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5628U - 수도꼭지 연결관 - Google Patents

수도꼭지 연결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5628U
KR20000015628U KR2019990000205U KR19990000205U KR20000015628U KR 20000015628 U KR20000015628 U KR 20000015628U KR 2019990000205 U KR2019990000205 U KR 2019990000205U KR 19990000205 U KR19990000205 U KR 19990000205U KR 20000015628 U KR20000015628 U KR 2000001562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groove
upper body
connector
flexibl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02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학
Original Assignee
이용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학 filed Critical 이용학
Priority to KR20199900002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5628U/ko
Publication of KR200000156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5628U/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08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adjustment or movement only about the axis of one pipe
    • F16L27/0804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adjustment or movement only about the axis of one pipe the fluid passing axially from one joint element to ano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2001/041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allowing different orientations of the spout or the outlet nozzl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2001/0415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having an extendable water outl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도꼭지 연결관에 관한 것으로, 특히 U자형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의 일측 단부에 설치된 연결구와, 토수위치 및 토수방향을 가변시키는 플렉시블관, 및 상기 플렉시블관의 단부에 체결된 토수구를 구비한 수도꼭지 연결관에 있어서; 상부에는 플렉시블관이 압입되는 상측결합부(41a)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하측결합부(41b)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측결합부(41b)의 외주연에는 결합홈 (41e)이 형성되어 있으며, 저면에는 다수의 걸림홈(41d)이 형성되어 있는 상측몸체 (41)와; 하부에는 연결관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하측결합부(42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에는 장착홈(42d)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측몸체(41)의 하측결합부(41b)가 삽입되는 결합공(42e)의 외주연에는 상기 결합홈(41e)에 대응하는 결합홈(42f)이 형성되어 있는 하측몸체(42)와; 상기 상측몸체(41)와 하측몸체(42)에 형성된 결합홈(41e,42f)에 삽입되어 상·하측몸체(41,42)를 일체로 결합하는 탄성을 갖는 고정구(45)와; 상기 하측몸체(42)의 장착홈(42d)에 삽입되는 탄성스프링(43); 및 상기 탄성스프링(43)에 의해 상방으로 가압되어 상측몸체(41)의 걸림홈(41d)에 압입되는 고정볼(44)로 이루어진 회전방지구(40)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수압이 변하더라도 플렉시블관의 회전이 방지되므로, 플렉시블관의 회전으로 인한 토수방향의 변경을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도꼭지 연결관 {a connecting pipe to be joined to a bib}
본 고안은 수도꼭지 연결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도물의 토수위치 및 토수방향을 가변시킬 수 있는 수도꼭지 연결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에는 개수대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 개수대의 전방 벽면에는 수도물을 공급하는 수도꼭지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오래된 건물에 설치된 수도꼭지는 과거의 건축기준에 따라 설치되어 있다.
즉, 오래된 건물에 설치된 수도꼭지는 그 건물의 신축시 설정된 건축기준, 다시말해 그 당시의 한국인의 표준체형을 기준으로 설정된 건축기준에 따라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체형이 선진국화된 오늘날에는 수도꼭지의 위치가 낮아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줄 뿐만 아니라 올바르지 못한 자세를 유도하여 신체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벽체내에 설치된 수도관을 연장시켜 수도꼭지의 위치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방법이 있으나, 이는 많은 비용이 소용될 뿐만 아니라 벽체내에 설치된 수도관을 교체하여야 함에 따라 공사기간이 길어지고 공사에도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기존에 설치된 수도꼭지에 결합하여 수도물의 토수위치 및 토출방향을 가변시키는 수도꼭지 연결관, 일명 코브라 연결관이 도 4와 같이 제공되고 있다.
도 4는 종래의 수도꼭지 연결관(200)을 나타낸 사시도로, U자형 연결관(220)과, 기존에 설치된 수도꼭지(100)와의 결합을 위해 상기 연결관(220)의 일측 단부에 설치된 연결구(210)와, 상기 연결관(220)의 타측 단부에 결합된 플렉시블관 (230), 및 상기 플렉시블관(230)의 단부에 체결된 토수구(240)로 이루어져 있다.
즉, 연결관(220)에 설치된 연결구(210)의 내측에는 수용홈(2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수용홈(211)의 내측에 위치하는 U자형 연결관(220)의 단부에는 고무패킹(212)이 장착되어 있고, 연결구(210)의 외주연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고정나사 (213)가 체결되어 있다.
한편, 결합홈(231)이 형성된 플렉시블관(230)의 단부가 연결관(22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결합된다. 즉, 플렉시블관(230)의 단부를 연결관(220)의 내측으로 삽입한 후, 프레스로 가압하면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플렉시블관(230)의 결합홈 (231)내로 연결관(220)의 일부가 함몰되어 연결관(220)과 플렉시블관(230)을 회전가능하게 결합한다.
