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7596B1 - Door locker - Google Patents

Door lock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7596B1
KR100497596B1 KR10-2003-0035666A KR20030035666A KR100497596B1 KR 100497596 B1 KR100497596 B1 KR 100497596B1 KR 20030035666 A KR20030035666 A KR 20030035666A KR 100497596 B1 KR100497596 B1 KR 1004975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locking
door
locking bar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56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0104153A (en
Inventor
고병화
Original Assignee
유기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기호 filed Critical 유기호
Priority to KR10-2003-0035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7596B1/en
Publication of KR20040104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415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7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7596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20Means independent of the locking mechanism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pening, e.g. for securing the bolt in the fastening position
    • E05B17/2084Means to prevent forced opening by attack, tampering or jimmy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5Output elements of actuators
    • E05B2047/0016Output elements of actuators with linearly reciprocating mo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07C2009/007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잠금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잠금 장치는 도어를 도어프레임에 록킹하기 위한 도어 잠금 장치에 있어서, 도어에 고정적으로 부착되며, 일측으로 뻗어 있는 복수의 조립봉을 갖는 부착판과; 부착판에 대해 간격조절이 가능하도록 조립봉에 조립되는 몸체와, 도어프레임에 록킹되는 록킹위치와 도어프레임에서 록킹해제되는 해제위치 사이에서 운동하도록 몸체에 설치되는 록킹바와, 록킹바를 운동시키는 운동수단을 갖는 자물쇠와; 자물쇠의 몸체에 내장되며,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수신부와, 무선수신부의 무선신호에 따라 운동수단을 구동하는 제어부를 갖는 제어모듈과; 운동수단을 원격 구동할 수 있도록 무선수신부로 무선신호를 출력하는 원격조작식 열쇠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자물쇠를 조작하기 위한 열쇠구멍이 없으므로 철사, 핀, 등과 같은 유사 열쇠로 자물쇠를 해제할 수 없다. 특히, 외부에서 자물쇠의 설치위치를 확인할 수 없으므로 자물쇠를 강제적으로 조작할 수 없다. 또한, 자물쇠와 열쇠를 직접적으로 접촉시키지 않고서도 자물쇠의 조작이 가능함에 따라 사용하기가 매우 편리하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oor locking device. A lock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oor locking device for locking a door to a door frame, the lock device being fixedly attached to the door and having a plurality of assembly rods extending to one side; The body is assembled to the assembly rod to be able to adjust the gap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plate, the locking bar is installed on the body to move between the locking position of the locking to the door frame and the release position of unlocking the door frame, and the movement means for moving the locking bar A lock having; A control module embedded in the body of the lock and having a wireless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wireless signal, and a control unit for driving the movement means according to the wireless signal of the wireless receiving unit; It includes a remote control key for outputting a radio signal to the radio receiver to remotely drive the exercise means. According to this invention, since there is no keyhole for operating the lock, the lock cannot be unlocked with a similar key such as a wire, a pin, or the like. In particular, since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lock cannot be confirmed from the outside, the lock cannot be forcibly operated. It is also very convenient to use as the lock can be operated without directly contacting the lock and the key.

Description

도어 잠금 장치{DOOR LOCKER}Door locks {DOOR LOCKER}

본 발명은 도어 잠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철사, 핀, 등과 같은 유사 열쇠로 해제할 수 없고, 설치위치를 확인하기 어려워 자물쇠의 강제적인 조작을 방지할 수 있는 도어 잠금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lock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oor lock device that can not be released by a similar key such as a wire, a pin, etc., and it is difficult to confirm the installation position, thereby preventing a forced operation of the lock. .

일반적으로, 도어에는 도어의 개방을 제한하기 위한 도어 잠금 장치가 설치된다. 도어 잠금 장치는 열쇠구멍을 갖는 자물쇠와, 자물쇠의 열쇠구멍에 맞춰지는 열쇠로 구성되는 것으로, 자물쇠를 도어에 설치한 다음, 열쇠구멍에 열쇠를 끼워 맞춰 상기 자물쇠를 조작함으로써 도어를 잠그거나 해제하도록 구성된다. In general, the door is provided with a door lock for limiting the opening of the door. A door lock consists of a lock with a keyhole, and a key that fits into the keyhole of the lock, which is installed in the door, and then fitted with a key in the keyhole to lock or unlock the door. It is composed.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도어 잠금 장치는 쉽게 해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자물쇠의 열쇠구멍에 철사, 핀 등을 강제로 넣어 상기 자물쇠를 쉽게 조작하거나 또는 열쇠와 유사한 형태의 유사 열쇠에 의해서도 자물쇠의 조작이 가능하여 손쉽게 잠금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도어 잠금 장치는 외부로 노출되는 열쇠구멍에 의해 그 설치위치가 외부에서도 확인가능한 바, 물리적인 방법으로 자물쇠를 뜯어 잠금 상태를 강제로 해제시킬 수 있다는 문제점도 있다. However, such a conventional door lock device has a problem that is easily released. That i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lock can be easily operated by forcibly inserting a wire, a pin, etc. into the keyhole of the lock, or the lock can be operated by a similar key having a form similar to that of the key.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door lock device has a problem in that the installation position can be confirmed from the outside by the keyhole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lock state can be forcibly released by physically removing the lock.

