환시에도 회로팩키지(10) 만을 간단하게 취출하여 교체할 수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고안의 자동차용 전압조정기어셈블리는;
종래 납땜등의 방법으로 고착하여 구성한 전압조정기하우징(1)상의 회로팩키지의 부착및 교환을 용이한 끼움구성으로 함으로서 조립이 극히 간단하여 지고 교체시에도 최소의 소자만의 교체로 수리가 가능하게 하는 유용성을 가진다.

Claims (3)

  1. 단자판어레이를 인서트하여 단자커넥터(2),단자편(3)등을 배선체로서 인서트성형한 전압조정기하우징(1)의 하우징리드프레임(20)과,전압조정기의 회로부를 수납하고 그 일단부에 다수의 단자핀인 팩리드프레임(11)을 가지는 회로팩키지(10)를 전기적으로 결선구성하는 자동차용 전압조정기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전압조정기하우징(1)의 상방으로 연장돌출하고 그 전방이 개방된 프레임커넥터하우징(50)의 내방에 상기 단자판어레이와 전기적으로 결선한 단면 " U " 형의 탄성금속편의 탄성리드편(60,61)을 다수의 접속핀형상으로 대향접속하도록 배설하여,
    상기 회로팩키지(10)의 팩리드프레임(11)을 상기 탄성리드편(60,61) 사이에 삽입고정및 이탈시킴으로서 전기적인 접속관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전압조정기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팩리드프레임(11)의 핀(11')은 PCB 기판상에 인쇄된 패턴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전압조정기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조정기하우징(1)의 회로팩키지(10) 수용부측의 양단에는 회로팩키지(10)의 평면노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방으로 돌출한 직립가드판(70,71)을 한쌍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전압조정기어셈블리.
KR2019990003550U 1999-03-06 1999-03-06 자동차용 전압조정기어셈블리 KR2000001786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3550U KR20000017869U (ko) 1999-03-06 1999-03-06 자동차용 전압조정기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3550U KR20000017869U (ko) 1999-03-06 1999-03-06 자동차용 전압조정기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7869U true KR20000017869U (ko) 2000-10-05

Family

ID=54760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3550U KR20000017869U (ko) 1999-03-06 1999-03-06 자동차용 전압조정기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7869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1502B1 (ko) * 2006-07-13 2008-02-12 (주)하이브론 자동차 발전기용 전압조정기의 회로기판과 리드프레임의접속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1502B1 (ko) * 2006-07-13 2008-02-12 (주)하이브론 자동차 발전기용 전압조정기의 회로기판과 리드프레임의접속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70096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6631071B2 (en) Capacitor module
EP1005109B1 (en) Electronic control unit with electrical connector
US9559509B2 (en) Power supply control device
CN101340069B (zh) 电接线盒及其制造方法
JPH08330032A (ja) 基板用コネクタ
US7544065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for motor vehicle
EP1075012A2 (en) Fuse device
US6719572B2 (en) Junction box
JP2004185965A (ja) バッテリ接続部材
CN207340318U (zh) 器件保持装置
US8064191B2 (en) Capacitor uni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US7321286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KR20000017869U (ko) 자동차용 전압조정기어셈블리
US7270577B2 (en) Connector module and motor utilizing the same
KR20020085721A (ko) 자동차 윈도우의 열선 컨넥터 구조
US6688917B2 (en) Power output control apparatus
CN105529662B (zh) 接线盒组件结构
KR20050031761A (ko) 차량용 정션박스
KR20190031470A (ko) 자동차용 인쇄회로기판의 점핑장치
WO2019065091A1 (ja) 電子機器
CN114824883B (zh) 为电路组件提供电气接地连接的系统及方法
KR101991107B1 (ko) 자동차용 인쇄회로기판의 점핑장치
KR20110058486A (ko) 인쇄회로기판 조립체
KR20050031759A (ko) 차량용 정션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