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5814U - 반도체 웨이퍼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반도체 웨이퍼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5814U
KR20000015814U KR2019990000492U KR19990000492U KR20000015814U KR 20000015814 U KR20000015814 U KR 20000015814U KR 2019990000492 U KR2019990000492 U KR 2019990000492U KR 19990000492 U KR19990000492 U KR 19990000492U KR 20000015814 U KR20000015814 U KR 2000001581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semiconductor wafer
tank
drying apparatus
connection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04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용
도기철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반도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20199900004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5814U/ko
Publication of KR200000158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5814U/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17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 H01L21/67028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cleaning followed by drying, rinsing, stripping, blasting or the like
    • H01L21/67034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cleaning followed by drying, rinsing, stripping, blasting or the like for dry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6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wafers being stored in a carrier, involving loading and unloading
    • H01L21/67766Mechanical parts of transfe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Cleaning Or Drying Semiconduc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반도체 웨이퍼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아이 피 에이 탱크(13)의 일측 상단부와 챔버(11)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라인(20)을 설치하고, 그 연결라인(20) 상에 펌프(21)를 설치하여, 건조작업시 펌프(21)를 이용하여 아이 피 에이 탱크(13)에서 발생되는 아이 피 에이 증기의 일부를 펌핑하여 챔버(11)의 내측 상부로 블로잉함으로서, 웨이퍼(16)들의 상단부에도 계속 아이 피 에이 증기를 공급하게 되어 건조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Description

반도체 웨이퍼 건조장치{SEMICONDUCTOR WAFER DRYER}
본 고안은 반도체 웨이퍼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챔버의 상측에서도 아이 피 에니 증기가 블로잉될 수 있도록 하여 웨이퍼의 부분건조에 의한 불량발생을 방지하도록 하는데 적합한 반도체 웨이퍼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웨이퍼 제조공정중 린스공정을 마친 다음에는 웨이퍼에 묻어 있는 물기를 제거하기 위한 건조공정을 실시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건조공정을 실시하기 위한 종래의 건조장치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 이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반도체 웨이퍼 건조장치는 하면에 관통공(1a)들이 형성되어 있는 챔버(1)의 하측에 아이 피 에이(2)가 담겨있는 아이 피 에이 탱크(3)가 설치되어 있고, 그 아이 피 에이 탱크(3)의 하측에는 히터(4)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챔버(1)의 상단부에는 덮개(9 )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챔버(1)의 내측 상단부에는 쿨링 워터 라인(5)이 설치되어 있고, 챔버(1)의 내측에는 웨이퍼(6)들이 담겨 있는 카세트(7)를 이송하기 위한 로봇 암(8)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종래 반도체 웨이퍼 건조장치에서는 덮개(9)를 닫고 히터(4)를 가열하면 아이 피 에이 탱크(3)에 담겨 있는 아이 피 에이 용액이 아이 피 에이 증기가 되어 챔버(1)의 하면에 형성된 관통공(1a)을 통하여 챔버(1)의 내측으로 유입된다.
상기와 같이 유입되는 아이 피 에이 증기가 챔버(1)의 내측에 가득채워지면 린스작업을 마친 웨이퍼(6)들이 수납되어 있는 카세트(7)를 로봇암(8)을 이용하여 이동한 다음, 덮개(9)를 열고 챔버(1)의 내측에 웨이퍼(6)들을 일정시간(약10분) 정체시켜서 건조작업을 실시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반도체 웨이퍼 건조장치에서는 챔버(1)의 하측에서 올라오는 아이 피 에이 증기들에 의하여 웨이퍼(6)들의 하단부는 완전히 건조가 이루어지나, 웨이퍼(6)들의 상단부는 부분적으로 건조가 되지 않고 물기가 남아 있어서, 워터마크와 같은 건조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고안의 목적은 챔버의 내측 상부에서도 아이 피 에이 증기가 블로잉되도록 하여 웨이퍼의 건조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데 적합한 반도체 웨이퍼 건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반도체 웨이퍼 건조장치의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
도 2는 본 고안 반도체 웨이퍼 건조장치의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챔버 13 : 아이 피 에이 탱크
14 : 히터 20 : 연결라인
21 : 펌프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챔버의 하측에는 아이 피 에이 탱크가 설치되어 있고, 그 아이 피 에이 탱크의 하측에는 히터가 설치되어 있는 반도체 웨이퍼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아이 피 에이 탱크와 챔버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라인을 설치하고, 그 연결라인 상에 챔버의 상측으로 아이 피 에이 증기의 일부를 펌핑하기 위한 펌프를 설치하여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웨이퍼 건조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고안 반도체 웨이퍼 건조장치를 첨부된 도면의 실시예를 참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은 본 고안 반도체 웨이퍼 건조장치의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 반도체 웨이퍼 건조장치는 챔버(11)의 하측에 아이 피 에이(12)가 담겨있는 아이 피 에이 탱크(13)가 설치되어 있고, 아이 피 에이 탱크(13) 하측에는 히터(14)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챔버(11)의 상단부에는 덮개(15)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챔버(11)의 내측에는 웨이퍼(16)들이 담긴 캐리어(17)를 이송하기 위한 로봇 암(18)이 설치되어 있는 구성은 종래와 유사하다.
여기서, 본 고안은 상기 아이 피 에이 탱크(13)의 일측 상단부와 상기 챔버(11)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라인(20)을 설치하고, 그 연결라인(20) 상에 펌프(21)를 설치하여, 상기 아이 피 에이 탱크(13)에서 발생되는 아이 피 에이 증기중의 일부를 챔버(11)의 내측 상부에서 웨이퍼(16)들에 블로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1a 는 관통공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고안 반도체 웨이퍼 건조장치에서 웨이퍼의 건조작업이 이루어지는 동작은 종래와 유사하다.
즉, 챔버(11)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덮개(15)를 닫은 상태에서 히터(14)에 의하여 아이 피 에이 탱크(13)가 가열되면 아이 피 에이(12)가 가열되어 증발되면서 아이 피 에이 증기가 되어 챔버(11)의 내측으로 유입되어 챔버(11)의 내측에 아이 피 에이 증기가 채워지는데, 이와 같이 챔버(11)의 내측에 아이 피 에이 증기가 채워지면 덮개(15)를 열고, 로봇 암(18)으로 웨이퍼(16)들이 담긴 캐리어(17)를 챔버(11)의 내측으로 이동하여 일정시간 정체시켜서 웨이퍼(16)들이 묻어 있는 물기를 건조하게 된다.
여기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건조작업이 진행될때에 펌프(21)를 이용하여 아이 피 에이 탱크(13)에서 발생되는 아이 피 에이 증기의 일부를 펌핑하여 연결라인(20)을 통하여 챔버(11)의 내측 상부로 블로잉되도록 함으로서, 건조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웨이퍼(16)들의 상단부에도 계속 아이 피 에이 증기가 공급되게 되어, 종래와 같이 웨이퍼의 부분건조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 반도체 웨이퍼 건조장치는 아이 피 에이 탱크의 일측 상단부와 챔버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라인을 설치하고, 그 연결라인 상에 펌프를 설치하여, 건조작업시 펌프를 이용하여 아이 피 에이 탱크에서 발생되는 아이 피 에이 증기의 일부를 펌핑하여 챔버의 내측 상부로 블로잉함으로서, 웨이퍼들의 상단부에도 계속 아이 피 에이 증기를 공급하게 되어 건조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Claims (1)

