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6619A - T cell epitope peptide - Google Patents

T cell epitope peptid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6619A
KR20000016619A KR1019980710215A KR19980710215A KR20000016619A KR 20000016619 A KR20000016619 A KR 20000016619A KR 1019980710215 A KR1019980710215 A KR 1019980710215A KR 19980710215 A KR19980710215 A KR 19980710215A KR 20000016619 A KR20000016619 A KR 200000166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q
sequence
peptide
amino acid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102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562821B1 (en
Inventor
고스께 기노
가즈오 다이리끼
Original Assignee
나까야마 유
메이지 뉴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까야마 유, 메이지 뉴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나까야마 유
Priority to KR1019980710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2821B1/en
Publication of KR20000016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661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2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2821B1/en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1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5Allergens
    • A61K39/36Allergens from poll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Abstract

PURPOSE: A peptide immunotherapy composition against spring tree pollinoses is provided to have T cell epitope peptide of pollen allergen and the peptide as an effective ingredient. CONSTITUTION: The T cell epitope site on a Japanese cypress (hinoki) pollen allergen molecule has been identified by stimulating a T cell line established from a patient suffering from Japanese cypress pollen allergy with an overlap peptide covering the primary structure of the Japanese cypress pollen allergen. The peptide is useful in the immunotherapy or diagnosis of spring tree pollinoses including Japanese cypress pollinosis having cross reactivity with Japanese cypress pollen.

Description

T세포 에피토프 펩티드T cell epitope peptide

전국민의 약 10%가 고통을 호소하는 삼나무 화분을 대표로 하는 춘기 화분증은 더욱 증가 경향에 있어, 사회적으로도 주목받는 질병의 하나이다.Spring pollen, which is represented by cedar pollen, in which about 10% of the people complain of pain, tends to increase, which is one of the socially-recognized diseases.

일반적으로 화분증의 발증, 지속 기간은 화분의 비산 시기와 일치하는데, 삼나무 화분 비산 시기가 지나도 역시 증상이 지속되는 예가 상당히 있다. 이것은 삼나무 화분증 환자의 대다수가 노송나무 화분에도 동시에 감작되기 때문에 삼나무 화분 비산 시기보다 늦게 비산되는 노송나무 화분에도 반응하여 유증 기간이 오래 계속되기 때문이다.In general, the onset and duration of hay fever coincides with the timing of pollen's scattering, and there are quite a few cases where the symptoms persist even after the cedar pollen has spread. This is because the majority of cedar pollen patients are sensitized to cypress pollen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disease period lasts longer in response to the cypress pollen that is scattered later than the cedar pollen.

즉, 삼나무와 노송나무 화분은 공통된 항원성을 가져(이데 다께시 등, 알레르기 임상 11, 174-178, 1991), IgE 항체에 대한 삼나무, 노송나무간의 교차 반응성이 나타나 있으며(Taniai M. et al.: Mol. Immunol. 30, 183-189, 1993), 춘기 화분증 환자의 알레르겐 특이적 IgE 항체 양성율은 삼나무가 83.5%, 노송 나무가 80.0%, 삼나무, 노송나무 양자가 76.4%이며(오까노 미쯔히로 등, 알레르기 43, 1179-1184, 1994), 삼나무 화분증 환자의 60%가 노송나무 화분 특이적 IgE 항체를 보유하고 있다(사또 요죠, 치료 78, 1571-1576, 1996)는 등의 보고로부터 삼나무 화분증 환자는 노송나무 화분으로도 발증되고, 그 반대도 있을 수 있다는 것이 일반적인 인식이다.In other words, cedar and cypress pollen have a common antigenicity (ideda et al., Allergy clinical 11, 174-178, 1991), cross-reactivity between cedar and cypress against IgE antibodies (Taniai M. et al. : Mol. Immunol. 30, 183-189, 1993), allergen-specific IgE antibody positive rates in spring pollen patients were 83.5% in cedar, 80.0% in cypress, 76.4% in both cedar and cypress (Okano Mitsui). Hiro et al., Allergy 43, 1179-1184, 1994), 60% of cedar hay fever patients have cypress pollen specific IgE antibodies (Sato Yojo, Treatment 78, 1571-1576, 1996). It is a common perception that hay fever patients may develop as cypress pollen and vice versa.

화분증에 대한 예방, 치료법으로서는 화분증이 화분 알레르겐(알레르기를 야기하는 항원을 말하는 것으로 본질적으로 항원과 같음)과 그것에 특이적인 IgE 항체와의 항원 항체 반응으로 야기되는 즉시형의 전형적인 I형 알레르기이므로, I형 알레르기의 발증 메카니즘에 이론적으로 대응된 예방, 치료법이 이루어지고 있다.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hay fever, hay fever is a typical type I allergy caused by an antigenic antibody reaction between hay fever allergens (which are essentially the same as antigens) and specific IgE antibodies to it. Prophylactic and treatment methods are theoretically responded to the onset mechanism of allergy.

I형 알레르기 발증 메카니즘의 개요는 이하와 같다.The outline of the type I allergy onset mechanism is as follows.

체내로 침입한 항원은 항원 제시 세포에 의해 헬퍼 T세포로 항원 제시되며, 그 결과, B세포가 성숙하여 항체 생산 세포가 되어 항원 특이적 IgE 항체를 생산한다. 이 IgE 항체는 비만 세포 표면에 결합한다. 이어서 새로이 항원이 들어오면 항원은 비만 세포 표면의 IgE 항체와 결합하고 그 자극으로 비만 세포에서 히스타민 등의 화학 전달 물질이 방출되어 알레르기 증상이 야기된다.Antigens that enter the body are antigen-presented by helper T cells by antigen-presenting cells. As a result, B cells mature to become antibody-producing cells to produce antigen-specific IgE antibodies. This IgE antibody binds to the mast cell surface. Subsequently, when a new antigen comes in, the antigen binds to an IgE antibody on the surface of the mast cell, and the stimulus releases a chemical transporter such as histamine from the mast cell, causing allergic symptoms.

알레르기 증상에 이르는 이러한 경과에 대응한 예방, 치료법으로서 1) 알레르기 발증의 원인이 되는 항원의 회피, 2) 항히스타민으로 대표되는 약물 요법, 3) 알레르겐에 의한 감작 저하 요법의 주요한 세가지 예방 및 치료법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1)은 현실적으로는 실시 곤란하며, 2)는 어디까지나 대증 요법이며, 3)은 유일하게 알레르기의 근본 치료를 기대할 수 있지만, 효과면에서 현실성이 없고, 과민증 등의 중대한 부작용을 동반할 위험성이 있다.As a prophylaxis and treatment in response to such an allergy symptom, three major prevention and treatment methods are used: 1) avoidance of the antigens causing allergic reactions, 2) drug therapy represented by antihistamines, and 3) hyposensitization therapy by allergens. It is becoming. However, 1) is difficult to implement in reality, 2) is a symptomatic therapy to the last, and 3) is the only one that can be expected to be the fundamental treatment of allergy, but it is not practical in terms of effectiveness, and there is a risk of serious side effects such as hypersensitivity. There is this.

이와 같은 점에서, 최근 알레르겐의 T세포 에피토프 펩티드를 사용한 펩티드 면역 요법이 알레르기의 예방, 치료에 시도되었다. T세포 에피토프는 알레르기 임상 증상의 원인이 되는 단백질 알레르겐에 대한 면역 응답의 개시 및 지속에 관여한다. 이러한 T세포 에피토프는 항원 제시 세포 표면의 HLA 클래스 Ⅱ 분자와 결합하여 관련 T세포 서브 포퓰레이션을 자극함으로써 헬퍼 T세포의 레벨에서 초기 사상(事象)의 방아쇠를 당겼다고 생각할 수 있다. 이 초기 사상은 T세포 증식, 임포카인 분비, 국소성 염증 반응, 증식된 면역 세포의 염증 부위로의 이동 및 항체 생산으로 유도하는 B세포 캐스케이드로의 활성화를 야기한다. 이러한 항체의 이소형인 IgE 항체는 알레르기 발증, 지속에 기본적으로 중요하며, 그 생산은 상기 캐스케이드 초기에 헬퍼 T세포의 레벨에서 분비된 임포카인의 성질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T세포 에피토프는 T세포 리셉터에 의한 인식의 기본 요소 또는 최소 단위이며, 이 에피토프는 리셉터를 인식하는 필수 아미노산을 함유하고 있다. T세포 에피토프 펩티드를 사용하여 면역 억제의 요부인 헬퍼 T세포의 응답을 제어하면 알레르기 염증을 치료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In this regard, peptide immunotherapy using an allergen T cell epitope peptide has recently been attempted to prevent and treat allergies. T-cell epitopes are involved in the initiation and persistence of immune responses to protein allergens that cause allergic clinical symptoms. Such T cell epitopes can be thought to trigger early events at the level of helper T cells by binding to HLA class II molecules on the surface of antigen presenting cells to stimulate relevant T cell subpopulation. This early thought leads to activation of the B cell cascade leading to T cell proliferation, impocaine secretion, local inflammatory responses, migration of proliferated immune cells to the site of inflammation and antibody production. IgE antibodies, which are isotypes of these antibodies, are fundamentally important for the development and persistence of allergies, and their production is influenced by the nature of the impocaine secreted at the level of helper T cells at the beginning of the cascade. T cell epitopes are the basic elements or minimum units of recognition by T cell receptors, which contain the essential amino acids that recognize the receptor. The use of T cell epitope peptides to control the response of helper T cells, which is the key to immune suppression, is thought to cure allergic inflammation.

예를 들면, T세포 에피토프 펩티드를 사용한 알레르기의 치료제로서 고양이 알레르겐의 T세포 에피토프 펩티드를 함유하는 치료용 조성물(특표평 7-505365호 공보), 삼나무 화분 Cry j 1의 T세포 에피토프 펩티드를 사용한 치료 조성물(특표평 8-502163호 공보),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 Cry j 1과 Cry j 2의 T세포 에피토프를 연결한 다중 에피토프 펩티드(특원평 8-80702호) 등이 있다. 노송나무 화분에 대해서는 그 주요 알레르겐 Cha o 1이 분자량 45 KD와 50 KD이며, 등전점이 모두 6.8이고, 5%의 당을 함유하는 단백질로 이루어진다는 보고(이데 다까시외: 일본 화분 학회지, 34, 39, 1988)는 있지만, 그 일차 구조는 불명확하며, 그 때문에 알레르겐 분자상의 T세포 에피토프 부위도 동정되어 있지 않다. 최근 본 발명자들은 노송나무 화분 알레르겐의 유전자 클로닝에 성공하여 당해 알레르겐에는 Cha o 1외에 Cha o 2가 존재한다는 것을 밝히고, Cha o 1 과 Cha o 2 각각의 일차 구조를 결정하였다(특원평 6-335089호).For example, a therapeutic composition containing T cell epitope peptides of cat allergens as a therapeutic agent for allergy using T cell epitope peptides (JP-A-7-505365), treatment with T cell epitope peptides of cedar pollen Cry j 1 Compositions (se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8-502163), and multiple epitope peptides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8-80702) connecting T-cell epitopes of cedar pollen allergens Cry j 1 and Cry j 2. As for the cypress pollen, the main allergen Cha o 1 has a molecular weight of 45 KD and 50 KD, and has an isoelectric point of 6.8 and a protein containing 5% of sugar (Ide Takashi et al .: Japanese Pollen Society, 34, 39 , 1988), but its primary structure is unclear, and therefore, T-cell epitope sites on allergen molecules have not been identified. Recently, the present inventors succeeded in gene cloning of cypress pollen allergens and revealed that Cha o 2 exists in addition to Cha o 1 in the allergen, and determined the primary structures of Cha o 1 and Cha o 2, respectively. number).

