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7772A - 매설형 전열 장치 - Google Patents

매설형 전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7772A
KR20000017772A KR1019990054385A KR19990054385A KR20000017772A KR 20000017772 A KR20000017772 A KR 20000017772A KR 1019990054385 A KR1019990054385 A KR 1019990054385A KR 19990054385 A KR19990054385 A KR 19990054385A KR 20000017772 A KR20000017772 A KR 200000177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hot wire
pair
power line
prote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4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22279B1 (ko
Inventor
임한복
Original Assignee
임한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2019990018974U external-priority patent/KR200171765Y1/ko
Application filed by 임한복 filed Critical 임한복
Priority to KR1019990054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2279B1/ko
Publication of KR20000017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77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2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22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05B3/04Waterproof or air-tight seals for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3/00Electric heating systems
    • F24D13/02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 F24D13/022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resistances incorporated in construction elements
    • F24D13/024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resistances incorporated in construction elements in walls, floors, ceil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26Heaters specially adapted for flo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 계통을 수분에 대해 확실하게 밀봉하여 누전을 방지함으로써 전기의 낭비를 줄이고, 이와 더불어 부식으로 인한 부품의 손상을 방지함으로써 전열 장치의 내구 연한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한 매설형 전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매설형 전열 장치는 관체, 상기 관체의 내부를 횡으로 관통하여 배치된 열선, 상기 열선의 양단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열선 연장편, 한 쌍의 피복된 전원선, 상기 각각의 열선 연장편과 전원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편, 상기 각각의 열선 연장편과 연결편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된 한 쌍의 보호 튜브, 상기 관체의 내부 공간에 충진되는 충진재, 상기 관체의 양단 외부에 씌워지는 중공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충진재의 단면과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상기 전원선과 연결편의 접속점을 수납하는 보호캡 및 상기 충진재의 단면과 상기 보호캡이 이루는 공간에 충진되는 밀봉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매설형 전열 장치{A layed type electric heat apparatus}
본 발명은 매설형 전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력 계통의 밀봉성을 향상시키고 발생되는 전자파를 신속하게 배출시키는 매설형 전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매설형 난방 방식에는 온수관에 의한 것과 전열관에 의한 것이 있다. 온수 난방 방식은 가열기 및 온수 순환기를 필요로 하며, 수분에 의해 관의 내외부가 쉬이 부식되어 내구성이 떨어지며, 부식물에 의해 관이 막히는 경우에 온수 순환이 원활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이 전열 난방 방식인데, 관체 내부의 충진재가 열전도재냐 축열재냐에 따라서 다시 즉시형 난방 방식과 축열형 난방 방식으로 구분된다. 축열형 난방 방식은 값싼 심야시간대의 전기를 사용하여 발생된 열을 비축한 후에 이렇게 비축된 열을 비심야시간대까지 지속적으로 발산시켜 난방하는 방식이다. 그런데, 이러한 매설형 난방 방식에서 히터에 이상이 생긴 경우에는 단지 히터 자체의 교체 비용만 드는 것이 아니라 바닥을 뜯어내고 재시공해야 하는 비용 및 불편함이 추가되기 때문에 히터의 내구성이 그만큼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도 7은 종래의 매설형 전열히터를 보인 단면도인 바, 공고번호 89-7390호 한국 실용신안공보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매설형 전열히터에서는 관체(1) 내부를 횡으로 관통하여 열선(2)이 배치되고, 열선(2)의 주위에는 모래 또는 유리 구슬로 이루어진 열전도부재(3)가 채워진다. 관체(1)의 양측 내부에는 실리콘 밀봉재(5)가 삽입되고, 다시 관체(1)의 양단 외부에는 보호캡(6)이 씌워진다.
한편, 전력 계통을 형성하기 위하여 열선(2)의 단부에는 열선 연장편(4)이 연결되는데, 이러한 열선 연장편(4)은 실리콘 밀봉재(5) 및 보호캡(6)의 중앙에 횡으로 형성된 인출공을 관통하여 그 자유단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그리고, 시공 시에는 이렇게 노출된 열선 연장편(4)의 자유단에 전원선(8)과 미리 접속되어 있는 콘센트(7)가 연결된다.
