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6450A - 결합 요소 매트릭스를 이용한 구부림 반경 제어 재킷 - Google Patents

결합 요소 매트릭스를 이용한 구부림 반경 제어 재킷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6450A
KR20000016450A KR1019980710034A KR19980710034A KR20000016450A KR 20000016450 A KR20000016450 A KR 20000016450A KR 1019980710034 A KR1019980710034 A KR 1019980710034A KR 19980710034 A KR19980710034 A KR 19980710034A KR 20000016450 A KR20000016450 A KR 200000164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cket
control jacket
coupling elements
lin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10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콧 에이 이글
고든 디 헨슨
니콜라스 에이 리
Original Assignee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춰링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춰링 캄파니 filed Critical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Publication of KR20000016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6450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71Terminating devices ; Cable clamps
    • G02B6/4478Bending relief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6Means for preventing chafing or fracture of flexible leads at outlet from coupling part
    • H01R13/562Bending-reliev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87Anchoring optical cables to connector housings, e.g. strain relief features
    • G02B6/38875Protection from bending or twis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 Superconductor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AREA)
  • Excavating Of Shafts Or Tunnel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Braking Systems And Boosters (AREA)

Abstract

제어 재킷(10)은 광섬유 리본 케이블 또는 다른 컨덕터와 같은 라인을 수용하고, 이 라인의 구부러짐과 비틀어지는 크기를 제한한다. 재킷(10)은 복수의 갭으로 분리되고 밑에 있는 웹 구조로 접속되는 결합 요소(30)의 다차원 매트릭스(20)를 포함한다. 재킷(10)은 구부러지거나 비틀어지기 때문에, 인접한 결합 요소(30)는 서로 결합되어 함께 움직이고, 재킷(10)의 구부러짐 반경이나 비틀어짐 각을 제한하며, 따라서 광섬유 리본 케이블이나 다른 보호된 라인의 구부러짐 반경이나 비틀어짐 각을 제한한다. 재킷(10)은 적어도 하나의 고정 기구를 포함하여 제어 재킷(10)이 필요시 라인을 삽입하거나 제거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중 재킷은 소정 길이의 합성 재킷을 생성하도록 라인을 따라 한쪽 끝과 다른 한쪽 끝을 잇도록 배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결합 요소 매트릭스를 이용한 구부림 반경 제어 재킷
빛을 전달하는 광섬유 케이블은 광범위한 기술범위에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사용성을 갖는다. 몇몇 예로서 전화 통신, 컴퓨터 데이터 전송 및 레이저 응용 장치가 있으며, 사용 범위가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다. 물론 이러한 작은 크기의 고성능 전송 특성을 갖는 광섬유 케이블은 매우 이롭고 바람직하다.
매우 흔한 광섬유 구조에 있어서, 많은 각 광섬유는 서로 연관되어 평평한 리본 케이블, 예를 들어 20-섬유 리본 케이블내에 나란히 놓여진다. 광섬유 단부는 메인 프레임 컴퓨터나 다른 장치에 부착되도록 커넥터에 삽입된다. 한 특정 응용 장치에 있어서, 인접한 각 섬유는 2개의 테이프 층 사이에 끼워져 리본 케이블을 형성한다. 물론 라운드 케이블과 다른 기하학 구성의 케이블도 이용가능하다.
대게 광섬유 케이블은 높은 유연성을 나타내며, 케이블을 조정하거나 여러 가지 장치 및/또는 장애물간의 및 주변의 루트를 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하지만 구부러짐이나 비틀림에 의해 광섬유에 압력을 가하게되면 시간이 흐름에 따라 여러 가지 물리적인 손상, 예를 들어 약화 또는 균열을 발생시킨다. 전력 감쇄, 대역폭 변화 등과 같은 전달상의 저하가 발생가능하다. 섬유의 형태에 따라 전달 속도 및/또는 광 파장 심지어 최소 장력도 불리하게 케이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광섬유 케이블용 스트레인 제거 시스템은 이미 렙타 등의 미국 특허 제5,390,272호에 개시되며, 예를 들어 광섬유 커넥터의 후방에 접속되도록 스트레인 제거 외장(外裝:sheath)을 나타낸다. 이 외장은 많은 결합 스페이스 리브를 포함하고, 이 리브는 커넥터로의 접속 포인트의 부근에 광섬유 케이블의 최소 구부러짐 반경을 제한한다. 몽뢰 등의 미국 특허 제5,094,552호는 광섬유 케이블을 커넥터에 결합시키는 유사한 스트레인 제거 장치를 개시한다. 몽뢰 스트레인 제거 부트(boot)는 서로 교차된 개구를 포함하고, 상호 결합 텅그 및 그루브(tongue-and-groove) 접속 요소를 갖는다. 마지막으로 WO 9309457-A1은 최대 구부러짐 반경을 한정하도록 고리모양이나 나선형 원주 그루브를 갖는 광섬유 외장을 개시한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장치는 많은 중요한 불리한 점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개시된 외장은 기초가되는 케이블의 비틀림의 움직임을 한정하도록 잘 맞추어지지 않는다. 몇몇 환경에서 하나의 장치에서 다른 장치로 케이블을 전달하게 되면 비틀림이 발생될 수도 있고, 케이블을 짓누르는 위험과 케이블의 힘 및/또는 광 전송 특성을 감소시킨다. 종래의 장치는 자유로운 비틀림이 발생될 수 있거나 이러한 비틀림 이동이 외장내의 케이블내의 섬유상에 부당한 스트레인을 둘 수 있는 방법으로 막는다. 따라서 종래의 외장은 조정이 불리하거나 비틀릴 때 케이블 손상을 막을 수 없다.
