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5811U - 디플렉션 요크의 페라이트 쉬트 위치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디플렉션 요크의 페라이트 쉬트 위치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5811U
KR20000015811U KR2019990000489U KR19990000489U KR20000015811U KR 20000015811 U KR20000015811 U KR 20000015811U KR 2019990000489 U KR2019990000489 U KR 2019990000489U KR 19990000489 U KR19990000489 U KR 19990000489U KR 20000015811 U KR20000015811 U KR 2000001581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flection yoke
ferrite sheet
paint
attached
def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04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희
Original Assignee
김덕중
사단법인 고등기술연구원 연구조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덕중, 사단법인 고등기술연구원 연구조합 filed Critical 김덕중
Priority to KR20199900004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5811U/ko
Publication of KR200000158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5811U/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36Manufacture of magnetic deflecting devices for cathode-ray tub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70Electron beam control outside the vessel
    • H01J2229/703Electron beam control outside the vessel by magnetic fields
    • H01J2229/7031Cores for field producing elements, e.g. ferri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2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along one straight line or along two perpendicular straight lines
    • H01J29/76Deflecting by magnetic fields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82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electron-optical or ion-optical arrangements
    • H01J29/823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electron-optical or ion-optical arrangements around the neck of the tube
    • H01J29/826Deflection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ormation Of Various Coating Films On Cathode Ray Tubes And Lam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디플렉션 요크상에 페라이트 쉬트가 부착되어야 할 위치를 표시하고, 디플렉션 요크의 표시된 위치에 페라이트 쉬트를 부착시키므로써 페라이트 쉬트를 보다 정확하게 부착시킬 수 있어 디플렉션 요크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디플렉션 요크의 페라이트 쉬트 위치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디플렉션 요크 조정시스템(10)에 연결되는 위치보정장치(20), 디플렉션 요크 고정용 테이블(30)에 안착되어 있는 디플렉션 요크(40)에 페라이트 쉬트 부착용 표시를 하기 위한 물감분사장치(50), 그리고 상기 디플렉션 요크 고정용 테이블(30)에 종설되는 지지대(60)의 상부에 횡설되고 하부에 상기 물감분사장치(50)가 설치되어 상기 위치보정장치(20)에 연결되는 물감분사용 이동장치(7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플렉션 요크의 페라이트 쉬트 위치 표시장치{APPARATUS FOR INDICATING THE POSITION OF FERRITE SHEET TO BE ATTACHED TO DEFLECTION YOKE}
본 고안은 디플렉션 요크(Deflection Yoke)의 페라이트 쉬트 위치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디플렉션 요크상에 페라이트 쉬트(Ferrite Sheet)가 부착되어야 할 위치를 표시하고, 디플렉션 요크의 표시된 위치에 페라이트 쉬트를 부착시키므로써 페라이트 쉬트를 보다 정확하게 부착시킬 수 있어 디플렉션 요크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디플렉션 요크의 페라이트 쉬트 위치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플렉션 요크는 전자 편향식의 수상관 또는 촬상관 등에 있어서 전자 빔을 편향시키기 위하여 관의 목부분에 장착하여 편향 자계를 발생시키는 부품으로서, 전자 빔을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편향시키기 위하여 수상관 목의 내부 또는 촬상관의 내부에 자계를 발생시키는 수평코일, 수직코일 및 목 외부의 자기회로를 형성하는 원통형의 자기 철심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디플렉션 요크는 모니터 내에 설치되는 부품으로서 전자가 전자기장속에서 이동할 경우에 자기장의 세기나 전류의 세기에 의하여 편향된다는 원리를 이용하여 모니터상의 원하는 위치에 빛의 삼원색인 빨강, 파랑 및 녹색의 광을 전달하여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제조과정의 여러 가지 요인들로 인하여 디플렉션 요크의 편향성이 원하는 기능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즉, 디플렉션 요크의 부정확한 편향으로 인하여 모니터상의 원하는 위치에 바라는 색상을 정확하게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즉 디플렉션 요크가 정확한 성능을 발휘하기 위하여 디플렉션 요크의 조정과정이 요구되는데, 이 디플렉션 요크의 조정과정에서 페라이트 쉬트(Ferrite Sheet)를 디플렉션 요크에 부착시키게 된다. 이러한 페라이트 쉬트 부착공정은 디플렉션 요크 조정과정의 핵심공정이며, 이 페라이트 쉬트가 디플렉션 요크의 자기장 성능(즉, 편향성)을 변화시켜 원하는 색상을 모니터상의 바라는 위치에 정확하게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디플렉션 요크가 가지고 있는 편향특성은 디플렉션 요크상에 부착된 페라이트 쉬트의 위치에 따라 크게 변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페라이트 쉬트를 디플렉션 요크의 원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부착시키는 것(이하, '디플렉션 요크의 조정과정'이라 함)은 모니터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대단히 중요한 작업이다.
