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7108U - Mechanical and Electric Combined Use Locking System for Building Door - Google Patents

Mechanical and Electric Combined Use Locking System for Building Do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7108U
KR20000017108U KR2019990002394U KR19990002394U KR20000017108U KR 20000017108 U KR20000017108 U KR 20000017108U KR 2019990002394 U KR2019990002394 U KR 2019990002394U KR 19990002394 U KR19990002394 U KR 19990002394U KR 20000017108 U KR20000017108 U KR 2000001710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door
electronic
locking bar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2394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진호
Original Assignee
최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진호 filed Critical 최진호
Priority to KR20199900023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7108U/en
Publication of KR200000171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7108U/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0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electromag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8Details of actuator transmissions
    • E05B2047/002Geared transmiss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67Monitor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물용 도어의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전자키 사용에 따른 편리함을 가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기계키에 의한 도어의 로킹 및 로킹해제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며, 또한, 기계키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건물용 도어의 기계식 겸용 전자식 잠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king device for a door for a building, which allows a user to have a convenience according to the use of an electronic key, and at the same time enables the locking and unlocking operation of the door by a mechanical ke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chanical combined electronic lock of a building door to prevent loss.

본 고안은, 도어를 로킹 또는 해제시킬 수 있도록 도어 일측에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로킹바와; 키홀에 삽입되는 키 플레이트의 작동에 따라 상기 로킹바를 왕복이동 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키 뭉치와; 상기 로킹바 후단부에 연설되되, 상기 로킹바의 후단부에 로드가 고정 결합되고, 상기 로드가 결합된 피스톤을 수납하는 실린더 양측에는 한 쌍의 전자석이 설치되는 액추에이터와; 전자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전자석들중 하나의 전자석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자제어수단;을 포함하며, 키 플레이트가 결합된 전자키의 손잡이부 외면에는 버튼이 설치되고, 그 내부에는 전자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키 플레이트는 안테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the locking bar is installed to be reciprocating on one side of the door to lock or unlock the door; A key bundle installed to reciprocate the locking bar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key plate inserted into the key hole; An actuator that is spoken to the rear end of the locking bar, the rod being fixedly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locking bar, and a pair of electromagnets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cylinder for receiving the piston to which the rod is coupled; And electronic control means for supplying power to one of the electromagnets as an electronic signal is received, wherein a button is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handle of the electronic key to which the key plate is coupled, and generates an electronic signal therein. Signal generating means is provided, the key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perform the antenna function.

Description

건물용 도어의 기계식 겸용 전자식 잠금장치{Mechanical and Electric Combined Use Locking System for Building Door}Mechanical and Electric Combined Use Locking System for Building Door

본 고안은 건물용 도어의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도어에 기계식 겸용 전자식 잠금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전자키 사용에 따른 편리함을 가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배터리의 소진이나 방전 또는 정전 등으로 인하여 전원 공급이 차단되었을 경우 기계키에 의한 도어의 로킹 및 로킹해제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또한, 전자키와 기계키를 일체로 제작하여 기계키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건물용 도어의 기계식 겸용 전자식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k of a door for a building, and more particularly, by installing a mechanical combined electronic lock on the door, so that the user can have a convenience according to the use of the electronic key, while the battery is exhausted or discharged Or if the power supply is cut off due to a power failure, the door can be locked and unlocked by the machine key, and the electronic key and the machine key can be manufactured integrally to prevent the loss of the machine key. It relates to a mechanical combined electronic locking device for the door.

일반적으로, 건물용 도어에는 외부로부터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잠금장치가 설치되며, 도어 잠금장치는 기계식과 전자식으로 대별된다.In general, the door for the building is provided with a lock to prevent intrusion from the outside, the door lock is divided into mechanical and electronic.

상기 기계식 잠금장치는 도어에 키 뭉치가 설치되고, 상기 키 뭉치에 삽입 결합되는 소정의 기계키(key)에 의하여 도어가 로킹 및 로킹해제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기계식 잠금장치는, 도어의 로킹 및 로킹해제를 위하여 상기 기계키를 키 뭉치의 키홀에 삽입하여야 하는데 어두운 야간에는 키 뭉치의 키홀을 찾기 어려운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장기간 사용시 기계키의 편마모로 인하여 기계키에 의한 로킹 및 로킹해제 작동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The mechanical locking device is configured to lock and unlock the door by a key bundle installed on the door and a predetermined mechanical key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key bundle. However, such a mechanical locking device has to insert the mechanical key into the keyhole of the key bundle for locking and unlocking the door, and it is difficult to find the keyhole of the key bundle at dark nights, Due to the uneven wear, there was a problem in that locking and unlocking operation by the machine key became difficult.