종래 기술의 다른 중요한 단점은 외장이 광섬유 케이블 및/또는 사용할 관련 커넥터상에 장축으로 미끌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외장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커넥터를 설치하기 전에 케이블상에 외장을 꿰야 한다. 마찬가지로 외장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케이블로부터 커넥터를 제거하거나, 케이블을 절단하거나, 외장을 절단해야 하며, 이러한 공정은 접속된 장치의 사용을 중단시키고 및/또는 기초 케이블을 손상시킨다.
종래 기술의 또다른 단점은 외장이 매설된 케이블을 외부 환경에 노출시키는 것이며,
케이블과의 횡단뿐만 아니라 미국 특허 제5,094,552호의 경우처럼 직접적으로 외장의 개구를 통해 횡단한다. 이러한 환경에 대한 노출은 오염의 위험이 있거나 케이블을 손상시킨다.
결과적으로 종래 기술의 장치는 여러 상황에 적합한 평평한 리본 케이블 대신에 라운드형 광섬유 케이블용으로 설계된다.
이러한 단점을 고려하여 비틀림 각과 구부러짐 반경을 한정하고 구부러짐과 비틀림을 가능하게 하고, 평평한 리본 케이블을 조절하고 주위 환경의 오염을 방지하고 제거하며 용이하게 설치가능한 케이블 보호용 장치의 필요성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케이블 보호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케이블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케이블을 에워싸는 재킷형 케이블 보호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재킷에 대한 투시도.
도 2는 도 1의 제어 재킷을 좀더 확대하여 본 도면.
도 3은 도 1의 제어 재킷의 일부분에 대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8각형 결합 요소를 갖는 제어 재킷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 재킷을 소정 형태로 구부리고 비틀기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또다른 고정 기구에 대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재킷의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7의 개방된 구조의 제어 재킷에 대한 단면도.
도 9는 도 7의 폐쇄된 구조의 제어 재킷에 대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곧은 구조의 제어 재킷에 대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부러진 구조의 제어 재킷에 대한 단면도.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재킷의 결합 요소간의 갭에 대한 단면도.
도 15는 구부러지는 반경 계산을 나타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갭을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재킷의 한쪽 끝과 다른 한쪽 끝을 잇는 다중 제어 재킷을 나타내는 도면.
상기 기술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재킷은 광섬유나 광섬유 케이블과 같은 라인을 수납하고, 라인으로 나누어진 구부러짐과 비틀림 움직임의 크기를 한정한다. 결합 요소의 다차원 매트릭스는 대체로 라인을 덮고, 복수의 갭이 인접한 결합 요소 매트릭스를 분리한다. 요소들은 재킷의 구부러지는 움직임과 비틀어지는 움직임이 있을 때 서로 결합된다. 이러한 결합은 재킷의 최종적인 구부러짐과 비틀림을 한정하고 라인의 손상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따라, 결합 요소의 매트릭스는 복수의 열과 행으로 이루어진다. 동일한 열 및/또는 동일한 행에 인접한 결합 요소는 평면의 외부 방향으로 재킷이 구부러지거나 및/또는 비틀어질 때 서로 결합된다.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장축으로 인접한 요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각 사이의 갭들이 근접하고, 장축을 따라 재킷을 외부로 구부릴 때 서로 맞물리며, 평평하게 횡으로 인접한 결합 요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각각 사이에 끼인 갭에 가까워지고, 평평하게 횡방향을 따라 재킷의 외부로 구부러질 때 서로 맞물린다. 추가적으로, 인접한 결합 요소는 재킷을 평평하게 구부릴 때 서로 맞붙는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재킷은 장축을 따라 개방되어 보호될 광섬유 케이블이나 다른 라인상에 적용하거나 삽입가능하다. 유사하게 재킷은 재킷내의 라인을 고정하기 위해 장축을 따라 폐쇄가능하다.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개방/폐쇄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는 재킷의 대향측을 따라 연장되는 제1 및 제2 지퍼 고정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재킷은 2개의 부분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지퍼 고정구에 의해 결합되고 분리되는 동일한 절반부이다. 또다른 실시예는 힌지 구조가 지퍼 고정구에 대향하는 오직 하나의 지퍼 고정구를 사용하여 서로에 대해 재킷의 두 부분을 피벗한다.
보호되는 라인은 리본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광섬유 리본 케이블, 다른 기하학의 광섬유 케이블 및/또는 여러 가지 기학학의 전기적 전도선이며, 몇몇 실시예를 지적한다. 재킷은 길이를 따라 개방되거나 폐쇄가능한 실시예에 따라, 재킷은 라인의 단부상에 꿰기만하는 것이 아니라 길이를 따라 랜덤하게 처리되는 포인트에 부착된다. 따라서 재킷은 구부러짐이나 비틀림 때문에 전위 소실이 기대되는 재킷을 라인의 길이를 따라 모든 점에서 보호를 제공하도록 적용가능하다. 또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다중 상호결속 재킷은 모든 길이의 라인을 보호하도록 라인을 따라 배치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기술에 적용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재킷은 개별적인 광섬유 묶음이나 케이블로 그룹 형성된 섬유를 보호할 수 있다. 다른 전선의 형태나 케이블 형태의 컨덕터, 예를 들면 동선도 보호할 수 있다. 심지어 물과 같은 액체가 이동하는 라인이나 유압 또는 공기압을 이용하는 라인을 보호할 수도 있다. 여기서 "라인(line)"의 의미는 본 출원의 전반을 통해 본 발명에 따라 보호될 수 있는 매우 다양한 섬유, 도선, 케이블, 호스 및 그밖의 장치들을 의미하며, 선택적으로는 이들 둘레의 절연 요소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재킷은 평평한 사각 애스팩트비를 갖는 라인에 특히 적합하지만, 본 발명은 다른 선형 기하학에도 적합하다. 게다가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양한 물리적인 환경에도 사용 가능하고, 예를 들어, 컴퓨터간 접속, 건물이나 동체와 같은 구조물 및 지하 양탄자와 같은 구조물에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광섬유 리본 케이블에 관해 흔히 기술되지만, 결코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제어 재킷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재킷(10)은 대체로 2개의 동일 재킷 부재(15, 15')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두 개의 동일 재킷부재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결합되어 겹치는 상태로 배치된다. 간략하게 하기 위해 단지 재킷 부재(15)를 상세하게 나타낼 것이다. 물론 재킷 부재(15, 15')는 동일해야 할 필요는 없으며, 재킷(10)을 동일하게 절반으로 절단할 필요는 없다.