도 8은 종래의 매설형 축열히터의 좌측 단면도인 바 우측도 이와 대칭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상세한 것은 공고번호 97-01736호 한국 실용신안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매설형 축열히터에서는 스텐레스 스틸재로 이루어지는 관체(11) 내부를 관통하여 열선(12)이 배치되고, 열선(12)의 주위에는 마그네시아 축열재(13)가 충진된다. 다시 관체(11)의 양단 외부에는 마그네시아 누출 방지용 마개로 기능하는 보호캡(16)이 씌워진다.
한편, 전력 계통을 형성하기 위하여 열선(12)의 단부에는 열선 연장편(14)이 스포트 융착되어 있고, 전원선(18)의 단부에는 연결편(17)이 연결되어 있다. 연결편(17)과 열선 연장편(14)도 스포트 융착되는데, 이렇게 연결된 전원선(18)은 보호캡(16)에 횡으로 형성된 인출공을 경유하여 외부로 인출되게 된다. 보호캡(16)의 외부에는 전력 계통을 사이에 두고 일정 길이의 돌기(16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돌기(16a)에 의해 히터의 보관이나 운반 시에 보호캡(16)의 외부로 일부 노출된 연결편(17)이 벽 등에 직접 닿지 않게 되고, 결과적으로 연결편(17) 자체 또는 스포트 융착 부위의 손상이 방지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매설형 전열히터 또는 축열히터에서는 전원선과 연결편의 접속점이 모두 보호캡의 외부로 노출된 채로 바닥 등에 매설되게 된다.
그러나, 시공 시 아무리 주의를 잘하더라도 바닥 내부에는 수분이 잔류하게 되는데, 이러한 잔류 수분을 매개로 하여 상기한 노출 부위와 지면 사이에 전류 통로가 형성되어 누전이 발생함으로써 아까운 전기가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밀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서 보호캡의 전원선 인출공 등으로 침투된 수분에 의해 열선, 열선 연장편 및 연결편 등의 관체 내부 부품이 쉬이 부식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근래에는 바닥 시공 시에 염분을 다량 함유한 바다 모래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스텐레스 스틸을 관체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스텐레스 스틸이 염분에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자파는 그 발생원으로부터 가까운 거리에 있을수록 세기가 강한데, 축열히터의 경우에 히터가 주로 동작하는 심야시간대는 사람이 장시간 수면을 취하는 시간대이기 때문에 인체가 히터와 가까운 거리에서 장시간 동안 머무르게 되고, 이에 따라 히터에서 발생되는 전자파에 의해 인체가 손상을 당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전력 계통을 수분에 대해 확실하게 밀봉하여 누전을 방지함으로써 전기의 낭비를 줄이고, 이와 더불어 부식으로 인한 부품의 손상을 방지함으로써 전열 장치의 내구 연한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한 매설형 전열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관체 외부에 보호막을 시설함으로써 수분에 의한 관체의 부식을 방지함과 아울러 전력 계통이 관체에 닿을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누전을 방지하여 전기의 낭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한 매설형 전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관체를 접지하여 전열 장치의 동작 중에 발생하는 전자파를 지면으로 신속히 배출시킴으로써 전자파에 의한 인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매설형 전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매설형 전열 장치는 관체, 상기 관체의 내부를 횡으로 관통하여 배치된 열선, 상기 열선의 양단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열선 연장편, 한 쌍의 피복된 전원선, 상기 각각의 열선 연장편과 전원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편, 상기 각각의 열선 연장편과 연결편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된 한 쌍의 보호 튜브, 상기 관체의 내부 공간에 충진되는 충진재, 상기 관체의 양단 외부에 씌워지는 중공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충진재의 단면과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상기 전원선과 연결편의 접속점을 수납하는 보호캡 및 상기 충진재의 단면과 상기 보호캡이 이루는 공간에 충진되는 밀봉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관체는 스텐레스 스틸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에 상기 관체의 외주면에 관체 보호막을 피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일단이 상기 관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타단은 접지되는 접지선을 구비시키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경우에 상기 접지선은 상기 보호캡의 내부를 관통한 후에 상기 인출공을 통하여 상기 전원선과 함께 인출시키는 것이 좋다.