발명의 개시Disclosure of the Invention

삼나무와 노송나무 화분의 비산기는 일치하는 시기(혼재 기간)가 있으며, 또한 양자는 공통된 항원성을 가지므로, 삼나무, 노송나무 화분에 의한 증상은 명확하게는 구별되지 않는다. 그러나, 삼나무 화분의 비산기가 경과하여도 역시 증상이 지속되거나 새로이 증상이 발현되는 예가 있고, 이 시기의 공중 화분의 대부분이 노송나무 화분이므로, 이러한 증상은 노송나무 화분에 의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삼나무보다도 노송나무의 식목이 진행되고 있는 현실에서, 노송나무 화분의 비산량은 해마다 증가 일로에 있어 장래에는 삼나무 화분의 비산량을 상회할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삼나무 화분증뿐만 아니라, 노송나무 화분증도 포함한 춘기 수목 화분증에 대한 종합적인 근본적 예방, 치료 방법의 확립이 요망되고 있다. T세포 에피토프 펩티드를 이용한 면역 요법은 알레르기의 근본적 치료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되며, 이미 삼나무 화분증에 대해서는 상기와 같이 당해 면역 요법이 몇가지 보고되어 있는데, 노송나무 화분증에 대한 보고 및 삼나무, 노송나무를 포함한 춘기 수목 화분증에 대한 보고는 전혀 없다.The scattering periods of cedar and cypress pollen have coincidental periods (mixing period), and both have common antigenicity, so the symptoms caused by cedar and cypress pollen are not clearly distinguishable. However, there is an example in which symptoms continue or newly develop even after the scattering period of cedar pollen has elapsed. Since most of the air pollen at this time is cypress pollen, such symptom is thought to be caused by cypress pollen. In the reality that cypress planting is progressing more than cedar, the amount of scattering of cypress pollen is increasing year by year, and it is thought that it will exceed that of cedar pollen in the future.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establish a comprehensive fundamental prevention and treatment method for spring tree pollen, including cedar pollen, as well as cypress pollen. Immunotherapy with T-cell epitope peptides is expected to lead to the fundamental treatment of allergies. Already, several of these immunotherapies have been reported for cedar pollen, including the report on cypress pollenosis and spring, including cedar and cypress. There are no reports of tree pollen.

이와 같은 상황에서 본 발명은 노송나무 화분증에 대한 펩티드 면역 요법에 유용한 T세포 에피토프 펩티드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노송나무 화분과 교차 반응성을 갖는 삼나무 화분증 환자도 포함한 춘기 수목 화분증 환자에 대한 펩티드 면역 요법에 유용한 T세포 에피토프 펩티드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In such a situation,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T-cell epitope peptide useful for peptide immunotherapy against cypress pollen.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cell epitope peptide useful for peptide immunotherapy for patients with spring arthropathy, including cedar pollen patients having cross reactivity with cypress pollen.

본 발명자들은 노송나무 화분증 환자로부터 수립한 T세포 라인을 노송나무 화분 알레르겐의 일차 구조를 커버하는 합성 오버랩 펩티드로 자극함으로써 노송나무 화분 알레르겐 분자상의 T세포 에피토프 부위를 동정하여 상기 과제를 해결하였다.The present inventors solved the above problem by identifying T cell epitope sites on cypress pollen allergen molecules by stimulating T cell lines established from cypress pollen patients with synthetic overlapping peptides covering the primary structure of the cypress pollen allergen.

즉, 본 발명은 구체적으로는 특허 청구 범위의 각 청구항에 기재된 발명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consists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each claim of the claims. 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in detail.

본 발명자들이 해명한 노송나무 화분 알레르겐의 주요 알레르겐 Cha o 1(성숙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특원평 6-335089호에 기재된 것)을 서열 1에, Cha o 2의 아미노산 서열을 서열 2에 각각 나타낸다. Cha o 1의 아미노산 서열은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 Cry j 1과 80% 상동하며, Cha o 2는 마찬가지로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 Cry j 2와 75% 상동하다.The amino acid sequence of the main allergen Cha o 1 (mature protein) of the cypress pollen allergen which the present inventors clarified shows in SEQ ID NO: 1, and the amino acid sequence of Cha o 2 in SEQ ID NO: 2, respectively. . The amino acid sequence of Cha o 1 is 80% homologous to cedar pollen allergen Cry j 1, and Cha o 2 is likewise 75% homologous to cedar pollen allergen Cry j 2.

화분, 진드기, 벌독 유래의 개개의 알레르겐에는 다수의 아미노산 치환이 발견되었으며, 이들은 서로 이소알레르겐(isoallergen)이라 한다. 예를 들면 자작나무 화분 Bet v Ⅰ은 11종류의 이소알레르겐이 분리되고 서로 2 내지 15%의 범위에서 아미노산 서열이 상이하다(Swoboda, I, et al.: J. Biol. Chem. 270: 2607-2613, 1995). 또한, Cry j 2에 대해서는 현시점에서 성숙 단백질 부분에서 6개의 아미노산 치환이 확인되는 2개의 이소알레르겐이 존재한다(특개평 8-47362호, 특개평 7-170986호 공보). Cha o 1, Cha o 2에 대해서도 이소알레르겐이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는 용이하게 예상되는 것이며, 그와 같은 이소알레르겐도 본 발명에서 말하는 Cha o 1, Cha o 2에 포함된다.A large number of amino acid substitutions have been found in individual allergens derived from pollen, mites, and bee venom, which are called isoallergens. For example, birch pollen Bet v I has 11 types of isoallergens isolated and differs in amino acid sequence in the range of 2-15% (Swoboda, I, et al .: J. Biol. Chem. 270: 2607-). 2613, 1995). In addition, two iso-allergens in which 6 amino acid substitutions are identified in the mature protein portion are present for Cry j 2 (Japanese Patent Laid-Open Nos. 8-47362 and 7-170986). It is readily expected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isoallergens may also be present for Chao 1 and Chao 2, and such isoallergens are also included in Chao 1 and Chao 2 in the present invention.

삼나무과 식물은 9속으로 분류되며, 노송나무과 식물은 7속으로 분류되는데, 삼나무과의 삼나무, 세쿠오이아(Sequoia), 메타세쿠오이아(Metasequoia), 왜금송(Umbrella Pine)(독립된 과, 삼나무과 또는 소나무과라는 설이 있다)와 노송나무과의 노송나무, 화백나무, 차이니즈 아버-비태(Chinese arbor-vitae), 니들 주니퍼(Needle Juniper), 차이니즈 주니퍼(Chinese Juniper)와의 사이에는 알레르겐에 교차 반응성이 있다는 보고가 있어(이데 다까시 등, 알레르기의 임상 11, 174-178, 1991), 삼나무 알레르겐과 노송나무 알레르겐과는 넓게 교차 반응성을 갖는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펩티드의 대부분은 노송나무 화분증뿐만 아니라, 삼나무 화분증에도 유효하다고 생각된다.Cedars are classified into 9 genera, Cypressaceae are classified into 7 genera, Cedar family Cedar, Sequoia, Metasequoia, Umbrella Pine (Independent family, Cedar family or It is reported that there is a cross-reactivity between allergens between the cypress, cypress, cypress, Chinese arbor-vitae, Needle Juniper, and Chinese Juniper. (Ide Takashi et al., Clinical 11, 174-178, 1991 of allergy) It is thought that it has cross reactivity with cedar allergen and cypress allergen widely. Therefore, most of the peptid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sidered to be effective not only in cypress hay fever but also cedar hay fever.

