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5601A - 개인 통신 교환시스템에서 음성사서함서비스 선택방법 - Google Patents

개인 통신 교환시스템에서 음성사서함서비스 선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5601A
KR20000015601A KR1019980035628A KR19980035628A KR20000015601A KR 20000015601 A KR20000015601 A KR 20000015601A KR 1019980035628 A KR1019980035628 A KR 1019980035628A KR 19980035628 A KR19980035628 A KR 19980035628A KR 20000015601 A KR20000015601 A KR 200000156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ms
block
personal communication
subscriber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5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장호
Original Assignee
강병호
대우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병호, 대우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강병호
Priority to KR1019980035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5601A/ko
Publication of KR20000015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5601A/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 통신 교환시스템에서 발신가입자가 음성 사서함 서비스(VMS:Voice Message Service)로의 전환 여부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 개인 통신 교환시스템에서의 음성사서함 서비스 선택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방법은 발신가입자가 착신자번호를 입력하여 개인통신호처리를 요구하는 제1 단계; 발신가입자측 교환기의 개인통신호처리(PCC)블록이 번호번역(NTR)블록에 번호번역을 요구하고 그 응답을 전달받는 제2 단계; 개인통신호처리(PCC)블록이 가입자정보처리기(HLR)에 해당 착신자의 위치정보를 요구하고, 그 응답에 따라 착신가입자가 연결된 개인통신 교환기로 라우팅하는 제3 단계; 상기 제3단계에서 가입자정보처리기의 착신가입자 상태가 소정의 조건에 해당되어 VMS로의 전환 응답을 수신하면 발신가입자에게 안내방송블록을 연결하여 VMS로의 전환여부를 선택하도록 하는 제4 단계; 발신가입자가 VMS로의 전환을 선택하면, 발신가입자와 VMS를 연결하여 VMS서비스를 제공하는 제5 단계; 및 발신가입자가 VMS로의 전환을 선택하지 않으면 호 종료절차를 처리하여 종료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발신가입자에게 안내방송을 제공하여 VMS로의 전환여부를 선택할 수 있게 하여 VMS서비스를 보다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개인 통신 교환시스템에서 음성사서함서비스 선택방법(Method of selecting a VMS in a personal communication exchange system)
본 발명은 개인 통신 교환시스템에서 발신가입자가 음성 사서함 서비스(VMS:Voice Message Service)로의 전환 여부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 개인 통신 교환시스템에서의 음성사서함 서비스 선택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성사서함 서비스는 부재중 또는 통화중인 상대방을 위하여 음성정보를 저장하고 필요한 시기에 청취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다. 이러한 음성사서함 서비스는 주로 호출기시스템이나 유선 공중전화망의 부가서비스로서 제공되고 있다.
한편, 이동통신기술의 발전으로 '언제, 어느 곳에서 누구와도' 자유롭게 통신하고자하는 인간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개인통신시스템(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이 등장하여 상용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런데 개인통신 교환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음성사서함 서비스는 착신가입자가 통화를 할 수 없는 상황(예컨대, 전원오프, 통화중, 응답이 없을 때, 단말기를 장기간 꺼놨을 때)에서 무조건 발신가입자를 VMS로 연결하기 때문에 발신가입자가 VMS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특히, 착신가입자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VMS서비스로 연결될 경우에 발신가입자에 대해 과금이 이루어지므로 착신가입자와 직접 통화만을 원할 경우, 불필요하게 과금되어 발신가입자에게 비용이 부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 착신가입자가 통화할 수 없는 상황에서 음성사서함 서비스(VMS)로 전환 될 경우에 발신가입자가 VMS로의 전환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개인 