상기 보호 튜브, 상기 관체 보호막 및 상기 보호캡은 모두 열수축성 튜브로 이루어지고, 열을 가하여 영구 변형시킴으로써 대상물에 밀착시키는 것이 밀봉성에 좋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매설형 전열 장치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I-I선을 취하여 본 종단면도,
도 3은 도 2에서 보호캡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매설형 전열 장치의 제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도 5는 본 발명의 매설형 전열 장치의 설치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설형 전열 장치의 일부 단면도,
도 7은 종래의 매설형 전열히터를 보인 단면도,
도 8은 종래의 매설형 축열히터의 일부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전열 장치, 110: 관체,
112: 관체 보호막, 120: 열선,
130: 축열재, 140: 열선 연장편,
150: 밀봉재, 160, 160': 보호캡,
161: 원통부, 162: 인출공,
164: 연결편 수납부,
165: 밀봉재 수납부, 170: 연결편,
172: 연장편 수납홈, 174: 전원선 수납홈,
180: 전원선, 190: 보호 튜브,
200: 밀봉재, 210: 접지선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매설형 전열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통상적인 설치 형태인 바닥에 설치되는 것으로 하고 또한 축열형 전열 장치인 것으로 하여 설명을 진행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매설형 전열 장치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I-I선을 취하여 본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보호캡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매설형 전열 장치는 크게 바닥의 크기에 따라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갖는 관체(110), 관체(110) 내부를 횡으로 관통하여 배치된 열선(120), 전력 계통을 형성하기 위하여 열선(120)의 양단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열선 연장편(140), 한 쌍의 피복된 전원선(180), 각각의 열선 연장편(140)과 전원선(180)을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편(170), 각각의 열선 연장편(140)과 연결편(17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된 한 쌍의 보호 튜브(190), 관체(110)의 내부 공간에 충진되는 축열재(130), 관체(110)의 양단 외부에 씌워지는 중공체로 이루어지며 축열재(130)의 단면과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전원선(180)과 연결편(170)의 접속점을 수납하는 보호캡(160) 및 축열재(130)의 단면과 보호캡(160)이 이루는 공간에 충진되는 밀봉재(150)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서, 관체(110)는 합성수지재나 금속재의 어느 것도 가능한데, 열전도나 후술하는 전자파 배출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금속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재의 경우에 있어서도 일반 철재보다는 열전도도와 수분에의 내부식성이 우수한 스텐레스 스틸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금속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수분 또는 염분에 의한 내부식성을 보다 강화시키기 위하여 관체(110)의 주위에 보호막(112)을 시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체 보호막(112)은 예를 들어 열수축성 튜브로 구현될 수 있는데, 열수축성 튜브라 함은 튜브에 열을 가하면 튜브가 감싸고 있는 대상물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영구 변형이 발생하는 성질을 갖는 튜브를 말한다.
열선(120)은 코일 형상의 니크롬선 등으로 구현될 수 있는 바, 관체(110)보다 작은 길이를 갖고 관체(110)의 중앙에 횡으로 배치된다.
열선 연장편(140)은 전기 전도체로 이루어지며 열선(120)을 연결편(170) 또는 전원선(180)과 직접 연결하는데 따르는 열선(120)의 손상이나 제조 공정 상의 불편함을 제거하기 위하여 채택된 것인 바, 이러한 열선 연장편(140)과 열선(120)은 예를 들어 스포트 융착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조 공정 상의 편의를 위하여 그 자유 단부가 적어도 관체(110)의 외부로 빠져나올 수 있는 길이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편(170) 역시 전기 전도체로 이루어지며 열선 연장편(140)과 전원선(180)을 효율적으로 접속하기 위하여 채택된 것인 바, 예를 들어 양측에 삽입홈(172)(174)이 형성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연장편 삽입홈(172)에는 열선 연장편(140)의 단부가 삽입되고 전원선 삽입홈(174)에는 그 부분만 피복이 벗겨진 전원선(180)이 삽입될 수 있다. 연결 방법은 예를 들어, 억지 끼움식으로 할 수도 있고, 스포트 융착으로 할 수도 있다.