재킷 부재(15, 15')는 복수의 결합 요소(30), 소위 "웨지"라고 부르며, 기술되어진 것처럼 다차원 매트릭스(20)로 개시된다. 결합 요소(30)는 각각 대체로 평행이고 직선의 에지(32)와 라운드형 코너(33)를 갖는 다각형면(31)(도 2)이다. 라운드형 코너(33)는 재킷 부재(15, 15')를 형성하기 위해 몰드를 용이하게 생성할 수 있게 하며, 예를 들어 비틀리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결합 요소(30)가 많이 움직일 수도 있다. 물론 직각이나 다른 형태의 코너를 이 라운드형 코너(33)를 대신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결합 요소(30)는 대체로 피랏미드형 원추대의 형태가 된다.
결합 요소(30)의 면(31)은 전반적으로 사각일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재킷 부재(15)의 결합 요소는 8각형면(31)이 되어 자유로운 움직임을 제공할 수 있고, 재킷(10)을 구부리거나 비틀수도 있다.
결합 요소(30)는 갭(40)을 통해 분리되고 횡방향(45)으로 밀어 끼워지고, 갭(50)을 통해 장축방향(55)으로 끼워질 수도 있다. 물론 대각선이나 다른 방향으로 끼워지는 갭도 생각할 수 있다. 재킷(10)은 구부리기 및/또는 비트는 힘을 흡수 할 때, 다차원 매트릭스(20)의 요소(30)는 상호 방향으로 움직이고, 결과적으로 도시하겠지만 재킷(10)의 구부리는 반경과 비트는 각을 한정하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근접한 갭(40, 50)은 서로 맞물린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장축 방향(55)은 X방향으로 생각할 수 있고, 횡방향(45)은 Y방향으로 생각하여, 제어 재킷(10)의 XY평면을 고려할 수 있다. 그밖의 다른 주지사항이 없다면, 설명을 목적으로 XY평면은 재킷(10)의 제1 면으로 생각하며, 이 XY평면에 관해 "내평면"과 "외평면"이란 용어를 생각한다. 추가적으로 제2 횡단 방향(65)은 도시된 실시예에서 처럼 수직을 향하여 Z방향으로 생각하며, XZ평면과 YZ평면을 규정한다.
재킷(10)은 3개의 평면 방향으로 구부려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XZ평면으로 구부러지는 것은 장축방향(55)을 따라 XY평면(즉, 외평면 구부림)의 외부로 구부러지는 것이다. 내평면 구부리기인 YZ평면으로 구부리는 것은 가능하지만, 동일한 휨력을 필요로하고, 특히 횡방향(45)으로 상대적으로 큰 라인이 된다. 물론 이러한 구부림을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재킷(10)은 예를 들어 중앙 장축인 장축방향(55)으로 연장되는 축 둘레로 비틀어질 수도 있다.
모든 배열을 에워싸도록 의도되고, 1차원 매트릭스나 단지 한 방향으로 끼워지는 요소를 갖는 "어레이"에 대향하는 것처럼, "다차원" 매트릭스라는 용어는 적어도 두 방향으로 연장되는 요소를 갖는 모든 배열을 에워싸도록 의도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다른 구성도 고려되지만, 대체로 동일한 행과 열의 요소를 갖는 매트릭스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에 따라, 매트릭스(20)는 길이방향으로 연이은 요소의 세 행(60)과 내평면의 횡으로 연이은 요소의 상당히 많은 열(70)을 포함한다. 물론 예를 들어 보호되는 라인의 크기 특성에 따라, 다른 많은 행(60)과 열(70)이 고려된다.
도시된 것처럼, 행(60)과 열(70)은 대체로 선형인 것이 바람직하며, 결과적으로 재킷(15)은 대체로 전체적으로 사각 형태를 갖는다. 하지만, 다른 실시예도 고려된다. 예를 들어, 행(60) 및/또는 열(70)은 보호되는 라인 주위에 호형으로 처리되어 라운드형 기하학을 갖는 라인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와 더불어 결합 요소(30)는 대체로 평평한 외부면 대신에 호형 외부면(31)을 가질 수 있으며, 전체 재킷(10)을 라운드형, 대체로는 원통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각 재킷부(15, 15')는 결합 요소(30)를 상호결합시키기 위한 기초가되는 웹 구조(8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술되는 것처럼 웹 구조(80)는 갭(40, 50) 아래에 직접적으로 복수의 힌지 요소(90)를 형성하고, 결합 요소(30)가 서로 구부러지고 서로 맞물리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힌지 요소(90)는 결합 요소(30)를 서로 결합시키는 구조를 고려하고, 이것을 설명하기 위해 결합 요소(30)는 모든 공동으로 확장하도록 고려되어진다.)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예를 들어 재킷(10)은 장축방향(55)을 따라 외평면을 구부리는 것처럼, 열(60)내의 인접한 결합 요소(30)간에 연장되는 힌지(90)는 요소(30)로 하여금 서로에 대해 결합되도록 움직이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동일한 열내의 인접한 요소는 서로 결합되고, 결과적으로 장축의 구부림의 각도를 제한한다. 동일하게 횡방향(45)을 따라 외부면인 구부리는 재킷(10)은 행(70)으로 인접한 요소(30)가 서로 결합되게 움직이는 원인이 되고, 횡축 구부러짐의 각도를 제한한다. 재킷(10)의 내면 구부러짐은 행(70)내의 인접한 요소(30)가 서로 결합되도록 하며, 내면 구부러짐의 각도를 제한한다(웹 구조(80)만을 따라). 결합 요소에 의해 특정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각도는 "구부러짐 반경"이라고 하며, 도 15를 이용하여 하기 설명되어진다.
