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3804U - 모니터의 전/후방 커버 결합장치 - Google Patents
모니터의 전/후방 커버 결합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00013804U KR20000013804U KR2019980027068U KR19980027068U KR20000013804U KR 20000013804 U KR20000013804 U KR 20000013804U KR 2019980027068 U KR2019980027068 U KR 2019980027068U KR 19980027068 U KR19980027068 U KR 19980027068U KR 20000013804 U KR20000013804 U KR 20000013804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nitor
- rear cover
- cover
- shape
- couplin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1—CRT moni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니터의 전/후방 커버 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 모니터의 전/후방 커버 결합장치는 모니터본체(11)의 전/후방 커버(111,112)가 다수개의 작은 나사(14)로 체결되기 때문에 모니터본체(11)의 조립작업이 번거롭고 불편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조립작업능률의 향상을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브라운관(10)이 고정되고 그 하방에 회로기판이 고정된 전방커버(113)와, 이 전방커버(113)에서 후방으로 부착된 상태로 도출되어 있는 부품들을 보호하기 위해 감싸는 형상의 후방커버(114)로 구성되어 있는 모니터의 전/후방 커버 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후방 커버(113,114)에 형성되는 결합돌기(116)가 끼워지는 결합구멍(21,22)이 평판(23)의 양단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전방 커버(113)의 내면과 그 내부로 떨어진 누름돌기(117) 사이에 탄력적으로 끼워지게 한쪽끝단이 유자형(U字形)으로 구부러진 탄력부(24)에 의해 전체적인 형상이 제이자형(J字形)으로 형성시킨 결합부재(20)를 마련함으로써 별도의 수공구가 필요 없이 모니터본체의 전/후방 커버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조립작업능률이 향상되는 모니터의 전/후방 커버 결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모니터의 전/후방 커버 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니터의 전/후방 커버를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 고정이 가능한 결합부재를 마련하여 모니터의 전/후방 커버의 결합이 용이하고 조립작업능률이 향상되도록 모니터의 전/후방 커버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는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터 본체와, 이 컴퓨터본체에 각종 문자나 기호 등을 입력하는 입력장치의 하나인 키보드와, 상기 컴퓨터본체에 입력 저장된 내용을 출력할 수 있는 출력장치의 하나인 모니터 등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컴퓨터에 사운드카드가 구비된 경우에는 모니터 주위에 스피커를 부착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기술과 관련된 종래의 모니터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브라운관(10)을 갖는 모니터본체(11)의 하단에는 임의의 각도로 회전되게 지지하는 지지대(12)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모니터본체(11)는 브라운관(10)이 고정되고 그 하방에 회로기판이 고정된 전방커버(111)와, 이 전방커버(111)에서 후방으로 부착된 상태로 도출되어 있는 부품(브라운관과 회로기판)들을 보호하기 위해 감싸는 형상의 후방커버(11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후방커버(111,112)에는 하나의 결합선을 이루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후방커버(112)에는 전방커버(111)에 이르기까지 전방을 향해 다수개의 결합구멍(1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구멍(13)을 통해 작은 나사(14)로 체결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모니터의 전/후방 커버 결합장치에 있어서는 모니터본체(11)의 전/후방 커버(111,112)가 다수개의 작은 나사(14)로 체결되기 때문에 모니터본체(11)의 조립작업이 번거롭고 불편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조립작업능률의 향상을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상기 모니터본체(11)는 몇 차례 수리를 받다보면 작은 나사(14)에 의해 전방커버(111)의 나사구멍이 커져 작은 나사(14)의 체결이 불가능하고 이로 인하여 심지어는 브라운관(10)과 회로기판을 분해한 다음 전방커버(111)를 교체해 주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폐단 및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 개발한 것으로서, 모니터의 전/후방 커버에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 고정이 가능한 결합부재를 마련하여 별도의 수공구가 필요 없이 모니터본체의 전/후방 커버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조립작업능률이 향상되도록 한 모니터의 전/후방 커버 결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형적인 모니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전/후방 커버의 결합부분만을 발췌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의 전/후방 커버 결합장치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조립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브라운관 11,110: 모니터본체
12: 지지대 20: 결합부재
21,22: 결합구멍 23: 평판
24: 탄력부 113: 전방커버
114: 후방커버 115: 가이드돌기
116,118: 결합돌기 117: 누름돌기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구현할 수 있도록 브라운관이 고정되고 그 하방에 회로기판이 고정된 전방커버와, 이 전방커버에서 후방으로 부착된 상태로 도출되어 있는 부품들을 보호하기 위해 감싸는 형상의 후방커버로 구성되어 있는 모니터의 전/후방 커버 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후방 커버에 형성되는 결합돌기가 끼워지는 결합구멍이 평판의 양단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전방 커버의 내면과 그 내부로 떨어진 누름돌기 사이에 탄력적으로 끼워지게 한쪽끝단이 유자형(U字形)으로 구부러진 탄력부에 의해 전체적인 형상이 제이자형(J字形)으로 형성된 결합부재가 마련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전/후방 커버 결합장치에 있다.
