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5922A - 최소한 하나의 방적사 센서를 갖는 방적사 공급기 - Google Patents

최소한 하나의 방적사 센서를 갖는 방적사 공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5922A
KR20000015922A KR1019980709475A KR19980709475A KR20000015922A KR 20000015922 A KR20000015922 A KR 20000015922A KR 1019980709475 A KR1019980709475 A KR 1019980709475A KR 19980709475 A KR19980709475 A KR 19980709475A KR 20000015922 A KR20000015922 A KR 200000159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output signal
yarn
sensor element
det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9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15177B1 (ko
Inventor
안데르스 에릭슨
Original Assignee
브롬 스티그-아르네
아이알오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19620846A external-priority patent/DE19620846A1/de
Application filed by 브롬 스티그-아르네, 아이알오 에이비 filed Critical 브롬 스티그-아르네
Publication of KR20000015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59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5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51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34Handling the weft between bulk storage and weft-inserting means
    • D03D47/36Measuring and cutting the weft
    • D03D47/361Drum-type weft feeding devices
    • D03D47/367Monitoring yarn quantity on the dru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1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D5/14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1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D5/14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 G01D5/14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using Hall-effect devices
    • G01D5/145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using Hall-effect devices influenced by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Hall device and magnetic field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45Proximity switches
    • H03K17/95Proximity switches using a magnetic detector
    • H03K17/951Measures for supplying operating voltage to the detector circui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 Spinning Or Twisting Of Yarns (AREA)
  • Measurement Of Length, Angles, Or The Lik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AREA)
  • Switches That Are Operated By Magnetic Or Electric Fields (AREA)

Abstract

센서소자(H)를 이용하여 최소한 자기장(M)의 변화에 반응하고 미리 정해진 시점들(t1,t2,t3)에서 표본화되거나 검출되는 상이한 출력신호들(Y)을 내는 디지털 센서(S)를 제어하기위하여, 센서소자(H)의 아날로그 응답신호(W)가 디지타이징(digitizing) 히스테리시스 스위칭 소자(T)를 이용하여 출력신호들(Y)로 변환되면서, 센서(S)는 꺼지고 최소한 각각의 출력신호(Y)가 검출되기전에 다시 켜진다. 센서(S)는 센서(S)를 교호적으로 켜고 끄기 위하여 클럭에 의하여 동작하는 인터럽터(U)를 포함하며, 센서(S)의 클럭 주파수가 검출 주파수에 적응되어서 출력신호(Y)는 센서(S)가 검출이전에 켜져있으면 단지 검출될 수 있다. 센서는 방적사 공급기(F)내의 방적사 센서를 구성하며, 방적사 공급기(F)는 고정저장드럼(13)내의 영구자석(P)을 포함하며, 영구자석(P)은 방적사(G)에 의해 이동이 가능하고, 방적사 센서의 출력신호들은 드라이브(12)상에 방적사를 감기위한 제어신호들로 변환된다.

Description

최소한 하나의 방적사 센서를 갖는 방적사 공급기
미국 알레그로 마이크로시스템사의 "홀(Hall)효과 IC응용안내서"라는 사용자정보의 4-65쪽 그리고 4-66쪽에서, 디지털 홀센서(도 6과 도 7)가 도시되고 설명되어 있는데, 특히 이 센서들은 기계적제한스위치(mechanical limit switch)와 위치센서로서 사용된다. 홀소자의 아날로그 응답신호를 상이한 디지털 출력신호로 변환하는 슈미트 트리거 집적회로가 홀소자에 속해있다. 슈미트 트리거는 스위칭 히스테리시스(hysteresis)를 갖는데, 그 이유는 집적자기불감대(integrated magnetical dead zone)가 존재하여 만약 홀소자를 작동시키는 자기장밀도가 증가하면 동작점이 릴리스점(release point)보다 높은 가우스 값을 갖는 곳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상기 히스테리시스는 진동(oscillations) 또는 출력신호들의 점프를 피할 목적이고 또 그렇게 하기위해서는 필요하다. 동작점 이후에서 출력신호는 뾰족해진다. 릴리스점을 초과했을 때 출력신호는 높은 값으로 증가한다. 만약 홀소자와 관련해서 움직이는 영구자석에 의해 자기장이 발생되면, 영구자석이 홀소자에서 멀어질때와 같은 결과로서 출력신호변화는 영구자석이 홀소자를 향해 움직이는 중에 발생한다.