보호 튜브(190)는 연결편(170)과 열선 연장편(140)의 외주면에 적당한 길이로 씌워지는데, 밀봉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밀봉재(150)와 축열재(130)의 경계면을 중심으로 하여 관체(110) 내부를 향하여 일정 길이만큼 연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 튜브(190) 또한 열수축성 튜브로 구현함으로써 열선 연장편(140) 및 연결편(170)의 외주면에 밀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열선 연장편(140)과 연결편(170)의 외주면을 단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형성하면 그 주위에 보호 튜브(190)를 씌울 때 밀봉 능력이 더욱 제고될 수 있다.
축열재(130)는 여러 종류가 사용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마그네시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축열재(130)의 충진량은 밀봉재(150)의 일부가 관체(110)의 양단에서 관체(110) 내부로 투입될 수 있도록 관체(110)의 양단부에서 약간 못 미치는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캡(160)은 일단에는 관체(110)의 단부의 외주면에 씌워지는 원통부(161)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전원선(180)이 지나가는 인출공(162)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밀봉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인출공(162)의 내경부는 전원선(180)의 직경과 같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관체(110)의 직경이 통상적으로 전원선(180)의 직경보다 크기 때문에 원통부(161)에서 인출공(162)을 향하여 직경이 작아지도록 보호캡(16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의 실시예에서는 보호캡(160)이 2단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 바, 원통부(161)의 종단에서 테이퍼 형상으로 좁혀진 후에 수평 공간부(이하, 여기에 연결편(170)이 자리잡기 때문에 '연결편 수납부(164)라 한다)를 이루다가 다시 인출공(162) 부근에서 인출공(162)을 향하여 테이퍼 형상으로 좁혀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연결편 수납부(164)에는 연결편(170)이 자리잡게 되는데, 그 주위에 밀봉재를 충진시키기 위해서 연결편 수납부(164)의 내경을 보호 튜브(190)가 씌어진 상태의 연결편(170)의 내경보다 약간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캡(160) 역시 열수축성 튜브로 양호하게 구현될 수 있다.
밀봉재 수납부(165)에는 밀봉재(150)가 충진된다. 이러한 밀봉재(150)는 열에 강하며 전기적으로 부도체인 액상 실리콘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이렇게 충진된 액상 실리콘이 후에 응고되어 열선 연장편(140)과 보호 튜브(190)의 사이를 누름으로써 열선 연장편(140)과 보호 튜브(190)가 더욱 밀착되게 된다. 연결편(170)이 보호 튜브(190)에 의해 피복되어 수납되어 있는 연결편 수납부(164)의 나머지의 공간에도 밀봉재(200)가 충진되게 된다.
한편, 접지선(210)은 전열 장치의 동작 중에 발생되는 전자파를 신속 용이하게 배출하기 위하여 채택되는 바, 일단이 관체(110)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면 족하고 인출 방법에는 제한이 없는데, 전열 장치 자체의 제조나 제조된 전열 장치를 사용하여 바닥에 시공할 때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보호캡(160) 내부를 경유하여 인출공(162)을 통하여 전원선(180)과 함께 인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매설형 전열 장치의 제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계(S10)에서는 본 발명의 전열 장치의 제조에 사용되는 각종 부품을 준비한다. 다음, 단계(S20)에서는 열선(120)의 양측에 대해 열선 연장편(140)을 연결, 예를 들어 스포트 융착으로 연결하고, 열선 연장편(140)의 주위로 보호 튜브(190)를 삽입한다. 여기에서, 보호 튜브(190)는 가열 전에는 그 내경이 열선 연장편(140)의 외경보다 약간 크기 때문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단계(S30)에서는 연결편(170)의 삽입홈(172)(174)에 열선 연장편(140)과 전원선(180)의 단부를 각각 끼운 상태에서 스포트 융착하여 고정시키고, 보호 튜브(190)를 정위치에 배치한 후에 열을 가하여 밀착시킨다.
