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3616A - Driving control device and method of multi stage elevating horizontally moving parking system - Google Patents
Driving control device and method of multi stage elevating horizontally moving parking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00013616A KR20000013616A KR1019980032581A KR19980032581A KR20000013616A KR 20000013616 A KR20000013616 A KR 20000013616A KR 1019980032581 A KR1019980032581 A KR 1019980032581A KR 19980032581 A KR19980032581 A KR 19980032581A KR 20000013616 A KR20000013616 A KR 2000001361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llet
- signal
- detected
- limit switch
- parking system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42—Devices or arrangements peculiar to garages, not covered elsewhere, e.g. securing devices, safety devices, monitoring and operating schemes; centering devices
- E04H6/422—Automatically operated car-park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04H6/187—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using vertical parking lo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단 승강 횡행식 주차 시스템의 운전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2단으로 설치되어 1층에는 차량 1대를 수용하고 2층에는 차량 2대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주차 시스템에서 팔레트에 차량이 모두 주차되어 있을 경우 1번 팔레트를 우측으로 이동시키고, 좌측의 빈 공간에 차량을 주차시킬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시스템을 동작 시키려고 할 때는 경고신호와 함께 시스템을 동작하지 않게 하여 팔레트가 없는 공간에도 한 대의 차량을 더 주차시킬 수 있게 하는 다단 승강 횡행식 주차 시스템의 운전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ving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of a multi-stage lifting and traversing parking system, and in particular, a pallet in a parking system configured to accommodate two vehicles on a first floor and two vehicles on a second floor. If all the cars are parked in the parking lot, move the pallet 1 to the right and allow the vehicle to park in the empty space on the left side, and when the user wants to operate the system, the system will not operate with the warning signa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ving control apparatus and a method of a multistage elevating transverse parking system that allows one more vehicle to be parked even in an empty space.
도1은 종래 다단 승강 횡행식 주차시스템의 개괄적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2단으로 설치되어 1층에는 차량 1대를 수용하고 2층에는 차량 2대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multi-stage lift transverse parking system, which is installed in two stages as shown in the figure, and is configured to accommodate one vehicle on the first floor and two vehicles on the second floor.
이때 상기 1층의 차량을 운반하는 팔레트에는 차량의 정위치를 검출하는 정위치 리미트 스위치(3)와; 팔레트의 좌행 동작 완료를 검출하는 좌측 리미트 스위치(4)와; 팔레트의 우행 동작 완료를 검출하는 우측 리미트 스위치(5)와; 차량의 입고 상태를 검출하는 승입확인 리미트 스위치(6)로 구성되며, 2층의 팔레트에는 차의 입고상태를 검출하는 승입확인 리미트 스위치(7)와; 팔레트의 상승 동작완료를 검출하는 상한 리미트 스위치(8)와; 팔레트의 하강 동작완료를 검출하는 하한 리미트 스위치(9)로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pallet for transporting the vehicle on the first floor includes an exact position limit switch (3) for detecting the exact position of the vehicle; A left limit switch 4 for detecting completion of leftward movement of the pallet; A right limit switch 5 for detecting completion of the rightward movement of the pallet; It is composed of a boarding confirmation limit switch 6 for detecting the incoming state of the vehicle, the pallet on the second floor includes a boarding confirmation limit switch 7 for detecting the incoming state of the vehicle; An upper limit limit switch 8 for detecting completion of the rising operation of the pallet; It consists of the lower limit switch 9 which detects the completion | fall of the pallet lowering operation | movement.
도2는 종래 다단 승강 횡행식 주차시스템 제어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사용자가 팔레트 호출을 위한 조작반(1)과; 상기 조작반(1)의 조작에 따라 각 팔레트의 입출고 상태 및 운전상태를 검출하고 그에 따라 제어하는 제어반(2)으로 구성된다.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multi-stage elevation traverse parking control system, as shown in the control panel (1) for the user to call the pallet; It consists of a control panel 2 which detects the entry / exit state and the operation state of each palle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panel 1, and controls it accordingly.
상기 제어반(2)은 상기 조작반(1)의 신호 및 외부 스위치입력부(2f)의 각종신호를 입력받아 운전제어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입출력부(2a)와; 외부기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외부출력부(2b)와; 상기 조작반(1)에서의 각종신호와 팔레트에 취부되어 있는 직렬호출키(1d)의 입력을 받아 이를 통신하는 직렬통신부(2e)와; 상기 입출력부(2a)의 신호를 I/O인터페이스부(2d)를 통해 입력받아 그에 따른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씨피유(2c)로 구성된다.The control panel (2) comprises an input and output unit (2a) for receiving a signal of the operation panel (1) and various signals of the external switch input unit (2f) to input and output various data necessary for operation control; An external output unit 2b for operating an external device; A serial communication unit 2e which receives various signals from the operation panel 1 and inputs the serial call key 1d mounted on the pallet and communicates them; A CPI 2c receives a signal from the input / output unit 2a through an I / O interface unit 2d and performs a control operation accordingly.
