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4544U - 안테나 최적 위치 선정 장치 - Google Patents

안테나 최적 위치 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4544U
KR20000014544U KR2019980027869U KR19980027869U KR20000014544U KR 20000014544 U KR20000014544 U KR 20000014544U KR 2019980027869 U KR2019980027869 U KR 2019980027869U KR 19980027869 U KR19980027869 U KR 19980027869U KR 20000014544 U KR20000014544 U KR 2000001454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field strength
electric field
subscriber
c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78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재훈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20199800278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4544U/ko
Publication of KR200000145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4544U/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지역 다지점 분산 서비스(Local Multipoint Distribution Service ; 이하, LMDS 라 약칭함)에 있어서, 가입자 장치(CPE)를 설치하고자 할 때 허브 아웃도어 장치(HOU)로부터 수신되는 전계강도를 특정한 계측장비 없이 측정하여 이에 따른 가입자 장치의 안테나를 설치할 최적 위치를 선정해주는 안테나 위치 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수신되어 하향주파수 처리된 하향스트림 신호를 커플링(Coupling)하여, 이에 따른 전계강도를 분리시키기 위한 커플러와, 상기 커플링되어 분리된 전계강도를 직류값(DC)으로 변환하기 위한 AD 변환부와, 상기 직류로 변환된 전계강도의 크기를 판단한 후 그에 따른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CPU와, 상기 CPU에서 출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전계강도를 다수의 소자를 이용하여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점멸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가입자 장치(CPE)를 설치할 때 별도의 계측장비를 사용하지 않고도 안테나의 최적 지향방향을 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안테나 최적 위치 선정 장치
본 고안은 LMDS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가입자 장치(CPE)를 설치하고자 할 때 허브 아웃도어 장치(HOU)로부터 수신되는 전계강도를 특정한 계측장비 없이 측정하여 이에 따른 가입자 장치 안테나의 설치 위치를 선정해주는 가입자 장치의 안테나 최적 위치 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기술의 발달과 밀리미터파 대역의 개발 등으로 인하여 유선에 비해서 망구축의 용이성, 확장성, 경제성 등의 관점에서 유리한 광대역 무선 가입자망(B-WLL)이 각광을 받고 있다.
광대역 무선 가입자망(B-WLL)의 실현을 위해 우리나라에서는 20㎓ 대에서 주파수를 공고하였으며, 이와 유사한 시스템으로 캐나다의 지역 다지점 통신 시스템(LMCS : Local Multipoint Communication System), 미국의 지역 다지점 분산 서비스(LMDS), 일본의 에이티엠 무선 액세스(AWA : ATM Wireless Access) 등이 연구되고 있다.
광대역 무선 가입자망(B-WLL)에 관련한 표준화는 디지털 음성·영상 회의(Digital Audio Visual Council ; 이하, DAVIC 이라 약칭함)의 활동이 가장 두드러진다.
DAVIC에서는 1.0 규격을 시작으로 1.3 규격까지 발표하고 있으며, 광대역 무선 가입자망(B-WLL)에 대해서 유일하게 구체적인 표준을 제시하고 있다. DAVIC에서는 하향 시분할 다중화(TDM : Time Division Multiplexing)/상향 시분할 다중 접속(TDMA :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의 다중 접속 방식 및 하향/상향 프레임 구조, 미디어 액세스 제어 프로토콜(Media Access Control Protocol) 등에 대해서 언급하고 있다.
우리 나라에서는 정보통신부 공고 제1997-49호에서 광대역 무선 가입자망(B-WLL)의 가입자 회선용 주파수를 지정했는데, 20㎓ 대역에서 양방향 광대역 서비스용으로 하향 25.5㎓∼27.5㎓의 2㎓를 할당했으며, 상향으로는 24.25㎓∼24.75㎓의 500㎒를 할당하였다. 이 중 26.7㎓∼27.5㎓의 800㎒ 대역은 케이블 텔레비젼(CATV) 전송용으로 임시로 지정하였다.