단계(S40)에서는 단계(S30)에서 얻어진 중간 조립체를 관체(110)에 삽입하고, 상기 중간 조립체를 가운데에 둔 상태에서 관체(110) 일측의 길이 방향으로의 내외에 걸쳐서 실리콘 밀봉재(150)를 충진시킨다.
단계(S50)에서는 전원선(180)의 자유단을 통하여 보호캡(160)을 삽입하여 정위치에 배열시키고, 열선 연장편(140)과 연결편(170)과 전원선(180)이 배치된 상태에서 연결편 수납부(164)에 형성된 틈새에도 실리콘을 충진하여 밀봉시킨 후에 보호캡(160)에 열을 가하여 내부 형상대로 밀착시킨다.
단계(S60)에서는 이렇게 하여 막혀진 일측이 위로 향하도록 관체(110)를 수직으로 매달아서 중간 조립체를 관체(110)의 정중앙으로 자유낙하시킨 상태에서 임시 고정시킨 후에 도치시킴으로써 막힌 부분이 아래로 오도록 한다.
단계(S70)에서는 상측에 위치한 개구를 통하여 관체(110)의 내부로 축열재(130)를 충진하여 압축시킨다.
다음으로 단계(S80)에서는 관체(110)를 수평으로 누인 상태에서 관체(110)의 단부 내면 또는 외면의 피복이 벗겨진 부위에 접지선(210)을 스포트 융착 등으로 연결한 후에 전원선(180)과 나란히 배열하고, 관체(110)의 길이 방향으로의 내외에 걸쳐서 실리콘 밀봉재(150)를 충진시킨다.
마지막으로 단계(S90)에서는 전원선(180)과 접지선(210)의 자유단을 통하여 보호캡(160)을 삽입하여 정위치에 배열시키고, 열선 연장편(140)과 연결편(170)과 전원선(180) 및 접지선(210)이 배치된 상태에서 연결편 수납부(164)에 형성된 틈새에도 실리콘을 충진하여 밀봉시킨 후에 보호캡(160)에 열을 가하여 내부 형상대로 밀착시킨다.
도 5는 본 발명의 매설형 전열 장치의 설치 상태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열 장치는 전류 용량 등을 고려하여 2개의 직렬연결쌍 단위로 병렬연결하는 구성으로 배치할 수 있다. 물론 사용되는 전열 장치의 수가 적은 경우에는 모두를 병렬연결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하면, 단선된 부분의 전열 장치쌍만이 동작하지 않게 되어 단선된 전열 장치를 쉽게 발견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바닥 전체를 뜯어내지 않고 단지 그 부분만을 뜯어내면 되므로 시공비가 절감될 수 있다. 그리고, 각 전열 장치(100)에 구비된 접지선(210)은 모두 접지 단자에 접속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설형 전열 장치의 일부 단면도인 바, 도 2의 구성과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보호캡(160')의 형상을 인출공(162')과 인접한 부위에서만 테이퍼 형상으로 좁아지도록 형성하고 있다.
본 발명의 매설형 전열 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관체(110)의 내부 충진재로서 축열재 대신에 열전도 부재를 채택할 수도 있을 것이고, 축열재(130), 밀봉재(150)(200), 열선(120), 보호 튜브(190), 보호캡(160) 또는 관체 보호막(112)의 재질을 다른 것으로 구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전열 장치는 건물의 벽체 내에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도 3에서와 같이 보호캡(160)이 관체 보호막(112)을 감싸고 있는 구조와는 달리 관체 보호막(112)이 보호캡(160)을 감싸는 구조로 구현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매설형 전열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발휘된다.