상기 조작반(1)은 차량 입출고시 팔레트를 호출하는 텐키버튼(1e) 및 직렬호출키(1d)와; 공차수량 및 팔레트번호를 표시하는 표시부(1f)와; 상기 텐키버튼(1e) 및 직렬호출키(1d)의 팔레트 호출신호를 입출력부(1b)를 통해 입력받아 그에 해당되는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씨피유(1c)와; 상기 입출력부(1b)를 통해 입력받은 팔레트 호출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상기 제어반(2)과 직렬통신하는 직렬통신부(1a)로 구성된다.The operation panel 1 includes a ten key button 1e and a serial call key 1d for calling a pallet at the time of entering and leaving the vehicle; A display portion 1f for displaying the tolerance amount and the pallet number; A CPI 1c which receives the pallet call signal of the ten key button 1e and the serial call key 1d through the input / output unit 1b and performs a control operation corresponding thereto; It consists of a serial communication unit (1a) receives the pallet call signal received through the input and output unit (1b) and serial communication with the control panel (2).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conventional apparatu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한편, 다단 승강 횡행식 주차시스템의 입출고 조작 및 공차호출은 정위치 상태나 입출고 대기 상태에서만 가능한데, 정위치 상태란 제1도와 같이 1층 팔레트의 정위치 리미트 스위치(3)가 온되고, 2층 팔레트의 상한 리미트 스위치(8)가 모두 온되어 있는 상태를 말하고, 입출고 대기상태란 제3도와 같이 2층 팔레트의 상한 리미트 스위치(8)가 오프되고 하한 리미트 스위치(9)는 온되어 있고, 1층 팔레트의 우측 리미트 스위치(5)가 온되어 있는 상태를 말한다.On the other hand, the entry and exit operation and tolerance call of the multi-stage lifting and traversing parking system is possible only in the fixed position or the standby state of the entry and exit, and the fixed position is the position limit switch 3 of the pallet on the first floor as shown in FIG. The upper limit limit switch 8 of the pallet is turned on. The upper and lower limit switch 8 of the two-layer pallet is turned off and the lower limit limit switch 9 is turned on as shown in FIG. The state in which the right limit switch 5 of the floor pallet is turned on.
여기서 상기 조작반(1)의 표시부(1f)는 공차수량 및 팔레트번호를 표시하는 세븐세크먼트 4개(미도시)로 구성되며, 만약, 2번 팔레트를 호출하려면 해당 팔레트의 번호를 찾아서 해당되는 숫자의 텐키버튼(1e)을 누르고, 이에따라 상기 텐키버튼(1e)에 해당되는 숫자가 표시부(1f)에 표시됨과 아울러 상기 텐키버튼(1e)의 누름동작에 의한 팔레트 호출신호는 입출력부(1b)를 통하여 조작반(1)의 씨피유(1c)에 입력된다.Here, the display unit 1f of the operation panel 1 is composed of four segments (not shown) for displaying the tolerance amount and the pallet number, and if the pallet number 2 is called, the number of the corresponding pallet is found by finding the number of the pallet. Press the ten key button 1e, and accordingly th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ten key button 1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f, and the pallet call signal by the pressing operation of the ten key button 1e causes the input / output unit 1b to be pressed. It enters into the CPI 1c of the operation panel 1 via the above.
이후, 상기 조작반(1)의 씨피유(1c)는 2번 팔레트 호출신호에 대한 제어신호를 조작반(1)의 직렬통신부(1a) 및 제어반(2)의 직렬통신부(2e)를 통하여 제어반(2)의 씨피유(2c)에 입력하며, 이에 따라 상기 제어반(2)의 씨피유(2c)는 호출한 2번 팔레트를 출고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I/O인터페이스부(2d) 및 입출력부(2a)를 통해 외부로 출력함으로써 원하는 2번 팔레트를 호출한다.Thereafter, the CPI 1c of the operation panel 1 transmits a control signal for the pallet call signal 2 through the serial communication unit 1a of the operation panel 1 and the serial communication unit 2e of the control panel 2. The CPI of the control panel 2 is inputted to the CPI of the control panel 2, and thus the CPU of the control panel 2 receives a control signal for shipping the called pallet 2 through the I / O interface unit 2d and the input / output unit 2a. Call the desired palette 2 by outputting it externally.