그리고, 상기 전자식 잠금장치는, 전자식 키뭉치를 도어에 설치하고, 버튼이 눌러질 때마다 소정의 전자파를 발생시키는 전자키를 구비하며, 상기 전자키로부터 발생되는 전자파에 의하여 상기 전자식 키뭉치가 로킹 및 로킹해제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전자식 잠금장치는 키홀에 키를 삽입할 필요가 없으므로 어두운 야간에도 도어의 로킹 및 로킹해제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전자키 사용에 따른 마모의 염려가 없으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 것이었다.The electronic locking device includes an electronic key set installed on the door, and has an electronic key for generating a predetermined electromagnetic wave each time a button is pressed, and the electronic key set is locked by an electromagnetic wave generated from the electronic key. And to unlock. Since the electronic locking device does not need to insert a key in the keyhole, it is easy to lock and unlock the door even in the dark night, and there is no fear of wear due to the use of the electronic key.

그러나, 종래의 전자식 도어 잠금장치는, 정상적인 로킹 및 로킹해제 작동을 위하여 전원의 공급이 필수적이므로, 사용되는 배터리의 소진이나 방전 또는 정전 등으로 인하여 전자식 키뭉치 또는 전자키로의 전원 공급이 중단되었을 경우, 도어의 로킹 또는 로킹해제 작동이 불가능하게 됨으로써, 사용자에게 큰 불편함을 주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electronic door lock device, since power supply is essential for normal locking and unlocking operation, when the power supply to the electronic key bundle or the electronic key is stopped due to exhaustion, discharge, or power failure of the battery used. By being unable to lock or unlock the operation of the door, there is a problem that gives a great inconvenience to the user.

또한, 건물용 도어에 전자식 잠금장치와 기계식 잠금장치를 모두 설치할 경우, 사용자가 전자키와 기계키를 별도록 소지하여야 하므로 사용자의 불편함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자주 사용하지 않는 기계키를 쉽게 분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f both the electronic lock and the mechanical lock are installed in the building door, the user must possess the electronic key and the mechanical key separately, thereby increasing the inconvenience of the user and easily losing the machine key that is not frequently used. There was a problem.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건물용 도어에 설치되는 도어 잠금장치를 기계식과 전자식으로 겸용하여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전자키 사용에 따른 편리함을 가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배터리의 소진이나 방전 또는 정전 등으로 인하여 전원의 공급이 차단되었을 경우 기계키에 의한 도어의 로킹 및 로킹해제 작동이 가능하도록 한 건물용 도어의 기계식 겸용 전자식 잠금장치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configuring the door lock device installed in the building door to be used both mechanically and electronically, so that the user can have a convenience according to the use of electronic keys At the same time, the main purpose is to provide a mechanical combined electronic lock of the door for the building to enable the locking and unlocking of the door by the machine key when the power supply is cut off due to exhaustion, discharge or power outage of the battery. have.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 전자키와 기계키를 일체로 제작함으로써, 자주 사용하지 않는 기계키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건물용 도어의 기계식 겸용 전자식 잠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chanical combined electronic locking device for a door for a building to prevent the loss of the mechanical key that is not frequently used by making the electronic key and the mechanical key integrally.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의 대략적인 구성도,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lo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요부 분해 사시도,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of FIG. 1;

도 3(a)(b)는 도 2중 키 뭉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Figure 3 (a) (b)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key bundle in Figure 2,