첫 번째로 연결편과 열선 연장편의 접속점 및 연결편과 전원선의 접속점이 보호캡에 의해 밀봉됨으로써 이들 접속점에서의 누전의 발생 가능성이 현저하게 줄어든다.
두 번째로 온도 변화가 심하고 습기가 많은 환경인 바닥 내부에서 전열 장치 내부로 습기가 침투되지 못함으로써 관체 내부 부품의 부식(산화)이 방지되며 결과적으로 장치의 내구 연한이 늘어난다.
세 번째로 보호 튜브의 외주연에는 실리콘 밀봉재가 채워져 있어서 밀봉 성능이 더욱 향상됨과 동시에 보호 튜브를 누르는 작용에 의해 결과적으로 열선 연장편과 연결편과 보호 튜브 사이가 더욱 밀착됨으로써 열선 내부로 습기가 침투될 여지를 더욱 줄어든다.
네 번째로 전열 장치의 설치 시에 전원선이 휘더라도 전원선이 연결편으로부터 쉽게 이탈되게 하지 못하는, 다시 말하여 전원선이 연결편에 확실하게 고정되게 된다.
다섯 번째로 열선의 구동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전자파를 지면으로 신속히 배출시킴으로써 인체에 주는 해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누전이 발생하는 상황에서는 이를 바로 접지시킴으로써 감전 위험이 경감된다.
여섯 번째로 관체와 보호캡에 의한 맞물림 작용에 의해 접지선이 관체에 밀착 고정되어 그 부분에서의 단선이 방지되고, 접지선이 보호캡 내에서 그 내벽면과 보호 튜브에 의해 압착되기 때문에 고정성이 더욱 향상되며, 접지선이 보호캡을 경유하여 전원선과 함께 인출되기 때문에 배선의 처리가 깔끔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져서 시공에 편리하다.
마지막으로, 관체로 철재 또는 스텐레스 스틸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관체 보호막에 의해 수분 및 염분에 의한 부식이 방지 내지는 현저히 더디게 진행될 것이며, 관체 내부에서 열선 등의 전력 계통과 관체가 접촉하는 상황에서는 누전이 방지될 수 있다.

Claims (5)

  1. 관체;
    상기 관체의 내부를 횡으로 관통하여 배치된 열선;
    상기 열선의 양단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열선 연장편;
    한 쌍의 피복된 전원선;
    상기 각각의 열선 연장편과 전원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편;
    상기 각각의 열선 연장편과 연결편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된 한 쌍의 보호 튜브;
    상기 관체의 내부 공간에 충진되는 충진재;
    일단에는 상기 관체의 단부의 외주면에 씌워지는 원통부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전원선이 지나가는 인출공이 형성된 중공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충진재의 단면과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상기 전원선과 연결편의 접속점을 수납하는 보호캡 및
    상기 충진재의 단면과 상기 보호캡이 이루는 공간에 충진되는 밀봉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매설형 전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체는 스텐레스 스틸로 이루어지며, 상기 관체의 외주면에는 관체 보호막이 피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설형 전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관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타단은 접지되는 접지선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설형 전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선은 상기 보호캡의 내부를 관통한 후에 상기 인출공을 통하여 상기 전원선과 함께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설형 전열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튜브, 상기 관체 보호막 및 상기 보호캡은 모두 열수축성 튜브로 이루어지고, 열을 가하여 영구 변형시킴으로써 대상물에 밀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설형 전열 장치.