이와 같이 약 2∼5㎞ 반경 내에서 가입자를 대상으로 밀리미터파 대역(하향 25.5㎓ ∼27.5㎓의 2㎓, 상향 24.25㎓∼24.75㎓의 500㎒)의 가입자 회선용 주파수를 이용하여 초고속 광대역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LMDS 시스템은, 케이블 텔레비젼 시장에서 유선에 대한 경쟁으로서 다채널의 TV 프로그램을 가입자에게 전달하기 위해 개발된 시스템이다.
초기에는 주로 케이블 TV의 분배에 사용되었으나 점차 양방향 디지털 시스템으로 발전하였으며, 양방향 고속 무선 통신 개념의 시스템이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로는 음성 전화 서비스, 데이터 통신 서비스, 대화형 영상 서비스, 음성/데이터/영상을 복합한 멀티미디어 서비스, 전용 회선 서비스가 있으며, 일반 공중망 가입자, 사설망 가입자 및 공중망 전송 중계자 등의 가입자 형태를 갖는다.
도 1 은 LMDS 시스템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LMDS 시스템은 크게 센트럴 오피스 장치(COU : Central Office Unit)(100)와, 헤드엔드장치(Head-end Unit)(200)와, 허브 아웃도어 장치(HOU : Hub Outdoor Unit)(300)와, 가입자 장치(CPE : Customer Premises Equipment Unit)(400)로 구성된다.
상기 센트럴 오피스 장치(COU)(100)는 ATM 교환장치(110)와, 가입자 관리장치(SMS : Subscriber Management System)(120)와, 망 관리장치(NMS : Network Management System)(130)와, 망 연동장치(IWF)(140)와, 사설교환장치(150)와, 인터넷 상호접속장치(Internet Gateway)(160)로 구성된다.
사설교환장치(150)는 공중 통신망과의 접속을 위한 국설 교환망(PSTN)과 상호 연동하고, 인터넷 상호접속장치(Internet Gateway)(160)는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인터넷 서비스 접속망(ISP : Internet Service Provider)과의 접속을 제공한다.
ATM 교환장치(110)는 LMDS에 사용되는 ATM 셀 구조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가입자에게 분석한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스위칭을 수행한다.
LMDS에서는 ATM 셀을 사용하여 TV방송 데이터를 송출할 수 있으며, 디지털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양방향으로 통신할 수 있으므로, LMDS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데이터는 TV방송 데이터, 디지털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 등으로 대별된다.
가입자 관리장치(SMS)(120)는 ATM 교환장치(110)와의 정보 교환을 통해 가입자 장치(CPE)(400)의 모든 동작 및 상태 관리, 정보 관리를 담당하게 된다.
망 관리장치(NMS)(130)는 광신호 캐리어(OC-3 : Optical Carrier-3)를 통해 ATM 교환장치(110)와 허브 아웃도어 장치(HOU)(300)간의 망 접속 및 상태 관리를 담당하며, 가입자 장치(CPE)(400)와의 무선 구간 상태를 관리한다.
망 연동장치(IWF)(140)는 ATM 교환장치(110)와 사설교환장치(150)간에 데이터 교환이 이루어질 경우, 이들 ATM 교환장치(110)와 사설교환장치(150)가 상호 연동하여 운용되도록 정합시켜 주며, 이를 위해 망 연동장치(IWF)(140)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성된다. 여기서, ATM 교환장치(110)와 사설교환장치(150)간에 교환되는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텍스트(Text), 이미지(Image), 패킷 데이터(Packet Data)이다.
사설교환장치(150)는 LMDS를 사설망 서비스로 전환하여 가용하고자 할 때, 가입자 장치(CPE)(400)에 대한 과금 정보를 관리하며, 통신을 위해 국설 교환망(PSTN)과 상호 연동하게 된다.
인터넷 상호접속장치(Internet Gateway)(160)는 가입자 장치(CPE)(400)에 ATM 및 근거리 통신망 서비스(LAN)를 제공하기 위한 상호접속장치(Gateway)로써, 이를 위해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 접속망(ISP:Internet Service Provider)과 접속된다.