도 4는 도 1중 전자제어부분을 나타내는 블럭도.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onic control part in FIG. 1.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ference numera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전자키, 110:손잡이부, 112:버튼, 114:릴레이, 116:발진부, 118:신호처리부, 119:송신표시등, 120:키 플레이트, 200:로킹본체, 210:로킹바, 212:랙기어, 220:키 뭉치, 221:키홀, 222:회전축, 223:원동기어, 224:스프링, 225:하우징, 226:종동기어, 226a:내접기어, 227:힌지핀, 230:액추에이터, 231:실린더, 232:피스톤, 233,233a:로드, 234,235:전자석, 240:전자제어수단, 241:수신용 안테나, 242:신호처리부, 243:제어부, 244,245:릴레이, 246,247:광센서, 310:로킹홀, D:도어.100: electronic key, 110: handle part, 112: button, 114: relay, 116: oscillation part, 118: signal processing part, 119: transmission indicator light, 120: key plate, 200: locking body, 210: locking bar, 212: Rack gear, 220: Bundle of keys, 221: Keyhole, 222: Rotating shaft, 223: Motor gear, 224: Spring, 225: Housing, 226: Follower gear, 226a: Internal gear, 227: Hinge pin, 230: Actuator, 231: Cylinder, 232: piston, 233, 233a: rod, 234, 235: electromagnet, 240: electronic control means, 241: receiving antenna, 242: signal processing section, 243: control section, 244, 245: relay, 246, 247: light sensor, 310: locking hole, D: Doo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선단부가 도어프레임의 로킹홀에 삽입/이탈되어 도어를 로킹 또는 해제시킬 수 있도록 도어 일측에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면에 길이방향으로 랙기어가 형성되는 로킹바와; 상기 로킹바에 수직하게 설치되며, 키홀에 삽입되는 키 플레이트의 작동에 따라 상기 로킹바를 왕복이동 시킬 수 있도록 회전축 선단에 상기 로킹바의 랙기어와 치차 물림되는 구동기어부를 갖는 키 뭉치와; 상기 로킹바 후단부에 연설되되, 상기 로킹바와 동일축을 유지한 체 상기 로킹바의 후단부에 고정 결합되는 로드를 구비하고, 상기 로드가 결합된 피스톤을 수납하는 실린더 양측에는 상기 피스톤을 왕복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쌍의 전자석이 설치되는 액추에이터와; 설정된 전자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로킹바를 왕복시켜 도어를 로킹 및 해제시키도록 상기 전자석들중 하나의 전자석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자제어수단;을 포함하며, 키 플레이트가 결합된 전자키의 손잡이부 외면에는 버튼이 설치되고, 그 내부에는 상기 버튼의 작동에 따라 전원을 입력받고 상기 전자제어수단에 설정된 전자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키 플레이트는 상기 신호발생수단으로부터 발생된 전자신호를 안정적으로 송신하기 위한 안테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to be reciprocated on one side of the door so that the front end is inserted / detached into the locking hole of the door frame to lock or release the door, and a rack gear is formed on one surfa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ing a locking bar; A key bundle installed vertically to the locking bar and having a driving gear part engaged with the rack gear of the locking bar at a distal end of the rotating shaft to reciprocate the locking bar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key plate inserted into the key hole; Speaking to the rear end of the locking bar, having a rod fixedly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locking bar sieve maintains the same axis as the locking bar, the cylinder to accommodate the piston coupled to the rod to reciprocate the piston An actuator having a pair of electromagnets installed thereon so as to be provided; Electronic control means for applying power to one of the electromagnets to reciprocate the locking bar to lock and release the door as a set electronic signal is received, the outer surface of the handle portion of the electronic key coupled to the key plate It is provided with a button, therein is provided with a signal generating means for receiving the power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button and generating an electronic signal set in the electronic control means, the key plate is an electronic signal generated from the signal generating mean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perform the antenna function for stably transmitting.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건물용 도어의 기계식 겸용 전자식 잠금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echanical combined electronic locking device for a building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용 도어의 기계식 겸용 전자식 잠금장치의 대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 분해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잠금장치는 전자키(100)와 로킹본체(200)로 구성되며, 도어에 설치되는 상기 로킹본체(200)는 로킹바(210), 키 뭉치(220), 액추에이터(230) 및 전자제어수단(2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mechanical combined electronic locking device for a building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of Figure 1, as shown, the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osed of the electronic key 100 and the locking body 200, the locking body 200 is installed in the door is a locking bar 210, a key bundle 220, the actuator 230 and the electronic control means 24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상기 로킹바(210)는, 도어(D) 일측에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도어프레임(F)에 설치된 브래킷(300)의 로킹홀(310)에 상기 로킹바(210)의 선단부가 삽입/이탈됨으로써, 도어(D)를 로킹 또는 해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로킹바(210)의 일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랙기어(212)가 형성된다.The locking bar 210 is installed to be reciprocated on one side of the door D, and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locking bar 210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hole 310 of the bracket 300 installed on the door frame F. By being detached, it is comprised so that the door D may be locked or unlocked. In addition, a rack gear 212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locking bar 2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키 뭉치(220)는, 상기 로킹바(210)에 수직한 방향으로 도어(D) 외측으로 키홀(221)이 노출되도록 설치되며, 그 회전축(222)의 선단부에는 상기 랙기어(212)와 치차 결합되는 구동기어부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키 뭉치(220)에 삽입된 키 플레이트(120)의 정역회전에 따라 상기 로킹바(210)가 왕복 이동되며, 이에 따라, 상기 로킹바(210)에 의해 상기 도어(D)가 로킹 또는 해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key bundle 220 is installed so that the key hole 221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door (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cking bar 210, the rack gear 212 and the front end of the rotating shaft 222 As the gear gear is coupled to the gear, the locking bar 210 is reciprocated according to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key plate 120 inserted into the key bundle 220. The door D is configured to be locked or unlocked.

한편, 상기 키 뭉치(220)에 제공되는 구동기어부는, 원동기어(223)와 종동기어(226)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원동기어(223)는 상기 키 뭉치(220)의 회전축(222) 선단에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종동기어(226)는 상기 원동기어(223)가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일측면 중앙에 내접기어(226a)를 구비하며, 자전 가능한 상태로 상기 로킹바(210)의 랙기어(212)와 치차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원동기어(223)가 상기 종동기어(226)와 동일축상에서 상기 내접기어(226a)로부터 이탈된 상태를 탄성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키 뭉치(220)가 하우징(225) 내부에서 스프링(224)으로 탄설된다.On the other hand, the drive gear unit provided in the key bundle 220 may be composed of a motive gear 223 and a driven gear 226. The prime mover 223 is integrally formed at the tip of the rotation shaft 222 of the key bundle 220. In addition, the driven gear 226 has an internal gear 226a at the center of one side of the driven gear 223 to be inserted and coupled, and the rack gear 212 of the locking bar 210 in a rotating state. And gears are configured to engage. In this case, the key bundle 220 is provided inside the housing 225 so that the primary gear 223 can elastically maintain the state separated from the internal gear 226a on the same axis as the driven gear 226. It is carbonized with the spring 224.