즉, 이를 도5의 팔레트 호출동작에 대한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2번 팔레트에 해당되는 텐키버튼(1e)의 번호를 누른후 운전버튼을 누르면 1번 팔레트는 우행동작을 하게 된다.That is, when this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of the pallet calling operation of FIG. 5, the first pallet is operated by pressing the operation button after pressing the number of the ten key button 1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allet.
이후, 1번 팔레트의 우측 리미트 스위치(5)의 입력신호를 감지하여 횡행동작이 완료되었는 지를 판단하여 횡행동작이 완료되지 않았으면 계속하여 우행동작을 하게 되고, 만약 횡행동작이 완료되었으면 2번 팔레트가 하강하여 바닥에 닿으면 하한 리미트 스위치(9)가 온되어 동작이 완료되었음을 알리게 된다.Thereafter, the input signal of the right limit switch 5 of the first pallet is sensed to determine whether the traverse operation is completed. If the traverse operation is not completed, the operation continues to the right. If the traverse operation is completed, the pallet No. 2 is completed. When the lowering reaches the floor, the lower limit switch 9 is turned on to indicate that the operation is completed.
한편, 차량을 입고 시키기 위해서 공차호출 버튼을 누르면 빈 팔레트가 있는지 없는지 각 팔레트의 승입확인 리미트 스위치(6,7)의 상태를 검출하여 스위치가 온되지 않은 팔레트를 호출하고, 승입확인 리미트 스위치(6,7)가 모두 온 상태이면 공차없음을 표시하고 동작하지 않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tolerance call button is pressed to put the vehicle on, the pallet is detected whether or not there is an empty pallet, and the pallet is not switched on by calling the pallet check limit switches 6 and 7, and the pallet check limit switch 6 If both, 7) are on, it displays no tolerance and does not operate.
그러나, 상기 종래의 주차시스템에 있어서는 팔레트 위만 차량 주차가 가능하여 최대 3대의 차량만 주차 시킬 수 있으며, 차량 한 대를 더 주차 시키기 위해 정위치를 제4도와 같이 우측으로 지정하여 좌측에 생긴 빈 공간에 차를 입고 하더라도 팔레트를 호출하게 되면 2번 팔레트의 하강 동작으로 인해 차량 파손 및 주차 시스템의 고장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parking system, only a vehicle can be parked on a pallet, and only up to three vehicles can be parked. In order to park one more vehicle, an empty space formed on the left side by designating the right position to the right as shown in FIG. Even if a car is worn on the pallet,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vehicle was damaged and the failure of the parking system due to the falling operation of the pallet 2.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팔레트에 차량이 모두 주차되어 있을 경우 1번 팔레트를 우측으로 이동시키고, 좌측의 빈 공간에 차량을 주차시킬 수 있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는 센서를 설치하여 주차 차량이 검출된 경우 사용자가 시스템을 동작 시키려고 할 때는 경고신호를 보내고 시스템을 동작하지 않게 하여 팔레트가 없는 공간에도 안전하게 한 대의 차량을 더 주차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주차난을 감소시키는 다단 승강 횡행식 주차 시스템의 운전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When all the vehicles are parked on the pallet, the first pallet is moved to the right and whether the vehicle can be parked in the empty space on the left side. If a parking vehicle is detected by installing a detectable sensor, a warning signal is sent when the user tries to operate the system, and the system is not operated so that one more vehicle can be safely parked even in a pallet-free spac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riving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multi-stage lifting traverse parking system.
도1은 종래 다단 승강 횡행식 주차시스템의 개괄적 단면도.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multi-stage elevated traverse parking system.
도2는 종래 다단 승강 횡행식 주차시스템 제어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multi-stage elevation traverse parking control system.
도3은 종래 주차시스템에서 입출고 대기상태를 보인 예시도.Figure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incoming and outgoing standby state in the conventional parking system.
도4는 종래 주차시스켐에서 차량 한 대를 더 주차 시키는 경우의 예시도.Figure 4 is an illustration of a case of parking one more vehicle in the conventional parking system.
도5는 종래 주차시스템 제어장치에서 팔레트 호출동작에 대한 흐름도.Figure 5 is a flow chart for the pallet calling operation in the conventional parking system control apparatus.
도6은 본 발명 다단 승강 횡행식 주차 시스템의 운전 제어 장치의 단면도.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riving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ulti-stage lift transverse parking system.