헤드엔드장치(Head-end Unit)(200)는 ATM 교환장치(110)에서 전달된 ATM 셀 구조의 하향 채널(Downstream Channel) 데이터를 변조하여 허브 아웃도어 장치(HOU)(300)에 전달하며, 허브 아웃도어 장치(HOU)(300)에서 전달된 상향 채널(Upstream Channel) 데이터를 복조하게 된다. 이에 대한 상세한 구성을 도 2 에 도시하였다.
허브 아웃도어 장치(HOU)(300)는 헤드엔드장치(Head-end Unit)(200)에서 전달된 하향 채널(Downstream Channel)의 데이터를 증폭 및 주파수 변환하여 고지향성 안테나를 통해 가입자측으로 송신하며, 무선 구간을 통해 수신한 데이터를 증폭 및 주파수 변환하여 헤드엔드장치(Head-end Unit)(200)에 전달한다. 이에 대한 상세한 구성을 도 3 에 도시하였다.
하나의 셀 영역을 서비스하는 허브 아웃도어 장치(HOU)(300)에는 마이크로파 변환장치(MWC)(320)에 4개의 섹터를 서비스하기 위한 4개의 마이크로파 변환부가 존재한다.
허브 아웃도어 장치(HOU)(300)에서 가입자 장치(CPE)(400)로 방사되는 하향스트림 데이터에는 다수의 가입자에 대한 서비스를 위해 다수의 채널이 존재하며, 이 하향스트림 데이터는 4개의 마이크로파 변환부에서 채널 구분없이 상향 변환된 후 서비스되는 셀 영역내의 모든 섹터로 방사된다.
가입자 장치(CPE)(400)는 옥외에 설치하는 가입자 아웃도어 장치(CPE ODU : Customer Premises Equipment Outdoor Unit)(410)와, 옥내에 설치하는 망 인터페이스 장치(NIU : Network Interface Unit)(420)와, 기타 응용서비스를 위한 전화기(430)와 개인용 컴퓨터(440)와 세트-탑 박스(STB : Set-Top Box)(450)와 텔리비젼(460)과 같은 주변 장치들로 구성된다.
여기서, 가입자 장치(CPE)(400)는 LMDS 시스템을 가정용으로 사용하느냐, 사무실용으로 사용하느냐에 따라 망 인터페이스 장치(NIU)(420)의 구성과 기타 주변 장치(430,440,450,460)의 구성이 달라지게 된다.
즉, LMDS 시스템을 사무실용으로 사용하면, 단지 소용량 사설 교환기(Private Automatic Branch Exchange)를 사용할 수 있도록 북미/유럽식 전송 인터페이스부(T1/E1 Interface)가 구비되며, 근거리 통신망 서비스(LAN)를 원하는 다수의 의뢰인(Client)들을 위한 근거리 통신망 서버(LAN Server)가 구비되는데, 여기서 근거리 통신망 서버(LAN Server)를 통해 이더넷(Ethernet)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가입자 장치(CPE)(400)에서 가입자 아웃도어 장치(CPE ODU)(410)는 고지향성 안테나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주파수 변환 및 증폭하여 망 인터페이스 장치(NIU)(420)에 전달하며, 또는 망 인터페이스 장치(NIU)(420)에 전달된 데이터를 주파수 변환 및 증폭하여 고지향성 안테나를 통해 무선 구간으로 송신한다.
망 인터페이스 장치(NIU)(420)는 가입자 아웃도어 장치(CPE ODU)(410)와 다수의 데이터 단말인 주변장치(430,440,450,460)들을 상호 인터페이스해 준다.
이같은 가입자 장치(CPE)의 상세한 구성을 도 4 에 도시하였다.
가입자 장치(CPE)(400)는 허브 아웃도어 장치(HOU)(300)로부터 제어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상향스트림 신호를 발생하여 방사한다.
가입자 장치(CPE)(400)는 허브 아웃도어 장치(HOU)(300)에 의해 서비스되는 셀 영역에서 어느 한 섹터에 등록되므로, 섹터의 변환 및 셀 영역의 변환이 필요없는 고정 무선 통신을 하게 된다.