통신 교환시스템에서 음성사서함 서비스 선택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방법은, 다수의 개인통신교환기 개인통신망을 형성하고, 적어도 하나의 개인통신교환기에 음성사서함서비스(VMS)장치가 연결되어 있고, 가입자정보처리기(HLR)에 착신가입자들에 대한 VMS정보 및 위치정보가 설정되어 있는 개인통신시스템에 있어서, 발신가입자가 착신자번호를 입력하여 개인통신호처리를 요구하는 제1단계; 발신가입자측 교환기의 개인통신호처리(PCC)블록이 번호번역(NTR)블록에 번호번역을 요구하고 그 응답을 전달받는 제2단계; 개인통신호처리(PCC)블록이 가입자정보처리기(HLR)에 해당 착신자의 위치정보를 요구하고, 그 응답에 따라 착신가입자가 연결된 개인통신 교환기로 라우팅하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에서 가입자정보처리기의 착신가입자 상태가 소정의 조건에 해당되어 VMS로의 전환 응답을 수신하면 발신가입자에게 안내방송블록을 연결하여 VMS로의 전환여부를 선택하도록 하는 제4단계; 발신가입자가 VMS로의 전환을 선택하면, 발신가입자와 VMS를 연결하여 VMS서비스를 제공하는 제5단계; 및 발신가입자가 VMS로의 전환을 선택하지 않으면 호 종료절차를 처리하여 종료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기에 적합한 전형적인 개인 통신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개인통신 교환기의 개략적인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발신가입자가 서비스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VMS 서비스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VMS를 제공하기 위한 신호 흐름의 예,
도 5는 VMS가 수신된 경우 해당 가입자를 페이징하는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가입자단말기 20a,20b,20c: 기지국
30a,30b,30c: 기지국 제어기 40: 개인통신 교환기
50: 인증센터 HLR: 가입자 정보처리장치
VMS: 음성사서함 서비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기에 적합한 전형적인 개인 통신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개인통신시스템은 가입자 단말기(즉, 이동전화기:10)와, 다수의 기지국(20a,20b,20c) 및 상기 기기국들을 관리하는 기지국제어기(30a,30b,30c), 개인통신 교환기(40), 인증센터(50) 등을 포함하고, 개인통신교환기(PCX:40)는 다른 교환기(60)와 트렁크를 통해 연결된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개인통신 교환기(PCX: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ASS-W(72a∼72n), ASS-S(76), INS(78), CCS(84), ASS-7(82), ASS-T(80) 서브시스템으로 구성되고, ASS-W(72a∼72n)에는 기지국 제어기(30a∼30n)가 연결되고, 일반 유선가입자 단말기(74)는 ASS-S(76)를 통해 연결되며, ASS-T(80)에 다른 교환기(60), PSTN(92), ISDN(94), 가입자 정보처리장치(HLR:96), 음성사서함시스템(VMS:98)등이 연결되어 있다. 즉, 개인통신 교환기(40)는 중앙제어 서브시스템, 연결망 제어 서브시스템, 정합 교환 서브시스템으로 구분되며 각 서브시스템들은 메인프로세서(MP), 주변프로세서(PP), 및 주변장치들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개인통신 교환기(40)는 종래의 TDX-10 계열의 교환기에 무선기지국을 접속하여 호처리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ASS-W(72a-72n)와, 이동가입자에 대한 정보의 저장 및 관리기능과 라우팅 기능을 수행하는 VLR이 추가되어 있다. 이러한 개인통신시스템에서는 PCS 이동호처리 및 이동성 관리를 위하여 인증 및 암호화 기능과 위치등록 및 핸드오버 기능이 요구된다.
도 2에서 가입자 정보처리장치(HLR:Home Location Register, 96)는 가입자의 위치관련 정보를 처리하고, 음성사서함시스템(VMS:98)은 가입자에게 음성사서함 서비스를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착신가입자가 통화할 수 없어 VMS로 전환될 경우에 발신가입자가 전환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발신가입자가 다이얼링하여 발신가입자측 교환기의 개인통신호처리(PCC)블록에 착신호 접속을 요구한다(301).
발신가입자측 교환기의 개인통신호처리(PCC)블록은 HLR에 착신자의 위치를 문의하여 위치정보를 얻은 후 착신가입자측 교환기의 개인통신호처리(PCC)블록과 메시지를 교환하여 착신가입자를 호출한다.
이때 착신가입자가 통화중이거나 착신가입자가 무조건 음성사서함서비스로 전환되도록 설정(VMU)되었거나 전원오프상태(VMD)이면 HLR은 발신가입자를 VMS측으로 연결을 시도한다(302,303).
이때 본 발명에 따라 HLR은 발신가입자 음성안내서비스블록에 VMS로 전환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안내방송을 요구한다(304). 즉, 발신가입자측 음성안내서비스블록은 "VMS서비스로 전환을 원하시면 1번, 호종료를 원하시면 *"라는 내용을 안내방송하고 이에 따라 발신가입자는 1번 혹은 *을 입력한다. 이어 1이 입력되면 발신가입자를 VMS로 연결하고, *이 입력되면 호종료 절차를 처리한 후 종료한다(305,306,307).
