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4286U - 천정 부착용 에어컨 - Google Patents

천정 부착용 에어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4286U
KR20000014286U KR2019980027589U KR19980027589U KR20000014286U KR 20000014286 U KR20000014286 U KR 20000014286U KR 2019980027589 U KR2019980027589 U KR 2019980027589U KR 19980027589 U KR19980027589 U KR 19980027589U KR 20000014286 U KR20000014286 U KR 2000001428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er
ceiling
air
indoor
indo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75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호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800275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4286U/ko
Publication of KR200000142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4286U/ko

Links

Landscapes

  • Air-Conditioning Room Units, And Self-Contained Unit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에어컨의 실내기를 천정부위에 설치하여 측면 양방향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하방으로 토출되도록 구성하여 에어컨의 냉방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실내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천정 부착용 에어컨에 관한 것으로서, 실외측으로는 구동모터(22)로 구동되는 팬(23)과 열교환기(21)가 구비된 실외기(20)가 설치되고, 이 실외기(20)와 연결관(30)으로 연결되며 구동모터(12)의 구동으로 작동하는 팬(13)과 흡입된 외부공기를 열교환하도록 양측으로 형성된 흡입구(14)의 내부로 각각 설치되는 열교환기(11)와 열교환되어 냉각되어진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구(15)를 전면으로 구비하며 삼각뿌 형상의 에어컨의 실내기(10)가 실내의 천정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실내공간의 천정에 장착하는 관계로 실내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며 위쪽의 더운 공기를 흡입하여 상방에서 하방으로 토출하므로서 냉방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천정 부착용 에어컨(An air-conditioner installed the ceiling)
본 고안은 에어컨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에어컨의 실내기를 천정부위에 설치하여 측면 양방향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하방으로 토출되도록 구성하여 에어컨의 냉방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실내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천정 부착용 에어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컨은 실내기와 실외기가 일체로 형성된 창문형 에어컨과 별도로 분리되는 분리형 룸 에어컨 및 용량이 대형인 패키지형 에어컨으로 그 용량에 따라 구분되어진다.
상기의 에어컨 중 가정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창문형 에어컨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매가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시키는 압축기(22)와, 이 압축기(22)에서 이송된 고온,고압의 냉매가스를 방열시켜 점차적으로 액체상태로 상변화시키는 응축기(23)와, 이 응축기(23)에서 액체상태로 상변화되어 이송된 냉매를 저온의 액체 및 기체상태로 감압하는 팽창밸브(도시 없음)와, 이 팽창밸브에서 이송된 저온의 액체 및 기체상태의 냉매를 통과시키면서 증발되어 주변의 열을 빼앗아 외부온도를 낮은 온도로 유지시킴과 동시에 증발된 냉매가스를 다시 압축기(22)로 이송시키도록 하는 증발기(12)로 냉매사이클을 이루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창문형 에어컨에 있어서의 구성은 베이스판(30) 위에 조립되는 실내,외측 차단벽체(11,21)와, 이 실내,외측 차단벽체(11,21)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베이스판(30)에 조립된 모터 브라켓에 고정되는 구동모터(24)와, 이 구동모터(24)의 구동축(25) 양단에 각각 일체로 조립되어 실내,외측 차단벽체(11,21)에 설치되는 송풍팬(13) 및 냉각팬(26)과, 실내측 차단벽체(11)에 조립되어 냉매사이클을 콘트롤하는 콘트롤 박스(도시 없음)와, 실내측 차단벽체(11)의 전방에 위치되게 조립되어 실내의 공기를 흡입함과 동시에 냉기를 배출시키는 토출구(15)와, 각 구성품을 보호하기 위하여 베이스판(30)에 조립되어지는 상부 케이스(도시 없음)로 구성되어 진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방이 실내 및 실외로 노출되는 에어컨 몸체가 구비되며, 상기 몸체 내부는 실내차단벽체(11)와 실외차단벽체(21)에 의해 실내공간부(10)와 실외공간부(20)로 구획되고, 실내차단벽체(11)에는 중앙에서 양방향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24)가 설치된다.
또한 실내공간부(10)내에 주위의 열을 흡수하는 증발기(12)와 냉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하는 압축기(22)가 설치되며, 이 후방의 실외공간부(20)로는 상기 압축기(22)에서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냉매를 액화시켜 상온으로 응축하는 응축기(23)가 설치되며, 상기 응축기(23)는 냉매가 흐르는 냉매관이 지그재그 형태로 다수개 배열되어 있으며, 각 냉매관의 외주연에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열하는 방열핀(도시 없음)이 형성되어지며, 실외공간부(20)의 양측판에 실외흡입구(27)가 형성되고, 응축기(23)의 후방에 실외토출구(도시 없음)가 형성되어 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지는 종래의 창문형 에어컨에 있어서는 실내기와 실외기를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에어컨의 크기를 줄이는 효과는 있으나, 설치시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창문에 매달아 설치하므로서 에어컨의 실내기가 실내로 돌출되어 미관상 좋지 못하며 에어컨의 토출구측 전방으로는 방해물의 설치할 수 없어 공간활용에 어려움이 있었으며, 또한 창문에서의 설치가 어려운 경우에는 에어컨의 설치공간을 별도로 준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창문형 에어컨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에어컨의 실내기를 천정으로 설치하여 실내공간을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높은곳의 더운공기를 흡입하여 냉각하도록 함으로서 냉방효율을 향상하도록 하는 천정 부착용 에어컨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실외측으로는 구동모터로 구동되는 팬과 열교환기가 구비된 실외기가 설치되고, 이 실외기와 연결관으로 연결되며 구동모터의 구동으로 작동하는 팬과 흡입된 외부공기를 열교환하도록 양측 흡입구의 내부로 각각 설치되는 열교환기와 냉각된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구를 구비한 에어컨의 실내기가 실내의 천정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은 상기 실내기는 실내공간의 각이 진 천정부위에 장착되도록 삼각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부착용 에어컨.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실내기의 전방으로는 토출구가 형성되며 양측면으로는 흡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부착용 에어컨.
도 1은 본 고안의 에어컨의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 에어컨이 천정에 장착되어진 상태도
도 3은 일반적인 창문형 에어컨의 평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실내기 11 : 열교환기
12 : 구동모터 13 : 팬
14 : 흡입구 15 : 토출구
20 : 실외기 21 : 열교환기
22 : 구동모터 23 : 팬
30 : 연결관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에어컨의 구성도로서, 본 고안의 에어컨은 실내측에 설치되는 실내기(10)와 이 실내기(10)와 연결관(30)으로 연결되어 실외측에 설치되어지는 실외기(20)가 분리되어 구성되어진다.
상기 실내기(10)는 실내공간의 천정부위의 각진 부위에 설치되도록 삼각뿔 형상으로 구성되며, 양측면으로는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14)가 설치되며, 흡입구(14)를 통하여 흡입되어 냉각되어진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15)가 전방으로 설치되어진다.
그리고 실내기(10)의 내부로는 구동모터(12)와 팬(13)이 설치되고 양측의 흡입구(14)쪽으로는 각각 흡입구(14)를 통하여 흡입된 실내공기를 열교환하는 열교환기(1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실외기(20)에서는 실외의 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하여 실외로 토출하는 것으로 구동모터(22)에 연계된 팬(23)과 열교환기(21)가 설치되어 있다.
도 2는 본 고안 천정 부착용 에어컨 실내기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실내기(10)는 천정의 각이 형성되어진 부위에 설치되도록 삼각뿔 형상으로 구성되어 천정과 상측면이 밀착하게 설치되어 진다.
그리고 양측면으로는 흡입구(14)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전면으로는 토출구(15)가 형성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을 더욱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에어컨에 전원을 인가하면 구동모터(12)의 구동으로 팬(13)이 회전하며, 이 회전력으로 실내의 공기는 실내기(10)의양측면에 형성된 흡입구(14)를 통하여 양방향에서 흡입되고 흡입된 더운공기는 흡입구(14)측으로 양쪽으로 설치된 열교환기(11)를 거치면서 에어컨의 냉각싸이클에 의하여 냉각되어져 팬(13)의 풍력에 의하여 실내기(10)의 전면에 형성되어진 토출구(15)를 통하여 상방향에서 하방을 향하여 토출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실내의 윗쪽으로 위치하는 더운 공기를 흡입하여 냉각하며 양측에서 열교환기(11)로 흡입되어지는 더운공기를 열교환기(11)로 냉각하는 관계로 실내 냉방시간이 단축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천정 부착용 에어컨은 실내공간의 천정에 장착하는 관계로 실내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며 위쪽의 더운 공기를 흡입하여 상방에서 하방으로 토출하므로서 냉방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실외측으로는 구동모터(22)로 구동되는 팬(23)과 열교환기(21)가 구비된 실외기(20)가 설치되고, 이 실외기(20)와 연결관(30)으로 연결되며 구동모터(12)의 구동으로 작동하는 팬(13)과 흡입된 외부공기를 열교환하도록 양측으로 형성된 흡입구(14)의 내부로 각각 설치되는 열교환기(11)와 열교환되어 냉각되어진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구(15)를 구비한 에어컨의 실내기(10)가 실내의 천정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부착용 에어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10)는 실내공간의 각이 진 천정부위에 장착되도록 삼각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부착용 에어컨.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10)의 전면으로는 토출구(15)가 형성되며 양측면으로는 흡입구(1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 부착용 에어컨.
KR2019980027589U 1998-12-30 1998-12-30 천정 부착용 에어컨 KR2000001428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7589U KR20000014286U (ko) 1998-12-30 1998-12-30 천정 부착용 에어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7589U KR20000014286U (ko) 1998-12-30 1998-12-30 천정 부착용 에어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4286U true KR20000014286U (ko) 2000-07-25