한편, 이를 감안하여 보조 잠금 장치를 도어에 설치하기도 하지만, 보조 잠금 장치 역시, 열쇠구멍을 갖는 자물쇠와, 열쇠구멍에 맞춰지는 열쇠로 이루어지는 바, 잠금 상태를 쉽게 해제시킬 수 있고, 또한 그 설치위치도 외부에서도 확인되는 바, 잠금 상태를 강제적으로 해제시킬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in view of this, an auxiliary locking device may be provided in the door, but the auxiliary locking device also includes a lock having a keyhole and a key fitted to the keyhole, so that the locking state can be easily released and the installation position thereof. Also confirmed from the outside,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lock state can be forcibly released.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외부에서 조작할 수 없게 구성함으로써 철사, 핀, 등과 같은 유사 열쇠로 잠금 해제시킬 수 없도록 한 도어 잠금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oor locking device that can not be unlocked by similar keys such as wires, pins, etc. by configuring the external operation. hav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부에서 설치 위치를 확인할 수 없게 구성함으로써 잠금 해제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도어 잠금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oor locking device that can prevent the release of the original by configur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from the outside can not be confirmed.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어를 도어프레임에 록킹하기 위한 도어 잠금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 고정적으로 부착되며, 일측으로 뻗어 있는 복수의 조립봉을 갖는 부착판과; 상기 부착판에 대해 간격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조립봉에 조립되는 몸체와, 상기 도어프레임에 록킹되는 록킹위치와 상기 도어프레임에서 록킹해제되는 해제위치 사이에서 운동하도록 상기 몸체에 설치되는 록킹바와, 정,역회전이 가능한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도록 상기 몸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동운동하면서 상기 록킹바를 록킹위치에서 해제위치로, 해제위치에서 록킹위치로 밀어 운동시키는 작동로드를 구비한 운동수단을 갖는 자물쇠와; 상기 몸체에 내장되며,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수신부와, 상기 무선수신부로부터 입력되는 무선신호에 따라 상기 운동수단을 구동하는 제어부를 갖는 제어모듈과; 상기 운동수단을 원격 구동할 수 있도록 상기 무선수신부로 무선신호를 출력하는 원격조작식 열쇠와; 상기 록킹바에 형성되는 가압면과 록킹위치로부터 해제위치로 운동하는 상기 록킹바의 가압면과 접촉하여 상기 록킹바의 운동을 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작동로드에 형성되는 저지면을 가지고, 상기 록킹바를 록킹위치에서 해제위치로 강제 가압시 상기 록킹바의 운동을 저지하는 운동저지수단을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oor locking device for locking a door to a door frame, the fixing plate being fixed to the door and having a plurality of assembly rods extending to one side; A locking bar installed on the body so as to move between the body assembled to the assembly rod to adjust the spacing with respect to the attachment plate, a locking position locked to the door frame and a release position unlocked from the door frame; It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body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drive motor and the drive motor capable of reverse rotation, and the movement of the locking bar from the locking position to the release position, from the release position to the locking position while rotating by the drive motor. A lock having movement means having a rod; A control module embedded in the body and having a wireless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wireless signal, and a control unit for driving the exercise unit according to a wireless signal input from the wireless receiving unit; A remote control key for outputting a radio signal to the radio receiver to remotely drive the exercise means; The locking bar has a pressing surface formed on the locking bar and a blocking surface formed on the operating rod to stop the movement of the locking bar in contact with the pressing surface of the locking bar moving from the locking position to the release position. It includes a motion blocking means for preventing the movement of the locking bar when forcibly pressed from the position to the release posi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door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도어 잠금 장치는 자물쇠(10)와, 자물쇠 (10)를 도어(D)에 부착시키기 위한 부착판(70)과, 자물쇠(10)를 원거리에서 조작할 수 있는 원격조작식 열쇠(60)로 구성된다. First, referring to Figure 1, the door lock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operate the lock 10, the attachment plate 70 for attaching the lock 10 to the door (D), the lock 10 can be remotely operated Remote control key (60).

이를 상세하게 살펴보면, 자물쇠(10)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2)를 갖는다. 몸체(12)는 베이스(14)와, 베이스(14)의 일측에 조립되는 커버 (16)로 구성된다. Looking at this in detail, the lock 10 has a body 12 as shown in Figs. The body 12 is composed of a base 14 and a cover 16 assembled to one side of the base 14.

베이스(14)는 부착판(70)으로부터 뻗어 있는 조립봉(74)에 조립되는 것으로, 가이드 구멍(18a)을 갖는 가이드(18)를 구비하며, 가이드(18)의 가이드 구멍(18a)에는 록킹바(20)가 직선 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록킹바(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6)에 형성된 관통구멍(16a)을 통과하여 몸체(12)의 외측으로 돌출가능한 것으로, 몸체(12)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록킹위치("A")와, 몸체(12)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해제위치("B") 사이에서 왕복운동하도록 구성된다. The base 14 is assembled to the assembling rod 74 extending from the attachment plate 70, and includes a guide 18 having a guide hole 18a, and a locking in the guide hole 18a of the guide 18. The bar 20 is installed to be linearly movable. As shown in FIG. 2, the locking bar 20 may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body 12 through the through hole 16a formed in the cover 16, and the locking position 20 may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body 12. And “A”) and a releasing position (“B”) inserted into the body 12.