이러한 종류의 디지털 센서들(홀센서 또는 자기저항성(magneto resistive) 혹은 자기유도성(magneto inductive) 센서소자를 갖는 근접(proximity)센서)은 예를들어 본질적으로 방적사 소비와는 독립적인 저장드럼(storage drum)상에 미리 정해진 크기로 방적사 저장을 유지하는 드라이브에 방적사를 감기위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예를들어 무접촉 방적사 검출을 하기 위하여 방적사 센서(EP-B-0 171 516)형태로 방적사 공급기(feeder)내에서 방적사-처리 기술에 사용된다. 그러한 디지털 센서는 심지어 방적사 파손 센서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방적사는 저장드럼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지지되는 영구자석을 이동시킨다. 센서는 각각 영구자석의 움직임 또는 그 거리에 반응한다. 예를들어 디지털 홀센서는 매우 합리적인 가격에 이용할 수 있으며 신뢰성을 갖는다. 그러나, 출력신호변화가 영구자석의 움직임 방향 또는 자석 그리고/또는 전자기 플럭스 도전물질(electromagnetic flux conducting material)로 만들어지는 물체의 움직임 방향에 의존하는 센서소자까지의 상이한 거리들에서 발생한다는 점이 결점이다. 이러한 결점으로 인해 상기의 움직임 그리고/또는 방적사의 존재 여부에 관하여 부정확한 정보가 발생한다. 게다가, 예를들어 디지털 홀센서의 히스테리시스는 일련의 생산품중에서 편차를 갖고 완전히 같은 방적사 공급기내에 여러개의 방적사 센서들이 제공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결점들에 의해 발생하는 부정확한 제어 관계는 당연한 것으로 여겨져야 했으며 때때로 너무 크거나 너무 작은 크기로 방적사를 저장하게 되고 방적사 공급기의 동작중 장애를 일으키게 되었다. 그러한 센서에서 센서소자는 반드시 홀센서일 필요는 없지만 그 대신 자성체 그리고/또는 전자기 플럭스 도전물질의 가까이에서 반응하고 그 전기적 출력신호가 근접성, 즉 거리에 좌우되어 변하는 자기저항성 또는 자기유도성 센서소자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문부(preamble)에 따른 방법, 그리고 청구항 11의 전문부에 따른 센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디지털 센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상호 관련된 여러개의 타이밍도이다.
도 3은 최소한 하나의 방적사 센서를 갖는 방적사 공급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근접센서의 스위칭 정확도에 필요한 히스테리시스가 거리검출에 영향을 주지 않는 디지털 센서뿐아니라 개시된 바와 같은 종류의 방법을 창출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1과 독립항 11의 특징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라 얻어질 수 있다.
상기 방법에 따르면, 스위칭 정확성에 필요한 히스테리시스는 거리 검출에 영향을 줄 수 없다. 왜냐하면 출력신호의 스캐닝에 앞서 센서를 끄므로서 예들들면 홀소자 또는 자기저항성 센서소자의 경우, 자기장 밀도가 동작점을 위한 값에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만 있게 되기 때문에 스위칭소자의 릴리스점은 스캐닝중에 무시되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출력신호의 변화는 항상 영구자석과 센서소자사이의 동일한 거리에서 검출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정확한 기능을 하기위해 필요한 히스테리시스에 의해 필연적으로 일어나는 초기의 거리검출의 부정확성은 제거될 수 있고, 심지어 디지털 센서의 높은 스위칭 신뢰성도 유지될 것이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 제어되는 센서는 거리 검출에 있어 높은 정확도를 특징으로 하는데, 영구자석과 센서소자간의 상대적인 움직임 방향에 관계없이 동일한 거리에서 출력신호변화가 정확히 검출되기 때문이다. 클럭에 의해 동작하는 인터럽터는 센서를 적시에 켜고 끄는 기능을 한다.