즉, 상기 키 뭉치(220)가 삽입된 키 플레이트(120)에 의하여 눌려지는 경우에만, 상기 키 뭉치(220)의 회전축(222) 선단에 형성된 원동기어(223)가 상기 종동기어(226)의 내접기어(226a)에 삽입되어 치차 결합됨으로써, 상기 키 뭉치(220)의 회전운동이 랙기어(212)를 왕복시키는 상기 종동기어(226)의 회전운동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하우징(225)에 슬라이딩 홈(225a)을 형성시키고 상기 키 뭉치(220)의 외면에 상기 슬라이딩 홈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돌기(220a)를 돌설시킨 것은, 상기 키 뭉치(220)가 하우징(225) 내부에 일정거리만큼만 왕복 이동되고, 하우징(225)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at is, only when the key bundle 220 is pressed by the inserted key plate 120, the motive gear 223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rotation shaft 222 of the key bundle 220 is formed of the driven gear 226. Inserted into the internal gear 226a, the gears are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key bundle 220 may be transmitted to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driven gear 226 reciprocating the rack gear 212. On the other hand, the sliding groove 225a is formed in the housing 225 and the protrusion 220a slid along the sliding groov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key bundle 220, the key bundle 220 is the housing ( 225 is to be reciprocated only a predetermined distance inside, so as not to be separated out of the housing 225.

도 2에서는, 상기 종동기어(226)의 타측면 중앙에 돌설시킨 힌지핀(227)을 도어(D) 일측에 고정된 힌지브래킷(228)에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종동기어(226)의 자전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였으나,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상기 종동기어(226)의 자전운동을 구현시킬 수 있을 것이다.In FIG. 2, by rotating the hinge pin 227 protruding from the center of the other side of the driven gear 226 to the hinge bracket 228 fixed to one side of the door D, the rotating motion of the driven gear 226 is achieved. Although configured to be possible, in addition to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driven gear 226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상기 액추에이터(230)는, 상기 로킹바(210)를 왕복이동 시킬 수 있도록 로킹바(210) 후단부에 연결 설치되는 요소로서, 실린더(231), 피스톤(232), 로드(233) 및 전자석(234)(23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피스톤(232)은 실린더(231) 내부에 왕복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피스톤(232)으로부터 연장되는 로드(233)는 실린더(231)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데, 상기 로드(233)는 상기 로킹바(210)와 동일축을 이룬 상태에서 그 단부가 상기 로킹바(210)의 후단부에 고정 결합된다. 이때, 상기 피스톤(232)이 왕복 운동됨에 따라 상기 로킹바(210)가 왕복 이동되면서 로킹바(210)의 선단부가 상기 로킹홀(310)에 삽입/이탈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2에서는 로드(233)와 로킹바(210)가 핀(P)으로 결합된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상기 로드(233)와 로드(233)의 각 단부는 용접 등의 방식으로 고정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actuator 230 is an element that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locking bar 210 so as to reciprocate the locking bar 210, and includes a cylinder 231, a piston 232, a rod 233, and an electromagnet ( 234 and 235. The piston 232 is installed reciprocally in the cylinder 231, the rod 233 extending from the piston 232 is installed to penetrate the cylinder 231, the rod 233 is the locking bar The end is fixedly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locking bar 210 in the same axis as the 210. In this case, as the piston 232 is reciprocated, the locking bar 210 is reciprocated and configured so that the tip portion of the locking bar 210 can be inserted / detached into the locking hole 310. In FIG. 2, the rod 233 and the locking bar 210 are shown to be coupled with a pin P. However, each end of the rod 233 and the rod 233 may be fixedly coupled by welding or the like. Of course.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전자석(234)(235)은 상기 실린더(231)의 양단부에 각각 고정 설치됨으로써,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상기 피스톤(232)을 왕복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pair of electromagnets 234 and 235 are fixed to both ends of the cylinder 231, and are configured to reciprocate the piston 232 as power is applied.

상기 전자제어수단(240)은, 설정된 전자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전자석(234)과 전자석(235)중 하나의 전자석에 전원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피스톤(232)을 왕복 운동시켜서 상기 로킹바(210)가 왕복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용 안테나(241), 신호처리부(242), 제어부(243), 릴레이(244)(245), 광센서(246)(247) 및 전원(V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electronic control means 240, by applying the power to one of the electromagnet 234 and the electromagnet 235 as the set electronic signal is received, thereby reciprocating the piston 232 to the locking bar 210 ) Is a means for causing the reciprocating movement, as shown in Figure 4, the receiving antenna 241, the signal processing unit 242, the control unit 243, the relay 244 (245), the optical sensor 246 ( 247 and a power supply V1.

상기 한 쌍의 광센서(246)(247)는 상기 액추에이터(230)의 현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231)의 후방으로 연장된 로드(233a)의 상하부에 마주보게 설치되는 발광센서(246)와 수광센서(247)로 구성된다.The pair of photosensors 246 and 247 are means for sensing the current state of the actuator 230, as shown in Figure 2,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rod 233a extending to the rear of the cylinder 231 It consists of a light emitting sensor 246 and a light receiving sensor 247 are installed facing each other.