부당하게 위치되거나 재킷(10)의 모든 부분에서 변형되지 않고, 제어 재킷(10)은 비틀어지는 움직임, 즉 비틀어지는 각을 가능하게하며 제한한다. 한 형태의 비틀어지는 움직임은 한 방향, 즉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재킷(10)의 일단과, 반대 방향, 즉 반시계방향으로 재킷(10)의 타단을 회전시키는 것을 포함하고, 따라서 재킷(10)은 중앙 장축 둘레로 비틀어진다. 결합 요소(30)간의 힌지(90)는 이러한 비틀리는 움직임에 의해 분리되는 변형을 흡수하고, 결합 요소(30)로하여금 필요시 함께 혹은 따로 움직이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라인으로 전달되는 비틀어짐을 제한하도록 움직임을 비틀 때, 행(70)으로의 인접한 결합 요소(30)는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비틀어지는 동안 기초가되는 구조(80)(힌지(90)를 일부로 고려할 수 있는)는 상대적으로 얇은 크기의 연속하는 웹으로서 생각되어질 수 있다. 결합 요소(30)는 웹의 상부상에 배치된다. 웹(80)은 상대적으로 얇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비틀어지고, 결합 요소(30)로 인해 웹이 재킷이나 기초가되는 라인 부분으로 비틀어지지 않도록 한다. 도 5는 비틀어지는 변형하의 재킷(10)을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에 따라, 죔 기구(fastening mechanism:100)는 재킷(15, 15')을 함께 결합시킨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죔 기구(100)는 재킷(10)의 반대측을 따라 장축으로 계속되는 2개의 지퍼형 죔 기구를 포함한다. 각 죔 기구는 복수의 래치나 "티스(teeth)(100)"를 포함한다. 재킷부(15)는 하부방향으로 연장되는 티스(120)를 포함하고, 결합 요소(30)를 이용하여 하나의 부분처럼 125에서 통합적으로 결속된다. 한편, 재킷부(15')는 대응하는 상부로 향한 티스(130')를 포함하고 또한 결합 요소를 이용하여 하나의 부분처럼 통합적으로 결속되어 하부방향으로 향하는 티스(120)와 상호결합된다. 티스(110)는 서로 결합되고 연결되는 상호 결합 부재가 되어 재킷(10)을 폐쇄시켜 유지한다. 도시되는 것처럼, 물론 다른 투스 기하학이 당업계에 개시되어 있지만, 티스(110)는 티스(110)의 상호결합을 용이하게 수행하도록 테이퍼 표면(113)과 인접 표면(117)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재킷(15, 15')은 동일하다. 따라서 재킷부(15)의 하부방향으로 연장하는 티스(120)는 재킷(10)의 반대측상의 재킷부(15')의 상부방향으로 연장하는 티스(120')에 대응한다. 동일하게 하부방향으로 연장되는 패킷부(15)의 티스(130)는 상부방향으로 연장되는 재킷부(15')의 티스(130')에 대응한다.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재킷부(15, 15')는 중앙 스페이스(17) 방향이 아니라 기구(100)를 죄는 제1 및 제2 지퍼형 죔 기구를 따라서만 부착된다. 따라서, 재킷부(15, 15')간의 스페이스(17)내에 유지되는 라인은 자유롭게 미끄러질 수 있거나 재킷(10)내에서 "부유"될 수 있으며, 재킷(10)과 라인 사이에서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러한 설계는 중요한 장점을 나타낸다. 만일 라인이 계속적으로 고정되거나 재킷(10)과 관련되어 이웃하여 고정되는 경우, 라인은 재킷의 구부러짐에 의해 발생되는 힘에 전단 되거나 결과적으로 손상을 입게된다. 재킷(10)을 오직 일단의 라인에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기술된 것처럼 라인의 구부러짐이나 비틀림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라인이 재킷에 연관되어 미끌어질 수 있으며, 전단력의 강화에 의한 손상을 감소하게 된다.
티스(110)는 횡으로 연장하는 갭(40)의 반대측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티스(110)는 갭(40)을 가로질러 서로 결합되지 않기 때문에, 티스(110)와 결합 요소(30)는 대체로 개별적으로 움직인다. 결합 요소(30)와 티스를 개별적으로 움직이게 유지함으로써 결합 요소(30)가 티스(110) 대신 구부러짐 반경과 비틀어짐 각을 제어가능하게 한다. 즉 다른 말로 티스(110)는 가깝게 배치되기 때문에 구부러지거나 비틀어질 때 쉽게 분리되지 않지만, 충분히 움직여서 결합 요소(30)가 구부러짐 반경을 결정하고 티스(110)를 결정하지 않는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제어 재킷(10)은 단부(140)를 포함하고, 특히 커넥터(도시되지 않음)에 부착하도록 설계된다. 단부(140)는 상호 맞물림부(110)가 없는 영역(15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단부 요소(160)는 대략 다른 결합 요소(30)의 길이에 2배이지만, 물론 소정의 길이가 될 수도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 의해, 단부(140)는 커넥터 및/또는 선상에 직접적으로 부착되고, 재킷(10)이 라인의 하부방향으로 미끌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재킷부(15, 15')는 단부(140)에서 접착제를 이용하여 함께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 강하게 접착시키고 커넥터와 또는 서로 발생가능한 부주의에 의한 분리를 감소시킨다. 여러 가지 사용가능한 형태의 접착제를 하기 기술한다. 재킷(10)은 커넥터의 라인내의 전달점과 높은 압력을 견뎌내야하고, 종종 손상을 입기 용이한 점을 효과적으로 보호한다.