청구항 2에서와 같이 변형된 방법에 의하여 센서는 출력신호의 검출 또는 스캐닝(scanning)을 위한 안정적 관계를 보장하기 위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간격동안 계속 켜져 있는다.
청구항 3에서와 같이 변형된 방법에 의하면 출력신호변화는 주파수 동조에 의하여 각각 빨리 또는 즉시 검출될 수 있다.
각각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의하면, 제어기술의 관점에서 적은 노력으로 매우 신뢰성있는 검출을 할 수 있다.
청구항 6에서와 같이 변형된 방법에 의하면 센서가 켜진후에 안정적 검출 관계가 지속될 것이다.
대안적으로, 비교적 출력 신호변화가 드물거나 매우 빈번한 경우에, 청구항 7에서와 같이 변형된 방법이 적절할 수 있으며, 반면에 출력 신호변화가 빈번한 경우에는 청구항 8에서와 같이 변형된 방법이 적절하다.
청구항 9에 의하여 정의된 주파수 범위는 정확한 거리검출을 하기에 충분하다.
마지막으로, 상기 방법은 만약 청구항 10에 따라 최신 마이크로프로세서의 효율성과 능력이 이용된다면 저비용으로 실행될 수 있고 확정된 방법 파라미터들에 관련해서 간단하게 변경될 수 있다.
청구항 12에 따른 센서의 실시예는 구조적으로 간단하다. 보통 예를들면 홀소자와 같은 센서소자와 접지사이에 인터럽터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청구항 13에 따른 실시예는 신뢰성이 있고 긴 내구성과 저손실을 가지면서 동작한다.
청구항 14에 따른 실시예에서 각각 전자적 잡음에 의한 전압 피크(peaks) 또는 교란(disturbances)을 일으키지 않으면서 정확한 스위칭 관계를 얻을 수 있다.
청구항 15에 따른 마이크로프로세를 갖는 실시예는 구조적으로 간단하다.
청구항 16에 따른 실시예에서 높은 정확성을 갖는 거리검출을 얻을 수 있다.
청구항 17에 따르면 센서는 방적사 공급기(yarn feeder)에서 방적사 센서(yarn sensor)로 기능한다. 상기 방적사 센서는 드라이브(drive)상에 감는 것을 제어하기 위하여 방적사 저장크기(최소 그리고 최대 방적사 센서, 기준 방적사 센서)를 감시할 뿐 만아니라, 그 대신 방적사 파손을 감지했을 때 스위치-오프 신호 또는 경보 신호를 발생하는 방적사 파손 센서로서 제공될 수 있다. 각각 사용되는 방적사 센서 개념의 특별한 장점은 영구자석 또는 자성체가 정확히 센서소자로 접근하거나 그로부터 멀어지고 있는 지에 상관없이, 도출된 제어신호들이 영구자석 또는 자성체 그리고/또는 전자기 플럭스 도전 물질의 한 거리에만 정확하게 관련이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잘 설명된다.
도 1(개략적 도해)에 따른 디지털 센서(S)는 마이크로프로세서(MP)에 의해 적절하게 구성되는 검증회로 및 클럭 뿐 아니라 예를들면 홀센서 같은 센서소자(H), 히스테리시스를 가지면서 동작하는 집적된 디지털화 스위칭 소자(T), 인터럽터(U)를 주된 구성요소로 포함한다. 대신 클럭에 의해 동작하는 인터럽터를 위한 클럭은 검증회로에서 분리될 수 있다. 게다가, 마이크로프로세서(MP)는 센서(S)의 외부에서 제공될 수 있으며 신호를 각각 수신하거나 송신하기 위하여 센서(S)에만 연결할 수 있다.
