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4250U - 플립 타입 휴대폰의 힌지장치 - Google Patents

플립 타입 휴대폰의 힌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4250U
KR20000014250U KR2019980027548U KR19980027548U KR20000014250U KR 20000014250 U KR20000014250 U KR 20000014250U KR 2019980027548 U KR2019980027548 U KR 2019980027548U KR 19980027548 U KR19980027548 U KR 19980027548U KR 20000014250 U KR20000014250 U KR 2000001425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flip
main body
mobile phone
type mob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75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인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800275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4250U/ko
Publication of KR200000142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4250U/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플립 타입 휴대폰의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나. 고안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
부품수절감으로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본체의 소형화에 유리한 힌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하단에 슬롯을 마주보게 구비한 본체(a); 대칭으로 연장된 네크와, 상기 네트의 단에 구비된 힌지소켓으로 구성된 플립(b); 및 상기 본체(a)와 플립(b)을 기계적으로 연결시켜 상기 플립을 본체에서 통화각도까지 개폐시키는 힌지장치(c)로 구성된 플립 타입 휴대폰에 있어서, 본체의 슬롯에 형성된 힌지 캠; 플립의 힌지 소켓에 적어도 한 개이상의 리브에 의해 지지되며, 적어도 한 개이상의 가이드 구멍이 회전축방향으로 연장되며, 내부에 원통형의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수납부; 상기 가이드 구멍에 조립되어 전후 직선이동을 할 수 있는 가이드용 후크가 적어도 한 개이상 구비되며, 플립의 개폐에 따라서 상기 힌지 캠과 슬라이딩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쌍의 산형부와, 상기 산형부사이에 위치하는 골형부를 구비하는 힌지 샤프트; 및 상기 수납부의 바닥과 상기 힌지 캠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힌지 샤프트와 힌지 캠이 항시 밀착될 수 있는 힘을 제공하는 힌지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라. 고안의 중요한 용도.
플립 타입이나 폴더 타입 소형 단말기에 적용.

Description

플립 타입 휴대폰의 힌지장치
본 고안은 플립 타입이나 폴더 타입 휴대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체와 플립같은 커버를 통화각도까지 개폐시키는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용 소형 단말기는 HHP, CT-2, 셀룰라 폰, 디지털 폰, PCS 폰등의 휴대장치를 칭한다. 이러한 휴대장치는 기지국(base station)과 무선통신을 수행하면서 통신기능을 수행한다.
현재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는 전자부품의 고감도 소형화 및 경량화추세에 따라 가고 있으며, 제1세대로 바타입(bar-type)의 휴대폰이 보편화 되었고, 제2세대로 플립 타입(flip-type)의 휴대폰이 일반화되었으며, 현재에는 플립 타입과 제3세대의 폴더 타입(folder-type)의 휴대폰이 공존하여 보편화된 추세에 있다. 향후에는 폴더 타입 휴대폰 또는 더욱 소형화된 휴대용 단말기가 각광받을 것이다.
통상적인 바 타입의 휴대폰은 본체(body element)와, 본체 상단에 설치된 안테나 장치(antenna unit)와, 상기 안테나 장치 하측으로 스피커를 포함하는 이어 피스(earpiece)와, 이어 피스 하측으로 설치되는 엘씨디부(LCD unit)와, 엘씨디부 하측으로 위치하는 다수개의 번호키와 기능키를 포함하는 키 패드(key pad)와, 상기 키패드 하측으로 위치하는 마이크장치(microphone unit)로 구성되었다.
통상적인 플립 타입 휴대폰(미국특허번호 제5,697,124호에 개시됨)은 본체와, 플립과, 본체와 플립을 연결시키는 힌지장치로 구성된다. 이러한 플립 타입 휴대폰의 본체에는 상단에 안테나 장치가 설치되고, 안테나 장치 하측으로 스피커를 포함하는 이어 피스가 위치하며, 상기 이어 피스 하측으로 엘씨디부가 장착되며, 상기 엘씨디부 하측으로 다수개의 번호키와 숫자키를 포함하는 키 패드가 설치되며, 상기 키패드 하측으로 마이크장치가 장착되는 구성이었다. 필요에 따라서 플립 요소에 마이크장치가 설치되기도 한다.