별법으로는 단부(140)를 사용하거나 단부를 이용하지 않고, 재킷(10)은 횡의 갭(40)중 하나의 갭 혹은 장축의 갭(50)을 따라 끈거나 절단하여 커넥터나 다른 외부 요소에 접촉하기 위해 소정 크기의 재킷을 형성할 수 있다.
특히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상호 결합 요소 대신에, 다른 형태의 고정 기구를 사용하여 재킷부(15, 15')를 함께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은 텅그 대 그루브 접합(tongue-and-groove joint:170)을 나타낸다. 재킷부(15)는 상부방향으로 연장되는 재킷부(15')의 텅그 요소(173')와 결속하기 위한 하부방향으로 연장되는 그루브 요소(175)를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재킷부(15, 15')는 동일한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하부방향으로 연장되는 재킷부(15)의 그루브 요소(175)는 재킷(10)의 반대측상의 상부방향으로 연장되는 재킷부(15')에 대응한다. 유사하게 텅그 요소(173, 173')는 서로 대응한다. 기계적으로 고정시키는 다른 기구, 예를 들어 볼 대 소켓 기구는 본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별법으로, 접착제는 영구히 재킷부(15, 15')를 이와 대향하는 에지를 따라 함께 고정시킬 수 있다. 매우 다양한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아크릴 전달 접착제와 같은 재킷부를 따라 장축으로 압출 성형된 액체 접착제, 및/또는 고압축 빠른 경화 또는 고열 용해 접착제, 및/또는 염가본을 갖는 접착 테이프. 테이프의 라인은 재킷부(15, 15')중 하나에 고정되야 하고, 사용할 때까지 적소에 남아있는 종이 표지는 테이프가 오염되지 않도록한다. 재킷부(15, 15')는 보호할 라인 둘레의 위치로 움직이고, 종이 표지를 제거하며, 재킷부는 스페이스(17)내의 라인을 고정하도록 함께 부착된다. 재킷부(15, 15')를 테이프나 어떠한 수단으로 에지를 따라서만 함께 고정시킴으로써 라인은 상기 기술된 것처럼 재킷(10)내에서 "부유"가능하게 한다. 물론 접착제는 특정한 적용 목적으로 스페이스(17)를 완전하게 가로지르게 적용할 수 있다.
별법으로 결합 기구(100)는 재킷(10)을 따라 장축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용접 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라, 하나 이상의 재킷(10) 에지는 가열되어 함께 재킷부(15, 15')를 용해시킨다. 별법으로, 재킷(10)의 에지를 초음파적으로 용접하여 재킷부(15, 15')를 함께 유지할 수 있다. 영구적이고 따라서 열려지지 않는 봉함(seal)을 제공하지만 강화된 힘은 몇몇 적용시 유용함을 갖는다.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특히 도 8과 도 9는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에 상대적인 본 실시예의 중요한 특징을 나타낸다. 힌지(280)는 서로 상대적인 재킷부(215, 215')를 피벗하여 재킷(210)을 개폐한다. 인접한 결합 요소(30)들 사이의 힌지(90)뿐만 아니라 힌지(280)는 "강한" 힌지이고, 결함없이 계속적으로 구부러질 수 있는 물질과 두께를 형성하는 것을 나타낸다.
재킷(210)이 개방될 때,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광섬유 리본 케이블인 라인(200)이 삽입된다. 접착제(290)는 힌지(280)와 대향하는 재킷(210)의 에지를 따라 돌출가능하여, 재킷부(215, 215')를 함께 고정시킨다. 별법으로 돌출된 접착제(290) 대신에 재킷(210)은 접착 테이프나 복수의 상호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로 나타내는 부재(110)와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재킷(210)은 결합 요소(230)의 다차원 매트릭스(220)를 포함한다. 결합 요소(230)는 갭(240, 250)만큼 이격되고 장축과 횡축 방향(255, 245)을 따라 행(260)과 열(270)로 배치된다. 요소(230)의 기하학은 요소(230)가 직선의 측표면 대신에 기울어진 측표면을 포함하고, 라운드형 평면 대신에 모난 코너를 갖는 표면(231)을 갖는다는 점에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과 상이하다.
도 10은 직선 구조의 재킷(210)을 나타내고, 도 11은 중심점(305) 둘레의 최소 구부러지는 반경(300)을 갖는 구부러지는 구조를 나타낸다. 구부러짐 반경은 도 15와 관련하여 하기 기술되어 진다.
도 12 내지 도 14는 인접한 결합 요소들 사이에 가능한 갭의 상이한 예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도 12에 있어서, 인접한 결합 요소(30)의 마주하는 측표면(313)은 재킷(10)을 구부리고 및/또는 비틀 때 서로 완전하게 대체로 결합되어 갭(310)이 근접하게 된다.
도 13에 있어서, 인접하는 요소의 마주하는 측표면(323)은 평행하고, 대체로 곧은 벽으로된 갭(320)을 한정한다. 이러한 결합 요소가 상대적으로 움직일 때, 측표면(323)은 갭(320)의 상부 단부방향으로 서로 접촉되고, 부분적으로 갭(320)이 근접하게 되지만 대체적으로 삼각형 모양으로 개방된다.
도 14의 갭(330)은 인접한 요소(30)의 대향하여 굴곡된 측표면(333)에 의해 한정된다. 상대적으로 움직일 때, 굴곡된 표면(333)은 결합 요소(30)의 면 아래에서 서로 결합되고, 다시 부분적으로 갭(330)이 근접하지만 개방된 스페이스가 된다. 도 14의 실시예는 선행하는 실시예보다 몰딩하기가 더 어렵지만 어떠한 경우에 있어서는 장점이 된다.