이 경우에 홀소자인 센서소자(H)는 도체(10)를 통하여 하나의 입력단자에서 예를들면 +5V 같은 전압원(+V)에 연결되며, 한 편 다른 입력단자는 도체(2)를 통하여 접지된다. 센서소자(H)의 응답신호는 도체(4)를 통하여 센서(S)내에 집적된 스위칭소자(T)로 전달되고 스위칭소자(T)는 검증회로를 구성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MP)의 접점(Z)과 도체(6)를 통하여 출력측에서 연결된다. 스위칭소자(T)는 의도적으로 제공되는 히스테리시스를 갖고 동작하며, 예를들어 센서소자(H)의 아날로그 응답신호들(W)의 디지털 출력신호들(Y, 1 또는 0)을 형성하기 좋은 슈미트 트리거(5)에 의해 정의된다. 도체(2)에서 적절하게는 NPN트랜지스터(8)인 클럭에 의해 동작하는 인터럽터(2)가 포함되며, 이것의 베이스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MP)에 의하여 구성되는 전압펄스들(X)을 발생하는 클럭과 도체(7)를 통하여 연결된다. 도체(7)에서 저항(R)이 제공될 수 있다. 접지용 도체(9)에서 커패시터(C)가 인터럽터(U)와 병렬로 제공될 수 있다. 도체(9)의 접합점은 인터럽터(U)와 센서소자의 입력사이에 위치한다.
센서소자(H)는 가변밀도를 갖는 자기장(M)에 의해 동작되는데, 예를들어 센서소자(H)와의 관계에서 양쪽 화살표(3)방향에서 움직이는 영구자석(P)에 의해 동작된다. 센서소자(H)는 대신에 자기저항성 센서소자일 수 있다. 금속체 또는 최소한 철(iron)을 포함하는 물체(P)의 거리 또는 그에 근접해서 반응하는 유도성 센서소자가 더 유용할 수 있다.
센서소자(H)는 자기장(M)의 밀도에 좌우되는 아날로그 응답신호들(W)을 출력한다(도체 (4)). 센서(S)내에 집적된 스위칭소자(T), 즉 슈미트 트리거(5)는 상기 응답신호들(W)로부터 디지털 출력신호들(Y, 1 또는 0)을 발생시키는데, 이 디지털 출력신호들(Y)은 마이크로프로세서(MP)내에서 스캐닝 또는 검출되며, 이 출력신호들(Y)로부터 마이크로프로세서(MP)는 제어신호들(Z')을 도출한다.
스위칭소자(T)는 미리 설정된 자기장(M)의 가우스값(센서소자쪽으로 영구자석(P) 접근)에 있는 동작점에서 출력신호(Y)를 값(0)에 대응하는 전압레벨로 스위칭한다. 만약 자기장(M)의 밀도가 감소(영구자석이 멀어짐)하면 스위칭소자(T)는 히스테리시스에 기하여 릴리스점에서보다 낮은 가우스 값에 도달하자마자 릴리스점에서 출력신호(Y)를 높은 신호레벨(1)로 스위칭한다. 이것은 0에서 1로의 출력신호변화가 1에서 0으로의 출력신호의 변화처럼 센서소자(H)와 영구자석(P)간의 또다른 거리에서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클럭에 의해 동작하는 인터럽터(U)를 이용하여 예를들면 릴리스점에서, 양 출력신호의 변화중 하나가 출력신호(Y)의 검출을 위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MP)에 의하여 제거되게 되는데, 그 이유는 각 경우에 출력신호(Y)의 검출에 앞서 인터럽터(U)가 센서소자(H)를 끄고 상기 검출 이전에 센서소자(H)를 다시 켜기 때문이다. 스위치-오프 때문에 마이크로프로세서는 한 출력신호변화 (예를들면 1에서 0)를 검출할 수 없지만, 상기 한 출력신호변화(예를들면 0에서 1)가 발생했는지의 여부는 검출할 수 있다. 그것으로부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상기 한 출력신호변화(예를들면 0에서 1)가 이미 발생했는지의 여부를 영구자석(P)의 각각의 움직임 방향(양쪽화살표(3))에 상관없이 결정할 수는 있다.
도 2의 타이밍도(I)는 시간축(t)을 따라 전압펄스들(X)을 도시하고 있는데, 마이크로프로세서(MP)는 이 전압펄스들(X)을 이용하여 센서소자(H)를 켜고 끄기 위하여 인터럽터(U)를 동작시킨다. 각각의 시점(시간축상의 "ti")에서 센서소자(H)는 다시 꺼지는 그 뒤의 시점(시간축상의 "to")까지 켜있게 된다. 적절하게 센서소자(H)가 켜지고 꺼지는 시간은 동일한 길이(예를들면 300Hz의 주파수)를 갖는다.