가입자 장치(CPE)(400)를 초기에 설치할 때는 허브 아웃도어 장치(HOU)(300)에 구비된 고지향성 안테나와 가시 경로에 존재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가입자 장치(CPE)(400)가 가시 경로에 설치되더라도 안테나의 고지향성 특성상 미세한 변동에도 안테나의 송수신 이득이 저하되는 경우가 발생하므로, 초기 설치시에 허브 아웃도어 장치(HOU)(300)의 고지향성 안테나와 가입자 장치(CPE)(400)의 고지향성 안테나간의 직선 경로 설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 두 장치의 안테나간의 직선 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계측장비 및 망원경과 같은 보조장비가 필요하게 된다.
초기 설치된 가입자 장치(CPE)(400)는 허브 아웃도어 장치(HOU)(300)에 의해 서비스되는 섹터에 등록하게 되며, 등록된 가입자 장치(CPE)(400)는 대기상태에서 항상 제어채널을 통해 허브 아웃도어 장치(HOU)(30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제어채널을 통한 제어정보에는 상향스트림 신호를 발생할 때 사용될 통화채널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허브 아웃도어 장치(HOU)(300)는 자신의 셀 영역 내의 한 가입자 장치(CPE)(400)로부터 채널 할당을 요구하는 상향스트림 신호가 발생하면, 가입자 장치(CPE)(400)의 등록여부를 확인한 후 곧 채널을 할당하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된 LMDS 시스템에서, 초기에 가입자 장치(CPE)를 설치할 때 옥외에 설치되는 가입자 아웃도어 장치(CPE ODU)와 허브 아웃도어 장치(HOU)간의 가시 경로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며, 또한 각 안테나의 고지향성 특성상 가입자 아웃도어 장치(CPE ODU)의 고지향성 안테나가 허브 아웃도어 장치(HOU)의 고지향성 안테나와 직선상에 위치할 수 있도록 조정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허브 아웃도어 장치(HOU)로부터 방사되는 하향스트림 신호에 대한 전계강도를 판단하여 인지할 수 있는 장비가 가입자 장치(CPE) 내에 존재하지 않았다.
따라서, 종래에는 수신 전계강도의 크기를 판단할 수 있는 전력계측장비(Power Meter) 또는 전계강도 측정장비를 이용하여 가입자 장치(CPE)에 설치되는 고지향성 안테나의 위치를 결정하는 불편이 있었다.
이는 가입자 아웃도어 장치(CPE ODU)의 안테나가 허브 아웃도어 장치(HOU)의 안테나와의 가시 경로를 확보할 수 있도록 상당히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점을 고려해볼 때 상당한 노력이 필요하게 된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가입자 장치(CPE)를 초기에 설치할 때, 별도의 계측장비를 사용하지 않고도 가입자 아웃도어 장치(CPE ODU)의 고지향성 안테나가 허브 아웃도어 장치(HOU)의 고지향성 안테나와 가시 경로를 확보할 수 있도록 최적의 설치 위치를 선정해 주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안테나 최적 위치 선정 장치가, 수신되어 하향주파수 처리된 하향스트림 신호를 커플링(Coupling)하여, 이에 따른 전계강도를 분리시키기 위한 커플러와; 상기 커플링되어 분리된 전계강도를 직류값(DC)으로 변환하기 위한 AD 변환부와; 상기 직류로 변환된 전계강도의 크기를 판단한 후 그에 따른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CPU와; 상기 CPU에서 출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전계강도를 다수의 소자를 이용하여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점멸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점멸부가 상기 CPU의 제어신호에 따라 점멸되는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 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 중 일부는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점멸되는 한계 범위가 나머지 일부 발광 다이오드의 한계 범위보다 크게 한다.
여기서, 상기 점멸되는 한계 범위가 보다 큰 일부 발광 다이오드의 점등수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1차 상기 안테나의 설치 위치를 선정하며, 이후 상기 선정된 안테나의 설치 위치 근처에서 상기 점멸되는 한계 범위가 보다 작은 일부 발광 다이오드의 점등수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최종 상기 안테나의 최적 설치 위치를 선정하게 된다.