점점 가늘어진 갭 기하학에 있어서, 도 15에 도시된 것처럼 구부림 반경 (단, L = 인접한 갭 사이의 거리, H = 갭 높이, D = 재킷의 상부 표면의 갭 폭, θ = 요소 측표면으로 한정되는 각을 나타냄)인 것이 명백할 것이다. 곧은 벽으로된 갭에 있어서, 구부림 반경 (단, L = 인접한 갭 사이의 거리, Φ = 갭의 하부중앙에 대해 취해진 결합 요소의 최상부 에지들간의 각을 나타냄)인 것이 명백할 것이다.
대표적인 광섬유 출원에 대해, 구부러짐 반경 R은 케이블 크기, 전송율, 파장 및 다른 요소에 의존하기 때문에, 대략 1/8 내지 2인치 사이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하부 웹 구조물(80)로 다운되는 결합 요소(30)의 두께는 대략 40마일이고, 기초를 이루는 웹 구조(80) 자체는 대략 20마일 두께가 된다. 물론 다른 구부러짐 반경과 커다란 재킷 크기는 커다란 케이블을 이용하는 다른 적용물에 바람직할 수 있고, 광섬유가 아닌 적용도 포함한다.
어떠한 구부러짐 반경 크기라도, 갭 기하학은 소정의 구부러짐 반경 R을 한정하도록 선택된다. 갭 기하학은 방향적으로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킷(10)은 원한다면 장축 및 횡축 방향으로 상이한 구부러짐 반경을 가질 수 있다. 갭 기하학은 하나의 방향을 따라 어느 정도까지 상이할 수 있다. 즉 구부러짐 반경은 재킷(10)의 길이를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비틀림 각은 선택된 구부러짐 반경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좀더 큰 재킷 크기로 정밀하게 갭 기하학을 한정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재킷 크기가 감소하고 따라서 갭 크기가 감소하기 때문에, 갭 기하학은 구부러짐 반경에 많은 영향을 미치지 않고 곧은 측면과 아래로 근접하게 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6에 도시된 것처럼, 다중 재킷(10)은 어떤 소정의 길이인 혼합 보호 재킷을 만들기 위해 한쪽 끝과 다른 한쪽 끝을 함께 묶는 것이 가능하다. 재킷을 다른 재킷에 고정 시키기 위해 인접한 재킷(10)은 텅그와 그루브 결합(320)을 함께 형성한다. 그루브부(340)는 돌출된 텅그부(330)를 수용하고, 이 그루브부와 텅그부(340, 330)는 가장 튼튼한 결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재킷부(15, 15')의 전체 높이를 연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별법으로, 결합(320)은 대부분의 볼과 소켓 구성을 고려할 수 있고, 요소(30)를 따라 중간 높이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실시예는 2개의 결합부(320)를 포함하지만, 제3 결합이나 추가적인 다중 결합을 제공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각 횡축 열(70)내의 결합 요소의 수에 기초한다. 다른 결합 위치와 형태는 일상적인 기술의 하나로 명백해진다.
재킷(10)은 구부러지기 용이한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힌지(90 및/또는 280)이지만, 높은 압축력을 갖는다. 또한 재료는 상대적으로 가볍고 비용이 싸야하며, 열가소성 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와 같은 중합 물질이 바람직하다. 특히 폴리프로필렌은 사용하기에 적합한 재료중의 하나이며,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 탄산 에스테르, 상표명 ESTANE인 B.F. Goodrich로 부터 및 상표명 SANTOPRENE의 몬산토(Monsanto)로부터 입수가능한 폴리우레탄, 상표명 LO-MOD 항목의 제너럴 일렉트릭사로부터 입수가능한 코-폴리에스테르, 실리콘/러버 또는 실리콘/엘라스토머와 생산품과 같은 실리콘 재료, 상표명 GEON인 B.F. Goodrich로부터 입수 가능한 PVC 비닐 중합체, 상표명 KRATON인 셸로부터 입수가능한 스티렌, 및 다른 엔지니어 중합체/플라스틱을 사용할 수 있다.
재료를 소정의 힘과 유연성의 바람직한 조합에 제공하도록 주입기를 중합체에 부가할 수 있다. 의도된 적용에 따라 가장 널리 사용되는 주입기의 형태는 예를 들어 케블라 섬유와 같은 섬유, 나일론, 카본, 유리, 금속 도선 혹은 입자 및 세라믹 재료를 포함한다. 주입기는 랜덤하게 배열될 수 있고, 혹은 매트릭스나 웹형 어레이로 형성될 수 있다.
재킷부(15, 15')는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 가능하다. 예를 들어, 각 재킷부는 몰딩되어 전체적으로 하나의 피스로 형성가능하다. 심지어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재캣부(15, 15')는 함께 힌지되고, 몰딩되어 전체적으로 하나의 피스로 형성가능하다. 재킷부(15, 15')는 섬유 테이프 어셈블리상으로 돌출가능하며, 혹은 재킷부(15, 15')는 심지어 테이프층을 테이프 어셈블리로 대신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폴리프로필렌이나 다른 제조는 섬유, 예를 들어 엠보싱 휠이나 갭(결합 요소를 한정함)을 형성하는 다른 요소상에 직접적으로 돌출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별법으로, 갭은 자유롭게 형성된 재킷 블랭크로 절단 가능하다.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를 통해 기술되었지만, 상세한 설명은 설명을 위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여러 가지 기술된 제어 재킷 실시예의 특성은 혼합가능하고 특정하게 적용하도록 배합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12 내지 도 14의 갭은 도 3에 도시된 접착제나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지퍼 패스너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매우 다양한 라인을 매우 다양한 물리적인 환경과 위치에서 보호 가능하다. 당업계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여러 가지 다른 변형과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을 하기 청구항으로 한정하려 한다.