통상적인 폴더 타입 휴대폰은 본체와, 폴더와, 본체와 폴더를 기계적으로 연결시키는 힌지장치로 구성된다.
이러한 바 타입이나, 플립 타입 및 폴더 타입의 휴대폰 중, 플립 타입 또는 폴더 타입 휴대폰에서, 음의 감도가 탁월한 플립 타입 휴대폰이나 폴더 타입 휴대폰이 일반화되는 추세이다.
이러한 플립 타입 휴대폰이나 폴더 타입 휴대폰이 일반화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플립 타입 휴대폰은 통화대기모드시 본체에 연결되는 플립 요소가 다수개의 키들을 보호하여 키의 오동작을 방지하고, 통화모드시 통화중의 음의 반사판역할을 수행하여 음을 모아주기 때문이다. 더욱이, 플립 타입 휴대폰은 플립 요소에 마이크장치를 설치할 수 있어 본체 소형화에 유리하다.
폴더 타입 휴대폰은 통화대기모드시에 본체에 연결되는 폴더가 본체에 장착된 키패드를 보호하여 키의 오동작을 방지하고, 통화모드시 통화중의 음의 반사판역할을 수행하여 음을 모아주기 때문이다. 더욱이, 폴더 타입 휴대폰은 폴더에 스피커장치나 엘씨디부를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본체 소형화에 대단히 유리하다.
이때, 현재 휴대폰은 소형화되는 추세이지만, 휴대폰은 사용자귀와 입간의 거리확보를 위해 소형화에 한계가 있다. 즉, 휴대용 단말기의 경우, 송화부(마이크장치가 설치된 부분)와 수화부(스피커를 포함하는 이어 피스부분)사이의 거리가 14cm이상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플립 타입이나 폴더 타입 휴대폰은 통화거리를 유지하면서 소형화 될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플립 타입이나 폴더 타입 휴대폰의 힌지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미국특허번호 제5,697,124호에 공개된 힌지장치는 구성요소가 너무 과대하여 조립성과 생산성 저하의 주 원인이 되었다. 부품수가 증가하면, 생산성과 조립성이 저하되어 불량율의 발생이 높아지는 것이 통상적이다.
더욱이, 힌지장치를 이루는 구성요소가 과대하면, 본체에서 힌지장치가 실장되는 공간이 크게되어 본체의 소형화에 역행하게 되었다. 현재의 휴대폰의 경쟁력은 소형화 및 경량화에 달려있는 추세이다.