도 1 은 LMDS 시스템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2 는 LMDS시스템에서 헤드엔드장치(Head-end Unit)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3 은 LMDS 시스템에서 허브 아웃도어 장치(Hub Outdoor Unit)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4 는 LMDS 시스템에서 가입자 장치(Customer Premises Equipment Unit)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가입자 아웃도어 장치(Customer Premises Equipment Outdoor Unit)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센트럴 오피스 장치(COU) 110 : ATM 교환장치
120 : 가입자 관리장치(SMS) 130 : 망 관리장치(NMS)
140 : 망 연동장치(IWF) 150 : 사설교환장치
160 : 인터넷 상호접속장치 200 : 헤드엔드장치(Head-end Unit)
210 : ATM 다중장치(AMU) 220 : 맥 프로세스 장치(MPU)
230 : QPSK 변조장치 240 : 하향스트림 채널장치
250 : 인도어 결합장치(ICU) 260 : 인도어 분배장치(IDU)
270 : 상향스트림 채널장치 280 : 망 관리 에이전시 마스터장치
290 : 전원공급장치 300 : 허브 아웃도어 장치(HOU)
310 : 아웃도어 분배장치(ODU) 320 : 마이크로파 변환장치(MWC)
330 : 아웃도어 결합장치(OCU) 340 : 망 관리 에이전시 슬레이브장치
350 : 전원공급장치 360 : 고지향성 안테나
400 : 가입자 장치(CPE) 410 : 가입자 아웃도어 장치(CPE ODU)
420 : 망 인터페이스 장치(NIU) 500 : 커플러
510 : AD 변환부 520 : CPU
530 : 점멸부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안테나 최적 위치 선정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안테나 최적 위치 선정 장치는 가입자 장치(CPE)의 가입자 아웃도어 장치(CPE ODU)에 추가로 설치되며, 가입자 장치(CPE) 고지향성 안테나의 설치 위치를 최적으로 선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가입자 아웃도어 장치(CPE ODU)가 안테나로 수신된 하향스트림 신호를 분리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 변환된 디지털 신호로부터 하향스트림 신호의 전계강도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판단된 하향스트림 신호의 전계강도 변화를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가입자 아웃도어 장치(CPE ODU)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가입자 아웃도어 장치(CPE ODU)(410)는 고지향성 안테나(411)와, 마이크로파 변환부(412)로 구성된다.
마이크로파 변환부(412)는 허브 아웃도어 장치(Hub Outdoor Unit)(300)의 마이크로파 변환장치(MWC)(320)로부터 25.5㎓∼27.5㎓의 고주파대역의 하향스트림 신호가 고지향성 안테나(411)를 통해 입력됨에 따라, 입력된 고주파대역의 신호를 950㎒에서 2050㎒의 주파수로 변환하게 된다.
또한, 마이크로파 변환부(412)는 200㎒∼700㎒ 대역으로 입력되는 상향스트림 신호를 상향 마이크로파대역으로 주파수변환 한 후 100㎷∼500㎷의 출력으로 증폭하여 고지향성 안테나(411)를 통해 무선 구간으로 송출하게 된다.
여기서, 고지향성 안테나(411)는 허브 아웃도어 장치(HOU)(300)에 구비된 고지향성 안테나(360)와 가시거리 통신이 가능해야 하며, 이를 위해 가시거리 상태(Line of Sight)가 되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안테나 최적 위치 선정 장치는 고지향성 안테나(411)를 통해 수신된 고주파수의 하향스트림 신호가 하향주파수 처리된 중간주파수의 하향스트림 신호를 커플링(Coupling)하여 하향스트림 신호의 전계강도를 분리시키기 위한 커플러(500)와, 커플링되어 분리된 전계강도를 직류값(DC)으로 변환하기 위한 AD 변환부(510)와, 직류로 변환된 전계강도로부터 그 크기를 판단한 후 그에 따른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CPU(520)와, 제어신호에 의해 해당 전계강도를 시각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LED : Light Emitting Diode)로 된 점멸부(530)로 구성된다.