착신가입자가 정상적으로 착신호를 수신하면, 발신가입자와 착신가입자를 연결하여 통화를 할 수 있게 한다(308).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타국호일 경우에 VMS로 전환여부를 발신가입자가 선택할 수 있게 하는 각 블록들간의 신호흐름의 예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타국호일 경우에는 발신가입자측 교환기(PCX1)와 VMS가 연결된 교환기(VMS_PCX) 및 착신가입자측 교환기(PCX2)가 서로 다르므로, 발신가입자측 교환기(PCX1)와 가입자정보처리기(HLR), VMS가 연결된 교환기(VMS_PCX), VMS, 착신측 교환기(PCX2)로 구성되어 있다. 발신가입자측 교환기(PCX1)는 PCSI(PCS Interface Control), PCC(PCS Call Control), NTR(Number Translation), RCO(Route Control), UPC(User Part Control), CPSC(Call Processing Service Control) 블록을 포함하고, VMS가 연결된 교환기(VMS_PCX)는 UPC(User Part Control), LCC, RCO, NTR, UPC(User Part Control)블록을 포함한다.
개인통신정합 제어블록(PCSI: PCS Interface Control)은 ASS-W내의 ASP에 실장되며 교환기와 기지국제어기(BSC)간의 링크관리기능, 이동관리기능, 인터페이스 메시지 엔코딩/디코딩 기능, SCCP와 정합 기능 등을 처리한다. 개인통신 호처리블록(PCC:PCS Call Control)은 ASS-W 내의 ASP에 실장되는데, 개인통신 가입자의 발신과 착신을 처리한다. 즉, PCC블록은 PCSI블록으로부터 수신되는 개인통신 가입자의 신호를 처리하고, LCC블록을 통해 개인통신 가입자 호처리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며, CPSC블록과 연동하여 HLR로부터 착신 이동가입자의 로밍번호를 구하고, NTR블록에 번호번역을 요구하며, LSL블록을 통해 신호장비와 스위치 연결을 제어한다. 자국호인 경우 ASC와 연동하고, 출중계호 또는 입중계호인 경우 TKC 및 UPC블록과 연동한다. 또한 핸드오프처리를 위해 HOC블록과 연동하고, 부가처리서비스 블록과 연동하여 이동 가입자의 부가서비스 요구를 제어한다.
번호번역(NTR)블록과 라우팅제어(RCO: Route Control)블록은 INS내의 NTP에 실장되며, RCO블록은 라우팅 및 우회 라우팅 경로를 지정하는 기능과 경로에 대한 트래픽 제한 기능을 수행하고, 호 제한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망관리기능을 수행하고, 망관리 관련 통계기능을 수행하여 통계블록에서 요구시 이를 통보한다. PCS호처리시 핸드오프 라우팅 요구를 받아 라우팅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라우팅은 중계선 점유를 위해 해당 경로에 속한 임의의 억세스 스위칭 프로세서(ASP)를 결정하는 기능이고, 우회 라우팅은 직접 접속이 가능한 중계선이 없는 경우 우회 경로로 호의 접속을 요구하는 기능이다. 호제한 기능은 망관리 블록과 연동하여 경로별로 호를 제한하거나 우선호 보장을 위한 보호적 조치나 확장조치를 수행하는 것이다.
사용자부제어(UPC:User Part Control) 블록은 ASS-T내의 ASP에 실장되며, 공통선신호방식의 한 종류인 ISDN 사용자부(ISUP:ISDN User Part)신호방식의 출중계호, 입중계호, 중계호처리와 상태관리를 수행한다. UPC블록은 RCO블록과 연동하여 RCO가 선정한 특정 루트의 출중계선을 점유하거나 UPI블록으로부터 입중계선 점유 요구를 통보받고, DCC, ASC 및 UPI블럭간에 정합하여 각종 장애처리 및 중계선의 폐쇄 및 복구 기능을 보조한다. 그리고 호처리상에서의 점유, 응답, 종료, 장애발생시 이들에 대한 통계자료 산출을 보조하기 위해 MDGI블록으로 통보한다. 또한 UPC블록은 BCPI블록으로 지능망 서비스를 요구하면, BCPI블록은 서비스 종류에 따라 해당 서비스 제어부로 서비스를 요구하게 되며, 각 서비스 제어부는 필요정보를 UPC블록으로 요구하여 가능한 지능망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UPC블록은 이동 가입자 처리블록으로부터 출중계선 요구를 수신하여 이를 처리하고, 입중계선에서 국번 번역결과 이동호임이 판명되면 CPSC블록을 통하여 HLR과 통신하여 "TLDN"을 얻은 후, 이를 이용하여 중계호 또는 입중계호처리를 수행한다.