도7에서 도10은 본 발명에 의한 주차 시스템에서 차량이 주차되는 각 경우의 예를 보인 예시도.7 to 10 are exemplary views showing an example of each case in which a vehicle is parked in the park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11은 본 발명에 의한 주차시스템 제어장치의 동작 과정을 보인 순서도.Figure 11 is a flow 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parking system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 : 추가 입고센서10: additional receipt sensor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팔레트 호출에 대한 팔레트번호와 공차수량을 표시하는 표시부로 이루어진 조작반과; 상기 조작반의 조작에 따라 각 팔레트의 입출고 상태 및 운전상태를 검출하고 그에 따라 제어하는 제어반으로 구성된 다단 승강 횡행식 시스템의 운전 제어 장치에 있어서, 팔레트가 위치하지 않는 1층의 빈공간에 차량이 입고되는지를 감지할 수 있는 추가 입고센서(10)를 설치하여 구성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operation panel consisting of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palette number and the tolerance amount for the user's palette call; In a driving control apparatus of a multistage elevating transverse system consisting of a control panel that detects and controls an input and output state and an operation state of each pallet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the operation panel, the vehicle is received in an empty space on the first floor where the pallet is not located. It is achieved by installing an additional wearing sensor 10 that can detect whether or no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종래 다단 승강 횡행식 주차 시스템의 구성과 동일하며, 다만 1층의 팔레트의 정위치를 우측으로 이동시키고, 그 좌측에 생긴 빈 공간에 차량이 입고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추가 입고 센서(10)를 설치한 것이 종래와 다른 부분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e configuration of the conventional multi-stage lifting traverse parking system, but additional movement sensor that can detect whether the vehicle is in the empty space created on the left side by moving the right position of the pallet on the first floor to the right. The provision of (10) is a part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도6은 본 발명 다단 승강 횡행식 주차 시스템의 운전 제어 장치의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팔레트 호출에 대한 팔레트번호와 공차수량을 표시하는 표시부로 이루어진 조작반(1)과; 상기 조작반의 조작에 따라 각 팔레트의 입출고 상태 및 운전상태를 검출하고 그에 따라 제어하는 제어반(2)으로 구성된 다단 승강 횡행식 시스템의 운전 제어 장치에 있어서, 팔레트가 위치하지 않는 1층의 빈공간에 차량이 입고되는지를 감지할 수 있는 추가 입고 센서(10)를 설치하여 구성한 것으로,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동작 및 작용을 제11도의 순서도를 참조로 설명한다.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peration control apparatus of the multi-stage elevation transverse park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operation panel 1 including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pallet number and a tolerance amount for a user's pallet call as shown in the drawing; In the operation control apparatus of a multistage elevating transverse system composed of a control panel (2) for detecting and controlling the pallet entry and exit and operation states of the pallets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panel, the pallets are located in the empty space on the first floor. An additional wearing sensor 10 capable of detecting whether a vehicle is worn is installed. The operation and a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of FIG.
제7도에서 제10도는 본 발명에 의한 주차 시스템에서 차량이 주차되는 경우의 예를 보인 예시도로서, 먼저 차량 입출고 조작시의 경우를 설명하면 정위치 상태나 입출고 대기상태이면 팔레트 번호 입력 후 운전버튼을 누른다.7 to 10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vehicle parked in the park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 the case of the operation of entering and leaving the vehicle will be described. Press the button.
추가 입고센서(10)로 부터 입고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팔레트들이 정위치 상태인지 검색하여 정위치가 아니고 입출고 대기상태인데도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추가 입고센서(10)가 고장인 경우이고, 정위치이면 제6도의 경우이므로 1층 팔레트를 제7도와 같이 우측으로 이동시켜 차량을 입고 시키게 된다.If no receipt signal is input from the additional receipt sensor 10, the pallets are searched for the correct position. Since it is the case of FIG. 6, the first floor pallet is moved to the right as shown in FIG.
추가 입고센서(10)로 부터 입고신호가 온되어 있으면 제8도와 같이 2층의 2번 팔레트가 1층으로 내려와 입출고 대기상태 이거나 제9도와 같이 1층에 1번 팔레트와 3번 팔레트가 있고, 2층에는 2번 팔레트가 주차되어 있는 경우 이거나 제10도와 같이 1층과 2층의 모든 팔레트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고, 빈 공간에도 차량이 추가입고 되어 있는 경우로 현재 어떤 상태인가를 검출하기 위해서는 먼저, 2번 팔레트의 상한 리미트 스위치(8)의 입력되는지를 검색하여 만약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제8도의 입출고 대기상태이므로 종래와 같이 차량을 출고 시킨 후 그 팔레트에 차량을 주차시키면 된다.If the receipt signal is turned on from the additional receipt sensor 10, the second pallet of the second floor descends to the first floor as shown in FIG. 8 and is in a waiting state, or the first pallet and the third pallet of the first floor are shown in FIG. If the second pallet is parked on the second floor, or the vehicle is parked on all the pallets on the first and second floors as shown in Fig. 10, and the vehicle is added to the empty space. First, it is searched whether the upper limit limit switch 8 of the pallet # 2 is input. If no signal is input, the vehicle is parked on the pallet after leaving the vehicle as in the prior art, because the stand-by and exit state of FIG.