이와 같은 용도의 디플렉션 요크의 조정과정에 있어서, 종래에는 제조된 디플렉션 요크의 성능시험을 거쳐, 각각의 디플렉션 요크의 편향 성능에 적절하게 페라이트 쉬트가 부착되어야 할 위치가 결정되는데, 페라이트 쉬트가 부착되어야 할 위치 정보는 PC(Personal Computer)화면이나 인쇄용지 등에 의해 작업자에게 제공되고 있다.
도 1은 디플렉션 요크상에 페라이트 쉬트가 부착되어야 할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주는 모니터의 개략도이며, 도 2는 디플렉션 요크의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작업자는 PC화면, 즉 모니터(1)나 인쇄용지 등에 의해 입수된 정보를 통해 시각으로 페라이트 쉬트가 부착되어야 할 위치(2)를 확인한 다음, 도 2상의 디플렉션 요크(3)의 해당 위치에 페라이트 쉬트(4)를 부착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페라이트 쉬트를 디플렉션 요크상에 부착시키므로 인해서, 다음과 같은 두가지의 중요한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하나의 문제점은 PC화면이나 인쇄용지 등에 제공되어 있는 페라이트 쉬트가 부착되어야 할 위치를 작업자가 시각을 통해 확인하는 과정에서 시각적 오차가 발생하게 되어 페라이트 쉬트가 부착되어야 할 정확한 위치를 포착할 수 없다는 것이며, 또 다른 하나의 문제점은 이와 같이 작업자의 시각을 통해 확인된 페라이트 쉬트가 부착되어야 할 디플렉션 요크상의 위치에 페라이트 쉬트를 부착시키는 과정에서 오차가 발생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부정확한 위치의 디플렉션 요크상에 페라이트 쉬트를 부착시키므로 인해서 전자 빔의 편향성이 부정확하게 되고, 이에 따라 디플렉션 요크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사정 및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디플렉션 요크상에 페라이트 쉬트가 부착되어야 할 위치를 표시한 후, 표시된 위치에 페라이트 쉬트를 부착시킬 수 있어 페라이트 쉬트를 보다 정확하게 부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디플렉션 쉬트의 특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으며, 페라이트 쉬트 부착 공정을 자동화 공정작업에 의해 수행할 수 있는 디플렉션 요크의 페라이트 쉬트 위치 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페라이트 쉬트가 부착되어야 할 위치를 나타내는 모니터의 개략도이며,
도 2는 디플렉션 요크의 개략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디플렉션 요크의 페라이트 쉬트 위치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배치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물감분사용 이동장치의 저부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디플렉션 요크 조정시스템 20 : 위치 보정장치
30 : 디플렉션 요크 고정용 테이블 40 : 디플렉션 요크
50 : 물감분사장치 60 : 지지대
70 : 물감분사용 이동장치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디플렉션 요크의 페라이트 쉬트 위치 표시장치는 디플렉션 요크 조정시스템(10)에 연결되는 위치보정장치(20), 디플렉션 요크 고정용 테이블(30)에 안착되어 있는 디플렉션 요크(40)에 페라이트 쉬트 부착용 표시를 하기 위한 물감분사장치(50), 그리고 상기 디플렉션 요크 고정용 테이블(30)에 종설되는 지지대(60)의 상부에 횡설되고 하부에 상기 물감분사장치(50)가 설치되어 상기 위치보정장치(20)에 연결되는 물감분사용 이동장치(7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상기 물감분사장치(50)는 상기 디플렉션 요크(40)의 