본 발명의 T세포 에피토프 펩티드를 얻기 위하여 Cha o 1 및 Cha o 2의 일차 구조를 커버하는 적당한 길이의 아미노산(12 내지 20잔기)으로 이루어지는 오버 랩 펩티드를 합성한다. 본 발명의 펩티드는 춘기 수목 화분증 환자 유래의 T세포 활성을 자극 및(또는) 억제하는 작용을 갖는다. 즉, 본 발명의 펩티드는 T세포 증식 또는 임포카인 분비 등의 T세포 응답을 유도할 수 있으며 및(또는) T세포 알레르기(미응답)를 유도할 수가 있다. T세포 증식을 지표로 하여 알레르겐 분자상의 T세포 에피토프 부위를 동정하는 경우는 특개평 8-47392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노송나무 화분증 환자의 말초혈 임파구로부터 Cha o 1 및 Cha o 2에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T세포 라인 또는 T세포 클론을 환자별로 수립하여 당해 T세포 라인 또는 T세포 클론을 상기 오버랩 펩티드 개개의 펩티드 존재하에 배양하여 펩티드에 대한 T세포 증식, 예를 들면 세포내로의 [3H]티미딘 도입량을 측정하여 자극 계수를 산출함으로써 동정한다. 여기에서 사용하는 T세포 응답의 자극 계수(Stimulation Index, SI)는 펩티드 비존재하에 세포내로 도입된 [3H]티미딘의 방사 능력의 cpm을, 펩티드 존재하(대조)의 cpm으로 나눈 것으로서 계산된다. 이 결과를 사용하여 환자군에 대하여 각 펩티드에 대한 평균 자극 계수를 계산한다. 이와 같이 T세포 응답의 유발 및(또는) T세포 알레르기의 유발이 발견된 펩티드를 T세포 자극 활성을 갖는 펩티드라 정의한다. 본 발명의 적합한 T세포 에피토프 펩티드는 T세포 자극 활성을 가지며,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T세포 에피토프를 포함하며, 예를 들면 도 1의 Cha o 1의 펩티드(도 2, 도 3, 서열 3 내지 37에 구체적으로 개시함) 중, 펩티드 번호 #1-2(서열 4), #1-4(서열 6), #1-5(서열 7), #1-6(서열 8), #1-7(서열 9), #1-8(서열 10), #1-10(서열 12), #1-11(서열 13), #1-12(서열 14), #1-14(서열 16), #1-15(서열 17), #1-16(서열 18), #1-19(서열 21), #1-20(서열 22), #1-21(서열 23), #1-22(서열 24), #1-23(서열 25), #1-24(서열 26), #1-25(서열 27), #1-26(서열 28), #1-27(서열 29), #1-30(서열 32), #1-31(서열 33), #1-32(서열 34), #1-33(서열 35) 및 #1-34(서열 36)(도 4), 또는 도 5의 Cha o 2의 펩티드(도 6, 도 7, 서열 38 내지 88에 구제적으로 개시함) 중, 펩티드 번호 #2-5(서열 42), #2-7(서열 44), #2-8(서열 45), #2-9(서열 46), #2-10(서열 47), #2-11(서열 48), #2-12(서열 49), #2-13(서열 50), #2-14(서열 51), #2-15(서열 52), #2-16(서열 53), #2-17(서열 54), #2-18(서열 55), #2-19(서열 56), #2-20(서열 57), #2-21(서열 58), #2-22(서열 59), #2-23(서열 60), #2-24(서열 61), #2-25(서열 62), #2-26(서열 63), #2-27(서열 64), #2-30(서열 67), #2-31(서열 68), #2-32(서열 69), #2-33(서열 70), #2-34(서열 71), #2-35(서열 72), #2-36(서열 73), #2-37(서열 74), #2-38(서열 75), #2-40(서열 77), #2-41(서열 78), #2-42(서열 79) 및 #2-43(서열 80)(도 8)에 개시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며, 또한 적합한 펩티드는 평균 자극 계수가 2.0 이상인 것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도 1의 펩티드중 펩티드 번호 #1-2(서열 4), #1-7(서열 9), #1-8(서열 10), #1-20(서열 22), #1-22(서열 24), #1-24(서열 26), #1-26(서열 28), #1-32(서열 34), #1-33(서열 35) 및 #1-34(서열 36)에 개시되는 펩티드 또는 도 5의 펩티드 중 펩티드 번호 #2-10(서열 47), #2-20(서열 57), #2-21(서열 58), #2-40(서열 77), #2-41(서열 78), #2-42(서열 79) 및 #2-43(서열 80)에 개시되는 펩티드를 포함한다. 그리고 또한 바람직한 펩티드는 중요도 지수가 100 이상인 것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도 1의 펩티드 중 펩티드 번호 #1-7(서열 9), #1-22(서열 24), #1-32(서열 34), 및 #1-33(서열 35)에 개시되는 펩티드 또는 도 5의 펩티드 중 펩티드 번호 #2-10(서열 47), #2-20(서열 57), #2-40(서열 77), #2-41(서열 78), #2-42(서열 79) 및 #2-43(서열 80)에 개시되는 펩티드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중요도 지수란 어느 펩티드의 평균 자극 계수에, 당해 펩티드에 T세포 응답을 나타내는 환자의 출현 빈도(%)를 곱한 것이다.In order to obtain the T cell epitope peptide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verlap peptide consisting of amino acids (12 to 20 residues) of appropriate length covering the primary structures of Cha o 1 and Cha o 2 is synthesized. The peptid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stimulating and / or inhibiting T-cell activity derived from a patient in spring pollen disease. In other words, the peptid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nduce T cell responses such as T cell proliferation or impokine secretion, and / or induce T cell allergy (no response). The identification of T cell epitope sites on allergen molecules using T cell proliferation as an indicator is specific for Cha o 1 and Cha o 2 from peripheral blood lymphocytes of cypress hay fever according to the method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8-47392. in response T cell lines or T cell T cells proliferate to establish a by patient the art T cell lines or T cell clones cloned in a peptide by culturing under the individual peptides present the overlapping peptides, such as the [3 H into such cells ] Identify by measuring the amount of thymidine introduced and calculating the stimulation coefficient. The Stimulation Index (SI) of the T cell response used here is calculated as the cpm of the radioactivity of [ 3 H] thymidine introduced into the cell in the absence of peptide, divided by the cpm in the presence of peptide (control). do. This result is used to calculate the mean stimulation coefficient for each peptide for the patient group. As described above, peptides in which the induction of the T cell response and / or the induction of T cell allergy are found are defined as peptides having T cell stimulatory activity. Suitable T cell epitope peptide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T cell stimulatory activity and thus comprise at least one T cell epitope, for example, the peptide of Cha o 1 of FIG. 1 (see FIG. 2, FIG. 3, SEQ ID NOs: 3 to 37). Specifically disclosed, peptide numbers # 1-2 (SEQ ID NO: 4), # 1-4 (SEQ ID NO: 6), # 1-5 (SEQ ID NO: 7), # 1-6 (SEQ ID NO: 8), and # 1-7 ( SEQ ID NO: 9), # 1-8 (SEQ ID NO: 10), # 1-10 (SEQ ID NO: 12), # 1-11 (SEQ ID NO: 13), # 1-12 (SEQ ID NO: 14), # 1-14 (SEQ ID NO: 16), # 1-15 (SEQ ID NO: 17), # 1-16 (SEQ ID NO: 18), # 1-19 (SEQ ID NO: 21), # 1-20 (SEQ ID NO: 22), # 1-21 (SEQ ID NO: 23), # 1-22 (SEQ ID NO: 23) 24), # 1-23 (SEQ ID NO: 25), # 1-24 (SEQ ID NO: 26), # 1-25 (SEQ ID NO: 27), # 1-26 (SEQ ID NO: 28), # 1-27 (SEQ ID NO: 29), # 1 -30 (SEQ ID NO: 32), # 1-31 (SEQ ID NO: 33), # 1-32 (SEQ ID NO: 34), # 1-33 (SEQ ID NO: 35), and # 1-34 (SEQ ID NO: 36) (FIG. 4), or FIG. Peptides # 2-5 (SEQ ID NO: 42), # 2-7 (SEQ ID NO: 44), and # 2-8 in the Chao 2 peptide of FIG. 6, FIG. (SEQ ID NO: 45), # 2-9 (West) Column 46), # 2-10 (SEQ ID NO: 47), # 2-11 (SEQ ID NO: 48), # 2-12 (SEQ ID NO: 49), # 2-13 (SEQ ID NO: 50), # 2-14 (SEQ ID NO: 51), # 2-15 (SEQ ID NO: 52), # 2-16 (SEQ ID NO: 53), # 2-17 (SEQ ID NO: 54), # 2-18 (SEQ ID NO: 55), # 2-19 (SEQ ID NO: 56), # 2-20 (SEQ ID NO: 2) 57), # 2-21 (SEQ ID NO: 58), # 2-22 (SEQ ID NO: 59), # 2-23 (SEQ ID NO: 60), # 2-24 (SEQ ID NO: 61), # 2-25 (SEQ ID NO: 62), # 2 -26 (SEQ ID NO: 63), # 2-27 (SEQ ID NO: 64), # 2-30 (SEQ ID NO: 67), # 2-31 (SEQ ID NO: 68), # 2-32 (SEQ ID NO: 69), # 2-33 (SEQ ID NO: 70 ), # 2-34 (SEQ ID NO: 71), # 2-35 (SEQ ID NO: 72), # 2-36 (SEQ ID NO: 73), # 2-37 (SEQ ID NO: 74), # 2-38 (SEQ ID NO: 75), # 2- 40 (SEQ ID NO: 77), VII2-41 (SEQ ID NO: 78), VII2-42 (SEQ ID NO: 79), and VII2-43 (SEQ ID NO: 80) (FIG. 8), and suitable peptides also include mean stimulation Coefficients equal to or greater than 2.0, and include, for example, peptides # 1-2 (SEQ ID NO: 4), # 1-7 (SEQ ID NO: 9), # 1-8 (SEQ ID NO: 10), and # 1-20 ( SEQ ID NO: 22), # 1-22 (SEQ ID NO: 24), # 1-24 (SEQ ID NO: 26), # 1-26 (SEQ ID NO: 28), # 1-32 (SEQ ID NO: 34), # 1-33 (SEQ ID NO: 35) Peptide Nos. # 2-10 (SEQ ID NO: 47), # 2-20 (SEQ ID NO: 57), # 2-21 (SEQ ID NO: 58), and # 2- of the peptides disclosed in # 1-34 (SEQ ID NO: 36) or the peptides of FIG. Peptides disclosed at 40 (SEQ ID NO: 77), # 2-41 (SEQ ID NO: 78), # 2-42 (SEQ ID NO: 79), and # 2-43 (SEQ ID NO: 80). And also preferred peptides include those having an importance index of 100 or more, e.g., peptide numbers # 1-7 (SEQ ID NO: 9), # 1-22 (SEQ ID NO: 24), and # 1-32 (SEQ ID NO: 34) of the peptides of FIG. And peptides # 2-10 (SEQ ID NO: 47), # 2-20 (SEQ ID NO: 57), # 2-40 (SEQ ID NO: 77), 펩티드 of the peptide disclosed in SEQ ID NO: 1-33 (SEQ ID NO: 35) or the peptide of FIG. Peptides disclosed in 2-41 (SEQ ID NO: 78), # 2-42 (SEQ ID NO: 79), and # 2-43 (SEQ ID NO: 80). Here, the importance index is a product of the average stimulation coefficient of a peptide multiplied by the frequency of appearance of the patient showing a T cell response (%).

정확한 에피토프를 동정하기 위해서는 T세포 자극 활성을 가지며,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T세포 에피토프를 포함하는 펩티드를 그 펩티드의 아미노말단 또는 카르복실 말단 중 어느 하나의 아미노산 잔기의 결실 등에 따라 개변되며, 그 개변된 펩티드에 대한 T세포 자극 활성의 변화를 조사한다. 또, 중복 영역을 공유하는 두 개 이상의 펩티드가 T세포 자극 활성을 나타내는 경우는 이와 같은 펩티드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하는 새로운 T세포 에피토프 펩티드를 제작하여 마찬가지로 T세포 자극 활성을 측정할 수가 있다.To identify the correct epitope, it has T cell stimulatory activity, and thus, a peptide comprising at least one T cell epitope is modified according to the deletion of the amino acid residue of either the amino or carboxyl terminus of the peptide. The change in T cell stimulatory activity for the peptide is investigated. In addition, when two or more peptides sharing an overlapping region show T cell stimulating activity, a new T cell epitope peptide containing all or part of such peptides can be prepared to measure T cell stimulating activity in the same manner.

본 발명의 T세포 에피토프 펩티드는 Cry j 1 또는 Cry j 2와의 T세포 교차 반응성에 의해 면역학적으로 관련되어 있다고 생각된다. 즉, 1)Cha o 1과 Cry j 1은 아미노산 서열이 80% 상동하며, Cha o 2와 Cry j 2는 75% 상동하고, 2) 본 발명의 실시예 5에서 동정된 Cha o 1의 T세포 에피토프 펩티드 #1-2(성숙형 Cha o 1의 아미노산 서열 11 내지 30에 대응)와 Cry j 1의 T세포 에피토프 펩티드 CJI-1(성숙형 Cry j 1의 아미노산 번호 11 내지 30에 대응, 특표평 8-502163호 공보/도 13)은 2군데의 아미노산을 제외하고는 아미노산 서열이 일치되고(Cha o 1의 12번째의 Ala은 CJI-1에서는 Ser, Cha o 1의 15번째의 Asp은 CJI-1에서는 Ala) 및 3) 삼나무와 노송나무 화분은 공통된 항원성을 갖는다. 이것으로부터 본 발명의 T세포 에피토프 유래는 노송나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T세포 에피토프는 노송나무 화분증 뿐만아니라 삼나무 화분증에도 유효하다고 생각된다.It is believed that the T cell epitope peptid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mmunologically related by T cell cross reactivity with Cry j 1 or Cry j 2. That is, 1) Cha o 1 and Cry j 1 are 80% homologous in amino acid sequence, Cha o 2 and Cry j 2 are 75% homologous, and 2) T cells of Cha o 1 identified in Example 5 of the present invention. Epitope peptide # 1-2 (corresponding to amino acid sequences 11 to 30 of mature Chao 1) and T cell epitope peptide CJI-1 (corresponding to amino acid numbers 11 to 30 of mature Cry j 1) 8-502163 / FIG. 13 shows the same amino acid sequence except for two amino acids (the 12th Ala of Chao 1 is Ser in CJI-1 and the 15th Asp of Chao 1 is CJI-). In 1, Ala) and 3) cedar and cypress pollen have common antigenicity. From this, the T-cell epitope derived from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cypress, and it is thought that the T-cell epit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ffective not only in cypress pollen but also cedar pollen.