Claims (14)

  1. 라인을 수용하고 상기 라인을 구부림과 비트는 양을 제한하는 제어 재킷에 있어서,
    상기 라인을 덮도록 다차원 매트릭스에 배치된 복수의 결합 요소(30)와,
    상기 매트릭스의 인접한 결합 요소를 분리하는 복수의 갭(40)과,
    인접한 결합 요소가 서로 결합되도록 이동가능하게 상기 결합 요소를 상호 연결하고, 상기 제어 재킷이 구부러지고 비틀릴 때, 상기 갭은 실질적으로 폐쇄되며, 상기 결합 요소가 서로 결합되는 것은 상기 라인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어 재킷의 구부러짐과 비틀어지는 양을 제한하는 구조(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재킷.
  2. 제1항에 있어서, 각 결합 요소는 상기 제어 제킷의 외부표면을 형성하는 다각면(3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지으로 하는 제어 재킷.
  3. 제1항에 있어서, 각 결합 요소는 원추형 피라미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재킷.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요소의 다차원 매트릭스는 결합 요소의 행(60)과 열(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재킷.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재킷이 비틀어질 때, 동일한 열내의 인접한 결합 요소는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재킷.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재킷이 평면 밖의 방향으로 구부러질 때, 동일한 행내의 인접한 결합 소자는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재킷.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재킷은 장축 방향(55)과 이 장착 방향에 수직인 두 개의 횡축 방향(45)을 한정하고, 상기 두 개의 횡축 방향중 하나의 방향은 내면 횡축 방향이고 다른 하나의 방향은 외부면 횡축 방향이며, 상기 평평한 라인은 상기 평면을 한정하며,
    장축으로 인접한 결합 요소(30)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들 각각의 사이 갭을 가까워지게 하고, 서로 장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어 재킷을 면 외부로 구부릴 때 서로 결합되며,
    면 내부 횡으로 인접한 결합 요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들 각각의 사이 갭을 가까워지게 하고, 상기 면 내부 횡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어 재킷을 면 외부로 구부릴 때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재킷.
  8. 제1항에 있어서, 각 결합 요소(30)는 측표면을 포함하고, 인접합 결합 요소의 마주하는 측표면은 서로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재킷.
  9. 제1항에 있어서, 각 결합 요소(30)는 측표면을 포함하고, 인접합 결합 요소의 마주하는 측표면은 서로 어떤 각도로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재킷.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요소를 서로 연결하는 구조(80)는 인접한 결합 요소(30)를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힌지(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재킷.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재킷은 대체로 평행한 리본 케이블을 갖는 라인을 덮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재킷.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재킷은 2개의 동일 재킷 부재(15, 15')를 포함하고, 상기 각 동일 재킷 부재는 결합 요소의 다차원 매트릭스(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재킷.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재킷은 제어 재킷의 길이를 따라 개폐하도록 서로에 대해 2개의 동일 재킷 부재를 피벗하는 힌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재킷의 길이를 따라 상기 라인을 삽입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재킷.
  14. 라인을 수용하고, 장축 방향을 한정하며, 상기 제어 재킷으로 상기 라인을 삽입하도록 장축 방향을 따라 개방 가능한 제어 재킷(10)에 있어서,
    사이에 끼이는 갭(40)만큼 분리된 복수의 이격된 결합 요소(30)를 포함하고, 상기 이격된 결합 소자는 서로 결합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사이에 끼인 갭이 가까워지도록 이동가능하며, 상기 제어 재킷의 구부러짐을 제한하고 라인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복수의 이격된 결합 요소와 실시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어 재킷을 상기 라인에 삽입하도록 장축 방향을 따라 개방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제어 재킷내에 상기 라인을 고정시키도록 장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어 재킷을 폐쇄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재킷.
KR1019980710034A 1996-06-10 1996-10-18 결합 요소 매트릭스를 이용한 구부림 반경 제어 재킷 KR2000001645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662,720 US5764839A (en) 1996-06-10 1996-06-10 Bend radus control jacket with matrix of engaging elements
US8/662,720 1996-06-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6450A true KR20000016450A (ko) 2000-03-25

Family

ID=24658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10034A KR20000016450A (ko) 1996-06-10 1996-10-18 결합 요소 매트릭스를 이용한 구부림 반경 제어 재킷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764839A (ko)
EP (1) EP0904556B1 (ko)
JP (1) JP2000514232A (ko)
KR (1) KR20000016450A (ko)
CN (1) CN1220016A (ko)
AU (1) AU718886B2 (ko)
CA (1) CA2253524A1 (ko)
DE (1) DE69611549T2 (ko)
TW (1) TW342463B (ko)
WO (1) WO19970479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52266B1 (en) * 1998-11-11 2006-07-26 Tomoegawa Paper Co. Ltd. Optical connecting component
US6194664B1 (en) 1999-06-07 2001-02-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aratus for isolating and reinforcing bend corners of flexible cable
US6356696B1 (en) * 2000-02-23 2002-03-12 Delphi Technologies, Inc. Radius control rod
AU2001250804A1 (en) * 2000-03-06 2001-09-17 Alcoa Fujikura Limited Angled fiber optic connector
US6634801B1 (en) 2000-11-14 2003-10-21 Stratos Lightwave, Inc. Adjustable strain relief boot
US7109412B2 (en) * 2002-03-08 2006-09-19 Smc Kabushiki Kaisha Cable structure
JP3937067B2 (ja) * 2002-03-18 2007-06-27 Smc株式会社 電動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その組み付け方法
JP2003343677A (ja) * 2002-05-27 2003-12-03 Smc Corp 電動アクチュエータ
DE102004009175A1 (de) * 2003-03-10 2004-12-09 Smc K.K. Kabelstruktur
US7269319B2 (en) * 2004-11-03 2007-09-11 Adc Telecommunications, Inc. Outside plant fiber optic cable with thermal protection
US7599582B2 (en) * 2004-11-22 2009-10-06 Honeywell International Inc. Optical fiber cable take-up mechanism for scanning sensors
US20090123109A1 (en) * 2007-11-09 2009-05-14 Lxdata Inc Temperature sensor using an optical fiber
IT1395553B1 (it) * 2009-09-01 2012-09-28 Sirti Spa Dispositivo di protezione tubolare per minitubi e minicavi transitanti in pozzetti, camerette e/o cunicoli.