이러한 록킹바(20)는 록킹위치("A")에서 도어프레임(F)의 일측 부분(F1)에 걸리도록 구성되어 도어(D)를 도어프레임(F)에 록킹시킨다. 그리고 해제위치("B")에서는 도어프레임(F)의 일측 부분(F1)과 걸림 해제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도어(D)를 도어프레임(F)으로부터 록킹 해제시킨다. 한편, 베이스(14)에는 록킹바(20)의 직선운동을 돕기 위한 가이드레일(14a)이 형성되어 있으며, 록킹바(20)에는 가이드레일(14a)이 끼워지는 가이드홈(20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레일(14a)에는 록킹바(20)와 접촉하여 구름운동하는 가이드롤러(14b)가 설치되어 있으며, 록킹바 (20)에는 가이드롤러(14b)가 삽입되어 구름 접촉할 수 있는 가이드슬롯(20b)이 마련되어 있다. 가이드롤러(14b)와 가이드슬롯(20b)은 록킹바(20)의 직선운동을 원활하게 한다. The locking bar 20 is configured to be locked to one side portion F1 of the door frame F at the locking position “A” to lock the door D to the door frame F. And the release position ("B") is configured to release the engagement with one side portion (F1) of the door frame (F) to release the door (D) from the door frame (F). On the other hand, the base 14 is formed with a guide rail 14a for helping linear movement of the locking bar 20, and the locking bar 20 is formed with a guide groove 20a into which the guide rail 14a is fitted. have. In addition, the guide rail 14a is provided with a guide roller 14b for rolling in contact with the locking bar 20, and a guide slot for inserting the guide roller 14b into the locking bar 20 to be in contact with the cloud. 20b is provided. The guide roller 14b and the guide slot 20b smooth the linear motion of the locking bar 20.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자물쇠(10)에는 록킹바(20)를 하부의 해제위치("B")에서 상부의 록킹위치("A")로, 상부의 록킹위치("A")에서 하부의 해제위치("B")로 직선 운동시키는 운동수단을 구비한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 4, the lock 10 has the locking bar 20 from the lower release position ("B") to the upper locking position ("A") and the upper locking position ("A"). And a movement means for linearly moving to the lower release position " B ".

운동수단은, 회동축(30a)을 중심으로 베이스(14)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단부가 록킹바(20)의 걸림홈(22)에 삽입되는 작동로드(30)와, 작동로드(30)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모터(32)로 구성된다. 특히, 운동수단은 구동모터(32)의 구동력을 작동로드(30)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34)를 더 구비하며, 이 동력전달장치(34)는 구동모터(32)의 출력축(32a)에 설치되는 구동베벨기어 (34a)와, 구동베벨기어(34a)와 치합될 수 있도록 작동로드(30)의 회동축(30)에 설치되는 종동베벨기어(34b)로 구성된다. The movement means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base 14 around the rotation shaft 30a, and an end of which is inserted into the engaging groove 22 of the locking bar 20, and an operating rod 30 It consists of a drive motor 32 for rotating 30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In particular, the movement means further comprises a power transmission device 34 for transmitting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e motor 32 to the operation rod 30, the power transmission device 34 is the output shaft (32a) of the drive motor 32 It is composed of a driving bevel gear (34a) is installed in, and a driven bevel gear (34b) is installed on the rotating shaft 30 of the operating rod 30 to be engaged with the driving bevel gear (34a).

이러한 운동수단은, 구동모터(32)로써 작동로드(30)를 회동운동시키면, 상기 작동로드(30)는 회동축(30a)을 중심으로 회동운동하면서 상기 록킹바(20)를 상부로 밀어 올리거나 또는 하부로 잡아당기게 된다. 따라서, 상기 록킹바(20)는 하부의 해제위치("B")에서 상부의 록킹위치("A")로 운동하거나 또는 상부의 록킹위치("A")에서 하부의 해제위치("B")로 운동한다. Such movement means, when the operating rod 30 is rotated by the drive motor 32, the operating rod 30 is pushed up the locking bar 20 while rotating the rotation around the rotation shaft (30a). Or pulled downwards. Therefore, the locking bar 20 moves from the lower release position "B" to the upper locking position "A", or the lower locking position "A" at the lower release position ("B"). To exercise.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작동로드(30)의 회동축(30a)에는 작동손잡이(36)가 조립되어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작동손잡이(36)는 수동으로 작동로드(30)를 회동시킬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상기 작동로드(30)를 수동으로 회동시킴으로써 록킹바(20)를 수동으로 운동시킬 수 있게 한다. 특히, 록킹바(20)를 수동으로 운동시킴으로써 자물쇠(10)를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게 한다. 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ure 3, the operating handle 36 is assembled to the rotating shaft 30a of the operating rod 30 is configur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The operating handle 36 allows the operating rod 30 to be manually rotated, thereby manually moving the locking bar 20 by manually rotating the operating rod 30. In particular, by manually moving the locking bar 20, the lock 10 can be operated manually.

다시, 도 4를 살펴보면, 자물쇠(10)는 록킹위치("A")에 배치된 록킹바(20)를 강제로 눌러 가압할 경우, 상기 록킹바(20)가 록킹위치("A")로부터 해제위치("B")로 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운동저지수단을 구비한다. Referring again to FIG. 4, when the lock 10 is forcibly pressurized by pressing the locking bar 20 disposed at the locking position “A”, the locking bar 20 is moved from the locking position “A”. And an exercise restraining means for preventing movement to the release position " B ".