또한, 본 발명의 T세포 에피토프 펩티드에 대하여 T세포 리셉터의 인식에 관한 아미노산 잔기를 공지된 기술(예를 들면 당해 아미노산 잔기의 치환에 의한 T세포 자극 활성의 변화 측정)을 사용하여 결정하고, T세포 리셉터와의 상호 작용에 필수적이라는 것이 개시된 아미노산 잔기를 다른 아미노산으로 치환하여 항원 특이적으로 T세포의 자극 활성을 알레르기 염증을 제어하는 방향(T세포 반응성의 증대, 임포카인의 생산 패턴의 변화 또는 알레르기 등)으로 제어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인간의 알레르기 모델에서, 삼나무 화분 Cry j 1의 T세포 에피토프 펩티드 상의 T세포 인식 부위의 아미노산 1개를 다른 아미노산으로(399번째의 Thr을 Val로) 치환한 아날로그 펩티드는 T세포 증식 반응 및 IL-4 생산량은 야생형 펩티드와 차이가 없었으나, IgE 항체 생산을 제어하는 IFN-γ의 생산량은 증가되었다는 보고가 있다(Ikagawa S. et al.: J. Aller. Clin. Immunol. 97, 54-64, 1996). 또한 HLA 클래스 Ⅱ 분자의 결합 모티브는 1 내지 2개의 아미노산을 통하여 비석(飛石)상으로 배열되는 3 내지 5개의 아미노산 잔기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것들이 수종류의 특정 아미노산인 경우에 펩티드는 HLA 클래스 Ⅱ 분자와 결합한다는 것이 밝혀졌으므로(Matsushita, S. et al.: J. Exp. Med. 180: 877-883, 1994), HLA 클래스 Ⅱ 분자와의 상호 작용에 필수적인 본 발명의 T세포 에피토프 펩티드의 아미노산 잔기를 공지 기술을 사용하여 결정하고, 당해 아미노산 잔기(HLA 클래스 Ⅱ 분자 결합 모티브)를 다른 아미노산으로 치환하여 알레르기 염증을 억제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T세포 에피토프 펩티드의 용해도를 늘려 치료 또는 예방 효과 또는 안정성을 증대시킬 목적으로 당해 펩티드를 개변할 수가 있다. 이러한 개변에는 아미노산 치환, 결실 또는 부가 등이 포함된다.In addition, amino acid residues relating to the recognition of T cell receptors for the T cell epitope peptid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termined using known techniques (e.g., measurement of changes in T cell stimulatory activity by substitution of the amino acid residues), and Substituting the amino acid residues disclosed to be essential for interaction with the cell receptor with other amino acids to control allergic inflammation of antigen-specific T cell stimulation activity (increase in T cell reactivity, change in the pattern of production of impocaine, or Allergy, etc.) can be controlled. For example, in an allergic model of humans, an analog peptide in which one amino acid at the T cell recognition site on the T cell epitope peptide of cedar pollen Cry j 1 is replaced with another amino acid (Th Thr at Val 399) is a T cell proliferative response. And IL-4 production was not different from wild-type peptide, but the production of IFN-γ controlling IgE antibody production has been reported to increase (Ikagawa S. et al .: J. Aller. Clin. Immunol. 97, 54 -64, 1996). In addition, the binding motif of the HLA class II molecule is composed of three to five amino acid residues arranged in zeolite through one or two amino acids, and when these are several specific amino acids, the peptide is an HLA class II molecule. (Matsushita, S. et al .: J. Exp. Med. 180: 877-883, 1994), the amino acid residues of the T-cell epitope peptides of the invention essential for interaction with HLA class II molecules. Can be determined using a known technique, and allergic inflammation can be suppressed by substituting the amino acid residue (HLA class II molecular binding motif) with another amino acid. In addition, the peptide can be modified for the purpose of increasing the solubility of the T-cell epitope peptid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ncrease the therapeutic or prophylactic effect or stability. Such alterations include amino acid substitutions, deletions or additions.

또한 본 발명에서 적합한 T세포 에피토프 펩티드는 IgE 항체와 결합하지 않거나 결합한다고 해도 당해 펩티드가 유래하는 천연의 노송나무 화분 알레르겐이 IgE 항체와 결합하는 것 보다도 실질적으로 낮은 정도로 결합한다.In addition, suitable T-cell epitope peptides in the present invention bind to a substantially lower level than natural IgE pollen allergens from which the peptides are derived, even if they do not bind or bind to IgE antibodies.

본 발명의 T세포 에피토프 펩티드는 적어도 7 아미노산 잔기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영역을 카텝신 또는 트립신 등의 효소 절단에 감수성인 Arg-Arg 또는 Lys-Lys 등의 링커에 의해 연결하고, 항원 제시 세포에 의한 프로세싱에 대한 감수성을 증가시켜 하나 이상의 T세포 에피토프를 포함하는 펩티드 부분을 생성시킬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T세포 에피토프는 Cry j 1 T세포 에피토프 펩티드(특표평 8-502163호 공보) 및(또는) Cry j 2 T세포 에피토프 펩티드(특개평 8-47392호 공보) 등의 다른 펩티드와 조합하여 사용할 수가 있다.Preferably, the T cell epitope peptid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at least 7 amino acid residues. In addition, this region is linked by a linker such as Arg-Arg or Lys-Lys, which is susceptible to enzymatic cleavage such as cathepsin or trypsin, and increases the sensitivity to processing by antigen presenting cells to include one or more T cell epitopes. The peptide moiety can be generated. In addition, the T cell epitop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mbined with other peptides such as Cry j 1 T cell epitope peptides (JP-A-8-502163) and / or Cry j 2 T-cell epitope peptides (JP-A-8-47392). Can be used in combination.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T세포 에피토프를 함유하는 펩티드는 노송나무 화분 알레르겐에 감수성인 개인 및(또는) 노송나무와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의 양자에 감수성인 개인에게 투여했을 때, 그 개인의 알레르겐에 대한 알레르기 응답을 조절할 수가 있으므로, 펩티드 면역 요법에 유용하다. 특히 본 발명의 T세포 에피토프 펩티드와 삼나무 화분 T세포 에피토프 펩티드를 조합한 것은 삼나무, 노송나무로 대표되는 춘기 수목 화분증 환자에 대한 펩티드 면역 요법에 유용하다.Peptides containing at least one T-cell epit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llergic to allergens when administered to an individual susceptible to cypress pollen allergens and / or to individuals susceptible to both cypress and cedar pollen allergens. It is useful for peptide immunotherapy because it can modulate the response. In particular, the combination of the T-cell epitope peptid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edar pollen T-cell epitope peptides is useful for peptide immunotherapy for patients with spring arthropathy represented by cedar and cypress.

본 발명의 T세포 에피토프 펩티드는 노송나무 화분 알레르겐 또는 당해 알레르겐과 면역학적으로 교차 반응성이 있는 다른 수목 화분에 의해 야기되는 화분증 진단용 시약으로서도 사용할 수가 있다. 즉, 환자 말초혈 임파구에 당해 펩티드를 약 0.1 ㎍/㎖ 내지 1 ㎎/㎖,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300 ㎍/㎖을 첨가하여 1주간 배양한 후, [3H] 티미딘의 임파구로의 도입량을 측정하여 평가함으로써 화분증의 진단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T세포 에피토프 펩티드는 T세포 기능, T세포 증식 또는 이러한 조합을 평가하는데도 사용할 수가 있다.The T-cell epitope peptid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used as a reagent for diagnosing hay fever caused by cypress pollen allergens or other tree pollens that are immunologically cross-reactive with the allergen. That is, to the patient the art peptide to peripheral blood lymphocytes of about 0.1 ㎍ / ㎖ to 1 ㎎ / ㎖, preferably after addition to the culture first weeks of about 1 to 300 ㎍ / ㎖, [3 H ] of thymidine lymphocytes By measuring and evaluating the amount of introduction, it is possible to diagnose hay fever. The T cell epitope peptid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used to evaluate T cell function, T cell proliferation, or a combination thereof.

본 발명의 T세포 에피토프 펩티드를 재조합 DNA 기술로 합성하는 경우에는 당해 펩티드를 코딩하는 서열을 갖는 핵산으로 형질전환시킨 숙주 세포를 그 세포에 적합한 배지에서 배양하고, 그 배양 상청액에서 또는 숙주 세포에서 당해 펩티드를 당업자에게 공지된 기술을 사용하여 합성할 수가 있다. 숙주로서는 대장균, 효모, 포유 동물 세포 등을 사용할 수가 있다.When synthesizing the T-cell epitope peptid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recombinant DNA technology, the host cell transformed with the nucleic acid having the sequence encoding the peptide is cultured in a medium suitable for the cell, and the corresponding culture supernatant or in the host cell. Peptides can be synthesized using techniques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s a host, Escherichia coli, yeast, mammalian cells and the like can be used.

본 발명의 T세포 에피토프 펩티드를 화분증 환자에 대한 펩티드 면역 요법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의약상 허용할 수 있는 적당한 희석제, 담체와 조합하여 사용할 수가 있다. 화분증 환자는 노송나무 화분 알레르겐과 면역학적으로 교차 반응성을 나타내는 삼나무 화분 알레르겐 환자를 포함한다. 투여 방법으로는 주사(피하, 정맥 주사 등), 점안, 점비, 경구, 흡입, 경피 등의 간편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투여량으로서는 주사에 의한 경우는 당해 펩티드를 1 투여 단위당 바람직하게는 약 1 ㎍ 내지 30 ㎎,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0 ㎍ 내지 10 ㎎을 투여한다.When the T-cell epitope peptid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or peptide immunotherapy for patients with hay fever, it can be used in combination with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appropriate diluent or carrier. Pollen patients include cedar pollen allergens that are immunologically cross-reactive with the cypress pollen allergens. As a method of administration, convenient methods such as injection (subcutaneous, intravenous, etc.), eye drop, nasal drop, oral, inhalation, and transdermal may be used.The dosage is, when injected, preferably about 1 peptide per dosage unit. Μg to 30 mg, more preferably about 20 μg to 10 mg.

본 발명은 화분 알레르겐의 T세포 에피토프 펩티드 및 당해 펩티드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춘기 화분증(花粉症)에 대한 펩티드 면역 요법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cell epitope peptide of pollen allergens and a composition for peptide immunotherapy against late spring pollen with the peptide as an active ingredient.

도 1은 노송나무 화분 알레르겐 Cha o 1에서의 T세포 에피토프 펩티드 및 당해 펩티드의 중요도 지수를 나타낸다.Figure 1 shows the T-cell epitope peptide in the cypress pollen allergen Cha o 1 and the importance index of the peptide.

도 2는 Cha o 1의 오버 랩 펩티드(#1-1 내지 #1-28)를 나타낸다.2 shows overlap peptides of Cha o 1 (X1-1 to X1-28).

도 3은 Cha o 1의 오버 랩 펩티드(#1-29 내지 #1-35)를 나타낸다.3 shows overlapping peptides of Cha o 1 (# 1-29 to # 1-35).

도 4는 Cha o 1의 T세포 에피토프를 포함하는 펩티드를 나타낸다.4 shows a peptide comprising T cell epitopes of Cha o 1.

도 5는 노송나무 화분 알레르겐 Cha o 2에서의 T세포 에피토프 펩티드 및 당해 펩티드의 중요도 지수를 나타낸다.5 shows the T-cell epitope peptides in the Cypress pollen allergen Cha o 2 and the importance index of the peptides.

도 6은 Cha o 2의 오버 랩 펩티드(#2-1 내지 #1-27)를 나타낸다.Figure 6 shows overlap peptides of Chao 2 (# 2-1 to # 1-27).

도 7은 Cha o 2의 오버 랩 펩티드(#2-28 내지 #1-51)를 나타낸다.7 shows overlap peptides of Chao 2 (# 2-28 to # 1-51).