부가적으로 힌지장치를 이루는 구성요소가 과하여 고장난 경우에도 유지보수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힌지장치에 문제가 발생하면 본체의 상하케이스를 분리하여햐 하고, 상하 케이스를 분리한 다음에 힌지 모듈을 상부 케이스에서 분리하여야 하고, 이어서 힌지 모듈을 분리하여야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발생됨)이 발생한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부품수를 절감하여 조립성 향상 및 생산성 향상을 추구한 플립 타입 휴대폰의 힌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본체의 소형화에 유리한 플립 타입 휴대폰의 힌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유지보수가 용이한 플립 타입 휴대폰의 힌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안정적인 플립의 개폐동작을 보장하는 플립 타입 휴폰의 힌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하단에 슬롯을 마주보게 구비한 본체(a);
대칭으로 연장된 네크와, 상기 네트의 단에 구비된 힌지소켓으로 구성된 플립(b); 및
상기 본체(a)와 플립(b)을 기계적으로 연결시켜 상기 플립을 본체에서 통화각도까지 개폐시키는 힌지장치(c)로 구성된 플립 타입 휴대폰에 있어서,
본체의 슬롯에 형성된 힌지 캠;
플립의 힌지 소켓에 적어도 한 개이상의 리브에 의해 지지되며, 적어도 한 개이상의 가이드 구멍이 회전축방향으로 연장되며, 내부에 원통형의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수납부;
상기 가이드 구멍에 조립되어 전후 직선이동을 할 수 있는 가이드용 후크가 적어도 한 개이상 구비되며, 플립의 개폐에 따라서 상기 힌지 캠과 슬라이딩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쌍의 산형부와, 상기 산형부사이에 위치하는 골형부를 구비하는 힌지 샤프트; 및
상기 수납부의 바닥과 상기 힌지 캠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힌지 샤프트와 힌지 캠이 항시 밀착될 수 있는 힘을 제공하는 힌지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도 1은 온 후크상태의 플립 타입 휴대폰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오프 후크상태의 플립 타입 휴대폰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힌지 수단이 플립에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플립과 결합되는 힌지 캠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1의 라인 X-X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수납부 20:힌지 샤프트
30:힌지 스프링 40:힌지 캠
100:본체 20:플립
220:힌지 소켓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들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온 후크(on hook)상태의 휴대폰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오프 후크(off hook)상태의 휴대폰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통상적인 온 후크상태는 통화를 할 수 없는 상태(통화대기모드)를 의미하며, 오프 후크상태는 통화를 할 수 있는 상태(통화모드)를 의미한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플립 타입 휴대폰은 본체(100)와, 플립(200)과, 상기 본체와 플립을 기계적으로 연결시켜 상기 본체로부터 플립이 통화각도까지 개폐시키는 힌지장치(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00)는 최상단에 전파수신을 위한 안테나 장치(110)가 위치하고, 상기 안테나 장치 하측으로 스피커를 포함하는 이어 피스(112)가 위치하며, 상기 이어 피스 하측으로 각종 표시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엘씨디부(114)가 위치한다고, 그리고 상기 본체의 엘씨디부 하측으로 손가락동작으로 데이터가 입력되기 위한 적어도 한 개이상의 키(번호키나 기능키 및 센드키, 엘드키, 파워키등을 지칭함)를 포함하는 키패드(116)가 위치하며, 상기 키패드 하측으로 마이크장치(118)가 설치된다.
상기 플립(200)은 회전축(A)를 중심으로 개폐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플립(200)의 개폐량은 통상적으로 약 135도정도이다. 이러한 플립의 개폐동작에 따라서 상기 이어 피스(112)와 마이크장치(118)간의 통화거리가 유지되어 사용자는 상대방과 통화를 하게 된다.
상기 플립(200)은 마주보는 네크(210)와, 상기 네크의 단에 형성된 힌지 소켓(220)으로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힌지 소켓(220)은 힌지장치와 결합되어 플립(200)을 상기 본체(100)에 기계적으로 연결시킨다.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의 힌지 장치는 수납공간(11)을 갖는 원통형의 수납부(10)와, 상기 수납부에 삽입되어 회전축(A)을 중심으로 전후 직선이동을 하는 힌지 샤프트(20)와, 상기 수납부(10) 바닥과 상기 힌지 샤프트(20)사이에 설치되는 힌지 스프링(30)과, 상기 힌지 샤프트(20)와 슬라이딩운동을 하는 힌지 캠(도 4에 도시됨) 및 상기 힌지 샤프트(20)가 상기 수납부(10)에서 전후 직선이동을 하게 하느 가이드 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플립(200)의 힌지 소켓(220)은 힌지 스프링(30)과 힌지 샤프트(20)가 수납되기 위한 중공형의 수납부(12)를 구비하며, 상기 수납부(10)는 적어도 한 개이상의 리브(13)에 의해 힌지 소켓(220)에 지지된다. 본 고안에서는 리브(13)가 4군데 형성되어 수납부(10)를 지지하게 된다. 상기 수납부(10)는 회전축(A)방향으로 연장되고, 적어도 한 개이상의 가이드 구멍(11)이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 구멍(11)은 회전축(A)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다.