상방향의 전방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물감분사기(51) 및 물감분사 조정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상기 물감분사용 이동장치(70)는 상기 지지대(60)에 고정되어 하부에 수평이동용 슬라이딩 홈(71)이 형성되는 수평대(72), 상기 수평대(72) 하부에 결합되어 슬라이딩 가능하고 하부에 수직이동용 슬라이딩 홈(73)이 형성되는 수직 이동장치(74), 상기 수직 이동장치(74) 하부에 결합되어 슬라이딩 가능한 상기 물감분사장치(50), 그리고 상기 수직 이동장치(74)를 가동시키는 제 1 구동장치(75)와 상기 물감분사기(51)를 가동시키는 제 2 구동장치(76)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그 작용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에 의거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디플렉션 요크의 페라이트 쉬트 위치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배치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물감분사용 이동장치의 저부 사시도이다.
상기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디플렉션 요크는 그 내주면부가 원뿔형의 내주면부와 유사하게 형성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그 내주면부상에 수평 편향 코일(미도시)이라는 동선이 권선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작업자가 그러한 디플렉션 요크 내부에 페라이트 쉬트를 부착시킨다는 것은 용이하지 않는 문제이며, 부착시키는 경우에도 이러한 형상 및 구성의 특성상 정확하게 부착시키는 것은 결코 용이한 작업이 아니다. 또한, 디플렉션 요크 내부에 페라이트 쉬트가 부착되는 위치의 좌표를 직접 표시하는 공정 역시 결코 용이한 작업이 아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서는 디플렉션 요크의 형상이 원뿔 형상이기 때문에, 그 내주면부상에 부착되는 페라이트 쉬트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는 극좌표계가 바람직하지만 이를 기계적으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X-Y좌표로 변환해야 한다는 사상에 창안하여, 본 고안의 물감 분사장치를 X-방향 또는 Y-방향으로 적절하게 이동시킨 후 물감 분사기에 의해 물감을 분사시키면 디플렉션 요크 내부에 표시되며, 이 표시부에 페라이트 쉬트를 부착시키면 보다 정확한 페라이트 쉬트 부착공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고안은 먼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조된 디플렉션 요크의 특성을 시험하는 디플렉션 요크 조정시스템(10)에 의해 페라이트 쉬트가 부착되어야 할 위치가 결정되며, 이러한 정보가 위치 보정장치(20)에 입력된다. 이 위치 보정장치(20)는 전달받은 위치에 대한 정보를 화상으로 나타내는 동시에 제 1 및 제 2 구동장치(75,76)에 구동명령과 함께 전원 공급을 하게 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 구동장치(또는 액츄에이터)(75)의 구동에 의해 수평대(72) 하부에 부설되어 있는 수직 이동장치(74)가 가동되는데, 수직 이동장치(74)는 그 상부에 고정형성되는 제 1걸이부(77)가 수평대(72) 하부의 수평이동용 슬라이딩 홈(71)에 끼워지므로써 슬라이딩 가능하다. 이 때 제 1걸이부(77)의 상단부에는 수평형 돌부(79)가 형성되는 것이 양호하며, 수평이동용 슬라이딩 홈(71) 양내측에는 상기 수평형 돌부(79)가 끼움 결합되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소정 길이의 내측홈(80)이 각각 형성되는 것이 양호할 것이다.