도 8은 Cha o 2의 T세포 에피토프를 포함하는 펩티드를 나타낸다.8 shows a peptide comprising T cell epitopes of Cha o 2.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재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below,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실시예 1〉 오버랩 펩티드의 합성Example 1 Synthesis of Overlap Peptides

노송나무 화분 알레르겐 Cha o 1(서열 1) 및 Cha o 2(서열 2)의 아미노산 서열을 바탕으로 각각 10잔기의 오버랩 부분을 포함하는 20잔기의 오버랩 펩티드(#1-35(서열 37) 및 #2-51(서열 88)은 14잔기)을 펩티드 합성기 PSSM-8(시마쯔 세이사꾸쇼)을 사용하여 Fmoc법으로 합성하였다. 오버랩 펩티드는 Cha o 1에서는 35종류(도 1/서열 3 내지 37), Cha o 2에서는 51종류(도 5/서열 38 내지 88)이었다. 합성한 펩티드는 모두 ODS칼럼을 사용한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로 정제하고 순도는 90% 이상이었다. 정제물은 LASERMAT 2000(Finnigan MAT Ltd.)로 각각의 분자량을 확인하였다.Based on the amino acid sequences of the cypress pollen allergens Cha o 1 (SEQ ID NO: 1) and Cha o 2 (SEQ ID NO: 2), 20 residues of overlapping peptides (# 1-35 (SEQ ID NO: 37) and #) containing 10 residues of overlapping portions, respectively 2-51 (SEQ ID NO: 88) was synthesized by the Fmoc method using a peptide synthesizer PSSM-8 (Shimatsu Seisakusho). Overlap peptides were 35 types (Fig. 1 / SEQ ID NOS: 3 to 37) in Cha o 1 and 51 types (Fig. 5 / SEQ ID NOs: 38 to 88) in Cha O 2. All synthesized peptides were purifi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using an ODS column, and the purity was 90% or more. Purified product was confirmed the molecular weight of each by LASERMAT 2000 (Finnigan MAT Ltd.).

〈실시예 2〉 재조합 단백질의 대장균에서의 발현Example 2 Expression of Recombinant Protein in Escherichia Coli

노송나무 화분 항원을 코딩하는 Cha o 1의 cDNA 또는 Cha o 2의 cDNA가 클론화되어 있는 플라스미드 DNA(특원평 6-335089호)로부터 PCR에 의해 cDNA를 증폭하고, 말단에 제한 효소의 인식 부위를 부여하였다. 이 DNA 단편을 히스티딘태그 결합 단백질 발현 백터 pQE9에 삽입하여 대장균 M15(pREP4)의 형질전환을 행하였다. 안피실린 내성의 클론에 대하여 도입 유전자의 발현을 SDS-폴리아크릴아미드겔 전기 영동으로 확인하였다. 발현 단백질은 Ni-NTA 아가로스 친화성 칼럼으로 정제하였다.Amplification of cDNA by PCR from plasmid DNA (Chapter 6-335089), which is cloned with either Cha o 1 cDNA or Cha o 2 cDNA encoding cypress pollen antigen, and the recognition site of restriction enzyme Given. This DNA fragment was inserted into the histidine tag binding protein expression vector pQE9 to transform E. coli M15 (pREP4). Expression of the transgene was confirmed by SDS-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for anpicillin resistant clones. The expression protein was purified by Ni-NTA agarose affinity column.

〈실시예 3〉 T세포 라인의 수립Example 3 Establishment of T Cell Line

Cha o 1에 관한 T세포 라인의 수립은 다음과 같이 하여 행하였다. 즉, 19명의 Ala STAT(닛본 DPC 코포레이션) 또는 CAP-RAST(파마시아) 노송나무 양성 환자의 말초혈 유래 임파구를 피콜-파끄(Ficoll-Paque) 비중 원심법을 사용하여 분리하였다. 이 임파구(2×106개)를 2 ㎖의 동일 환자의 혈장(10%) 또는 인간의 AB형 혈청(20%, 만보 통상) 첨가 RPMI 1640 배지(GIBCO사)에 현탁하고, 실시예 2에서 얻어진 10 내지 30 ㎍/㎖의 재조합 Cha o 1 또는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오버랩 펩티드 혼합물(0.01 내지 1 μM)과 함께 24웰 플레이트상에서 3 내지 10일간 배양하였다(37 ℃, CO2인큐베이터, TABAI사). Cha o 1 자극을 받아 활성화된 T세포가 현미경하에서 확인된 시점에서 5 U/㎖의 IL-2(베링거 맨하임사)를 첨가하여 하룻밤 배양하였다. 다음날부터는 20 U/㎖의 IL-2, 10% 또는 20% 인간 AB형 혈청 첨가 RPMI 1640 배지에서 매일 배지를 교환하면서 약 10일간 배양하여 증식된 T세포 라인의 특이성을 조사한 후 일부를 동결 보존하였다. 또한, Cha o 2에 관한 T세포 라인의 수립은 20명의 노송나무 화분증 환자에 대하여 같은 방법으로 행하였다.The T cell line for Cha o 1 was established as follows. That is, peripheral blood-derived lymphocytes of 19 Ala STAT (Nipbon DPC Corporation) or CAP-RAST (Pharmacia) cypress positive patients were isolated using Ficoll-Paque specific gravity centrifugation. These lymphocytes (2 × 10 6 ) were suspended in 2 ml of the same patient's plasma (10%) or human AB-type serum (20%, Manbo Normal) RPMI 1640 medium (GIBCO), and in Example 2 It was incubated for 3 to 10 days on a 24-well plate with the obtained 10 to 30 μg / ml recombinant Cha o 1 or the overlap peptide mixture (0.01 to 1 μM) obtained in Example 1 (37 ° C., CO 2 incubator, TABAI). . When T cells activated by the Cha o 1 stimulation were identified under a microscope, 5 U / ml of IL-2 (Beringer Mannheim) was added and cultured overnight. From the next day, cultured for about 10 days with daily medium exchange in 20 U / mL of IL-2, 10% or 20% human AB-type serum-added RPMI 1640 medium, and examined the specificity of the proliferated T cell line and some were cryopreserved. . In addition, the establishment of T cell lines related to Cha o 2 was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for 20 cypress hay fever patients.

〈실시예 4〉 항원 제시 세포의 수립Example 4 Establishment of antigen presenting cells

항원 제시 세포로서 EB 바이러스(Epstein-Barr virus, EBV)를 B 임파구에 감염시켜 형질전환시킨 임파아구상 세포주(B세포주)를 수립하여 사용하였다. 즉, 우선, EBV 생산 B-95-8-세포(마모셋, ATCC CRL 1612)를 비동화 소 태아 혈청(FCS, GIBCO사 제품) 20% 첨가 RPMI 1640 배지에서 배양하고, 그 배양 상청액을 0.22 ㎛ 멸균용 필터로 여과하고 -80 ℃에서 동결 보존하였다. 이어서, 노송나무 화분증 환자의 임파구(2×106개)에 EBV액 1 ㎖을 첨가하여 37 ℃에서 30분 감염시켰다. EBV 감염 세포를 2회 세정 후, 사이클로스포린(샌드 약품) 최종 농도 200 ㎎/㎖ 첨가 20% FCS-RPMI 1640 배지에서 약 20일간 배양하였다. 세포 덩어리가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게 된 후 20% FCS-RPMI 1640 배지에서 다시 약 20일간 배양하고, 그 후 사용할 때까지 세포를 동결 보존하였다.As antigen presenting cells, EB virus (Epstein-Barr virus, EBV) was infected with B lymphocytes and transformed into lymphoblastic cell lines (B cell lines). That is, first, EBV producing B-95-8-cells (mamoset, ATCC CRL 1612) were cultured in RPMI 1640 medium containing 20% non-assimilated fetal bovine serum (FCS, manufactured by GIBCO), and the culture supernatant was 0.22 μm. Filter with sterile filter and cryopreserve at -80 ° C. Subsequently, 1 ml of EBV solution was added to lymphocytes (2 × 10 6 ) of cypress hay fever patients and infected at 37 ° C. for 30 minutes. EBV infected cells were washed twice, and then cultured in 20% FCS-RPMI 1640 medium with 200 mg / ml of cyclosporine (sand drug) final concentration. After the cell mass became visible, it was incubated for about 20 days in 20% FCS-RPMI 1640 medium, and the cells were cryopreserved until use.

〈실시예 5〉 T세포 에피토프 펩티드의 동정Example 5 Identification of T Cell Epitope Peptides

실시예 4에서 수립한 배양 B세포주를 50 ㎍/㎖의 마이토마이신 C(샌드 약품)로 30분 처리하거나 또는 X선 조사(50 gray)한 후, RPMI 1640 배지에서 4회 세정하였다. 이 B세포를 96웰 플레이트에 파종(10,000개/웰)한 후, Cha o 1 및 Cha o 2에 관하여 최종 농도 10 ㎍/㎖의 재조합체를 첨가하였다. (대조군으로서는 최종 농도 10 ㎍/㎖의 용련균 세포벽 항원(SCW), 최종 농도 10 ㎍/㎖의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항원(CA), 최종 농도 1 ㎍/㎖의 투베르쿨린(Tuberculin) 항원 (PPD)을 첨가하였다). 그 후 B세포주를 수립한 동일 환자의 T세포 라인(20,000개/웰)을 각 웰에 파종하여 48시간 배양한 후 0.5 μCi[3H]티미딘을 웰에 첨가하고, 다시 16시간 배양하였다. 세포를 셀퍼 베스터(벨톨드)를 사용하여 유리 필터상에 포집한 후, 세포내에 도입된 [3H]티미딘을 액체 신틸레이션 계수기로 측정하여 세포 증식 응답을 확인하였다.The cultured B cell line established in Example 4 was treated with 50 μg / ml of mitomycin C (sand drug) for 30 minutes or after X-ray irradiation (50 gray), and then washed four times in RPMI 1640 medium. The B cells were seeded (10,000 / well) in 96-well plates, and recombinants with a final concentration of 10 μg / ml were added for Cha o 1 and Cha o 2. (As a control group, the bacterium cell wall antigen (SCW) at a final concentration of 10 µg / ml, a Candida Albicans antigen (CA) at a final concentration of 10 µg / ml, and a Tuberculin antigen at a final concentration of 1 µg / ml) PPD)). Thereafter, T cell lines (20,000 cells / well) of the same patient who established the B cell line were seeded in each well, incubated for 48 hours, 0.5 μCi [ 3 H] thymidine was added to the wells, and cultured again for 16 hours. Cells were collected on a glass filter using Cellper Wester (Beltold), and then [ 3 H] thymidine introduced into cells was measured with a liquid scintillation counter to confirm cell proliferation response.

T세포 라인이 Cha o 1 또는 Cha o 2에 특이적으로 증식 응답하는 것을 확인 후, 실시예 3에서 수립된 T세포 라인을 사용하여 상기와 같은 수법으로 각 오버랩 펩티드(최종 농도 1 μM)에 대한 T세포 라인의 증식 응답을 보았다. 오버랩 펩티드에 대한 T세포 라인의 증식 응답의 평균 자극 계수, 출현 빈도 및 그것으로부터 산출된 중요도 지수의 결과를 도 1 및 도 5에 나타냈다.After confirming that the T cell line specifically propagated and responded to Cha o 1 or Cha o 2, the T cell line established in Example 3 was used for each overlap peptide (final concentration 1 μM) by the same method as described above. The proliferative response of the T cell line was seen. The results of the mean stimulation coefficient, frequency of appearance and importance index calculated therefrom of the proliferative response of the T cell line to the overlap peptide are shown in FIGS. 1 and 5.

