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3929U - 휴대폰 배터리 팩 - Google Patents

휴대폰 배터리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3929U
KR20000013929U KR2019980027196U KR19980027196U KR20000013929U KR 20000013929 U KR20000013929 U KR 20000013929U KR 2019980027196 U KR2019980027196 U KR 2019980027196U KR 19980027196 U KR19980027196 U KR 19980027196U KR 20000013929 U KR20000013929 U KR 2000001392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battery
charging
battery pack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71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흥찬
정종욱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20199800271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3929U/ko
Publication of KR200000139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3929U/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6Accumula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harg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8Cells or batteries combined with indicating means for external visualization of the condition, e.g. by change of colour or of light dens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7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devices, e.g. mobile phones, computers, hand tools or pacemak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6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with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to apparatus or structure, e.g. to a wall
    • H01R24/6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with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to apparatus or structure, e.g. to a wall mounted on directly pluggable apparatu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부에 자체 충전 기능이 구비된 휴대폰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사용자가 케이스(10)의 뒷면에 형성된 홈 안에서 90。로 절첩되도록 부착된 플러그(20)를 가정용 전원 콘센트에 꽂으면 케이스(10)에 내장되어 있는 충전 회로(40)가 플러그(20)를 통해 인가되는 가정용 전원을 충전 전원으로 변환하여 배터리(30)에 공급하므로써 배터리(30)를 충전하도록 되어 있고, 이때 플러그(20)와 마찬가지로 케이스(10)의 뒷면부에 장착된 LED부(50)는 충전 회로(40)의 출력 상태와 배터리(30)의 충전 상태의 이상 여부를 표시하도록 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배터리 팩을 휴대폰에 체결하면 충전된 배터리의 전원은 접촉 단자(60)를 통해 휴대폰으로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휴대폰 배터리 팩( Battery pack for portable phones )
본 고안은 휴대폰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히는 내부에 자체 충전 기능이 구비된 휴대폰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 배터리 팩은 휴대폰용 전원으로 사용되는 배터리(예컨대, 리튬 이온 배터리)를 내장하는 전원 장치로서 휴대폰 본체에 체결된다.
특히, 상기 배터리는 그 사용 시간이 한정되어 있으므로 데스크 충전기와 이동 충전기 등을 사용하여 수시로 충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종래에는 상기 휴대폰 배터리 팩을 데스크 충전기와 이동 충전기 등의 데스크 홀더에 연결하거나 상기 휴대폰 배터리 팩이 체결된 휴대폰 자체를 데스크 홀더에 연결하여 상기 배터리를 급속 충전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데스크 충전기와 이동 충전기 등을 사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하게 되면 데스크 홀더에 배터리 팩이 연결되었는지 또는 배터리 팩이 체결된 휴대폰 자체가 연결되었는지를 감지하기 위한 기능과 데스크 홀더에 연결되는 배터리 팩이나 휴대폰의 사이즈를 검출하기 위한 기능, 배터리 팩이나 휴대폰이 상기 데스크 홀더에 정상적으로 접촉되었는가를 확인하기 위한 기능 등과 같은 다수의 부가적인 기능이 필요하게 되므로 충전 회로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여행 