아래쪽 타이밍도(II)는 각각 시간축(t)상에서의 자기장(M)의 변화 또는 영구자석(P)의 거리변화를 도시한다. 타이밍도(III)는 센서소자(H)의 응답중 시간축(t)상에서의 출력신호들(Y)을 나타낸다. 자기장(M)이 약한 동안(영구자석(P)이 센서소자(H)로부터 멀 때)은 스위치-온 시간간격(ti에서 to사이)중에 출력신호(Y)는 1의 값을 같는다. 스위치-오프 시간간격(to에서 ti까지)중에 출력신호(Y)는 0의 값을 갖는다. 영구자석(P)이 센서소자(H)에 충분히 가깝게 접근하는 경우에 출력신호(Y)는 0의 값을 유지한다. 영구자석(P)이 스위치-온 시간간격중에 센서소자(H)로부터 충분히 멀리 떨어지도록 이동한 경우에, 출력신호(Y)는 하이(high)값(1)을 갖는다. 타이밍도(IV)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MP)가 시점들(t1,t2,t3)에서 출력신호(Y)를 검출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그러나 그 경우에 시점들(t1,t2,t3)은 각각 스위치-온 시간간격내(ti에서 to까지)에 있으며 대략 시간적으로(time-wise) 스위치-온 시간간격의 중간에 있다. 마지막으로, 타이밍도(V)는 영구자석(P)이 센서소자(H)에 가까운 시간간격중에 마이크로프로세서(MP)가 시점들(t1,t2,t3)에서 검출된 출력신호로부터 제어신호(Z')를 발생하고, 또 그 반면에 임의의 다른 제어신호들(Z')을 발생하지 않는 방법을 나타낸다.
타이밍도(III)에서 우측으로 있는 출력신호(Y)는 센서소자(H)가 초기에 꺼지고 켜졌을 때에만 검출되기 때문에, 이전의 출력신호변화(예를들면 0에서 1)보다 영구자석(P)과 센서소자(H)사이의 또 다른 먼 거리에서 발생한 출력신호변화(예를들면 1에서 0)는 무시될 것이다.
도 1에 따른 디지털 센서는 도 3에서 방적사 공급기(F)내의 방적사센서로서 제공된다. 상기 방적사 공급기(F)의 하우징(housing, 11)내에서 드라이브(전기모터, 12)상에 감기(winding)가 제공되는데, 이는 구성요소(element, 14)상에 감기를 구동하는 기능을 하며 고정저장드럼(13)상에서 방적사 감기들로 구성되는 방적사 저장기(yarn store)가 상기 구성요소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저장기로부터 예를들어 직물기계(weaving machine)같은 섬유기계(textile machine)는 요구에 따라 방적사를 소비한다. 드라이브(12)상에 감기(winding)는 섬유기계에 의한 소비와 독립적으로 방적사(G)를 항상 충분히 크게 저장하는 역할을 갖는데, 이것은 상기 저장기의 크기가 너무 크거나 너무 작지 않도록 보장하는 것이다. 저장드럼(13)내에서 영구자석(P) 또는 자성체 그리고/또는 전자기 플럭스 도전 물질이 스프링(17)에 의해 바깥쪽으로 편향된(biased) 감지기(feeler, 16)상에서 제공된다. 방적사가 영구자석(P) 또는 상기 자성체의 영역내에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영구자석(P)은 저장드럼(13)내로 후퇴한 위치 또는 저장드럼(13)위로 올라온 위치 중에서 하나의 위치를 갖게된다. 영구자석(P)과 예를들어 방적사센서(S)의 홀센서같은 센서소자(H)사이에서 하나의 거리값만을 고려함으로써, 제어신호들은 드라이브(12)상의 감기를 구동하기 위하여, 또는 방적사 저장기를 보충하기 위해 그 것을 가속하기 위하여, 또는 드라이브(12)상의 감기를 정지시키기 위하여, 또는 방적사 저장기의 바람직한 크기가 초과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드라이브(12)상의 감기를 감속하기 위하여 그 것의 제어장치(15)로 송신된다. 방적사 센서(S)는 도 1의 센서(S)에 대응하며 영구자석(P)의 거리가 정확하게 미리 설정된 값을 갖는지의 여부에 종속적이고, 상기 영구자석(P)이 센서소자로 접근하고 있는지 또는 그것으로부터 멀어지고 있는지와는 특히 독립적인 제어신호들을 쉽게 출력하는 경향이 있다.