KR1019990054385A 1999-09-07 1999-12-02 매설형 전열 장치 KR100322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4385A KR100322279B1 (ko) 1999-09-07 1999-12-02 매설형 전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8974 1999-09-07
KR2019990018974U KR200171765Y1 (ko) 1999-09-07 1999-09-07 온돌용 축열히터
KR1019990054385A KR100322279B1 (ko) 1999-09-07 1999-12-02 매설형 전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7772A true KR20000017772A (ko) 2000-04-06
KR100322279B1 KR100322279B1 (ko) 2002-02-06

Family

ID=26635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4385A KR100322279B1 (ko) 1999-09-07 1999-12-02 매설형 전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227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8642B1 (ko) * 2001-04-17 2003-06-19 주식회사 삼명테크 매설형 전열 장치의 제조 방법
KR100861426B1 (ko) * 2008-07-02 2008-10-01 주식회사 아쿠아테크 저전력 이중 방열관
KR200453865Y1 (ko) * 2009-09-21 2011-05-30 이성록 카트리지 히터용 파이프 마개
KR20150087761A (ko) * 2014-01-22 2015-07-30 우암신소재(주) 인라인 히터의 전력선전열선 조립부 구조
KR20200132213A (ko) * 2019-05-16 2020-11-25 주식회사 삼명테크 2중 복합열선에 의한 전자기장 억제 기능을 갖는 매설형 전기온돌 장치
KR20220109732A (ko) * 2021-01-29 2022-08-05 김경민 가열장치 및 기판 처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199Y1 (ko) * 2007-05-14 2010-01-06 최홍천 기체(공기) 가열용 금속 ptc히터
KR101509222B1 (ko) 2013-11-06 2015-04-07 삼회산업 (주) 캐스크(cask) 열차폐 성능 테스트용 히터 어셈블리 및 히터 어셈블리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8642B1 (ko) * 2001-04-17 2003-06-19 주식회사 삼명테크 매설형 전열 장치의 제조 방법
KR100861426B1 (ko) * 2008-07-02 2008-10-01 주식회사 아쿠아테크 저전력 이중 방열관
KR200453865Y1 (ko) * 2009-09-21 2011-05-30 이성록 카트리지 히터용 파이프 마개
KR20150087761A (ko) * 2014-01-22 2015-07-30 우암신소재(주) 인라인 히터의 전력선전열선 조립부 구조
KR20200132213A (ko) * 2019-05-16 2020-11-25 주식회사 삼명테크 2중 복합열선에 의한 전자기장 억제 기능을 갖는 매설형 전기온돌 장치
KR20220109732A (ko) * 2021-01-29 2022-08-05 김경민 가열장치 및 기판 처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22279B1 (ko) 2002-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76661C (en) Heat-insulated coupler for heatable flexible tubes
KR100315105B1 (ko) 케이블이음부의밀봉제충진형동봉체
US3624594A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CN102832469B (zh) 电缆连接端子与具有该电缆连接端子的线束
JP6000271B2 (ja) 電気的に加熱可能な既製の媒体ラインとその媒体ラインの製造方法
FI65473C (fi) Uppvaermt braensleroer
JPH11308749A (ja) 露出電線の保護とシールの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KR100834434B1 (ko) 매설형 전열장치 시설체, 그 제조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t형 밀봉 하우징
KR100322279B1 (ko) 매설형 전열 장치
BRPI0620457B1 (pt) Acoplamento aquecido
JP2013510269A (ja) ホース接続装置
BR102020017540A2 (pt) Terminal elétrico vedado com retardador de escorrimento de adesivo
CN206041421U (zh) 基于涨口弹性力的绝缘管型母线端头连接装置
CN110611214B (zh) 电线的芯线露出部的防水结构
JP5203112B2 (ja) 電力ケーブルからの接地線引出部及びこの接地線引出部を備えた電力ケーブル接続部
KR20170106891A (ko) 시즈히터와 이를 이용한 전열장치 시설체 및 이에 사용되는 패킹과 상기 시즈히터를 제조하는 방법
KR20130001732U (ko) 배관용 동파방지 히터
CN209822333U (zh) 一种液冷充电线缆
CN103947050A (zh) 包括凝胶形式的绝缘填充体的阴端子
CN218677572U (zh) 一种光伏连接器内芯焊接器件及电连接结构
CN207781916U (zh) 一种潜油泵及其电缆接头结构
CN207677158U (zh) 一种热缩套管连接结构
KR200326760Y1 (ko) 전기온돌용 히터 조립체
JP2010027315A (ja) シーズヒータとリード線の接続構造及びシーズヒータユニット
CN212061976U (zh) 一种消除虹吸效应的电力电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