호처리서비스제어(CPSC:Call Processing Service Control)블록은 동작절차를 수행하는 블록으로서, TCAP블록과의 접속기능, 응용 프로세스와 동작의 연관기능, 지시번호 및 다이얼로그번호관리, 동작/에러 정의를 참조하여 컴포넌트의 파라미터에 대한 기본 부호화 및 해독 수행기능, 동작의 등급과 타이머값 표시기능을 수행한다.
LCC(LR Call Controll)블록은 INS내의 LRP에 실장되고, 이동가입자 호처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블록이다. LCC블록은 이동가입자 발신을 하는 경우 PCC에게 발신 이동가입자 정보를 제공하고, 착신이동가입자가 페이징에 응답한 경우 착신이동가입자 정보를 호제어블록으로 전송하고, 이동가입자 착신을 위하여 TLDN 할당을 요구받은 경우, TLDN을 할당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가입자정보처리기(HLR)은 자신의 PCN 내에 등록된 모든 단말기에 대한 가입자 파라미터와 위치정보등을 저장하고 관리하는 데이타 베이스관리시스템으로서 PCN망내에 최소한 하나 이상 존재해야 한다. HLR은 단말기의 억세스 능력, 기본서비스, 부가서비스 등 중요한 데이터를 등록해야 하며, 착신가입자의 라우팅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각 블록의 기능을 살펴본 후,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신호흐름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발신가입자의 이동전화기로부터 기지국 및 기지국 제어기를 통해 발신가입자측 교환기의 PCSI블록을 거쳐 PCC블록으로 "Call Setup" 메시지로 호처리 요구가 수신된다. 이때 호 셋업절차를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PCSI블록과 PCC블록 사이에 CmSvcRQ, CmSvcAcc, SETUP, CallProc, AssignRQ, AssignComp 메시지가 교환되어 호 셋업이 이루어진다.
이어 PCC블록은 NTR블록에 "EnblockTranRQ" 메시지를 통해 번호번역을 요구하고, NTR블록은 "PcsCallRP" 응답 메세지를 PCC블록에 전달한다. PCC블록은 "LocRQ" 메시지를 CPSC블록에 전달하고, 이에 따라 CPSC블록은 "RoutRQ" 메시지를 HLR에 전달한다. HLR은 착신가입자의 상태를 판단하여 VMU 혹은 VMD상태일 경우에는 도 4의 "401"과 같이 VMS에 연결하기 위하여 VMS가 연결된 교환기의 LCC블록을 억세스하고, 이에 따라 LCC블록은 "RoutRP(TLDN)" 메시지를 HLR로 전달하고, 이어 CPSC블록은 "LocRP(TLDN)" 메시지를 PCC블록에 전달한다.
만일, 착신가입자와 연결시 착신가입자가 통화중 상태이면 도 4의 "403"과 같이, "LOcRQ" 메시지에 대해 HLR이 착신가입자측 교환기에 "RoutRQ" 메시지를 전달하고 "RoutRP(Busy)" 메시지 응답을 받으면 발신가입자를 VMS에 접속하기 위하여 HLR이 LCC블록에 "RoutRQ" 메시지를 전달하고, 그에 따라 "RoutRP(TLDN)" 메시지를 수신하여 CPSC블록을 통해 "LocRP" 메시지를 PCC블록에 전달한다.
PCC블록은 VMS로 접속하려는 "LocRP" 메시지가 수신되면 글로발서비스정합(GSI)블록에 연결되어 안내방송을 발신가입자측으로 내보내게 한다. 여기서, GSI블록은 녹음안내와 같은 단방향 음성경로를 사용하는 호를 위해 녹음안내장치의 출력경로를 검색하고 관리하며 콜믹서를 사용하는 회의호 등을 위해 콜믹서의 배정 및 해제를 관리한다.
예컨대, 음성안내서비스블록은 "VMS서비스로 전환을 원하시면 1번, 호종료를 원하시면 *"라는 내용을 안내방송하고, 이에 따라 발신가입자는 1번 혹은 *을 입력한다. 1이 입력되면 발신가입자를 VMS로 연결하기 위하여 PCC블록은 상대측으로부터 수신한 번호를 "EnblockRQ"로 NTR블록에 전달하여 번호번역을 요구하고, PCC블록과 RCO블록 사이에 출중계호를 위한 메시지들(RoutingRQ, OutgoingCallRP)을 교환하고, UPC블록에 "OgtSzRP" 메시지를 전달한다. UPC블록으로부터 "OgtSzRP" 메시지를 수신하면 UPC블록에 "PcsCgInfoRP" 메시지를 전달하고, 이에 따라 UPC블록은 VMS가 연결된 교환기의 UPC블록에 "IAM" 메시지를 전달한다.