그리고, 상기 수신용 안테나(241)는 상기 전자키(100)로부터 송신된 전자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신호처리부(242)는 상기 수신용 안테나(241)를 통하여 수신된 신호의 처리가 가능하도록 복조 및 증폭한 후, 상기 제어부(243)로 입력시킨다. 상기 제어부(243)에서는 상기 신호처리부(242)를 통하여 입력된 신호가 설정된 전자신호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한 후, 설정된 전자신호가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광센서(246)(247)를 통하여 상기 액추에이터(230)의 현상태를 확인한 다음, 상기 액추에이터(230)가 현상태와 반대상태로 절환되도록 상기 전자석(234)(235)중 하나의 전자석으로 전원(V1)을 인가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전원(V1)과 상기 각 전자석(234)(235)이 각각 릴레이(244)(245)를 통하여 접속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제어부(243)가 구동시키고자 하는 전자석에 접속된 릴레이를 작동시킴으로써, 원하는 전자석에 전원(V1)이 연결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The receiving antenna 241 receives the electronic signal transmitted from the electronic key 100, and the signal processing unit 242 demodulates th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receiving antenna 241. And amplifies and inputs the result to the controller 243. The controller 243 determines whether the signal input through the signal processor 242 matches the set electronic signal,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et electronic signal is input, the actuator 212 through the photosensors 246 and 247. After confirming the current state of 230, the actuator 230 is configured to apply the power supply V1 to one of the electromagnets 234 and 235 so that the actuator 230 is switched to the opposite state. In this case, the power supply V1 and the electromagnets 234 and 235 ar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hrough the relays 244 and 245, respectively, and the control unit 243 operates a relay connected to the electromagnet to be driven. In this case, it may be preferable to configure the power supply V1 to be connected to the desired electromagnet.

상기 전자키(100)는 키 플레이트(120)와 손잡이부(110)가 일체를 이루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키 플레이트(120)는 상기 키 뭉치(220)의 키홀(221)에 삽입되어 키 뭉치(220)를 작동시키도록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110)에는 상기 전자제어수단(24)에 설정되어 있는 전자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신호발생수단이 구비되는데, 이때, 상기 키 플레이트(120)가 상기 신호발생수단으로부터 발생된 전자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안테나 기능을 하도록 구성된다.The electronic key 10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key plate 120 and the handle 110 are integrally formed, and the key plate 120 is inserted into the key hole 221 of the key bundle 220 and the key bundle 220. It is formed to operate, and the handle portion 110 is provided with a signal generating means for generating an electronic signal set in the electronic control means 24, wherein the key plate 120 is the signal And an antenna function for transmitting the electronic signal generated from the generating means.

상기 신호발생수단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V2), 릴레이(114), 발진부(116), 신호처리부(118)가 직렬로 연결된 체 손잡이부(110)에 내장되고, 상기 릴레이(114)를 작동시키기 위한 버튼(112)이 손잡이부(110) 외면에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발진부(116)는 상기 전자제어수단(240)에 설정되어 있는 소정의 전자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신호처리부(118)는 상기 발진부(116)에서 발생된 전자신호를 변조하여 전송이 가능한 신호로 변환시키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신호처리부(118)에서 변조된 전자신호는 안테나 기능을 하는 상기 키 플레이트(120)를 통하여 출력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110)의 외면에는 송신표시등(119)이 설치되는데, 이 송신표시등(119)은 상기 릴레이(114)의 출력단에 접속됨으로써, 버튼(112)의 작동에 의한 릴레이(114)의 작동시 전원(V2)이 공급되어 점등되도록 구성된다.The signal generating means, as shown in Figure 4, the power supply (V2), the relay 114, the oscillator 116, the signal processor 118 is built in the sieve handle 110 connected in series, the relay The button 112 for operating the 114 may be configured to be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andle portion 110. At this time, the oscillator 116 is configured to generate a predetermined electronic signal set in the electronic control means 240, the signal processor 118 modulates the electronic signal generated by the oscillator 116 Configured to convert the signal into a transmittable signal. The electronic signal modulated by the signal processor 118 is output through the key plate 120 functioning as an antenna. In addition, a transmission indicator 119 is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handle 110, and the transmission indicator 119 is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relay 114, whereby a relay by operation of the button 112 ( The power supply V2 is supplied and turned on during operation of the 114.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잠금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as follows.

전자키(100)를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가, 손잡이부(110) 외면의 버튼(112)을 누르면, 릴레이(114)가 온으로 스위칭됨으로써, 전원(V2)이 발진부(116)와 송신표시등(119)에 인가된다. 이에 따라, 송신표시등(119)이 점등됨과 동시에, 발진부(116)에서 소정의 전자신호를 발생시키게 되며, 상기 전자신호는 신호처리부(118)에서 전송 가능한 신호로 변조된 후, 안테나 역할을 하는 키 플레이트(120)를 통하여 출력된다.When the user holding the electronic key 100 presses the button 112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andle 110, the relay 114 is switched on, so that the power supply V2 is turned on the oscillator 116 and the transmission indicator ( 119). Accordingly, while the transmission indicator 119 is turned on, the oscillator 116 generates a predetermined electronic signal, and the electronic signal is modulated into a signal that can be transmitted by the signal processor 118 and then serves as an antenna. It is output through the key plate 120.