운동저지수단은, 록킹바(20)에 형성되는 가압면(24)과, 이 가압면(24)과 접촉할 수 있도록 작동로드(30)에 형성되는 저지면(38)으로 구성된다. 특히, 저지면 (38)은 록킹위치("A")로부터 해제위치("B")로 운동하는 록킹바(20)의 가압면(24)과 접촉함으로써 록킹바(20)의 하강 운동을 저지할 수 있게 구성된다. The motion blocking means is composed of a pressing surface 24 formed on the locking bar 20 and a stopping surface 38 formed on the working rod 30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pressing surface 24. In particular, the blocking surface 38 prevents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locking bar 20 by contacting the pressing surface 24 of the locking bar 20 moving from the locking position "A" to the release position "B". It is configured to be possible.

이러한 운동저지수단은 작동로드(30)의 록킹바(20)를 강제로 눌러 가압할 경우, 록킹바(20)에 가해진 가압력을 작동로드(30)가 받쳐 지지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록킹바(20)의 하강운동을 저지한다. 특히, 록킹바(20)의 운동을 저지함으로써 외부의 침입자가 자물쇠(10)를 물리적인 힘으로 조작하여 강제로 잠금 해제하는 것을 방지한다. When the movement restraining means presses the locking bar 20 of the actuating rod 30 forcibly and pressurizes it, the actuating force applied to the locking bar 20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actuating rod 30 so as to support the locking bar 20. Stop the descent movement. In particular, by preventing the movement of the locking bar 20, the external intruder is prevented from forcibly unlocking by operating the lock 10 with a physical force.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자물쇠(10)는 구동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공급부(40)와, 구동모터(32)를 제어하는 제어모듈(50)을 구비한다. Again, referring to FIG. 3, the lock 10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40 for providing driving power and a control module 50 for controlling the driving motor 32.

전원공급부(40)는 배터리(42)로 구성된다. 배터리(42)는 제어모듈(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베이스(14)와 커버(16)를 분리한 후, 교환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배터리(42)를 충전이 가능한 충전용 배터리로 구성함으로써 충전식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power supply 40 is composed of a battery 42. The battery 42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module 50, and after the base 14 and the cover 16 are separated, the battery 42 is configured to be replaceable. In this case, the battery 42 may be configured to be rechargeable by configuring a rechargeable battery that can be charged.

제어모듈(5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수신부(52)와, 무선수신부(52)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처리하는 제어부(54)로 구성된다. 무선수신부(52)는 원격조작식 열쇠(60)로부터 송출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제어부(54)는 고유 코드값을 내장하고 있으며, 무선수신부(52)로 입력되는 무선신호 내의 코드값과 내장된 코드값을 비교 판단하여, 서로 일치하는 경우에만 구동모터(32)를 구동시킨다. 뿐만 아니라 제어부(54)는 무선수신부(52)로부터 수신되는 무선신호에 의거하여 교번적으로 전류의 흐름방향을 변환시킴으로써 구동모터(32)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구동시킨다. As shown in FIG. 5, the control module 50 includes a wireless receiver 52 and a controller 54 for processing a signal input from the wireless receiver 52. The radio receiver 52 receives a ra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 key 60. In addition, the controller 54 has a built-in code value, and compares the code value in the wireless signal input to the wireless receiver 52 with the embedded code value to drive the driving motor 32 only when they match each other. .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54 drives the driving motor 32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by alternately changing the flow direction of the current based on the radio signal received from the radio receiver 52.

한편, 도 5를 참조하여 자물쇠(10)를 조작하기 위한 원격조작식 열쇠(60)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원격조작식 열쇠(60)는 전원공급부(62)와, 키조작부 (64)를 구비한다. 전원공급부(62)는 구동전원을 제공하며, 키조작부(64)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키신호를 발생한다. 키조작부(6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 (64a)으로 구성된다. 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ure 5 with respect to the remote control key 60 for operating the lock 10 as follows. The remote control key 60 includes a power supply 62 and a key control 64. The power supply unit 62 provides driving power, and the key operation unit 64 generates a key signal by a user's operation. The key operation unit 64 is constituted by a button 64a as shown in FIG.

그리고 원격조작식 열쇠(6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65)와, 무선송신부(66)를 갖는다. 제어부(65)는 키조작부(64)로부터 키신호가 입력되면,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특히, 제어부(65)는 고유 코드값을 내장하고 있으며, 내장된 코드값을 제어신호에 포함시켜 무선송신부(66)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제어부(65)에 내장된 고유 코드값은 자물쇠(10)의 제어부(54)에 내장된 고유 코드값과 동일함은 물론이다. And the remote control key 60 has a control unit 65 and a wireless transmitter 66 as shown in FIG. The control unit 65 generates a control signal when a key signal is input from the key operation unit 64. In particular, the controller 65 has a built-in code value, and includes the embedded code value in the control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wireless transmitter 66. Here, the unique code value built into the control unit 65 is the same as the unique code value built into the control unit 54 of the lock 10.

무선송신부(66)는 코드값이 포함된 제어신호를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무선송출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자물쇠(10)의 무선수신부(52)로 무선신호를 송출한다. The wireless transmitter 66 converts a control signal including a code value into a wireless signal and wirelessly transmits the converted signal. In particular, the radio signal is sent to the radio receiver 52 of the lock 10.