VMS가 연결된 교환기의 UPC블록은 NTR블록에 "PfxTranTrkRQ"를 전달하여 번호번역을 요구하고, "IntPcsCallRP" 메시지를 수신한다. 이어 UPC블록과 LCC블록은 "PcsTermRQ" 메시지와 "VmsCallRP" 메시지를 교환하고, UPC블록이 RCO블록에 "RoutingRQ" 메시지를 전달하면 RCO블록은 UPC블록에 "VmsOgtSzRQ" 메시지를 전달하여 VMS와 연결된 트렁크의 점유를 시도한다. "OgtSzRP" 메시지를 수신하여 점유에 성공하면 UPC블록은 상대 UPC블록에 "VmsCgInfoRP" 메시지를 전달하고, UPC블록은 VMS에 "IAM" 메시지를 전달한다.
이에 따라 VMS는 UPC블록에 "ACM" 메시지를 전달하고, UPC블록은 상대 UPC블록에 "CdStRP" 메시지를 전달하고, UPC블록은 상대 UPC블록에 "ACM" 메시지를 전달하며, UPC블록은 PCC블록에 "CdStRP" 메시지를 전달한다. PCC블록은 PCSI블록에 "Alerting" 메시지를 전달하거나 "ANM, CdAnsRP, ANM, CdAnsRP, connect" 메시지를 전달하고, 이에 따라 응답 메시지를 전달하므로써 발신가입자와 VMS간에 접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VMS가 수신된 경우 착신자에게 통지하는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VMS(Voice Message Service)는 음성사서함 시스템(Voice Mail System)에서 제공되는 부가 서비스로서, 개인통신 가입자가 VMS서비스에 가입한 후 전화를 받을 수 없는 상황(예컨대, 이동 단말기의 전원이 꺼져 있거나 통화 불가능한 지역에 위치할 경우)일 때, 발신자가 음성 메시지를 남기면 VMS 가입자가 정상적인 대기상태가 되었을 때 음성 메시지가 있음을 통보하므로써 녹음된 상대방의 음성 메시지를 청취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발신 가입자가 착신 가입자의 VMS에 음성 메시지를 저장한다. VMS는 음성에 대한 메일이 있을 경우, 해당 가입자의 HLR로 "MWNOT" 메시지를 전송한다. HLR은 "MWNOT"에 대한 응답 메시지로 "mwnot" 메시지를 VMS에 전달하고, 해당 가입자의 교환기(PCX2)로 "QUALDIR" 메시지를 전송한다. 교환기(PCX2)는 "QUALDIR"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로 "qualdir" 메시지를 HLR로 전송함과 아울러 교환기(PCX2)는 해당 가입자(MS)에게 음성 메시지 대기 통지를 위해 페이징(paging)하고, 페이징에 응답한 해당 가입자는 저장된 음성 메시지를 청취하기 위해 VMS에 억세스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발신가입자가 접속하기를 원하는 착신가입자가 소정의 조건으로 설정되어 VMS로 전환될 경우에 발신가입자에게 안내방송을 제공하여 VMS로의 전환여부를 선택할 수 있게 하여 VMS서비스를 보다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다수의 개인통신교환기 개인통신망을 형성하고, 적어도 하나의 개인통신교환기에 음성사서함서비스(VMS)장치가 연결되어 있고, 가입자정보처리기(HLR)에 착신가입자들에 대한 VMS정보 및 위치정보가 설정되어 있는 개인통신시스템에 있어서,
    발신가입자가 착신자번호를 입력하여 개인통신호처리를 요구하는 제1단계;
    발신가입자측 교환기의 개인통신호처리(PCC)블록이 번호번역(NTR)블록에 번호번역을 요구하고 그 응답을 전달받는 제2단계;
    개인통신호처리(PCC)블록이 가입자정보처리기(HLR)에 해당 착신자의 위치정보를 요구하고, 그 응답에 따라 착신가입자가 연결된 개인통신 교환기로 라우팅하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에서 가입자정보처리기의 착신가입자 상태가 소정의 조건에 해당되어 VMS로의 전환 응답을 수신하면 발신가입자에게 안내방송블록을 연결하여 VMS로의 전환여부를 선택하도록 하는 제4단계;
    발신가입자가 VMS로의 전환을 선택하면, 발신가입자와 VMS를 연결하여 VMS서비스를 제공하는 제5단계; 및
    발신가입자가 VMS로의 전환을 선택하지 않으면 호 종료절차를 처리하여 종료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통신 교환시스템에서 음성사서함서비스 선택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발신가입자를 VMS로 연결하는 상기 소정의 조건은 착신자 단말기의 전원오프, 착신자 통화중, 착신자 무응답, 착신자 단밀기의 장기간 전원오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통신 교환시스템에서 음성사서함서비스 선택방법.