상기 힌지 스프링(30)은 상기 수납부에 장착되며, 그의 일단(31)은 수납부(10)의 바닥과 접촉하고, 그의 타단(32)은 힌지 샤프트(20)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힌지 샤프트(20)는 상기 가이드 구멍(11)에 구속되어 가이드 구멍을 따라 이동하기 위하여 적어도 한개이상의 가이드용 후크(21)를 가지며, 플립의 개폐운동시, 힌지 캠(도 4에 도시됨)과 슬라이딩운동을 하기 위한 한쌍의 산형부(22)와 상기 산형부 사이에 위치하는 한쌍의 골형부(23)로 구성된다.
상기 플립(200)의 개폐동작에 따라서 힌지 스프링(30)은 회전축(A)방향으로 압축 또는 인장운동을 수행하고, 상기 힌지 샤프트(20)는 힌지 캠(40)과 슬라이딩운동을 함과 동시에 가이드 구멍(11)을 따라 전후 직선이동을 수행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본체(100)에 구비된 힌지 캠(40)은 슬롯(120)에 돌출된다. 더욱이, 상기 힌지 캠(40)은 대칭으로 슬롯에 형성되며, 그의 단면은 산형(mountain shaped)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의 힌지장치는 회전축(A)방향을 중심으로 대칭으로 힌지 소켓(220)의 수납부에 조립된다.
플립의 개폐동작(통화를 하기 위하여 온 후크상태에서 오프 후크상태로 되거나, 통화를 종료하여 플립을 닫기 위하여 오프 후크상태에서 온 후크상태로 천이되는 경우)에 따라서 상기 힌지 스프링(30)은 상기 힌지 샤프트(20)와 힌지 캠(40)이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힘을 제공함과 더불어 회전축(A)방향으로 압축이나 인장운동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힌지 샤프트(20)는 플립의 회전시에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힌지 캠(40)과 슬라이딩운동을 수행한다. 플립(200)의 개폐시, 상기 힌지 샤프트(20)는 회전축(A)방향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을 수행함과 동시에 회전축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퇴동작을 수행한다. 이러한 힌지 샤프트(20)의 전진 또는 후퇴이동은 산형부와 골형부를 구비하였고, 힌지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가능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의 힌지장치의 조립순서를 보면, 먼저 힌지 스프링(30)을 상기 수납부(10)에 축방향(A)으로 삽입하고, 이어서 상기 힌지 샤프트의 가이드용 후크(21)를 상기 가이드 구멍(11)에 삽입함으로서, 힌지장치의 조립은 완료된다. 이어서 플립의 힌지 소켓(22)을 상기 힌지 캠(40)에 결합함으로서, 플립(200)의 조립은 완료된다.
더욱이, 본 고안의 힌지장치는 플립 타입 휴대폰에 적용되는 것으로 한정되었으나, 플립 타입에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폴더 타입 휴대폰(본체와, 폴더와, 본체와 폴더를 기계적으로 연결시키는 힌지장치로 구성됨)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플립 타입이나 폴더 타입 소형 단말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상기 힌지 캠(40)이 연장된 방향이나. 힌지 샤프트(20)의 형상(산형부와 골형부의 형상) 또는 수납부에 형성된 가이드 구멍(가이드용 후크도 포함)의 형성위치를 변경하면, 플립(20)의 개폐량은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같이, 본 고안은 힌지장치를 구성하는 부품수를 절감함으로서, 조립성 향상과 생산성 향상을 달성하였고, 부품수 절감에 따라서 불량률방생도 저하되었으며, 힌지장치가 고장난 경우에도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더욱이, 힌지장치를 플립에 설치함으로서, 본체의 소형화에 유리하다.