도 3의 점선에서, 하나의 방적사 센서(S)가 제공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때때로 더 나아가 동일한 여러개의 센서들 또는 심지어 방적사 파손 센서도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이 표시되고 있다.

Claims (17)

  1. 디지털 센서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켜졌을 때 미리 설정된 시점(t1,t2,t3)에서 검출되는 자기장(M) 그리고/또는 자성체의 거리 그리고/또는 전자기 플럭스 도전 물질의 변화에 반응하고 상이한 출력신호들(Y)을 방출하는 센서 소자(H)를 가지며, 상기 센서 소자(H)의 아날로그 출력신호(W)는 다지털 센서(S)에 집적된 디지타이징 히스테리시스 스위칭소자(T)를 이용하여 상기 출력신호들(Y)로 변환되며, 상기 센서(S)는 최소한 각각의 출력신호(Y)의 상기 검출(t1,t2,t3)에 앞서 꺼지고 다시 켜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센서(S)를 제어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S)는 교호적으로 꺼졌다 켜지고 최소한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ti에서 to)중에 계속 켜져있으며, 각각의 출력신호(Y)는 켜져있는 시간 간격중에 유일하게 검출되거나 표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센서를 제어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S)는 상기 출력신호변화의 발생 주파수보다 더 높은 주파수로 켜졌다 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센서를 제어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S)는 동일한 지속시간을 갖는 온/오프 시간간격(ti에서 to까지, to에서 ti까지)을 가지며 규칙적으로 켜지고 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센서를 제어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출력신호(Y)가 스위치-온 그리고 스위치-오프 주파수에 일치하여 검출 주파수에서 검출되거나 표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센서를 제어하는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출력신호(Y)가 대략 상기 스위치-온 시간간격(ti에서 to까지)의 절반이 지나고 난 후 검출되거나 표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센서를 제어하는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출력신호(Y)가 스위치-온 그리고 스위치-오프 주파수보다 높거나 낮은 검출 주파수에서 검출되거나 표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센서를 제어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출력신호(Y)가 스위치-온 시간간격(ti에서 to까지)중에 여러번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센서를 제어하는 방법.
  9. 제1항내지 제8항중의 최소한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온 그리고 상기 스위치-오프 주파수와 상기 검출주파수가 약 300Hz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센서를 제어하는 방법.
  10. 제1항내지 제9항중의 최소한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S) 또는 상기 센서소자(H)가 각각 마이크로프로세서(MP)에 의해 켜지고 꺼지며, 상기 각각의 출력신호(Y)가 마이크로프로세서(MP)에 의해 검출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MP)와 동일한 마이크로프로세서(MP)에 의해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센서를 제어하는 방법.
  11. 디지털센서(S)에 있어서,
    공급전압(+V)에 연결되고 자기장(M) 그리고/또는 상기 자성체의 거리 그리고/또는 전자기 플럭스 도전 물질의 변화에 반응하는 센서소자(H)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S)내에 집적되어 있고 상기 센서소자(H)의 상기 응답신호(W)를 상이한 출력신호들(Y)로 디지털화하는 슈미트 트리거와 같은 히스테리시스를 갖는 미리 설정된 시점(ti,t2,t3)에서 상기 출력신호들(Y)을 검출하거나 표본화하기 위한 검증회로(MP)에 연결된 출력(6)을 갖는 스위칭소자(T)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S)를 교호적으로 스위치-온, 스위치-오프하기 위하여 자신의 클럭 주파수를 상기 검출 주파수에 동조시킨 클럭에 의하여 동작하는 인터럽터(U)가 제공되어 만약 상기 센서(S)가 검출 이전에 먼저 스위치-온 되면 상기 각각의 출력신호(Y)가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센서(S).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럽터(U)는 상기 센서(S)의 센서소자(H), 바람직하게는 홀(Hall)센서의 홀 소자, 또는 자기저항성 또는 자기유도성 센서소자와 접지 사이, 또는 상기 센서(S)의 센서 소자(H)와 상기 전압원(+V)사이에 배열되어 있고 클럭(MP)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센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럽터(U)는 전압펄스(X)를 발생하고 클럭(MP)을 만드는 펄스 발생기가 베이스에 연결된 스위칭 트랜지스터(8)이고 바람직하게는 NPN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센서.