또한, 나선이 형성된 플렉시블관(230)의 단부에 토수구(240)를 체결하는데, 이 토수구(240)는 직수 및 샤워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고무패킹(212)과 수도꼭지(100)의 단부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고정나사(213)를 조이면 연결구(210)가 수도꼭지(100)의 단부에 고정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플렉시블관(230)을 구부리거나 회전시키면 수도물의 토수위치나 토수방향이 가변되어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수도꼭지 연결관(200)은 결합홈(231)이 형성된 플렉시블관(230)의 단부를 연결관(220)의 내측으로 삽입한 후, 프레스로 가압하여 연결관(220)과 플렉시블관(230)을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킴에 따라 수도물의 수압이 가변되는 경우에는 이 수압에 의해 플렉시블관(230)이 연결관(220)을 중심으로 자유자재로 회전되어 사용자가 원하지 않던 방향으로 수도물이 토수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공급되는 수도물의 수압이 변하더라도 설정된 토수위치 및 토수방향을 유지할 수 있는 수도꼭지 연결관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U자형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의 일측 단부에 설치된 연결구와, 토수위치 및 토수방향을 가변시키는 플렉시블관, 및 상기 플렉시블관의 단부에 체결된 토수구를 구비한 수도꼭지 연결관에 있어서; 상부에는 상기 플렉시블관이 압입되는 상측결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하측결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측결합부의 외주연에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저면에는 다수의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는 상측몸체와; 하부에는 상기 연결관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하측결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에는 장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측몸체의 하측결합부가 삽입되는 결합공의 외주연에는 상기 결합홈에 대응하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는 하측몸체와; 상기 상측몸체와 하측몸체에 형성된 결합홈에 삽입되어 상·하측몸체를 일체로 결합하는 탄성을 갖는 고정구와; 상기 하측몸체의 장착홈에 삽입되는 탄성스프링; 및 상기 탄성스프링에 의해 상방으로 가압되어 상측몸체의 걸림홈에 압입되는 고정볼로 이루어진 회전방지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수도꼭지 연결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회전방지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회전방지구의 결합 단면도,
도 4는 종래의 수도꼭지 연결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연결구30 : 연결관
40 : 회전방지구41 : 상측몸체
41a : 상측결합부41b : 하측결합부
41d : 걸림홈41e : 결합홈
42 : 하측몸체42a : 하측결합부
42d : 장착홈42e : 결합공
42f : 결합홈43 : 탄성스프링
44 : 고정볼45 : 고정구
50 : 플렉시블관60 : 토수구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수도꼭지 연결관을 나타낸 사시도로, 수압의 변화로 인해 수도물의 토수방향이 변경되지 않도록 본 고안에서는 U자형 연결관(30)과 플렉시블관(50) 사이에 회전방지구(40)를 설치하였다.
상기 회전방지구(4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상측몸체(41)와 하측몸체(42)로 구성되어 있는데, 상측몸체(41)의 상부에는 플렉시블관(50)이 압입되어 결합되는 상측결합부(41a)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하측몸체(42)의 결합공(42e)에 삽입되는 하측결합부(41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측몸체(41)의 외주연에는 결합리브(41c)가 형성되어 있고, 저면에는 걸림홈(41d)이 소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하측결합부(41b)의 외주연에는 결합홈(41e)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하측몸체(42)의 하부에는 연결관(3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하측결합부(42a)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하측결합부(42b)의 외주연에는 고무링(70)이 삽입되는 다수의 결합홈(42b)이 형성되어 있고, 하측몸체(42)의 외주연 상부에는 상측몸체(41)의 결합리부(41c)가 안착되는 결합턱(42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측몸체(42)의 상면에는 장착홈(42d)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장착홈 (42d)에는 상측몸체(41)의 저면에 형성된 걸림홈(41d)에 삽입되어 플렉시블관(50)의 회전을 방지하는 탄성스프링(43)과 고정볼(44)이 장착된다.
아울러, 하측몸체(42)의 중앙에 형성된 결합공(42e)의 내주연에는 상기 상측몸체(41)의 하측결합부(41b)의 외주연에 형성된 결합홈(41e)에 대응하는 결합홈 (42f)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측몸체(41)의 하측결합부(41b)의 결합홈(41e)에 탄성을 갖는 고정구(45)를 삽입한 상태에서 상측몸체(41)의 하측결합부(41b)를 하측몸체(42)의 결합공(42e)에 압입하면 고정구(45)가 상측몸체(41)의 결합홈(41e)과 하측몸체(42)의 결합홈(42f)에 맞물림에 따라 상측몸체(31)와 하측몸체(32)는 일체가 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회전방지구(40)를 조립하면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상측몸체 (41)와 하측몸체(42)는 고정구(45)에 의해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하측몸체(42)의 장착홈(42d)에 장착된 탄성스프링(43)이 고정볼(44)을 상방으로 가압함에 따라 고정볼(44)이 상측몸체(41)의 저면에 형성된 걸림홈(41d)에 삽입된다.