중 또는 출장 중인 휴대폰 사용자는 상기와 같은 데스크 충전기와 이동 충전기 등을 가지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내부에 자체 충전 기능이 구비된 휴대폰 배터리 팩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휴대폰 배터리 팩은 케이스의 뒷면에 형성된 홈 안에서 절첩되도록 부착되는 플러그와, 케이스에 내장되며 상기 플러그를 통해 인가되는 가정용 전원을 충전 전원으로 변환하여 배터리에 공급하는 충전 회로, 케이스의 뒷면 소정 부위에 장착되며 상기 충전 회로의 출력 상태와 배터리의 충전 상태의 이상 여부를 표시하는 LED부 및, 휴대폰과 접촉하여 배터리의 충전 전원이 휴대폰에 공급되도록 하는 접촉 단자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고안의 휴대폰 배터리 팩은 사용자가 케이스의 뒷면에 형성된 홈 안에서 90。로 절첩되도록 부착된 상기 플러그를 가정용 전원 콘센트에 꽂으면 케이스에 내장되어 있는 상기 충전 회로가 플러그를 통해 인가되는 가정용 전원을 충전 전원으로 변환하여 배터리에 공급하므로써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되어 있고, 이때 상기 LED부는 상기 충전 회로의 출력 상태와 배터리의 충전 상태의 이상 여부를 표시하도록 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배터리 팩을 휴대폰에 체결하면 충전된 배터리의 전원은 상기 접촉 단자를 통해 휴대폰으로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배터리 팩을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배터리 팩을 도시한 배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배터리 팩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케이스 20: 플러그
30: 배터리 40: 충전 회로
41: 과전압 보호 회로 42: 제1 필터 회로
43: 제1 정류 회로 44: 과전류 보호 회로
45: 절연 변압기 46: 제2 정류 회로
47: 제2 필터 회로 48: 충전 전류 감시 회로
50: LED부 60: 접촉 단자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플러그(20)는 케이스(10)의 뒷면에 형성된 홈 안에서 절첩되도록 부착된다. 상기 플러그(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90。로 절첩되도록 홈 안에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충전 회로(40)는 케이스(10)에 내장되며 상기 플러그(20)를 통해 인가되는 200V 가정용 전원을 충전 전원으로 변환하여 배터리(30)에 공급한다.
LED부(50)는 케이스(10)의 뒷면 소정 부위에 장착되며 상기 충전 회로(40)의 출력 상태와 배터리(30)의 충전 상태의 이상 여부를 표시한다.
상기 LED부(50)는 배터리(30)의 충전이 완료되거나 보상 충전 또는 예비 충전 중일 때, 과전류 및 과전압이 상기 충전 회로(40)와 배터리(30)로 인가될 때, 배터리(30)의 내부 온도가 허용 온도 범위를 초과하여 대기 중일 때 그 이상 여부를 표시한다.
접촉 단자(60)는 케이스(10)가 휴대폰과 접촉하는 면쪽에 장착되며 사용자가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 팩을 휴대폰에 체결하면 배터리(30)의 충전 전원이 휴대폰에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배터리 팩은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휴대폰 사용자가 케이스(10)의 홈 안에 부착되어 있는 플러그(20)를 90。로 펼친 후 가정용 전원 콘센트에 꽂으면 200V 가정용 전원이 상기 플러그(20)를 경유하여 상기 충전 회로(40)로 인가된다.
따라서, 상기 충전 회로(40)는 상기 200V 가정용 전원을 휴대폰 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충전 전원으로 변환하여 배터리(30)를 충전시킨다.
또한, 상기 충전 회로(40)에 의해 배터리(30)가 완전히 충전되거나 충전되는 도중에 상기 LED부(50)는 상기 충전 회로(40)의 출력 상태와 배터리(30)의 충전 상태를 감지하여 그 이상 여부를 표시한다.
상기 충전 회로(40)에 의해 배터리(30)가 완전히 충전된 후 사용자가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 팩을 휴대폰에 체결하면 이때부터 상기 접촉 단자(60)를 통해 배터리(30)의 충전 전원이 휴대폰으로 공급된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배터리 팩은 휴대폰에 체결한 상태에서도 상기 플러그(20)를 가정용 전원 콘센트에 꽂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케이스(10)에 내장되는 충전 회로(40)는 다음과 같이 작동하여 배터리(30)에 충전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플러그(20)를 통해 상기 충전 회로(40)로 인가되는 200V 가정용 전원은 제1 필터 회로(42)와 제1 정류 회로(43)에 의해 필터링되고 정류되어 안정화 된 후, 절연 변압기(45)에 의해 휴대폰 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소정의 충전 전원으로 변환된다.
이때, 과전압 보호 회로(41)와 과전류 보호 회로(44)에 의해 상기 절연 변압기(45)로 인가되는 가정용 전원에 포함된 과전류 또는 과전압 성분이 감지되면 상기 LED부(50)가 작동하여 그 이상 여부를 표시한다.