이러한 원격조작식 열쇠(6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자물쇠(10)를 제어하는 무선신호를 송출함으로써 원격지에서도 자물쇠(10)를 조작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원격지에서도 자물쇠(10)의 조작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자물쇠(10)와의 직접적인 접촉 없이도 도어(D)를 잠그거나 해제할 수 있다. The remote control key 60 transmits a radio signal for controlling the lock 10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so that the lock 10 can be operated even at a remote place. In particular, by enabling the operation of the lock 10 even at a remote location, the door D can be locked or released without direct contact with the lock 10.

한편, 도 6에는 원격조작식 열쇠(6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의 원격조작식 열쇠(60)는 지문인식모듈(67)과, 메모리부 (68)를 더 구비한다. On the other hand, Figure 6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remote control key 60. The remote control key 60 of another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fingerprint recognition module 67 and a memory unit 68.

지문인식모듈(67)은 사용자의 지문을 입력하는 광학계와, 입력되는 이미지를 처리하는 이미지처리부 등을 갖추고 있으며, 사용자의 지문을 스캐닝하고, 스캐닝된 지문정보를 제어부(65)로 전송한다. 지문인식모듈(67)의 구성과 작동은 공지된 것이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fingerprint recognition module 67 includes an optical system for inputting a user's fingerprint, an image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an input image, and the like, and scans the user's fingerprint and transmits the scanned fingerprint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65. Since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fingerprint recognition module 67 are well known,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메모리부(68)는 제어부(65)로부터 전송된 사용자의 지문정보를 저장하거나 또는 필요에 따라 저장된 지문정보를 제어부(65)로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저장되는 지문정보는 추후에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기준 지문정보가 된다. The memory unit 68 stores the fingerprint information of the user transmitted from the controller 65 or provides the stored fingerprint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65 as needed. In this case, the stored fingerprint information becomes reference fingerprint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 user later.

한편, 다른 실시예의 원격조작식 열쇠(60)는 키조작부(64)의 조작에 따라 "지문정보 저장모드"와, "자물쇠 작동모드" 두 가지 모드로 작동되도록 구성된다. "지문정보 저장모드"는 지문인식모듈(67)을 통해 기준 지문정보를 입력받아 메모리부(68)에 저장하는 모드이다. "자물쇠 작동모드"는 지문인식모듈(67)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 지문정보와 메모리부(68)에 저장된 기준 지문정보를 비교 판단하여, 서로 일치할 경우에만 자물쇠(10)를 제어하는 모드이다. 여기서, 키조작부(64)는 원격조작식 열쇠(60)의 각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 선택버튼을 구비하며, 제어부 (65)는 각 모드 선택버튼으로부터 입력되는 키 신호에 대응하여 원격조작식 열쇠 (60)의 동작모드를 전환하는 기능을 갖는다.On the other hand, the remote control key 60 of another embodiment is configured to operate in two modes "fingerprint information storage mode" and "lock operation mode"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key operation unit (64). The fingerprint information storage mode is a mode in which reference fingerprint information is received through the fingerprint recognition module 67 and stored in the memory unit 68. The "lock operation mode" is a mode for comparing and determining the user fingerprint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fingerprint recognition module 67 and the reference fingerprint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unit 68 and controlling the lock 10 only when they match each other. Here, the key operation unit 64 has a mode selection button for selecting each mode of the remote operation key 60, and the control unit 65 corresponds to the remote operation key in response to the key signal input from each mode selection button. It has a function of switching the operation mode of 60.

이와 같은 다른 실시예의 원격조작식 열쇠(60)는 사용자의 지문정보와 저장된 기준 지문정보를 비교하여 서로 일치될 경우에만, 자물쇠(10)를 조작할 수 있게 함으로써 타인이 자물쇠(10)를 조작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한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remote control key 60 compares the user's fingerprint information with the stored reference fingerprint information, and only allows the lock 10 to be operated when the key 10 matches with each other. Block it at its source.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자물쇠(10)를 도어(D)에 부착시키기 위한 부착판(70)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부착판(70)은 부착수단, 예를 들어 접착제 등에 의해 도어(D)의 내측에 부착되며, 그 상단에는 도어(D)의 상단에 걸어지는 걸림절곡부(72)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절곡부(72)는 도어(D)의 상단에 걸어 지지됨으로써 도어(D)에 대한 부착판(70)의 결합력을 높여준다. Next, referring to Figures 1 to 3 with respect to the attachment plate 70 for attaching the lock 10 to the door (D) as follows. The attachment plate 70 is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door D by an attachment means, for example, an adhesive, etc., and an engaging bending portion 72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attachment plate 70. The locking bent portion 72 is supported by the upper end of the door (D) to increase the coupling force of the attachment plate 70 to the door (D).