이와 같이 출력된 전자신호는 로킹본체(200)에 구비된 전자제어수단(240)의 수신용 안테나(241)에 의하여 수신된 후, 신호처리부(242)에서 처리 가능한 신호로 복조된 다음, 제어부(243)로 입력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243)에서는 상기 신호처리부(242)를 통하여 입력된 신호가 소정의 전자키(100)로부터 발생된 전자신호인지, 즉, 설정되어 있는 전자신호와 일치하는가를 판단한 후, 설정되어 있는 전자신호와 동일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광센서(246)(247)를 통하여 상기 액추에이터(230)의 현상태를 판단한 다음, 액추에이터(230)가 반대상태로 절환되도록 상기 전자석(234)(235)중 하나의 전자석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한다.The electronic signal output in this way is received by the receiving antenna 241 of the electronic control means 240 provided in the locking body 200, and then demodulated into a signal that can be processed by the signal processor 242, and then the control unit ( 243).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243 determines whether the signal input through the signal processing unit 242 is an electronic signal generated from a predetermined electronic key 100, that is, matches the set electronic signal, and then is set.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electronic signal is the same as the present state of the actuator 230 through the photosensor 246, 247, and then one of the electromagnets (234, 235) so that the actuator 230 is switched to the opposite state Make sure power is applied to the electromagnet.

다시 말해, 도어(D)의 로킹이 해제되어 있는 상태, 즉, 로킹바(210)의 선단부가 로킹홀(310)로부터 이탈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로킹바(210)가 후진된 상태가 됨으로써, 상기 액추에이터(230)의 로드(233)가 후진되어 광센서(246)(247) 사이를 차단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발광센서(246)의 발광신호가 수광센서(247)에 수신되지 않게 되며, 이를 통하여 액추에이터(230)의 로드(233)가 후진되어 있다고 판단한 상기 전자제어수단(240)에서는 전방 전자석(235)에 전원(V1)이 인가되도록 릴레이(245)를 작동시킨다. 그리고, 전원(V1)이 인가된 전자석(235)에 의하여 피스톤(232)이 전방으로 전진되게 됨으로써, 로드(233)가 함께 전진하게 되며, 이에 따라, 로킹바(210)가 전진됨으로써, 그 선단부가 로킹홀(310)에 삽입되어 도어(D)를 로킹시키게 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in the state in which the locking of the door D is released, that is, in the state in which the tip of the locking bar 210 is separated from the locking hole 310, the locking bar 210 is in a reversed state. The rod 233 of the actuator 230 is reversed to block the light sensor 246 and 247. Therefore, the light emitting signal of the light emitting sensor 246 is not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sensor 247, through which the electronic control means 240 determines that the rod 233 of the actuator 230 is backward. The relay 245 is operated so that the power supply V1 is applied to the 235. In addition, the piston 232 is advanced forward by the electromagnet 235 to which the power source V1 is applied, so that the rod 233 is advanced together. As a result, the locking bar 210 is advanced, so that the tip end thereof.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hole 310 to lock the door (D).

이때, 상기 키 뭉치(220) 선단의 원동기어(223)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종동기어(226)의 내접기어(226a)로부터 이탈된 상태에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종동기어(226)는 상기 로킹바(210)의 힌지핀(227)을 중심으로 자전이 가능한 상태이므로 상기 로킹바(210)의 랙기어(212)는 치차 결합된 종동기어(226)를 자전시키면서 용이하게 전진운동 될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motive gear 223 at the tip of the key bundle 220 is in a state separated from the internal gear 226a of the driven gear 226, as shown in Figure 3 (a). Therefore, since the driven gear 226 is capable of rotating about the hinge pin 227 of the locking bar 210, the rack gear 212 of the locking bar 210 is driven gear 226 is geared. It can be easily forward movement while rotating.

그리고, 상기 도어(D)가 로킹되어 있는 상태, 즉, 로킹바(210)의 선단부가 로킹홀(310)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전자제어수단(240)에서 상기와 반대되는 작동을 하여 상기 로킹바(210)의 선단부가 로킹홀(310)로부터 이탈되도록 함으로써, 도어(D)의 로킹을 해제시키게 된다.In the state in which the door D is locked, that is,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locking bar 210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hole 310, the electronic control means 240 performs the operation opposite to the above. The front end of the locking bar 210 is released from the locking hole 310, thereby releasing the locking of the door (D).