따라서, 수도물의 수압이 변하더라도 탄성스프링(43)에 의해 가압된 고정볼 (44)이 상측몸체(41)의 저면에 형성된 걸림홈(41d)에 삽입되어 상측몸체(41)가 회전을 방지함에 따라 플렉시블관(50)도 회전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수도물의 토수위치 및 토수방향을 가변시키는 종래의 수도꼭지 연결관의 연결관과 플렉시블관 사이에 회전방지구를 설치함에 따라 수도물의 수압이 변하더라도 플렉시블관은 회전되지 않는다. 따라서, 플렉시블관의 회전으로 인한 토수방향의 변경을 예방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

  1. U자형 연결관(30)과, 상기 연결관(30)의 일측 단부에 설치된 연결구(20)와, 토수위치 및 토수방향을 가변시키는 플렉시블관(50), 및 상기 플렉시블관(50)의 단부에 체결된 토수구(60)를 구비한 수도꼭지 연결관에 있어서;
    상부에는 상기 플렉시블관(50)이 압입되는 상측결합부(41a)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하측결합부(41b)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측결합부(41b)의 외주연에는 결합홈(41e)이 형성되어 있으며, 저면에는 다수의 걸림홈(41d)이 형성되어 있는 상측몸체(41)와;
    하부에는 상기 연결관(3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하측결합부(42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에는 장착홈(42d)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측몸체(41)의 하측결합부(41b)가 삽입되는 결합공(42e)의 외주연에는 상기 결합홈(41e)에 대응하는 결합홈(42f)이 형성되어 있는 하측몸체(42)와;
    상기 상측몸체(41)와 하측몸체(42)에 형성된 결합홈(41e,42f)에 삽입되어 상·하측몸체(41,42)를 일체로 결합하는 탄성을 갖는 고정구(45)와;
    상기 하측몸체(42)의 장착홈(42d)에 삽입되는 탄성스프링(43); 및
    상기 탄성스프링(43)에 의해 상방으로 가압되어 상측몸체(41)의 걸림홈(41d)에 압입되는 고정볼(44)로 이루어진 회전방지구(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꼭지 연결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몸체(41)의 외주연에는 결합리브(41c)가 형성되어 있고, 하측몸체(42)의 외주연 상부에는 상기 상측몸체(41)의 결합리부(41c)가 안착되는 결합턱(42c)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꼭지 연결관.
KR2019990000205U 1999-01-12 1999-01-12 수도꼭지 연결관 KR2000001562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0205U KR20000015628U (ko) 1999-01-12 1999-01-12 수도꼭지 연결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0205U KR20000015628U (ko) 1999-01-12 1999-01-12 수도꼭지 연결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5628U true KR20000015628U (ko) 2000-08-05

Family

ID=54758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0205U KR20000015628U (ko) 1999-01-12 1999-01-12 수도꼭지 연결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5628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4550B1 (ko) * 2017-03-14 2018-09-04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협소공간에 적용되는 클리닝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4550B1 (ko) * 2017-03-14 2018-09-04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협소공간에 적용되는 클리닝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96827B1 (en) Drainage overflow pipe structure for bathtub
CA2434708C (en) Pivoting sleeve assembly
KR20000015628U (ko) 수도꼭지 연결관
JP2006307872A (ja) 水栓継手
US9353506B2 (en) Installation structure for a water inlet pipe
US20040040603A1 (en) Switch valve mounting device of faucet
KR200165074Y1 (ko) 호스연결장치
KR200429978Y1 (ko) 호스 연결 구조물
KR200175033Y1 (ko) 호스 연결장치
KR200342609Y1 (ko) 수도꼭지 연결용 커플링.
KR200211925Y1 (ko) 호스 연결장치
CN211820921U (zh) 一种出水装置水管的定位结构
KR200173542Y1 (ko) 수도전의 결합구조
CN219588166U (zh) 一种水龙头出水管用的转动芯
CN216304813U (zh) 一种花洒座
KR20000005791U (ko) 싱크대용 수도꼭지의 토수구 연결구조
KR200335338Y1 (ko) 플렉시블 호스 연결구
KR200173543Y1 (ko) 씽크대의 급수관 연결구조
KR200395259Y1 (ko) 설치조정기능을 갖는 수전 케이스
KR200165227Y1 (ko) 주방용붙박이수도꼭지
KR200219508Y1 (ko) 이현어댑터
KR200176958Y1 (ko) 급수호오스 고정구조
KR200302196Y1 (ko) 수도꼭지 체결용 커플링.
KR200213122Y1 (ko) 호스 연결구가 구비된 수도꼭지
KR200338290Y1 (ko) 조립구조가 용이한 토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