한편, 걸림절곡부(7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을 넓게 하여 도어(D)의 상단부 전체에 걸어질 수도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판(70)과 분리되는 별도로 구성된 부품으로 구성된 후, 부착판(70)에 볼트(72a)와 너트(72b)로 조립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the locking bent portion 72 may be hooked over the entire upper end of the door (D) by widening the width as shown in FIG. In addition, as shown in FIG. 8, after being configured as a separate component separated from the attachment plate 70, the attachment plate 70 may be assembled using a bolt 72a and a nut 72b.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살펴보면, 부착판(70)은 가장자리로부터 뻗어 있는 4개의 조립봉(74)을 구비한다. 조립봉(74)들은 자물쇠(10)의 베이스(14)에 형성된 관통구멍(14c)에 끼워져 관통되며, 관통된 조립봉(74)에는 체결너트(75)가 나사체결된다. 이렇게, 자물쇠(10)의 관통구멍(14c)에 끼워진 후, 체결너트(75)와 나사체결되는 조립봉(74)은, 자물쇠(10)를 고정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자물쇠(10)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자물쇠(10)를 도어(D)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조립봉(74)에는 베이스(14)를 사이에 두고 상기 체결너트(75)와 대응되는 지지너트(76)가 나사결합되어 있다. 지지너트(76)는 체결너트(75)와 함께 베이스(14)의 양측을 지지하여 베이스(14)의 유동을 방지한다. Again, referring to FIGS. 1 to 3, the attachment plate 70 has four assembly rods 74 extending from the edge. The assembling rods 74 are inserted through the through holes 14c formed in the base 14 of the lock 10, and the fastening nut 75 is screwed into the through assembling rod 74. Thus, the assembly rod 74 screwed to the fastening nut 75 after being fitted into the through hole 14c of the lock 10 serves to support the lock 10 fixedly. In particular, by supporting the lock 10 serves to fix the lock 10 to the door (D). Here, a support nut 76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nut 75 is screwed to the assembly rod 74 with the base 14 therebetween. The support nut 76 supports both sides of the base 14 together with the fastening nut 75 to prevent the flow of the base 14.

한편, 조립봉(74)에 조립되는 자물쇠(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립봉(74)을 따라 이동하면서 그 위치가 조절되며, 따라서 록킹바(20)와 접촉되는 도어 프레임(F)의 일측 부분(F1)과, 자물쇠(10)가 부착되는 도어(D)의 간격(ℓ)에 맞춰 자물쇠(1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lock 10 is assembled to the assembly rod 74, the position is adjusted while moving along the assembly rod 74, as shown in Figure 2, and thus the door frame in contact with the locking bar 20 The position of the lock 10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pace | interval l of one side part F1 of (F), and the door D to which the lock 10 is attached.

즉, 부착판(70)을 도어(D)에 고정적으로 부착한 다음, 부착판(70)의 조립봉 (74)에 자물쇠(10)를 임시로 끼운다. 그리고 임시로 끼워진 자물쇠(10)를 상기 조립봉(74)을 따라 이동시키면서 록킹바(20)의 일측과 도어프레임(F)의 일측 부분 (F1)을 정렬시킨다. 그리고 록킹바(20)와 도어프레임(F)의 정렬이 완료되면, 지지너트(76)와 체결너트(75)를 각각 회전시켜서 자물쇠(10)의 베이스(14) 양측에 밀착시킨다. 그러면, 자물쇠(10)는 도어프레임(F)과 정렬되면서 도어(D)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것이다. That is, the attachment plate 70 is fixedly attached to the door D, and then the lock 10 is temporarily inserted into the assembly rod 74 of the attachment plate 70. And one side of the locking bar 20 and the one side portion (F1) of the door frame (F) while moving the lock 10 temporarily fitted along the assembly rod (74). When the alignment of the locking bar 20 and the door frame F is completed, the support nut 76 and the fastening nut 75 are rotat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base 14 of the lock 10. Then, the lock 10 is fixed to the door (D) while being aligned with the door frame (F).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은, 자물쇠(1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도어프레임(F)의 폭, 도어(D)와 도어프레임(F)의 간격 등과 같은 설치되는 곳의 구조에 구애받지 않고 본 발명의 도어 잠금 장치를 원하는 곳에 설치할 수 있게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configured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lock 10, regardless of the structure of the installation place, such as the width of the door frame (F), the distance between the door (D) and the door frame (F). It is possible to install the door lock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 desired.

다음으로,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사용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판(70)을 도어(D)에 부착시킨 다음, 부착판(70)의 조립봉(74)에 자물쇠(10)를 고정적으로 조립한다. 이때, 자물쇠(10)를 이동시키면서 자물쇠(10)의 록킹바(20)와 도어프레임(F)의 일측 부분(F1)을 정렬시켜야 함은 물론이다.Next, look at the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as follows. First, as shown in FIG. 2, the attachment plate 70 is attached to the door D, and then the lock 10 is fixedly assembled to the assembly rod 74 of the attachment plate 70. At this time, the lock bar 20 of the lock 10 and the one side portion (F1) of the door frame (F) must be aligned while moving the lock 10, of course.

이러한 상태에서 도어(D)를 도어프레임(F)에 록킹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우선, 도어(D)를 닫은 다음, 외부에서 원격조작식 열쇠(60)의 버튼(64a)을 누른다. 그러면, 도 5에서와 같이 열쇠(60)의 키조작부(64)에서는 키신호를 발생되고, 발생된 키신호는 제어부(65)로 입력된다. 그리고 키신호가 입렵된 제어부(65)는 코드값이 포함된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출력된 제어신호는 무선송신부(66)를 통해 자물쇠 (10)의 무선수신부(52)로 입력된다. When the door D is to be locked to the door frame F in such a state, first, the door D is closed, and then the button 64a of the remote control key 60 is pushed from the outside. Then, as shown in FIG. 5, the key operation unit 64 of the key 60 generates a key signal, and the generated key signal is input to the control unit 65. The control unit 65 in which the key signal is inputted outputs a control signal including a code value, and the output control signal is input to the wireless receiving unit 52 of the lock 10 through the wireless transmitting unit 66.