Family

ID=69710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7589U KR20000014286U (ko) 1998-12-30 1998-12-30 천정 부착용 에어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4286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66016A (ko)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덕트
KR100556947B1 (ko) 원심팬
WO2005040689A2 (en) Window type air conditioner
KR20000014285U (ko) 천정 부착용 에어컨
KR20000014286U (ko) 천정 부착용 에어컨
KR200156399Y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0332774B1 (ko) 에어컨 실외기
KR20010037825A (ko) 소음저감 창문형 에어컨
KR100357107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200213719Y1 (ko) 분리형 에어컨의 실내기
KR200178068Y1 (ko) 패키지 에어콘
KR100623998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0335082B1 (ko) 창문형 에어컨의 실외기
KR0128922Y1 (ko) 공기조화기의 모터 지지대
KR20000021351U (ko) 창문형 에어컨에서의 이물질 차단장치
KR200272518Y1 (ko) 에어콘 실내기의 블로워 고정구조
KR100379398B1 (ko) 공기조화기의 열방출부
KR200336999Y1 (ko) 창문형 에어컨의 콘트롤박스
KR0128923Y1 (ko) 공기조화기의 모터지지대
KR20000021353U (ko) 가습기가 설치된 창문형 에어컨
JP2006017420A (ja) 空気調和機用室外機
KR200323967Y1 (ko) 창문형 에어컨
KR20050117664A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9990015947U (ko) 에어컨의 실외기
KR950008549Y1 (ko) 일체형 공기 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