이하에서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함으로써 본 고안의 구체적인 특징들이 보다 쉽게 이해될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의 전/후방 커버 결합장치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조립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니터본체(110)는 결합부재(20)에 의해 원터치 방식으로 상호 결합되는 전/후방커버(113,114)로 구성되되, 상기 전방커버(113)에는 끝단에 가이드돌기(115)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면에는 결합돌기(11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돌기(116)의 위치에는 그 내부로 약간 떨어진 상태로 2개의 누름돌기(11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후방커버(114)에는 상기 전/후방커버(113,114)를 서로 결합하였을 때 상응하는 위치의 내면에 결합돌기(11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부재(20)는 전체적인 형상이 제이자형(J字形)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후방 커버(113,114)에 형성되는 결합돌기(116,118)가 각각 끼워지는 결합구멍(21,22)이 평판(23)의 양단부분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방 커버(113)의 내면과 그 내부로 떨어진 누름돌기(117) 사이에 탄력적으로 끼워지게 한쪽끝단이 유자형(U字形)으로 구부러진 탄력부(2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부재(20)는 탄성변형의 범위가 큰 재료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나 탄력이 좋고 녹이 슬지 않는 스프링용 강 또는 스테인레스강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의 전/후방 커버 결합장치는 브라운관(10)과 회로기판 등과 같은 모니터 부품을 조립 완료한 후 전방커버(113)의 결합돌기(116)와 누름돌기(117) 사이로 결합부재(20)의 한쪽끝단인 탄력부(24)를 삽입하면 전방커버(113) 내면의 결합돌기(116)에 결합부재(20)의 탄력부(24)가 닿으면서 그 자체탄력에 의해 오므라들면서 삽입되기 시작한다.
이와 같이 결합부재(20)의 탄력부(24)가 삽입되다가 삽입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탄력부(24)의 자체탄력에 의해 원래위치로 복귀되면서 전방커버(113) 내면의 결합돌기(116)가 결합부재(20)의 결합구멍(21)으로 삽입 고정되게 된다.
이렇게 조립된 전방커버(113)의 후단에 하나의 결합선을 이루도록 후방커버(114)의 선단부분을 끼우면 후방커버(114) 내면의 결합돌기(118)가 결합부재(20)를 후방커버(114)의 내부로 누르면서 삽입되다가 결합돌기(118)와 결합구멍(22)이 일치되는 시점에서 결합부재(20)의 탄력부(24) 자체탄력에 의해 원래위치로 복귀되면서 후방커버(114) 내면의 결합돌기(118)가 결합부재(20)의 결합구멍(22)으로 삽입 고정되게 된다.
이와 같이 전/후방 커버(113,114)의 조립이 결합부재(20)에 의해 별도의 수공구 없이 간단하고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의 전/후방 커버 결합장치는 작은 나사를 이용하여 체결하는 종래 기술과는 달리 모니터의 전/후방 커버에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 고정이 가능한 결합부재를 마련하여 별도의 수공구가 필요 없이 모니터본체의 전/후방 커버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조립작업능률이 향상되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Claims (1)
- 브라운관(10)이 고정되고 그 하방에 회로기판이 고정된 전방커버(113)와, 이 전방커버(113)에서 후방으로 부착된 상태로 도출되어 있는 부품들을 보호하기 위해 감싸는 형상의 후방커버(114)로 구성되어 있는 모니터의 전/후방 커버 결합장치에 있어서,상기 전/후방 커버(113,114)에 형성되는 결합돌기(116)가 끼워지는 결합구멍(21,22)이 평판(23)의 양단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전방 커버(113)의 내면과 그 내부로 떨어진 누름돌기(117) 사이에 탄력적으로 끼워지게 한쪽끝단이 유자형(U字形)으로 구부러진 탄력부(24)에 의해 전체적인 형상이 제이자형(J字形)으로 형성된 결합부재(20)가 마련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전/후방 커버 결합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80027068U KR20000013804U (ko) | 1998-12-29 | 1998-12-29 | 모니터의 전/후방 커버 결합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80027068U KR20000013804U (ko) | 1998-12-29 | 1998-12-29 | 모니터의 전/후방 커버 결합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13804U true KR20000013804U (ko) | 2000-07-15 |
Family
ID=69505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80027068U KR20000013804U (ko) | 1998-12-29 | 1998-12-29 | 모니터의 전/후방 커버 결합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00013804U (ko) |
-
1998
- 1998-12-29 KR KR2019980027068U patent/KR20000013804U/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914206B2 (en) | Operation button fixing structure of electric device | |
US8248820B2 (en) | Electronic device with power supply | |
US20100270138A1 (en) | Push button switch for electric device | |
KR970014271A (ko) | 모니터장치의 캐비닛 | |
KR20000013804U (ko) | 모니터의 전/후방 커버 결합장치 | |
NZ333530A (en) | A display mounting device for holding a card | |
CA2315982C (en) | Key input device | |
US20060243577A1 (en) | Computer button apparatus | |
KR0121427Y1 (ko) | 그라운드 커넥터와 연결단자 | |
JP2878239B2 (ja) | カバー装置 | |
KR910003735Y1 (ko) | 푸쉬스위치용 노브의 작동레버 | |
CN214177693U (zh) | 一种易拆装的群控控制器 | |
KR200239036Y1 (ko) | 디스플레이장치의마이크장착장치 | |
KR100256444B1 (ko) | 스피커조립장치 | |
KR970061139A (ko) | 끈고정구 | |
JPH0635309Y2 (ja) | スイッチの押し釦装置 | |
WO1998048603A3 (de) | Elektrisches gerät | |
KR920008214Y1 (ko) | 버튼 고정 장치 | |
KR0131100Y1 (ko) | 멀티식 모니터의 마이크결착장치 | |
KR0114331Y1 (ko) | 모니터의 비디오 쉴드커버의 고정장치 | |
KR200199687Y1 (ko) | 부채 손잡이의 부채판 장착 장치 | |
KR0118863Y1 (ko) | 핸드셋의 휴대장치 | |
KR0133399Y1 (ko) | 디지트론 홀더 | |
KR200221125Y1 (ko) | 백카바를 이용하여 마이커가 장착된 디스플레이장치 | |
KR960024794A (ko) | 통신단말기 등의 하우징 고정개폐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