이러한 수직 이동장치(74)의 이동에 의해 페라이트 쉬트가 부착될 디플렉션 요크 내부의 X-축 방향의 좌표가 결정된다. 이 때 제 1 구동장치(75)는 위치보정장치(20)로부터 입력된 정보에 따라 적절한 거리 만큼 수직 이동장치(74)를 이동시킬 것이다.
이와같이 수직 이동장치(74)가 X-축방향으로 이동된 다음에, 제 2구동장치(또는 액츄에이터)(76)가 작동되고, 이 제 2구동장치(76)의 작동에 의해 수직 이동장치(74) 하부에 부설되어 있는 물감분사장치(50)가 가동되는데, 물감분사장치(50)는 그 상부에 고정형성되는 제 2걸이부(78)가 수직 이동장치(74) 하부의 수직이동용 슬라이딩 홈(73)에 끼워지므로써 슬라이딩 가능하다. 이 때 제 2걸이부(78)의 상단부에는 수평형 돌부(81)가 형성되는 것이 양호하며, 수직이동용 슬라이딩 홈(73) 양내측에는 상기 수평형 돌부(81)가 끼움 결합되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소정 길이의 내측홈(82)이 각각 형성되는 것이 양호할 것이다.
이러한 물감분사장치(50)의 이동에 의해 페라이트 쉬트가 부착될 디플렉션 요크 내부의 Y-축 방향의 좌표가 결정된다. 이 때 제 2 구동장치(76)는 위치보정장치(20)로부터 입력된 정보에 따라 적절한 거리 만큼 물감분사장치(50)를 이동시킬 것이다.
상술한 제 1 및 제 2 구동장치는 스텝 모터(Step Motor)가 양호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페라이트 쉬트가 부착될 X-축 좌표 및 Y-축 좌표로 물감분사장치(50)를 이동시킨 후 물감분사장치(50)의 물감분사기(51)로부터 물감이 분사되면, 이 물감이 디플렉션 요크 내부의 해당위치에 표시된다. 이러한 작동을 위해 물감분사장치(50) 내부에는 물감이 저장되어지며, 물감의 분사량을 조정하기 위해 물감 분사 조정기(미도시)가 부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물감은 어두운 분위기에서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형광용 물감이면 보다 더 양호할 것이다.
이 때 물감이 표시되는 디플렉션 요크의 내부의 깊이(또는 상하 위치)에 관계되는 조절은 수직 이동장치(74) 및 물감분사장치(50)의 이동에 따라 자유낙하의 원리에 의해 조절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디플렉션 요크 내부의 물감으로 표시된 위치에 페라이트 쉬트를 부착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페라이트 쉬트의 부착 위치는 보다 정확성을 확보하므로써 디플렉션 요크의 특성, 즉 원하는 편향성이 보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디플렉션 요크의 페라이트 쉬트 위치 표시장치는 디플렉션 요크상에 페라이트 쉬트가 부착될 위치를 표시액에 의해 표시하고, 그 표시 부위에 페라이트 쉬트를 부착시키기 때문에 페라이트 쉬트 부착 위치의 정확도를 보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페라이트 쉬트 부착 위치의 오조정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페라이트 쉬트를 디플렉션 요크상에 정확하게 부착시킴으로 인해서 디플렉션 요크의 특성, 즉 정확한 편향성을 확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은 디플렉션 요크상에 페라이트 쉬트를 부착시키는데 있어서 자동화 시스템을 이룰 수 있다는데 보다 큰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Claims (3)

  1. 디플렉션 요크상에 페라이트 쉬트가 부착될 위치를 표시하는 장치에 있어서, 디플렉션 요크 조정시스템(10)에 연결되는 위치보정장치(20), 디플렉션 요크 고정용 테이블(30)에 안착되어 있는 디플렉션 요크(40)에 페라이트 쉬트 부착용 표시를 하기 위한 물감분사장치(50), 그리고 상기 디플렉션 요크 고정용 테이블(30)에 종설되는 지지대(60)의 상부에 횡설되고 하부에 상기 물감분사장치(50)가 설치되어 상기 위치보정장치(20)에 연결되는 물감분사용 이동장치(7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플렉션 요크의 페라이트 쉬트 위치 표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감분사장치(50)는 상기 디플렉션 요크(40)의 상방향의 전방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물감분사기(51) 및 물감분사 조정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플렉션 요크의 페라이트 쉬트 위치 표시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물감분사용 이동장치(70)는 상기 지지대(60)에 고정되어 하부에 수평이동용 슬라이딩 홈(71)이 형성되는 수평대(72), 상기 수평대(72) 하부에 결합되어 슬라이딩 가능하고 하부에 수직이동용 슬라이딩 홈(73)이 형성되는 수직 이동장치(74), 상기 수직 이동장치(74) 하부에 결합되어 슬라이딩 가능한 상기 물감분사장치(50), 그리고 상기 수직 이동장치(74)를 가동시키는 제 1 구동장치(75)와 상기 물감분사기(51)를 가동시키는 제 2 구동장치(76)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플렉션 요크의 페라이트 쉬트 위치 표시장치.