또, #2-11 및 #2-12의 서열 중의 1 아미노산을 치환한 변이 서열(각각 서열 89 및 90)에 대한 T세포 라인(N=17)의 증식 응답을 조사하였다. 이러한 두 개의 변이 서열의 T세포 자극 활성은 각각의 평균 자극 계수가 1.6, 1.2, 출현 빈도가 16%, 11%, 중요도 지수가 25.6, 13.2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T세포 에피토프 펩티드는 하나 또는 복수의 아미노산이 변이되어도 T세포 자극 활성을 유지하고 있으며, 또한 활성이 상승하는 수도 있다는 것이 나타났다.Further, the proliferative response of the T cell line (N = 17) to the mutated sequences (SEQ ID NOs: 89 and 90) in which 1 amino acid in the sequences of # 2-11 and # 2-12 was substituted was examined. T cell stimulatory activity of these two variant sequences was 1.6, 1.2, 16, 11%, and 25.6, 13.2, respectively. As described above, it has been shown that the T cell epitope peptide of the present invention maintains T cell stimulatory activity even when one or more amino acids are changed, and the activity may be increased.

본 발명은 노송나무 화분 주요 알레르겐인 Cha o 1의 적어도 하나의 T세포 에피토프를 포함하는 펩티드 및 Cha o 2의 적어도 하나의 T세포 에피토프를 포함하는 펩티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당해 펩티드와 면역학적으로 T세포 교차 반응성을 나타내는 다른 수목 화분의 펩티드 단편을 포함한다. 이러한 펩티드는 삼나무, 노송나무 화분으로 대표되는 춘기 수목 화분증의 펩티드 면역 요법에 유용하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eptide comprising at least one T cell epitope of Cha o 1, which is a cypress pollen major allergen, and a peptide comprising at least one T cell epitope of Cha o 2. The present invention also encompasses peptide fragments of other tree pollen that immunologically show T cell cross-reactivity with the peptide. Such peptides are useful for peptide immunotherapy of spring tree pollen, typified by cedar and cypress pollen.