KR1019980035628A 1998-08-31 1998-08-31 개인 통신 교환시스템에서 음성사서함서비스 선택방법 KR200000156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5628A KR20000015601A (ko) 1998-08-31 1998-08-31 개인 통신 교환시스템에서 음성사서함서비스 선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5628A KR20000015601A (ko) 1998-08-31 1998-08-31 개인 통신 교환시스템에서 음성사서함서비스 선택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5601A true KR20000015601A (ko) 2000-03-15

Family

ID=19548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5628A KR20000015601A (ko) 1998-08-31 1998-08-31 개인 통신 교환시스템에서 음성사서함서비스 선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5601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5404B1 (ko) * 1999-10-12 2001-11-02 이계철 차세대 지능망 서비스에서의 과금 시점 제어 방법
KR20030006095A (ko) * 2001-07-11 2003-01-23 헌 김 가입자 맞춤형 통합 메시징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KR100420757B1 (ko) * 2001-11-26 2004-03-0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 망에서의 이동 전화 번호 및 사서함 번호 통합관리 방법
KR20050012361A (ko) * 2003-07-25 2005-02-0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망에서의 지능형 호 전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990175B1 (ko) * 2003-05-27 2010-10-2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내용 저장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5404B1 (ko) * 1999-10-12 2001-11-02 이계철 차세대 지능망 서비스에서의 과금 시점 제어 방법
KR20030006095A (ko) * 2001-07-11 2003-01-23 헌 김 가입자 맞춤형 통합 메시징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KR100420757B1 (ko) * 2001-11-26 2004-03-0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 망에서의 이동 전화 번호 및 사서함 번호 통합관리 방법
KR100990175B1 (ko) * 2003-05-27 2010-10-2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내용 저장 시스템 및 방법
KR20050012361A (ko) * 2003-07-25 2005-02-0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망에서의 지능형 호 전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61602B2 (ja) セルラー移動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個々の加入者へのサービスの提供
CA2097351C (en) Architecture for a wireless telecommunication system
KR20000015601A (ko) 개인 통신 교환시스템에서 음성사서함서비스 선택방법
KR19990009277A (ko) 개인 통신 서비스에서의 착신전환 서비스 처리 방법
EP1075162A1 (en) Multiple communication system, exchange and terminal
KR100238719B1 (ko) 개인통신 교환시스템에서의 3인통화호 처리방법
KR100706950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지역 기반 가상 사설망서비스의 착신 부가 서비스 제어 방법 및 시스템
JPH09215031A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
KR20000034419A (ko) 개인 통신 교환시스템에서 음성사서함 서비스 방법
KR100210795B1 (ko) 개인 통신 교환기에서 발신 불능 안내 방송 방법
KR20040102949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플렉시블 페이징 및 부가 서비스기능 처리 방법
KR19990061172A (ko)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의 호전환제어방법
KR100381042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폐쇄사용자그룹 서비스 제공방법
KR100282569B1 (ko) 이동 비동기 전달방식 가상채널 교환기에서의 보류 호 처리방법
KR100238720B1 (ko)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의 착신금지 처리방법
KR100233914B1 (ko) 개인 이동 통신 교환기에서의 호 보류 처리 방법
KR100908355B1 (ko) 이동통신망의 통화중 호 처리 방법
KR100827127B1 (ko) 착신 통화 전환 제어 방법
KR100621723B1 (ko) 유,무선망에서 개인 추적호 전달 서비스 방법
KR100282568B1 (ko) 이동 비동기 전달방식 가상채널 교환기에서의 대기 호 처리방법
KR100220343B1 (ko)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의 중계호 처리방법
KR19980067340A (ko)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의 회의통화제어방법
KR100220342B1 (ko)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의 입중계호 처리방법
KR19980063100A (ko)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의 착신전환처리방법
KR20000046365A (ko) 이동통신 교환시스템에서 서비스 협상을 통한 발신 호 처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