  14. 제12항 및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럽터(U)에 병렬로 제공되는 접지에 연결되는 커패시터(C)가 상기 센서소자(H)와 상기 접지사이에 배열되고, 저항(R)이 상기 인터럽터(U)와 펄스발생기 또는 클럭(MP)사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디지털 센서.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발생기가 상기 각각의 출력신호(Y)도 검출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센서.
  16. 제11항내지 제15항중 최소한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약 +5V의 공급전압, 1kΩ의 저항(R), 그리고 약 100nF의 커패시터가 제공되고, 상기 클럭주파수가 약 300Hz로 조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센서.
  17. 제11항내지 제16항중 최소한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고정저장드럼(stationary storage drum,13)을 갖는 방적사 공급기(F)에서, 상기 센서소자(H), 상기 스위칭소자(T), 상기 인터럽터(U), 그리고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MP)가 상기 저장드럼(13)으로부터 거리를 두어 제공되고, 자신의 센서소자(H) 바람직하게는 홀 소자가 영구자석(P) 또는 자성체의 자기장(M) 또는 전자기 플럭스 도전 물질로 향하도록 상기 저장드럼(13)내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방적사(yarn)센서를 구성하며, 상기 저장드럼(13)상에 감겨져있는 방적사(G)를 이용하여 상기 영구자석(P) 또는 상기 자성체가 각각 상기 센서소자(H)에 가까운 위치와 먼 위치들 사이를 움직일 수 있고 상기 저장드럼(13)을 따라 방적사가 움직이든지 정지하든지 상관없으며, 상기 방적사센서의 상기 검출된 출력신호들(Y)로부터 최소한 방적사-감기 암드라이브(arm drive,12)용 제어신호들(Z')을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MP)를 이용하여 도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센서.
KR1019980709475A 1996-05-23 1997-05-22 최소한하나의방적사센서를갖는방적사공급기 KR1003151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620846.7 1996-05-23
DE19620846A DE19620846A1 (de) 1996-05-23 1996-05-23 Verfahren zum Steuern eines digitalen Sensors und digitaler Sensor
DE29612565U DE29612565U1 (de) 1996-05-23 1996-07-19 Digitaler Sensor
DE29612565.2 1996-07-19
PCT/EP1997/002638 WO1997044639A1 (de) 1996-05-23 1997-05-22 Verfahren zum steuern eines digitalen sensors und digitaler sens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5922A true KR20000015922A (ko) 2000-03-15
KR100315177B1 KR100315177B1 (ko) 2002-05-09

Family

ID=26025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9475A KR100315177B1 (ko) 1996-05-23 1997-05-22 최소한하나의방적사센서를갖는방적사공급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123281A (ko)
EP (1) EP0900363B1 (ko)
KR (1) KR100315177B1 (ko)
CN (1) CN1173154C (ko)
WO (1) WO19970446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8667A (ko) * 2002-10-03 2005-05-24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판독전용 자기 메모리장치 엠알오엠
KR100458374B1 (ko) * 2002-11-12 2004-11-26 주식회사 제어계측기술 내연기관 및 전동 차량용 비접촉 전자식 가속 제어기구
ITTO20040176A1 (it) * 2004-03-17 2004-06-17 Lgl Electronics Spa Alimentatore di trama per telai di tessitura con dispositivo di rilevamento della scorta
DE102004058920B4 (de) * 2004-12-07 2007-01-11 Memminger-Iro Gmbh Rundstrickmaschine und Elektromotor
ITMI20100390U1 (it) * 2010-12-23 2011-03-24 Roj Srl Gruppo di sensori ottici a rilessione in un porgitrama per telai tessili.