서열표Sequence table

서열 1SEQ ID NO: 1

서열의 길이: 354Sequence length: 354

서열의 형태: 아미노산Form of sequence: amino acid

토폴로지: 직쇄상Topology: linear

서열의 종류: 단백질Type of sequence: protein

서열order

서열 2SEQ ID NO: 2

서열의 길이: 514Length of sequence: 514

서열의 형태: 아미노산Form of sequence: amino acid

토폴로지: 직쇄상Topology: linear

서열의 종류: 단백질Type of sequence: protein

서열order

서열 3SEQ ID NO: 3

서열의 길이: 20Length of sequence: 20

서열의 형태: 아미노산Form of sequence: amino acid

토폴로지: 직쇄상Topology: linear

서열의 종류: 펩티드Type of sequence: peptide

서열order

서열 4SEQ ID NO: 4

서열의 길이: 20Length of sequence: 20

서열의 형태: 아미노산Form of sequence: amino acid

토폴로지: 직쇄상Topology: linear

서열의 종류: 펩티드Type of sequence: peptide

서열order

서열 5SEQ ID NO: 5

서열의 길이: 20Length of sequence: 20

서열의 형태: 아미노산Form of sequence: amino acid

토폴로지: 직쇄상Topology: linear

서열의 종류: 펩티드Type of sequence: peptide

서열order

서열 6SEQ ID NO: 6

서열의 길이: 20Length of sequence: 20

서열의 형태: 아미노산Form of sequence: amino acid

토폴로지: 직쇄상Topology: linear

서열의 종류: 펩티드Type of sequence: peptide

서열order

서열 7SEQ ID NO: 7

서열의 길이: 20Length of sequence: 20

서열의 형태: 아미노산Form of sequence: amino acid

토폴로지: 직쇄상Topology: linear

서열의 종류: 펩티드Type of sequence: peptide

서열order

서열 8SEQ ID NO: 8

서열의 길이: 20Length of sequence: 20

서열의 형태: 아미노산Form of sequence: amino acid

토폴로지: 직쇄상Topology: linear

서열의 종류: 펩티드Type of sequence: peptide

서열order

서열 9SEQ ID NO: 9

서열의 길이: 20Length of sequence: 20

서열의 형태: 아미노산Form of sequence: amino acid

토폴로지: 직쇄상Topology: linear

서열의 종류: 펩티드Type of sequence: peptide

서열order

서열 10SEQ ID NO: 10

서열의 길이: 20Length of sequence: 20

서열의 형태: 아미노산Form of sequence: amino acid

토폴로지: 직쇄상Topology: linear

서열의 종류: 펩티드Type of sequence: peptide

서열order

서열 11SEQ ID NO: 11

서열의 길이: 20Length of sequence: 20

서열의 형태: 아미노산Form of sequence: amino acid

토폴로지: 직쇄상Topology: linear

서열의 종류: 펩티드Type of sequence: peptide

서열order

서열 12SEQ ID NO: 12

서열의 길이: 20Length of sequence: 20

서열의 형태: 아미노산Form of sequence: amino acid

토폴로지: 직쇄상Topology: linear

서열의 종류: 펩티드Type of sequence: peptide

서열order

서열 13SEQ ID NO: 13

서열의 길이: 20Length of sequence: 20

서열의 형태: 아미노산Form of sequence: amino acid

토폴로지: 직쇄상Topology: linear

서열의 종류: 펩티드Type of sequence: peptide

서열order

서열 14SEQ ID NO: 14

서열의 길이: 20Length of sequence: 20

서열의 형태: 아미노산Form of sequence: amino acid

토폴로지: 직쇄상Topology: linear

서열의 종류: 펩티드Type of sequence: peptide

서열order

서열 15SEQ ID NO: 15

서열의 길이: 20Length of sequence: 20

서열의 형태: 아미노산Form of sequence: amino acid

토폴로지: 직쇄상Topology: linear

서열의 종류: 펩티드Type of sequence: peptide

서열order

서열 16SEQ ID NO: 16

서열의 길이: 20Length of sequence: 20

서열의 형태: 아미노산Form of sequence: amino acid

토폴로지: 직쇄상Topology: linear

서열의 종류: 펩티드Type of sequence: peptide

서열order

서열 17SEQ ID NO: 17

서열의 길이: 20Length of sequence: 20

서열의 형태: 아미노산Form of sequence: amino acid

토폴로지: 직쇄상Topology: linear

서열의 종류: 펩티드Type of sequence: peptide

서열order

서열 18SEQ ID NO: 18

서열의 길이: 20Length of sequence: 20

서열의 형태: 아미노산Form of sequence: amino acid

토폴로지: 직쇄상Topology: linear

서열의 종류: 펩티드Type of sequence: peptide

서열order

서열 19SEQ ID NO: 19

서열의 길이: 20Length of sequence: 20

서열의 형태: 아미노산Form of sequence: amino acid

토폴로지: 직쇄상Topology: linear

서열의 종류: 펩티드Type of sequence: peptide

서열order

서열 20SEQ ID NO: 20

서열의 길이: 20Length of sequence: 20

서열의 형태: 아미노산Form of sequence: amino acid

토폴로지: 직쇄상Topology: linear

서열의 종류: 펩티드Type of sequence: peptide

서열order

서열 21SEQ ID NO: 21

서열의 길이: 20Length of sequence: 20

서열의 형태: 아미노산Form of sequence: amino acid

토폴로지: 직쇄상Topology: linear

서열의 종류: 펩티드Type of sequence: peptide

서열order

서열 22SEQ ID NO: 22

서열의 길이: 20Length of sequence: 20

서열의 형태: 아미노산Form of sequence: amino acid

토폴로지: 직쇄상Topology: linear

서열의 종류: 펩티드Type of sequence: peptide

서열order

서열 23SEQ ID NO: 23

서열의 길이: 20Length of sequence: 20

서열의 형태: 아미노산Form of sequence: amino acid

토폴로지: 직쇄상Topology: linear

서열의 종류: 펩티드Type of sequence: peptide

서열order

서열 24SEQ ID NO: 24

서열의 길이: 20Length of sequence: 20

서열의 형태: 아미노산Form of sequence: amino acid

토폴로지: 직쇄상Topology: linear

서열의 종류: 펩티드Type of sequence: peptide

서열order

서열 25SEQ ID NO: 25

서열의 길이: 20Length of sequence: 20

서열의 형태: 아미노산Form of sequence: amino acid

토폴로지: 직쇄상Topology: linear

서열의 종류: 펩티드Type of sequence: peptide

서열order

서열 26SEQ ID NO: 26

서열의 길이: 20Length of sequence: 20

서열의 형태: 아미노산Form of sequence: amino acid

토폴로지: 직쇄상Topology: linear

서열의 종류: 펩티드Type of sequence: peptide

서열order

서열 27SEQ ID NO: 27

서열의 길이: 20Length of sequence: 20

서열의 형태: 아미노산Form of sequence: amino acid

토폴로지: 직쇄상Topology: linear

서열의 종류: 펩티드Type of sequence: peptide

서열order

서열 28SEQ ID NO: 28

서열의 길이: 20Length of sequence: 20

서열의 형태: 아미노산Form of sequence: amino acid

토폴로지: 직쇄상Topology: linear

서열의 종류: 펩티드Type of sequence: peptide

서열order

서열 29SEQ ID NO: 29

서열의 길이: 20Length of sequence: 20

서열의 형태: 아미노산Form of sequence: amino acid

토폴로지: 직쇄상Topology: linear

서열의 종류: 펩티드Type of sequence: peptide

서열order

서열 30SEQ ID NO: 30

서열의 길이: 20Length of sequence: 20

서열의 형태: 아미노산Form of sequence: amino acid

토폴로지: 직쇄상Topology: linear

서열의 종류: 펩티드Type of sequence: peptide

서열order

서열 31SEQ ID NO: 31

서열의 길이: 20Length of sequence: 20

서열의 형태: 아미노산Form of sequence: amino acid

토폴로지: 직쇄상Topology: linear

서열의 종류: 펩티드Type of sequence: peptide

서열order

서열 32SEQ ID NO: 32

서열의 길이: 20Length of sequence: 20

서열의 형태: 아미노산Form of sequence: amino acid

토폴로지: 직쇄상Topology: linear

서열의 종류: 펩티드Type of sequence: peptide

서열order

서열 33SEQ ID NO: 33

서열의 길이: 20Length of sequence: 20

서열의 형태: 아미노산Form of sequence: amino acid

토폴로지: 직쇄상Topology: linear

서열의 종류: 펩티드Type of sequence: peptide

서열order

서열 34SEQ ID NO: 34

서열의 길이: 20Length of sequence: 20

서열의 형태: 아미노산Form of sequence: amino acid

토폴로지: 직쇄상Topology: linear

서열의 종류: 펩티드Type of sequence: peptide

서열order

서열 35SEQ ID NO: 35

서열의 길이: 20Length of sequence: 20

서열의 형태: 아미노산Form of sequence: amino acid

토폴로지: 직쇄상Topology: linear

서열의 종류: 펩티드Type of sequence: peptide

서열order

서열 36SEQ ID NO: 36

서열의 길이: 20Length of sequence: 20

서열의 형태: 아미노산Form of sequence: amino acid

토폴로지: 직쇄상Topology: linear

서열의 종류: 펩티드Type of sequence: peptide

서열order

서열 37SEQ ID NO: 37

서열의 길이: 14Sequence length: 14

서열의 형태: 아미노산Form of sequence: amino acid

토폴로지: 직쇄상Topology: linear

서열의 종류: 펩티드Type of sequence: peptide

서열order

서열 38SEQ ID NO: 38

서열의 길이: 20Length of sequence: 20

서열의 형태: 아미노산Form of sequence: amino acid

토폴로지: 직쇄상Topology: linear

서열의 종류: 펩티드Type of sequence: peptide

서열order

서열 39SEQ ID NO: 39

서열의 길이: 20Length of sequence: 20

서열의 형태: 아미노산Form of sequence: amino acid

토폴로지: 직쇄상Topology: linear

서열의 종류: 펩티드Type of sequence: peptide

서열order

서열 40SEQ ID NO: 40

서열의 길이: 20Length of sequence: 20

서열의 형태: 아미노산Form of sequence: amino acid

토폴로지: 직쇄상Topology: linear

서열의 종류: 펩티드Type of sequence: peptide

서열order

서열 41SEQ ID NO: 41

서열의 길이: 20Length of sequence: 20

서열의 형태: 아미노산Form of sequence: amino acid

토폴로지: 직쇄상Topology: linear

서열의 종류: 펩티드Type of sequence: peptide

서열order

서열 42SEQ ID NO: 42

서열의 길이: 20Length of sequence: 20

서열의 형태: 아미노산Form of sequence: amino acid

토폴로지: 직쇄상Topology: linear

서열의 종류: 펩티드Type of sequence: peptide

서열order

서열 43SEQ ID NO: 43

서열의 길이: 20Length of sequence: 20

서열의 형태: 아미노산Form of sequence: amino acid

토폴로지: 직쇄상Topology: linear

서열의 종류: 펩티드Type of sequence: peptide

서열order

서열 44SEQ ID NO: 44

서열의 길이: 20Length of sequence: 20

서열의 형태: 아미노산Form of sequence: amino acid

토폴로지: 직쇄상Topology: linear

서열의 종류: 펩티드Type of sequence: peptide

서열order

서열 45SEQ ID NO: 45

서열의 길이: 20Length of sequence: 20

서열의 형태: 아미노산Form of sequence: amino acid

토폴로지: 직쇄상Topology: linear

서열의 종류: 펩티드Type of sequence: peptide

서열order

서열 46SEQ ID NO: 46

서열의 길이: 20Length of sequence: 20

서열의 형태: 아미노산Form of sequence: amino acid

토폴로지: 직쇄상Topology: linear

서열의 종류: 펩티드Type of sequence: peptide

서열order

서열 47SEQ ID NO: 47

서열의 길이: 20Length of sequence: 20

서열의 형태: 아미노산Form of sequence: amino acid

토폴로지: 직쇄상Topology: linear

서열의 종류: 펩티드Type of sequence: peptide

서열order

서열 48SEQ ID NO: 48

서열의 길이: 20Length of sequence: 20

서열의 형태: 아미노산Form of sequence: amino acid

토폴로지: 직쇄상Topology: linear

서열의 종류: 펩티드Type of sequence: peptide

서열order

서열 49SEQ ID NO: 49

서열의 길이: 20Length of sequence: 20

서열의 형태: 아미노산Form of sequence: amino acid

토폴로지: 직쇄상Topology: linear

서열의 종류: 펩티드Type of sequence: peptide

서열order

서열 50SEQ ID NO: 50

서열의 길이: 20Length of sequence: 20

서열의 형태: 아미노산Form of sequence: amino acid

토폴로지: 직쇄상Topology: linear

서열의 종류: 펩티드Type of sequence: peptide

서열order

서열 51SEQ ID NO: 51

서열의 길이: 20Length of sequence: 20

서열의 형태: 아미노산Form of sequence: amino acid

토폴로지: 직쇄상Topology: linear

서열의 종류: 펩티드Type of sequence: peptide

서열order

서열 52SEQ ID NO: 52

서열의 길이: 20Length of sequence: 20

서열의 형태: 아미노산Form of sequence: amino acid

토폴로지: 직쇄상Topology: linear

서열의 종류: 펩티드Type of sequence: peptide

서열order

서열 53SEQ ID NO: 53

서열의 길이: 20Length of sequence: 20

서열의 형태: 아미노산Form of sequence: amino acid

토폴로지: 직쇄상Topology: linear

서열의 종류: 펩티드Type of sequence: peptide

서열order

서열 54SEQ ID NO: 54

서열의 길이: 20Length of sequence: 20

서열의 형태: 아미노산Form of sequence: amino acid

토폴로지: 직쇄상Topology: linear

서열의 종류: 펩티드Type of sequence: peptide

서열order

서열 55SEQ ID NO: 55

서열의 길이: 20Length of sequence: 20

서열의 형태: 아미노산Form of sequence: amino acid

토폴로지: 직쇄상Topology: linear

서열의 종류: 펩티드Type of sequence: peptide

서열order

서열 56SEQ ID NO: 56

서열의 길이: 20Length of sequence: 20

서열의 형태: 아미노산Form of sequence: amino acid

토폴로지: 직쇄상Topology: linear

서열의 종류: 펩티드Type of sequence: peptide

서열order

서열 57SEQ ID NO: 57

서열의 길이: 20Length of sequence: 20

서열의 형태: 아미노산Form of sequence: amino acid

토폴로지: 직쇄상Topology: linear

서열의 종류: 펩티드Type of sequence: peptide

서열order

서열 58SEQ ID NO: 58

서열의 길이: 20Length of sequence: 20

서열의 형태: 아미노산Form of sequence: amino acid

토폴로지: 직쇄상Topology: linear

서열의 종류: 펩티드Type of sequence: peptide

서열order

서열 59SEQ ID NO: 59

서열의 길이: 20Length of sequence: 20

서열의 형태: 아미노산Form of sequence: amino acid

토폴로지: 직쇄상Topology: linear

서열의 종류: 펩티드Type of sequence: peptide

서열order

서열 60SEQ ID NO: 60

서열의 길이: 20Length of sequence: 20

서열의 형태: 아미노산Form of sequence: amino acid

토폴로지: 직쇄상Topology: linear

서열의 종류: 펩티드Type of sequence: peptide

서열order

서열 61SEQ ID NO: 61

서열의 길이: 20Length of sequence: 20

서열의 형태: 아미노산Form of sequence: amino acid

토폴로지: 직쇄상Topology: linear

서열의 종류: 펩티드Type of sequence: peptide

서열order

서열 62SEQ ID NO: 62

서열의 길이: 20Length of sequence: 20

서열의 형태: 아미노산Form of sequence: amino acid

토폴로지: 직쇄상Topology: linear

서열의 종류: 펩티드Type of sequence: peptide

서열order

서열 63SEQ ID NO: 63

서열의 길이: 20Length of sequence: 20

서열의 형태: 아미노산Form of sequence: amino acid

토폴로지: 직쇄상Topology: linear

서열의 종류: 펩티드Type of sequence: peptide

서열order

서열 64SEQ ID NO: 64

서열의 길이: 20Length of sequence: 20

서열의 형태: 아미노산Form of sequence: amino acid

토폴로지: 직쇄상Topology: linear

서열의 종류: 펩티드Type of sequence: peptide

서열order

서열 65SEQ ID NO: 65

서열의 길이: 20Length of sequence: 20

서열의 형태: 아미노산Form of sequence: amino acid

토폴로지: 직쇄상Topology: linear

서열의 종류: 펩티드Type of sequence: peptide

서열order

서열 66SEQ ID NO: 66

서열의 길이: 20Length of sequence: 20

서열의 형태: 아미노산Form of sequence: amino acid

토폴로지: 직쇄상Topology: linear

서열의 종류: 펩티드Type of sequence: peptide

서열order

서열 67SEQ ID NO: 67

서열의 길이: 20Length of sequence: 20

서열의 형태: 아미노산Form of sequence: amino acid

토폴로지: 직쇄상Topology: linear

서열의 종류: 펩티드Type of sequence: peptide

서열order

서열 68SEQ ID NO: 68

서열의 길이: 20Length of sequence: 20

서열의 형태: 아미노산Form of sequence: amino acid

토폴로지: 직쇄상Topology: linear

서열의 종류: 펩티드Type of sequence: peptide