한편, 상기 전원(V1)(V2)의 소진이나 방전 또는 정전 등으로 인하여 상기 전자신호에 의한 도어(D)의 로킹 및 해제가 불가능하게 되었을 경우, 상기 전자키(100)에 일체로 결합된 키 플레이트(120)를 상기 키 뭉치(220)의 키홀(221)에 삽입한 상태에서 가압하게 되면, 키 뭉치(220)가 하우징(225) 내부의 스프링(224)을 압축시키며 전진하게 된다. 이때, 상기 키 뭉치(220)와 함께 회전축(222)이 전진함으로써, 도 3(a)와 같이 내접기어(226a)로부터 이탈되어 있던 상기 회전축(222) 선단의 원동기어(223)가, 도 3(b)와 같이 상기 내접기어(226a)에 삽입되어 치차 결합된다.On the other hand, when it is impossible to lock and release the door D by the electronic signal due to exhaustion, discharge or power outage of the power supplies V1 and V2, the key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electronic key 100. When the plate 120 is pressed in the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key hole 221 of the key bundle 220, the key bundle 220 compresses and advances the spring 224 inside the housing 225. At this time, by rotating the rotation shaft 222 together with the key bundle 220, as shown in FIG. 3 (a), the driving gear 223 at the tip of the rotation shaft 222, which has been separated from the internal gear 226a, is shown in FIG. As shown in (b), the internal gear 226a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internal gear 226a.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키 뭉치(220)에 삽입된 키 플레이트(120)를 정방향이나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키 뭉치(220)의 회전에 따라 회전된 원동기어(223)와 함께 종동기어(226)가 회전됨으로써, 상기 로킹바(210)를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로킹바(210)의 선단부가 로킹홀(310)에 삽입 또는 이탈됨으로써, 도어(D)를 로킹 및 해제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such a state, when the key plate 120 inserted into the key bundle 220 is rotated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the driven gear 223 is rotate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key bundle 220. 226 is rotated, so that the locking bar 210 can be moved forward or backward. Accordingly, the front end of the locking bar 210 is inserted into or removed from the locking hole 310, thereby locking the door D. And can be released.

이때, 상기 로킹바(210)의 후단부에 결합된 액추에이터(230)의 로드(233)는, 그 이동을 규제할 수 있는 전자석(234)(235)으로 인가되는 전원(V1)이 없으므로, 그 이동이 자유로우며, 따라서, 상기 액추에이터(230)의 로드(233)는 상기 로킹바(210)의 왕복 이동에 따라 동일한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게 된다.At this time, since the rod 233 of the actuator 230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locking bar 210 does not have a power supply V1 applied to the electromagnets 234 and 235 capable of regulating its movement, Since the movement is free, the rod 233 of the actuator 230 is reciprocated in the same direction according to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locking bar 210.

상기 일 실시예에 의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을 따른 건물용 도어의 기계식 겸용 전자식 잠금장치에 의하여, 건물용 도어에 설치되는 도어 잠금장치를 기계식과 전자식으로 겸용하여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전자키 사용에 따른 편리함을 갖음과 동시에, 배터리의 소진이나 방전 또는 정전 등으로 인하여 전원의 공급이 차단되었을 경우 키 플레이트에 의한 도어의 로킹 및 로킹해제 작동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전자키와 기계키를 일체로 제작함으로써, 자주 사용하지 않는 기계키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can be seen by the above embodiment, by the mechanical lock electronic lock of the building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onfiguring the door lock installed in the building door to be used both mechanically and electronically, In addition to the convenience of the user using the electronic key, when the power supply is cut off due to exhaustion, discharge, or power outage of the battery, the door can be locked and unlocked by the key plat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improved.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loss of the mechanical key that is not used often by making the electronic key and the machine key integrally.

이상에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용 도어의 기계식 겸용 전자식 잠금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당업자라면 여러 가지로 그 변형과 응용이 가능할 것이다.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mechanical combined electronic locking device for a building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Claims (3)