또한, 상기 절연 변압기(45)로부터 출력되는 소정의 충전 전원은 제2 정류 회로(46)와 제2 필터 회로(47)에 의해 최종적으로 안정화 된 후, 상기 배터리(30)로 공급된다.
이때도 역시, 충전 전류 감시 회로(48)에 의해 상기 배터리(30)로 인가되는 전원에 포함된 이상 전류가 감지되면 상기 LED부(50)가 작동하여 그 이상 여부를 표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배터리 팩은 플러그를 가정용 전원 콘센트에 직접 꽂고 케이스에 내장된 충전 회로에 의해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의 데스크 충전기와 이동 충전기 등을 사용하지 않고서 간편하게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으며 충전 회로 역시 종래에 비해 더욱더 간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배터리 팩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1)

  1. 케이스(10)의 뒷면에 형성된 홈 안에서 절첩되도록 부착되는 플러그(20)와,
    케이스(10)에 내장되며 상기 플러그(20)를 통해 인가되는 가정용 전원을 충전 전원으로 변환하여 배터리(30)에 공급하는 충전 회로(40),
    케이스(10)의 뒷면 소정 부위에 장착되며 상기 충전 회로(40)의 출력 상태와 배터리(30)의 충전 상태의 이상 여부를 표시하는 LED부(50) 및,
    휴대폰과 접촉하여 배터리(30)의 충전 전원이 휴대폰에 공급되도록 하는 접촉 단자(60)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배터리 팩.
KR2019980027196U 1998-12-29 1998-12-29 휴대폰 배터리 팩 KR2000001392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7196U KR20000013929U (ko) 1998-12-29 1998-12-29 휴대폰 배터리 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7196U KR20000013929U (ko) 1998-12-29 1998-12-29 휴대폰 배터리 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3929U true KR20000013929U (ko) 2000-07-15

Family

ID=69506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7196U KR20000013929U (ko) 1998-12-29 1998-12-29 휴대폰 배터리 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3929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7085A (ko) * 2000-10-05 2002-04-13 이우용 충전회로가 내장된 밧데리 팩
KR200477223Y1 (ko) * 2015-02-12 2015-05-21 이봉수 휴대용 전자기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7085A (ko) * 2000-10-05 2002-04-13 이우용 충전회로가 내장된 밧데리 팩
KR200477223Y1 (ko) * 2015-02-12 2015-05-21 이봉수 휴대용 전자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39119B2 (en) Charging devic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battery and portable phone battery
AU710580B3 (en) Improved device of a micro mobile phone battery charger
US20080284370A1 (en) Portable Battery Operated Power Supply
CN208241335U (zh) 电池保护电路及电子烟
WO2006125374A1 (fr) Transformateur-chargeur pour telephone mobile a batterie
JPH03293935A (ja) 充電検出装置
CN204116873U (zh) 电子烟控制器
CN110635543B (zh) 基于单片机的充电控制系统
KR20000013929U (ko) 휴대폰 배터리 팩
CN112531848B (zh) 一种电池包及其控制方法
WO2019148578A1 (zh) 充电设备及充电方法
CN206004094U (zh) 一种具有充电保护功能的插座
US6188554B1 (en) Protecting circuit of a charger without spark
CN210007415U (zh) 终端设备充电壳
TWM377787U (en) Charging control circuit of battery charger
CN205811598U (zh) 一种随时可用快速无紊流智能充电装置
CN204981142U (zh) 无线美颜臭氧产生器改良结构
KR200181428Y1 (ko) 자동충방전기부착배터리
RU10943U1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ое миниатюрное заряд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рядки аккумулятора
TW201947834A (zh) 鋰電池充放電管理系統及方法
CN212258482U (zh) 无线充电式供电模块和传感器监测仪
CN212969082U (zh) 多功能移动电源
CN212085846U (zh) 一种通用型模块电池
CN205407340U (zh) 便携式移动电源
KR20020080947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밧데리 충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