서열order

서열 69SEQ ID NO: 69

서열의 길이: 20Length of sequence: 20

서열의 형태: 아미노산Form of sequence: amino acid

토폴로지: 직쇄상Topology: linear

서열의 종류: 펩티드Type of sequence: peptide

서열order

서열 70SEQ ID NO: 70

서열의 길이: 20Length of sequence: 20

서열의 형태: 아미노산Form of sequence: amino acid

토폴로지: 직쇄상Topology: linear

서열의 종류: 펩티드Type of sequence: peptide

서열order

서열 71SEQ ID NO: 71

서열의 길이: 20Length of sequence: 20

서열의 형태: 아미노산Form of sequence: amino acid

토폴로지: 직쇄상Topology: linear

서열의 종류: 펩티드Type of sequence: peptide

서열order

서열 72SEQ ID NO: 72

서열의 길이: 20Length of sequence: 20

서열의 형태: 아미노산Form of sequence: amino acid

토폴로지: 직쇄상Topology: linear

서열의 종류: 펩티드Type of sequence: peptide

서열order

서열 73SEQ ID NO: 73

서열의 길이: 20Length of sequence: 20

서열의 형태: 아미노산Form of sequence: amino acid

토폴로지: 직쇄상Topology: linear

서열의 종류: 펩티드Type of sequence: peptide

서열order

서열 74SEQ ID NO: 74

서열의 길이: 20Length of sequence: 20

서열의 형태: 아미노산Form of sequence: amino acid

토폴로지: 직쇄상Topology: linear

서열의 종류: 펩티드Type of sequence: peptide

서열order

서열 75SEQ ID NO: 75

서열의 길이: 20Length of sequence: 20

서열의 형태: 아미노산Form of sequence: amino acid

토폴로지: 직쇄상Topology: linear

서열의 종류: 펩티드Type of sequence: peptide

서열order

서열 76SEQ ID NO: 76

서열의 길이: 20Length of sequence: 20

서열의 형태: 아미노산Form of sequence: amino acid

토폴로지: 직쇄상Topology: linear

서열의 종류: 펩티드Type of sequence: peptide

서열order

서열 77SEQ ID NO: 77

서열의 길이: 20Length of sequence: 20

서열의 형태: 아미노산Form of sequence: amino acid

토폴로지: 직쇄상Topology: linear

서열의 종류: 펩티드Type of sequence: peptide

서열order

서열 78SEQ ID NO: 78

서열의 길이: 20Length of sequence: 20

서열의 형태: 아미노산Form of sequence: amino acid

토폴로지: 직쇄상Topology: linear

서열의 종류: 펩티드Type of sequence: peptide

서열order

서열 79SEQ ID NO: 79

서열의 길이: 20Length of sequence: 20

서열의 형태: 아미노산Form of sequence: amino acid

토폴로지: 직쇄상Topology: linear

서열의 종류: 펩티드Type of sequence: peptide

서열order

서열 80SEQ ID NO: 80

서열의 길이: 20Length of sequence: 20

서열의 형태: 아미노산Form of sequence: amino acid

토폴로지: 직쇄상Topology: linear

서열의 종류: 펩티드Type of sequence: peptide

서열order

서열 81SEQ ID NO: 81

서열의 길이: 20Length of sequence: 20

서열의 형태: 아미노산Form of sequence: amino acid

토폴로지: 직쇄상Topology: linear

서열의 종류: 펩티드Type of sequence: peptide

서열order

서열 82SEQ ID NO: 82

서열의 길이: 20Length of sequence: 20

서열의 형태: 아미노산Form of sequence: amino acid

토폴로지: 직쇄상Topology: linear

서열의 종류: 펩티드Type of sequence: peptide

서열order

서열 83SEQ ID NO: 83

서열의 길이: 20Length of sequence: 20

서열의 형태: 아미노산Form of sequence: amino acid

토폴로지: 직쇄상Topology: linear

서열의 종류: 펩티드Type of sequence: peptide

서열order

서열 84SEQ ID NO: 84

서열의 길이: 20Length of sequence: 20

서열의 형태: 아미노산Form of sequence: amino acid

토폴로지: 직쇄상Topology: linear

서열의 종류: 펩티드Type of sequence: peptide

서열order

서열 85SEQ ID NO: 85

서열의 길이: 20Length of sequence: 20

서열의 형태: 아미노산Form of sequence: amino acid

토폴로지: 직쇄상Topology: linear

서열의 종류: 펩티드Type of sequence: peptide

서열order

서열 86SEQ ID NO: 86

서열의 길이: 20Length of sequence: 20

서열의 형태: 아미노산Form of sequence: amino acid

토폴로지: 직쇄상Topology: linear

서열의 종류: 펩티드Type of sequence: peptide

서열order

서열 87SEQ ID NO: 87

서열의 길이: 20Length of sequence: 20

서열의 형태: 아미노산Form of sequence: amino acid

토폴로지: 직쇄상Topology: linear

서열의 종류: 펩티드Type of sequence: peptide

서열order

서열 88SEQ ID NO: 88

서열의 길이: 14Sequence length: 14

서열의 형태: 아미노산Form of sequence: amino acid

토폴로지: 직쇄상Topology: linear

서열의 종류: 펩티드Type of sequence: peptide

서열order

서열 89SEQ ID NO: 89

서열의 길이: 20Length of sequence: 20

서열의 형태: 아미노산Form of sequence: amino acid

토폴로지: 직쇄상Topology: linear

서열의 종류: 펩티드Type of sequence: peptide

서열order

서열 90SEQ ID NO: 90

서열의 길이: 20Length of sequence: 20

서열의 형태: 아미노산Form of sequence: amino acid

토폴로지: 직쇄상Topology: linear

서열의 종류: 펩티드Type of sequence: peptide

서열order

Claims (10)

노송나무 화분 알레르겐 Cha o 1의 하나 이상의 T세포 에피토프를 포함하며, 도 4의 펩티드 번호 #1-2(서열 4), #1-4(서열 6), #1-5(서열 7), #1-6(서열 8), #1-7(서열 9), #1-8(서열 10), #1-10(서열 12), #1-11(서열 13), #1-12(서열 14), #1-14(서열 16), #1-15(서열 17), #1-16(서열 18), #1-19(서열 21), #1-20(서열 22), #1-21(서열 23), #1-22(서열 24), #1-23(서열 25), #1-24(서열 26), #1-25(서열 27), #1-26(서열 28), #1-27(서열 29), #1-30(서열 32), #1-31(서열 33), #1-32(서열 34), #1-33(서열 35) 및 #1-34(서열 36)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 또는 상기 아미노산 서열의 일부를 갖는 펩티드.One or more T-cell epitopes of the cypress pollen allergen Cha o 1, peptide numbers # 1-2 (SEQ ID NO: 4), # 1-4 (SEQ ID NO: 6), # 1-5 (SEQ ID NO: 7), # of FIG. 1-6 (SEQ ID NO: 8), # 1-7 (SEQ ID NO: 9), # 1-8 (SEQ ID NO: 10), # 1-10 (SEQ ID NO: 12), # 1-11 (SEQ ID NO: 13), # 1-12 (SEQ ID NO: 12) 14), # 1-14 (SEQ ID NO: 16), # 1-15 (SEQ ID NO: 17), # 1-16 (SEQ ID NO: 18), # 1-19 (SEQ ID NO: 21), # 1-20 (SEQ ID NO: 22), # 1 -21 (SEQ ID NO: 23), # 1-22 (SEQ ID NO: 24), # 1-23 (SEQ ID NO: 25), # 1-24 (SEQ ID NO: 26), # 1-25 (SEQ ID NO: 27), # 1-26 (SEQ ID NO: 28) ), # 1-27 (SEQ ID NO: 29), # 1-30 (SEQ ID NO: 32), # 1-31 (SEQ ID NO: 33), # 1-32 (SEQ ID NO: 34), # 1-33 (SEQ ID NO: 35), and # 1- A peptide having an amino acid sequence represented by 34 (SEQ ID NO: 36) or a portion of the amino acid sequence. 노송나무 화분 알레르겐 Cha o 2의 하나 이상의 T세포 에피토프를 포함하며, 도 8의 펩티드 번호 #2-5(서열 42), #2-7(서열 44), #2-8(서열 45), #2-9(서열 46), #2-10(서열 47), #2-11(서열 48), #2-12(서열 49), #2-13(서열 50), #2-14(서열 51), #2-15(서열 52), #2-16(서열 53), #2-17(서열 54), #2-18(서열 55), #2-19(서열 56), #2-20(서열 57), #2-21(서열 58), #2-22(서열 59), #2-23(서열 60), #2-24(서열 61), #2-25(서열 62), #2-26(서열 63), #2-27(서열 64), #2-30(서열 67), #2-31(서열 68), #2-32(서열 69), #2-33(서열 70), #2-34(서열 71), #2-35(서열 72), #2-36(서열 73), #2-37(서열 74), #2-38(서열 75), #2-40(서열 77), #2-41(서열 78), #2-42(서열 79) 및 #2-43(서열 80)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 또는 상기 아미노산 서열의 일부를 갖는 펩티드.One or more T-cell epitopes of the cypress pollen allergen Cha o 2, peptide numbers # 2-5 (SEQ ID NO: 42), # 2-7 (SEQ ID NO: 44), # 2-8 (SEQ ID NO: 45), # of FIG. 2-9 (SEQ ID NO: 46), # 2-10 (SEQ ID NO: 47), # 2-11 (SEQ ID NO: 48), # 2-12 (SEQ ID NO: 49), # 2-13 (SEQ ID NO: 50), # 2-14 (SEQ ID NO: 2) 51), # 2-15 (SEQ ID NO: 52), # 2-16 (SEQ ID NO: 53), # 2-17 (SEQ ID NO: 54), # 2-18 (SEQ ID NO: 55), # 2-19 (SEQ ID NO: 56), # 2 -20 (SEQ ID NO: 57), # 2-21 (SEQ ID NO: 58), # 2-22 (SEQ ID NO: 59), # 2-23 (SEQ ID NO: 60), # 2-24 (SEQ ID NO: 61), # 2-25 (SEQ ID NO: 62) ), # 2-26 (SEQ ID NO: 63), # 2-27 (SEQ ID NO: 64), # 2-30 (SEQ ID NO: 67), # 2-31 (SEQ ID NO: 68), # 2-32 (SEQ ID NO: 69), # 2- 33 (SEQ ID NO: 70), # 2-34 (SEQ ID NO: 71), # 2-35 (SEQ ID NO: 72), # 2-36 (SEQ ID NO: 73), # 2-37 (SEQ ID NO: 74), # 2-38 (SEQ ID NO: 75) , A peptide having an amino acid sequence represented by # 2-40 (SEQ ID NO: 77), # 2-41 (SEQ ID NO: 78), # 2-42 (SEQ ID NO: 79), and # 2-43 (SEQ ID NO: 80) or a part of the amino acid sequence; . 제1 또는 2항에 있어서, 두 개 이상의 T세포 에피토프를 포함하는 펩티드.The peptide of claim 1 or 2 comprising two or more T cell epitopes. 춘기 수목 화분증 환자 유래의 T세포의 활성을 자극 및(또는) 억제하는 작용을 갖고, 제1 또는 2항에 기재된 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이 치환, 결실 또는 삽입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티드.A peptide having the function of stimulating and / or inhibiting the activity of T cells derived from a spring pollen patient and having an amino acid sequence in which the amino acid sequence of the peptide according to claim 1 or 2 is substituted, deleted or inserted. 제1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펩티드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춘기 수목 화분증에 대한 펩티드 면역 요법용 조성물.A composition for peptide immunotherapy against spring tree pollen, comprising the peptid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as an active ingredient. 춘기 수목 화분증에 대한 펩티드 면역 요법용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제1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펩티드의 용도.Use of the peptid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for the preparation of a peptide immunotherapy composition for spring arthropathy. 제1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펩티드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춘기 수목 화분증의 치료 또는 예방 방법.A method for the treatment or prophylaxis of spring arthropathy, comprising administering the peptid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제1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펩티드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춘기 수목 화분증의 진단에 사용하는 시약.A reagent for use in the diagnosis of spring arthropathy, comprising the peptid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as an active ingredient. 춘기 수목 화분증의 진단에 사용하는 시약의 제조를 위한, 제1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펩티드의 용도.Use of the peptide of any one of Claims 1-4 for manufacture of the reagent used for the diagnosis of spring arthropathy. 제1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펩티드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춘기 수목 화분증의 진단 방법.A method for diagnosing spring pollinosis, comprising administering the peptid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KR1019980710215A 1996-06-14 1997-06-12 T Cell Epitope Peptide KR10056282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710215A KR100562821B1 (en) 1996-06-14 1997-06-12 T Cell Epitope Pepti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153527 1996-06-14
KR1019980710215A KR100562821B1 (en) 1996-06-14 1997-06-12 T Cell Epitope Peptid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6619A true KR20000016619A (en) 2000-03-25
KR100562821B1 KR100562821B1 (en) 2006-08-04

Family

ID=41743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10215A KR100562821B1 (en) 1996-06-14 1997-06-12 T Cell Epitope Peptid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2821B1 (e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4001560A1 (en) * 1991-07-12 1994-01-20 Immulogic Pharmaceutical Corporation Allergenic proteins and peptides from japanese cedar poll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2821B1 (en) 2006-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76821B2 (en) T cell epitope peptide
NZ502480A (en) Pharmaceutical peptide formulations for treatment of dust mite allergy
Mohapatra et al. Immunotherapy for allergies and asthma: present and future
US20140212444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nducing an immune response
O'HEHIR et al. House dust mite allergy: from T‐cell epitopes to immuno‐therapy
Rogers et al. Recombinant Fel d I: Expression, purification, IgE binding and reaction with cat-allergic human T cells
EP0756629A1 (en) Pharmaceutical formulations for treating japanese cedar pollen allergy
AU717187B2 (en) Pharmaceutical peptide formulations for treatment of dust mite allergy
JPH09504167A (en) T cell epitopes of the wheat allergen
EP0804475A1 (en) Polypeptides and their use in treatment and prophylaxis of auto-immune disease
JP4218987B2 (en) Peptide immunotherapy treatment
JP3649460B2 (en) Japanese cedar pollen allergen Cry j II epitope
US20180207228A1 (en) Peptide combinations and uses thereof for treating grass allergy
KR100562821B1 (en) T Cell Epitope Peptide
US7112333B1 (en) T cell epitopes of ryegrass pollen allergen
JP4176750B2 (en) T cell epitope peptide
JP4085105B2 (en) Peptide immunotherapy for allergic diseases
JP4176820B2 (en) Cedar pollen allergen CryjII epitope
JP4085092B2 (en) Peptide immunotherapy for allergic diseases
JPWO2004087915A1 (en) SEB variant and agent for preventing / treating immune abnormal disease containing the same
WO2003086457A2 (en) Method of treating or preventing autoimmune disease
TW201623328A (en) EPSIGAM fusion prote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