  1. 챔버의 하측에는 아이 피 에이 탱크가 설치되어 있고, 그 아이 피 에이 탱크의 하측에는 히터가 설치되어 있는 반도체 웨이퍼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아이 피 에이 탱크와 챔버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라인을 설치하고, 그 연결라인 상에 챔버의 내측 상부로 아이 피 에이 증기의 일부를 펌핑하기 위한 펌프를 설치하여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웨이퍼 건조장치.
KR2019990000492U 1999-01-18 1999-01-18 반도체 웨이퍼 건조장치 KR2000001581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0492U KR20000015814U (ko) 1999-01-18 1999-01-18 반도체 웨이퍼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0492U KR20000015814U (ko) 1999-01-18 1999-01-18 반도체 웨이퍼 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5814U true KR20000015814U (ko) 2000-08-16

Family

ID=54758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0492U KR20000015814U (ko) 1999-01-18 1999-01-18 반도체 웨이퍼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5814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8324B1 (ko) * 2001-12-01 2004-02-14 한국디엔에스 주식회사 반도체 세정 장비의 웨이퍼 건조기
KR100447285B1 (ko) * 2002-09-05 2004-09-07 삼성전자주식회사 기판 건조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8324B1 (ko) * 2001-12-01 2004-02-14 한국디엔에스 주식회사 반도체 세정 장비의 웨이퍼 건조기
KR100447285B1 (ko) * 2002-09-05 2004-09-07 삼성전자주식회사 기판 건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57989B2 (en) Wafer drying apparatus
US2009012045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semiconductor substrates
JP2002110621A (ja) 基板処理方法および基板処理装置
KR100435808B1 (ko) 마란고니 방식 웨이퍼 건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적합한 장치
US6889447B2 (en) Method for drying a wafer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KR100636035B1 (ko) 웨이퍼를 건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웨이퍼 건조 장치를 포함하는 웨이퍼 처리 장치
KR19990013894A (ko) 감압식 건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반도체장치 건조방법
JP2003249478A (ja) ウェーハ乾燥方法
KR20000015814U (ko) 반도체 웨이퍼 건조장치
JP2004056129A (ja) 共沸混合物層を利用して半導体基板を乾燥させる装置及び上記の装置を使用する乾燥方法
KR100645042B1 (ko) 반도체 기판 세정 장치
KR101552567B1 (ko) 기판 건조장치
KR100436900B1 (ko) 웨이퍼 세정 장치
KR100634166B1 (ko) 반도체 기판 건조 방법
KR100440891B1 (ko) 웨이퍼 건조 방법
KR100697266B1 (ko) 이송 로봇의 척 세정장치
KR100386113B1 (ko) 반도체 웨이퍼 애싱방법
KR940008366B1 (ko) 웨이퍼 세정/건조방법 및 장비
JPH08162434A (ja) 半導体ウエハ等の蒸気乾燥方法及びその蒸気乾燥装置
KR100693248B1 (ko) 반도체 소자 제조에 사용되는 건조 장치
KR200231861Y1 (ko) 반도체웨이퍼건조장치
KR20020064479A (ko) 웨이퍼 건조기
KR20060030677A (ko) 기판 건조 장치 및 방법
KR20080008846A (ko) 기판의 건조방법 및 건조장치
KR20090036019A (ko) 기판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판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