한편, 무선수신부(52)로 입력된 제어신호는 제어부(54)로 입력되며, 제어신호가 입력된 제어부(54)는 입력된 제어신호의 코드값과 내장된 코드값을 비교 판단한다. 이때, 입력된 코드값과 내장된 코드값이 서로 일치하면, 제어부(54)는 구동신호를 출력하여 구동모터(32)를 정방향으로 구동시킨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signal input to the wireless receiver 52 is input to the control unit 54, the control unit 54 input the control signal is compared to determine the code value of the input control signal and the embedded code value. At this time, if the input code value and the embedded code value match each other, the control unit 54 outputs a drive signal to drive the drive motor 32 in the forward direction.

그리고 구동모터(32)가 정방향으로 구동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로드(30)가 정방향으로 회동하면서 록킹바(20)를 해제위치("B")에서 록킹위치("A")로 밀어 올린다. 이러한 상태에서 록킹바(20)는 도어프레임(F)의 일측 부분(F1)에 걸리면서 도어(D)를 도어프레임(F)에 록킹시킨다. When the driving motor 32 is driven in the forward direction, as shown in FIG. 4, the actuation rod 30 rotates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the locking bar 20 is released from the unlocking position (“B”). Push it up. In this state, the locking bar 20 locks the door D to the door frame F while being caught by one side F1 of the door frame F.

끝으로, 도어(D)를 도어프레임(F)으로부터 록킹해제시키고자 할 경우를 살펴보면, 먼저, 외부에서 원격조작식 열쇠(60)의 버튼(64a)을 누른다. 그러면, 도 5에서와 같이 열쇠(60)의 키조작부(64)에서는 키신호를 발생되고, 발생된 키신호는 제어부(65)로 입력된다. 그리고 키신호가 입렵된 제어부(65)는 코드값이 포함된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출력된 제어신호는 무선송신부(66)를 통해 자물쇠(10)의 무선수신부(52)로 입력된다. Finally, looking at the case to release the door (D) from the door frame (F), first, press the button 64a of the remote control key 60 from the outside. Then, as shown in FIG. 5, the key operation unit 64 of the key 60 generates a key signal, and the generated key signal is input to the control unit 65. The control unit 65 in which the key signal is inputted outputs a control signal including a code value, and the output control signal is input to the wireless receiving unit 52 of the lock 10 through the wireless transmitting unit 66.

한편, 무선수신부(52)로 입력된 제어신호는 제어부(54)로 입력되며, 제어신호가 입력된 제어부(54)는 입력된 제어신호의 코드값과 내장된 코드값을 비교 판단한다. 이때, 입력된 코드값과 내장된 코드값이 서로 일치하면, 제어부(54)는 구동신호를 출력하여 구동모터(32)를 역방향으로 구동시킨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signal input to the wireless receiver 52 is input to the control unit 54, the control unit 54 input the control signal is compared to determine the code value of the input control signal and the embedded code value. At this time, if the input code value and the embedded code value match each other, the control unit 54 outputs a drive signal to drive the drive motor 32 in the reverse direction.

그리고 구동모터(32)가 역방향으로 구동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로드(30)가 역방향으로 회동하면서 록킹바(20)를 록킹위치("A")에서 해제위치("B")로 하강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록킹바(20)는 도어프레임(F)의 일측 부분(F1)으로부터 걸림 해제되며, 따라서 상기 도어(D)를 도어프레임(F)으로부터 록킹해제시킨다. When the driving motor 32 is driven in the reverse direction, as shown in FIG. 4, the actuation rod 30 rotates in the reverse direction, and the locking bar 20 is released from the locking position (“A”) at the release position (“B”). Descend to In this state, the locking bar 20 is released from one side portion F1 of the door frame F, and thus releases the door D from the door frame F.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by way of exampl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specific embodiments, and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어 잠금 장치에 의하면, 자물쇠를 조작하기 위한 열쇠구멍이 없으므로 철사, 핀, 등과 같은 유사 열쇠로 자물쇠를 해제할 수 없다. 특히, 외부에서 자물쇠의 설치위치를 확인할 수 없으므로 자물쇠를 강제적으로 조작할 수 없다. 또한, 자물쇠와 열쇠를 직접적으로 접촉시키지 않고서도 자물쇠의 조작이 가능함에 따라 사용하기가 매우 편리하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door lock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re is no key hole for operating the lock, the lock cannot be released with a similar key such as a wire, a pin, or the like. In particular, since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lock cannot be confirmed from the outside, the lock cannot be forcibly operated. It is also very convenient to use as the lock can be operated without directly contacting the lock and the ke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oor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door lo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Ⅲ-Ⅲ선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of FIG. 2;

도 4는 도 2의 Ⅳ-Ⅳ선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V-IV of FIG. 2;

도 5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제어보드와 원격조작식 열쇠를 나타내는 블록도,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board and a remote control key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원격조작식 열쇠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remote key;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부착판의 변형예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7 and 8 are views showing modifications of the mounting plate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 of drawing ♣