CN102347556B (zh) * 2010-08-05 2016-01-20 神讯电脑(昆山)有限公司 线材保护器
DE102011003643A1 (de) 2011-02-04 2012-08-09 Sulfurcell Solartechnik Gmbh Dachmodul, Dachmodulsystem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Dachmodulsystems
US9229172B2 (en) * 2011-09-12 2016-01-05 Commscope Technologies Llc Bend-limited flexible optical interconnect device for signal distribution
US9417418B2 (en) 2011-09-12 2016-08-16 Commscope Technologies Llc Flexible lensed optical interconnect device for signal distribution
ES2792122T3 (es) 2012-09-28 2020-11-10 Commscope Connectivity Uk Ltd Casete de fibra óptica
US9223094B2 (en) 2012-10-05 2015-12-29 Tyco Electronics Nederland Bv Flexible optical circuit, cassettes, and methods
US20140319295A1 (en) * 2013-04-25 2014-10-30 Roman Serebryakov Flexible and extendable hanging device
US20160233006A1 (en) * 2015-02-09 2016-08-11 Commscope Technologies Llc Interlocking ribbon cable units and assemblies of same
WO2016128451A1 (en) * 2015-02-10 2016-08-18 Commscope Connectivity Uk Limited Flexible cable interface device
EP3510432A1 (en) 2016-09-08 2019-07-17 CommScope Connectivity Belgium BVBA Telecommunications distribution elements
EP3692404A4 (en) 2017-10-02 2021-06-16 Commscope Technologies LLC FIBER OPTIC CIRCUIT AND MANUFACTURING METHOD
US10833445B1 (en) 2019-08-14 2020-11-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able connector housing attachment for protecting and directing a cabl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40062A (en) * 1979-01-24 1980-08-20 Green Precision Ind Ltd Lee Optical fibre terminations
US4645295A (en) * 1980-02-04 1987-02-24 Allied Corporation Fiber optic connector
US4931332A (en) * 1989-03-01 1990-06-05 Dukart Richard L Non-warping and torque resistant structural panel for paneling, furniture and flooring
US5094552A (en) * 1990-11-16 1992-03-10 Amp Incorporated Interlocking strain relief
US5030135A (en) * 1990-11-29 1991-07-09 Compaq Computer Corporation Cable strain relief device
US5390262A (en) * 1991-10-03 1995-02-14 Ncr Corporation Method for splitting and configuring a multi-channel image processing system
GB9123760D0 (en) * 1991-11-08 1992-01-02 Stockman Anthony J Optical fibre sheathing
CH687488A5 (de) * 1992-12-23 1996-12-13 Reichle & De Massari Fa Knickschutzvorrichtung fuer Kabel-Stecker, insbesondere fuer EDV-Anlagen
US5340330A (en) * 1993-08-26 1994-08-23 Black & Decker Inc. Anti-kink control for electrical cords
US5390272A (en) * 1993-08-31 1995-02-14 Amphenol Corporation Fiber optic cable connector with strain relief boot
US5477969A (en) * 1994-03-17 1995-12-26 Csl Plastics Inc. Wall panel display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04556A1 (en) 1999-03-31
AU718886B2 (en) 2000-04-20
EP0904556B1 (en) 2001-01-10
WO1997047999A1 (en) 1997-12-18
DE69611549T2 (de) 2001-06-21
CN1220016A (zh) 1999-06-16
DE69611549D1 (de) 2001-02-15
TW342463B (en) 1998-10-11
US5764839A (en) 1998-06-09
CA2253524A1 (en) 1997-12-18
JP2000514232A (ja) 2000-10-24
AU7517796A (en) 1998-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16450A (ko) 결합 요소 매트릭스를 이용한 구부림 반경 제어 재킷
US5889910A (en) Bend radius control jacket
EP0657980B1 (en) Enclosure with sealant for spliced coaxial cables
US8571367B2 (en) Fiber optic furcation assembly
US7758257B2 (en) Methods for forming connectorized fiber optic cabling
US5933557A (en) Multi-link boot assembly for cable connector
EP0501745B1 (en) Dual durometer twist-on connector
CA2371741C (en) Low voltage re-enterable splice enclosure
EP0512811A1 (en) Branching method for a multi-fiber fiberoptic cable
EP0036250A1 (en) Wrap-around device and arrangement which includes such a device
EP2095162A2 (en) Holder for optical fibres or other conductors
WO1989010648A1 (en) Splice case
JP3897361B2 (ja) シール装置
RU2072541C1 (ru) Устройство захвата для оптического кабеля с волоконнооптическими лентами
US4640984A (en) Support and strain relief combination
WO1995006347A1 (en) Sealing member
CA1299406C (en) Optical cable connecting section in electric power and optical composite cable
MXPA98010333A (en) Flexion radio control liner with matrix of acoplamie elements
EP3608698B1 (en) A gland for securing tubes or cables
US20220308300A1 (en) Fiber optic cable transition tube
US5956446A (en) Optical cable with a flexible stack of optical fiber ribbons
WO1990005930A1 (en) Optical fiber splice tray
Mullen Jr et al. 90 sealing nut
MXPA97007081A (en) Organizers of optimal fibers
MXPA97007080A (en) Envelope with release of ac effo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