선단부가 도어프레임의 로킹홀에 삽입/이탈되어 도어를 로킹 또는 해제시킬 수 있도록 도어 일측에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면에 길이방향으로 랙기어가 형성되는 로킹바와;A locking bar having a front end portion inserted / removed into the locking hole of the door frame so as to be reciprocated on one side of the door so as to lock or release the door, and having a rack gear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urface thereof; 상기 로킹바에 수직하게 설치되며, 키홀에 삽입되는 키 플레이트의 작동에 따라 상기 로킹바를 왕복이동 시킬 수 있도록 회전축 선단에 상기 로킹바의 랙기어와 치차 물림되는 구동기어부를 갖는 키 뭉치와;A key bundle installed vertically to the locking bar and having a driving gear part engaged with the rack gear of the locking bar at a distal end of the rotating shaft to reciprocate the locking bar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key plate inserted into the key hole; 상기 로킹바 후단부에 연설되되, 상기 로킹바와 동일축을 유지한 체 상기 로킹바의 후단부에 고정 결합되는 로드를 구비하고, 상기 로드가 결합된 피스톤을 수납하는 실린더 양측에는 상기 피스톤을 왕복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쌍의 전자석이 설치되는 액추에이터와;Speaking to the rear end of the locking bar, having a rod fixedly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locking bar sieve maintains the same axis as the locking bar, the cylinder to accommodate the piston coupled to the rod to reciprocate the piston An actuator having a pair of electromagnets installed thereon so as to be provided; 설정된 전자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로킹바를 왕복시켜 도어를 로킹 및 해제시키도록 상기 전자석들중 하나의 전자석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자제어수단;을 포함하며,And electronic control means for supplying power to one of the electromagnets so as to lock and release the door by reciprocating the locking bar as a set electronic signal is received. 키 플레이트가 결합된 전자키의 손잡이부 외면에는 버튼이 설치되고, 그 내부에는 상기 버튼의 작동에 따라 전원을 입력받고 상기 전자제어수단에 설정된 전자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키 플레이트는 상기 신호발생수단으로부터 발생된 전자신호를 안정적으로 송신하기 위한 안테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도어의 기계식 겸용 전자식 잠금장치.A button is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a handle portion of an electronic key to which a key plate is coupled, and a signal generation means is provided therein to receive power and generate an electronic signal set in the electronic control means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button. The plate is a mechanical combined electronic lock of the building door,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perform an antenna function for stably transmitting the electronic signal generated from the signal generating mean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키 뭉치에 구비되는 구동기어부는, 상기 키 뭉치의 회전축 선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원동기어와, 상기 원동기어가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일측면에 내접기어를 구성한 체 자전 가능한 상태로 상기 랙기어와 맞물려 설치되는 종동기어로 이루어지며;The drive gear part provided in the key bundle is engaged with the rack gear in a state capable of rotating the body comprising a motive gear formed integrally with the end of the rotation shaft of the key bundle and an internal gear on one side so that the motive gear can be inserted and coupled. Consisting of a driven gear installed; 상기 원동기어가 상기 내접기어로부터 이탈된 상태를 탄성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회전축을 따라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상기 키 뭉치가 하우징과 스프링으로 탄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도어의 기계식 겸용 전자식 잠금장치.And the key bundle installed in the housing along the rotational shaft is coalesced with the housing and the spring so as to elastically maintain the state where the motive gear is separated from the internal gea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전자제어수단은, 상기 액추에이터의 위치를 감지하는 한 쌍의 광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광센서에 의해 상기 액추에이터의 전후진 상태를 판단하고, 현재상태의 반대상태로 액추에이터가 작동되도록 상기 전자석중 하나의 전자석에 전원을 인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도어의 기계식 겸용 전자식 잠금장치.The electronic control means includes a pair of optical sensors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actuator, and determines the forward and backward states of the actuator by the optical sensor as the electronic signal is received, and to the opposite state of the current state. And a mechanical combined electronic lock of the building do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apply power to one of the electromagnets so that an actuator is activated.
KR2019990002394U 1999-02-13 1999-02-13 Mechanical and Electric Combined Use Locking System for Building Door KR20000017108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2394U KR20000017108U (en) 1999-02-13 1999-02-13 Mechanical and Electric Combined Use Locking System for Building Do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2394U KR20000017108U (en) 1999-02-13 1999-02-13 Mechanical and Electric Combined Use Locking System for Building Do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7108U true KR20000017108U (en) 2000-09-25

Family

ID=54759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2394U KR20000017108U (en) 1999-02-13 1999-02-13 Mechanical and Electric Combined Use Locking System for Building Do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7108U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5980B1 (en) * 2002-05-18 2004-11-06 유희수 Emergency exit door locker
KR20170113718A (en) * 2016-03-24 2017-10-13 한화엘앤씨 주식회사 The locking device working by electronic type and mechanical type
KR200487248Y1 (en) * 2017-04-28 2018-09-28 남호길 Integral key to electronic key and lock therewith
CN110861668A (en) * 2019-12-11 2020-03-06 江苏中展车辆配件有限公司 Motor car rear end doo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5980B1 (en) * 2002-05-18 2004-11-06 유희수 Emergency exit door locker
KR20170113718A (en) * 2016-03-24 2017-10-13 한화엘앤씨 주식회사 The locking device working by electronic type and mechanical type
KR200487248Y1 (en) * 2017-04-28 2018-09-28 남호길 Integral key to electronic key and lock therewith
CN110861668A (en) * 2019-12-11 2020-03-06 江苏中展车辆配件有限公司 Motor car rear end do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82931B1 (en) Electrically operated actuator and method
US7145436B2 (en)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US7140214B2 (en) Electro-mechanical cylinder lock-key combination with optical code
HK1039510A1 (en) Lock with an electromechanical coupling arrangement.
NZ544843A (en) Electromechanical lock cylinder
US20090255303A1 (en) Lock cylinder arrangement
WO2005116373A1 (en) Locking apparatus having a latch bolt separated from cylinder
KR20000017108U (en) Mechanical and Electric Combined Use Locking System for Building Door
CN109403719B (en) Intelligent panel lock
KR100535243B1 (en) Door locking device
EP0527336A2 (en) Door unlocking device
US20070199355A1 (en) Actuating Module For A Motor Vehicle
KR101917241B1 (en) Electronic type dead lock
KR100756333B1 (en) Back set for door lock device
CN219773889U (en) Latch device and latch system
DE10348871A1 (en) Combined vehicle immobilization and steering column control system
KR200330586Y1 (en) Door locking device
KR100497596B1 (en) Door locker
JP2000272563A (en) Safety device of remote control type automatic lock for bicycle
KR200322399Y1 (en) Door unlocking device
JP3670326B2 (en) Cylinder for lock
KR200369715Y1 (en) Manual controller for dead bolt in a door lock
CN211173488U (en) Electromechanical lock cylinder and lock thereof
KR200381631Y1 (en) Automatic Locking Device of Sliding Window
EP1126104A3 (en) Door clos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