KR2019990000489U 1999-01-18 1999-01-18 디플렉션 요크의 페라이트 쉬트 위치 표시장치 KR2000001581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0489U KR20000015811U (ko) 1999-01-18 1999-01-18 디플렉션 요크의 페라이트 쉬트 위치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0489U KR20000015811U (ko) 1999-01-18 1999-01-18 디플렉션 요크의 페라이트 쉬트 위치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5811U true KR20000015811U (ko) 2000-08-16

Family

ID=54758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0489U KR20000015811U (ko) 1999-01-18 1999-01-18 디플렉션 요크의 페라이트 쉬트 위치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5811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09215A (zh) * 2020-02-24 2020-05-29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应用程序的测试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09215A (zh) * 2020-02-24 2020-05-29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应用程序的测试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63755B2 (en) Automated position locator for a height sensor in a dispensing system
CN109001208A (zh) 一种显示面板的缺陷定位装置及缺陷定位方法
EP1241004B1 (en) A screen printer and a method for setting a screen plate
KR20000015811U (ko) 디플렉션 요크의 페라이트 쉬트 위치 표시장치
KR100673795B1 (ko) 평판 표시패널 검사장치
DE4231720C2 (de) Kathodenstrahlröhren-Anzeigevorrichtung
JP5236830B1 (ja) ブラケット、掛止システム、及び、掛止方法
KR20000045698A (ko) 디플렉션 요크의 페라이트 쉬트 위치 표시장치
KR20000014737U (ko) 디플렉션 요크의 페라이트 쉬트 위치 표시장치
CN220982448U (zh) 一种定位件、探头及打印设备
CN212646046U (zh) 一种镜头光心与成像传感器感光面中心对齐系统
KR0129959B1 (ko) 칼라음극선관의 컨버젼스 측정방법 및 장치
KR101716338B1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샤시의 스터드 자동압입장치
JPH09283027A (ja) 陰極線管の画像調整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03246926A (ja) 荷電粒子光学系のビーム軸の調整方法
JPS6020439A (ja) 荷電粒子線装置における試料回転装置
KR20010001077U (ko) 편향요크의 페라이트 시트 부착위치 지정장치
KR100443744B1 (ko) 편향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보정장치의 개선 회로
KR100795510B1 (ko) 페이스트 도포장치의 도포 위치 검사방법
CN113170611A (zh) 元件安装机的支撑销状态确认系统
KR20010094160A (ko) 음극선관용 편향 요크
KR100299170B1 (ko) 디스플레이장치의퓨리티개선장치
CN105643366A (zh) 机床的水平导轨的水平度矫正用辅助组件及方法
JPH10241568A (ja) ランディング測定装置
JPH0566705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