10: 자물쇠 12: 몸체10: lock 12: body

14: 베이스 16: 커버14: base 16: cover

18: 가이드 20: 록킹바18: Guide 20: Locking Bar

24: 가압면 30: 작동로드24: pressure side 30: operating rod

32: 구동모터 34: 동력전달장치32: drive motor 34: power train

38: 저지면 40: 전원공급부38: blocking surface 40: power supply

42: 배터리 50: 제어모듈42: battery 50: control module

52: 무선수신부 54: 제어부52: radio receiver 54: control unit

60: 원격조작식 열쇠 62: 전원공급부60: remote control key 62: power supply

64: 키조작부 65: 제어부64: key control unit 65: control unit

66: 무선송신부 67: 지문인식모듈66: wireless transmitter 67: fingerprint recognition module

68: 메모리부 70: 부착판68: memory 70: mounting plate

72: 걸림절곡부 74: 조립봉72: hook bending portion 74: assembly rod

Claims (6)

삭제delete 삭제delete 도어를 도어프레임에 록킹하기 위한 도어 잠금 장치에 있어서, A door locking device for locking a door to a door frame, 상기 도어에 고정적으로 부착되며, 일측으로 뻗어 있는 복수의 조립봉을 갖는 부착판과;An attachment plate fixed to the door and having a plurality of assembly rods extending to one side; 상기 부착판에 대해 간격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조립봉에 조립되는 몸체와, 상기 도어프레임에 록킹되는 록킹위치와 상기 도어프레임에서 록킹해제되는 해제위치 사이에서 운동하도록 상기 몸체에 설치되는 록킹바와, 정,역회전이 가능한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도록 상기 몸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동운동하면서 상기 록킹바를 록킹위치에서 해제위치로, 해제위치에서 록킹위치로 밀어 운동시키는 작동로드를 구비한 운동수단을 갖는 자물쇠와;A locking bar installed on the body so as to move between the body assembled to the assembly rod to adjust the spacing with respect to the attachment plate, a locking position locked to the door frame and a release position unlocked from the door frame; It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body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drive motor and the drive motor capable of reverse rotation, and the movement of the locking bar from the locking position to the release position, from the release position to the locking position while rotating by the drive motor. A lock having movement means having a rod; 상기 몸체에 내장되며,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수신부와, 상기 무선수신부로부터 입력되는 무선신호에 따라 상기 운동수단을 구동하는 제어부를 갖는 제어모듈과;A control module embedded in the body and having a wireless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wireless signal, and a control unit for driving the exercise unit according to a wireless signal input from the wireless receiving unit; 상기 운동수단을 원격 구동할 수 있도록 상기 무선수신부로 무선신호를 출력하는 원격조작식 열쇠와;A remote control key for outputting a radio signal to the radio receiver to remotely drive the exercise means; 상기 록킹바에 형성되는 가압면과 록킹위치로부터 해제위치로 운동하는 상기 록킹바의 가압면과 접촉하여 상기 록킹바의 운동을 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작동로드에 형성되는 저지면을 가지고, 상기 록킹바를 록킹위치에서 해제위치로 강제 가압시 상기 록킹바의 운동을 저지하는 운동저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 장치.The locking bar has a pressing surface formed on the locking bar and a blocking surface formed on the operating rod to stop the movement of the locking bar in contact with the pressing surface of the locking bar moving from the locking position to the release position. And a movement blocking means for preventing movement of the locking bar when forcibly pressurized from a position to a release posi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3-0035666A 2003-06-03 2003-06-03 Door locker KR10049759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5666A KR100497596B1 (en) 2003-06-03 2003-06-03 Door loc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5666A KR100497596B1 (en) 2003-06-03 2003-06-03 Door lock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4153A KR20040104153A (en) 2004-12-10
KR100497596B1 true KR100497596B1 (en) 2005-07-18

Family

ID=37379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5666A KR100497596B1 (en) 2003-06-03 2003-06-03 Door lock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759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78059B (en) * 2018-01-15 2024-06-18 浙江华仪电子股份有限公司 Intelligent access control system
KR102586000B1 (en) 2023-04-04 2023-10-06 주식회사 현대바이오랜드 Lactobacillus fermentum HDB1098 that selectively degrades acetaldehyde and composition for removing hangover containing the same as an active ingredi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4153A (en) 2004-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81024B1 (en) Device for locking and unlocking a door lock
JP5290394B2 (en) Micromotor locking system
US6539755B1 (en) Electric lock
US10174522B2 (en) Vending machine lock with motor controlled slide-bar and hook mechanism and electronic access
US4936122A (en) Electronic door lock assembly
US20060283216A1 (en) Electronic security device
US20100231350A1 (en) Mechatronic furniture lock
CN108915413B (en) Cabinet door lock and lock control system
US6793253B2 (en) Lock
KR101796737B1 (en) Locking device for a digital with lock indicating
CN218862324U (en) Lock assembly and door or window assembly with same
KR100763885B1 (en) Door lock apparatus
KR100497596B1 (en) Door locker
JP4936918B2 (en) Electric lock handle and electric lock system using the handle
KR100535243B1 (en) Door locking device
KR100713489B1 (en) Control apparatus cylinder type door-lock by an authenticating means and method of the same
JP2020056151A (en) Fitting and fitting control unit
EP3795784B1 (en) Storage device for key
JP3628872B2 (en) Electric door lock drive device
KR200212695Y1 (en) An electroic door lock
KR101810489B1 (en) Digital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Exit
KR101700387B1 (en) An Electric Type of Locking Device Having A Structure of Sliding Open and Shut
CN216197303U (en) Electronic lock
KR200330586Y1 (en) Door locking device
JP2006057304A (en) Emergency unlocking device of electronic l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5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