CN103167665B (zh) 2011-12-08 2014-10-08 昂宝电子(上海)有限公司 用于调整发光二极管电流的系统
CN103781257B (zh) * 2011-12-08 2018-03-20 昂宝电子(上海)有限公司 用于调整发光二极管电流的系统和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16902A5 (ko) * 1976-10-28 1980-04-30 Sulzer Ag
CH630126A5 (de) * 1978-03-09 1982-05-28 Loepfe Ag Geb Elektronischer fadenwaechter fuer eine webmaschine mit ortsfester schussgarn-vorratsspule.
US4226379A (en) * 1979-12-06 1980-10-07 Leesona Corporation Loom storage feeder improvement
US4374333A (en) * 1980-05-27 1983-02-15 Sprague Electric Company Two terminal Hall-sensor
US4368854A (en) * 1982-01-29 1983-01-18 Leesona Corporation Yarn feeder motor control
EP0171516B1 (de) * 1984-08-16 1989-03-08 Aktiebolaget Iro Fadenspeicher- und -liefervorrichtung
SE8800839D0 (sv) * 1988-03-09 1988-03-09 Iro Ab Forfarande och anordning for hastighetsreglering av en fournissor for mellan-lagring av garn, trad eller dylikt
US5211347A (en) * 1990-06-29 1993-05-18 Sobrevin Societe De Brevets Industriels-Etablissement Thread feed device
GB2249633B (en) * 1990-10-27 1995-03-15 Birt Electronic Systems Limite Hall effect sensors
EP0620647A3 (en) * 1993-04-14 1995-09-06 Namco Controls Corp Magnetically activated proximity switch.
IT1267157B1 (it) * 1994-11-22 1997-01-28 Lgl Electronics Spa Dispositivo e metodo perfezionati per la sorveglianza della riserva di filato negli apparecchi alimentatori di tram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00363A1 (de) 1999-03-10
CN1222972A (zh) 1999-07-14
EP0900363B1 (de) 2002-04-10
CN1173154C (zh) 2004-10-27
US6123281A (en) 2000-09-26
WO1997044639A1 (de) 1997-11-27
KR100315177B1 (ko) 2002-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43259A (en) Process for the non-contacting detection of eddy current-induced bodies, particularly metal objects, as well as to sensors based on the process
US9194721B2 (en) Device and method for the inductive detection of a position
US4618823A (en) Inductive proximity switch having an oscillator magnetic core and a permanent magnet forming a saturation-sensitive magnetization area
JP2531650B2 (ja) 非接触形近接スイツチ
JPS5772008A (en) Position sensor
US3473110A (en) Electronic conductor detector and indicator
JPS6343682B2 (ko)
US8319089B2 (en) Oscillatory, magnetically activated position sensor
KR100315177B1 (ko) 최소한하나의방적사센서를갖는방적사공급기
KR19980087190A (ko) 자성금속센서 및 자성금속 검출방법
EP0620647A2 (en) Magnetically activated proximity switch
US20210164766A1 (en) Electronic appliance with inductive sensor
US3964703A (en) Magnetic object detection
US6104592A (en) Electromechanical switching device
US4072927A (en) Tire pressure monitor
US4250825A (en) Under thread detection for sewing machines with axially spring biased rotatable member
US6995573B2 (en) Process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an influencing element with an inductive position sensor
GB2092849A (en) Solenoid-actuating circuit
KR100385794B1 (ko) 재봉기용보빈스레드의잔량검출장치
CN215186693U (zh) 一种非接触感应式接近开关
US4710646A (en) Thread movement sensor
KR20000004937A (ko) 근접 센서를 가진 방적사 공급기
JP3946827B2 (ja) 近接検出装置
US20080042637A1 (en) Magnetic toroid self resonant current sensor
US10760927B2 (en) Sensor arrangement for contactless linear position det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