특히, 점멸부(530)는 외부에서도 쉽게 수신된 하향스트림 신호에 대한 전계강도를 판단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색상으로 표현되는 발광 다이오드(LED)를 구비하고 있다.
가입자 장치(CPE)(400)가 초기에 설치될 때는 허브 아웃도어 장치(HOU)(300)로부터 방사되는 무선 고주파신호를 수신한다. 이 때 수신되는 고주파신호가 하향주파수 처리된 중간주파신호로부터 하향스트림 신호의 전계강도를 커플링하여 추출하게 된다.
추출된 전계강도는 직류값으로 변환되며, CPU(520)는 변환된 직류전계강도를 발광 다이오드(LED)와 같은 시각적 표시가 가능한 소자를 통해 표현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CPU(520)는 변환된 직류전계강도를 각 발광 다이오드(LED)마다 정해진 한계값에 따라 해당하는 만큼을 점등시키게 된다.
발광 다이오드(LED)는 각각 자리수가 이미 정해져 있으며, CPU(520)에서 변환된 직류전계강도에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면 각 자리수에 해당하는 발광 다이오드(LED)가 점등된다.
이후 가입자 아웃도어 장치(CPE ODU)(410)의 안테나(411)를 회전시켜 가면서 지향방향을 바꿔나간다.
CPU(520)는 이렇게 안테나(411)의 지향방향을 바꿔가면서 그 때마다 수신되는 하향스트림 신호의 전계강도를 판단하여 해당 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
이 때, 수신된 하향스트림 신호의 전계강도가 이전의 전계강도보다 높은 값이거나 작은 값이면, 발광 다이오드(LED)를 이전과 다르게 표현하고, 같은 값의 전계강도이면 현재 점등되어 있는 발광 다이오드(LED)를 그대로 유지시킨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안테나 최적 위치 선정 장치를 이용하여, 계속 가입자 아웃도어 장치(CPE ODU)(410)의 지향성 안테나(411)를 회전시키고, 안테나(411)의 각 지향방향에 따른 전계강도가 최고치를 나타내는 위치에 최종 안테나(411)를 고정시킨다.
발광 다이오드(LED)의 점멸을 참고로 하여 지향성 안테나(411)의 최적 설치 위치를 선정하는 방법을 간단히 살펴본다.
우선 발광 다이오드(LED)는 각각의 점멸 한계 범위가 큰 다수개가 구비되며, 또한 보다 정밀하게 전계강도 변화를 표현하기 위해 점멸 한계 범위가 작은 또다른 다수개가 구비된다.
처음에는 안테나(411)의 회전각을 크게 하여 각 지향방향에 따른 전계강도를 판단한다. 따라서 이 때는 점멸 한계 범위가 큰 발광 다이오드(LED)를 사용하여 전계강도가 높게 나타난 대략적인 위치를 먼저 선정한다.
이후 1차로 선정된 위치 부근에서 회전각을 작게 하여 각 지향방향에 따른 전계강도를 판단한다. 이 때는 점멸 한계 범위가 작은 발광 다이오드(LED)를 사용하여 가장 전계강도가 높게 나타난 위치를 결정하여, 이를 안테나(411)의 최적 설치 위치로 선정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안테나 최적 위치 선정 장치에 따르면, 가입자 아웃도어 장치(CPE ODU)에 구비된 발광 다이오드를 통해 가입자 장치(CPE)의 안테나 위치에 따른 수신된 하향스트림 신호의 각 전계강도를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입자 장치(CPE)를 설치할 때 별도의 계측장비를 사용하지 않고도 안테나의 최적 지향방향을 선정할 수 있고, 또한 이 때문에 가입자 장치(CPE)의 안테나가 허브 아웃도어 장치(HOU)의 안테나와 최적의 가시 경로를 확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수신되어 하향주파수 처리된 하향스트림 신호를 커플링(Coupling)하여, 이에 따른 전계강도를 분리시키기 위한 커플러와;
    상기 커플링되어 분리된 전계강도를 직류값(DC)으로 변환하기 위한 AD 변환부와;
    상기 직류로 변환된 전계강도의 크기를 판단한 후 그에 따른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CPU와;
    상기 CPU에서 출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전계강도를 다수의 소자를 이용하여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점멸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최적 위치 선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멸부는 상기 CPU의 제어신호에 따라 점멸되는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 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 중 일부는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점멸되는 한계 범위가 나머지 일부 발광 다이오드의 한계 범위보다 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최적 위치 선정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점멸되는 한계 범위가 보다 큰 일부 발광 다이오드의 점등수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1차 상기 안테나의 설치 위치를 선정하며, 이후 상기 선정된 안테나의 설치 위치 근처에서 상기 점멸되는 한계 범위가 보다 작은 일부 발광 다이오드의 점등수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최종 상기 안테나의 최적 설치 위치를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최적 위치 선정 장치.