Claims (1)

  1. 하단에 슬롯을 마주보게 구비한 본체(a);
    대칭으로 연장된 네크와, 상기 네트의 단에 구비된 힌지소켓으로 구성된 플립(b); 및
    상기 본체(a)와 플립(b)을 기계적으로 연결시켜 상기 플립을 본체에서 통화각도까지 개폐시키는 힌지장치(c)로 구성된 플립 타입 휴대폰에 있어서,
    본체의 슬롯에 형성된 힌지 캠;
    플립의 힌지 소켓에 적어도 한 개이상의 리브에 의해 지지되며, 적어도 한 개이상의 가이드 구멍이 회전축방향으로 연장되며, 내부에 원통형의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수납부;
    상기 가이드 구멍에 조립되어 전후 직선이동을 할 수 있는 가이드용 후크가 적어도 한 개이상 구비되며, 플립의 개폐에 따라서 상기 힌지 캠과 슬라이딩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쌍의 산형부와, 상기 산형부사이에 위치하는 골형부를 구비하는 힌지 샤프트; 및
    상기 수납부의 바닥과 상기 힌지 캠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힌지 샤프트와 힌지 캠이 항시 밀착될 수 있는 힘을 제공하는 힌지 스프링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플립 타입 휴대폰의 힌지장치.
KR2019980027548U 1998-12-30 1998-12-30 플립 타입 휴대폰의 힌지장치 KR2000001425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7548U KR20000014250U (ko) 1998-12-30 1998-12-30 플립 타입 휴대폰의 힌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7548U KR20000014250U (ko) 1998-12-30 1998-12-30 플립 타입 휴대폰의 힌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4250U true KR20000014250U (ko) 2000-07-25

Family

ID=69503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7548U KR20000014250U (ko) 1998-12-30 1998-12-30 플립 타입 휴대폰의 힌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425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36804A1 (en) * 2000-03-27 2003-05-01 Phoenix Korea Co., Ltd. Hinge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36804A1 (en) * 2000-03-27 2003-05-01 Phoenix Korea Co., Ltd. Hinge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8082B1 (ko) 폴더 타입 휴대폰에서 메인 보드와 엘씨디 모듈간의연결장치
KR100313144B1 (ko) 와치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
US6256481B1 (en) Microphone connecting device for flip type portable telephone
KR100228315B1 (ko) 플립형 휴대용 단말기의 접점식 마이크로폰 장치
KR100283185B1 (ko) 출몰식 스피커 장치
KR19990000037A (ko) 양방향으로 플립커버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
US6438228B1 (en) Hinge device of mobile telephone
KR20050088549A (ko) 휴대용 단말기의 메인 보드
KR100296038B1 (ko) 휴대폰의 힌지장치
KR20000014250U (ko) 플립 타입 휴대폰의 힌지장치
KR20000013498U (ko) 폴더의 통화각도조절 보조장치
KR100325246B1 (ko) 플립형 휴대폰에서 힌지 장치에 구비된 자동절환 스위칭 장치
KR100298355B1 (ko) 플립형 휴대폰의 힌지 장치
KR100241886B1 (ko) 플립형 휴대폰의 플립커버 개폐장치
KR200348925Y1 (ko) 플립업타입휴대폰의힌지장치
KR100640458B1 (ko) 와치 타입 텔레폰의 배터리팩 접속장치
KR100247023B1 (ko) 플립형휴대용단말기의 힌지장치
KR200184077Y1 (ko) 휴대폰의 힌지장치
KR100241887B1 (ko) 플립형 휴대폰의 플립커버 개폐장치
KR100359076B1 (ko) 폴더형 휴대 전화기
KR200187548Y1 (ko) 폴더의 댐핑장치
KR100640457B1 (ko) 와치 타입 텔레폰
KR100662303B1 (ko) 편심 스위블 힌지구조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00014212U (ko) 플립과 힌지장치간의 결합장치
KR100547759B1 (ko) 화상통신용 휴대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