KR2019980027869U 1998-12-30 1998-12-30 안테나 최적 위치 선정 장치 KR2000001454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7869U KR20000014544U (ko) 1998-12-30 1998-12-30 안테나 최적 위치 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7869U KR20000014544U (ko) 1998-12-30 1998-12-30 안테나 최적 위치 선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4544U true KR20000014544U (ko) 2000-07-25

Family

ID=69506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7869U KR20000014544U (ko) 1998-12-30 1998-12-30 안테나 최적 위치 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4544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0055B1 (ko) * 1999-08-12 2003-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엘엠디에스 시스템의 허브 아웃도어 장치
KR101025894B1 (ko) * 2009-06-26 2011-03-30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타이어 상태 감시 시스템
KR101055127B1 (ko) * 2009-03-09 2011-08-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0055B1 (ko) * 1999-08-12 2003-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엘엠디에스 시스템의 허브 아웃도어 장치
KR101055127B1 (ko) * 2009-03-09 2011-08-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025894B1 (ko) * 2009-06-26 2011-03-30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타이어 상태 감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7885B1 (ko) 멀티미디어 정보 처리 시스템, 멀티미디어 정보 분배시스템,및 스위칭노드
CA2280922C (en) Video, data and telephony gateway
US7502588B2 (en) Dissemination system for satellite broadcasting
US20050068915A1 (en) Wireless infrastructure for broadcasting with return channel
US20070273792A1 (en) Converter and Method for Converting Digital Signals Received in the Form of Modulated and Multiplex Signals
HU224079B1 (hu) Számítógéppel vezérelt szélessávú adó-vevő rendszer
US11985641B2 (en) Node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viding high-capacity data services via a content delivery network architecture
KR20050113645A (ko) 전체 하우스 비디오 네트워크
US20010033610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igital information over unused portions of licensed communication channels
US20050055723A1 (en) Indoor installation of TV broadcasting with return channel
KR20000014544U (ko) 안테나 최적 위치 선정 장치
FI107107B (fi) Paluusuuntaisen yhteyden muodostaminen langallisessa verkossa
CN102098195A (zh) 一种具有升级功能的同轴电缆eoc系统及其控制方法
US876305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satellite receiver telephone modems over coaxial cable
KR20000032728A (ko) 광대역무선멀티미디어통신시스템에서데이터통신시채널할당방법
EP3158771B1 (en) Method for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digital terrestrial television signals, said signals comprising a plurality of radiotelevision programs or services receivable through internet by a television receiver in a certain frequency band
KR100269397B1 (ko) 광대역 무선 멀티미디어 통신 시스템
KR100327405B1 (ko) 광대역디지털로컬다중접속분산서비스시스템
KR100317255B1 (ko) 적응타임슬롯방식을사용한채널효율개선방법
EP1671435A2 (en) Broadcasting system with return channel
KR100271939B1 (ko) Mmds/lmds 복합 전송 시스템
KR100370055B1 (ko) 엘엠디에스 시스템의 허브 아웃도어 장치
JP2004343771A (ja) 放送通信融合サービスに適用される加入者光分配器及び分配方法
US20060059523A1 (en) Receiving and bridging broadband access signals for wired and wireless redistribution
US2011023490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frastructure based on broadcasting sign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