그러나, 상한 리미트 스위치(8)에서 입고신호가 입력되면 제9도 또는 제10도의 경우이므로 1번 팔레트의 우측 리미트 스위치(5)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감지하여 신호가 입력되면 제10도의 경우와 같이 1번 팔레트가 우측으로 이동되어 있고 좌측의 빈공간에 추가로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 경우이므로 주차 시스템이 동작되지 않도록 하고, 1번 팔레트의 우측 리미트 스위치(5)가 온되어 있지 않으면 제9도의 경우이므로 3번 팔레트를 2층으로 이동시키고 1번 팔레트를 우측으로 이동시켜 그 좌측에 빈 공간을 만들어 차량을 추가입고 시키게 한다.However, when the incoming signal is input from the upper limit switch 8, it is the case of FIG. 9 or 10. When the signal is inputted by detecting the signal output from the right limit switch 5 of the first pallet, as in the case of FIG. If the pallet 1 is moved to the right and the vehicle is parked in the empty space on the left side, the parking system is not operated.If the right limit switch 5 of the pallet 1 is not on, the case of FIG. Therefore, move pallet 3 to the second floor and move pallet 1 to the right to make an empty space on the left side to add vehicles.
다음, 공차호출을 한 경우를 설면하면 현재 시스템의 상태가 정위치 상태이거나 입출고 대기상태일 때 공차호출 버튼을 누를 경우 빈 팔레트가 있으면 종래와 같이 빈 팔레트가 호출된다.Next, if the tolerance call is released, when the current system is in the correct position or the incoming and outgoing standby state, pressing the tolerance call button, if there is an empty pallet, the empty pallet is called as usual.
그러나, 모든 팔레트가 차가 주차되어 있으면 추가 입고동작으로 간주하고 다음의 검색 및 동작을 수행한다.However, if all pallets are parked in the car, it is regarded as an additional goods receipt operation and the following search and operation are performed.
먼저, 추가 입고센서(10)에서 입고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정위치 상태인지 검색하여 정위치가 아니고 입출고 대기상태이면 추가 입고센서(10)의 고장난 경우로 고장상태를 디스플레이하고 정위치이면 제6도의 경우이므로 1번 팔레트를 우측으로 이동시켜 1번 팔레트의 우측 리미트 스위치(5)의 입력신호를 검색하여 입력되면 우행 동작을 완료하고 제7도와 같이 좌측에 생긴 빈공간에 차를 입고시킨다.First, if the receipt signal is not input from the additional receipt sensor 10, it is searched if it is in the correct position. In this case, the pallet 1 is moved to the right to search for an input signal of the right limit switch 5 of the pallet 1, and when the input signal is input, the right operation is completed and the car is put in the empty space on the left side as shown in FIG.
다음, 추가 입고센서(10)에서 입고신호가 입력되면 제8,9,10도의 상태중 한 경우이므로 2번 팔레트의 상한 리미트 스위치(8)로 부터 입력신호를 검색하여 만약 입력되지 않으면 제8도의 경우이므로 2번 팔레트를 상승시키고, 2번 팔레트의 상한 리미트 스위치(8)로 부터 신호를 입력받으면 상행동작을 완료하고 제7도와 같은 상태가 되므로 좌측의 빈공간에 차를 입고하면 된다.Next, if the incoming signal is input from the additional receiving sensor 10, it is one of the states of 8, 9, and 10 degrees. Therefore, the input signal is retrieved from the upper limit limit switch 8 of the second pallet. If this is the case, ascend pallet 2, and receive a signal from the upper limit limit switch 8 of pallet 2, the ascending operation is completed and the state as shown in Fig. 7, so you can put the car in the empty space on the left.
그러나, 상한 리미트 스위치(8)로 부터 신호가 입력되면 제9도 또는 제10도의 경우이므로 이때는 1번 팔레트의 우측 리미트 스위치(5)의 입력신호를 검색하여 입력되면 제10도의 경우로 이미 추가입고가 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주차시스템은 동작하지 않도록 한다.However, when a signal is input from the upper limit switch 8, it is the case of FIG. 9 or 10. In this case, if the input signal of the right limit switch 5 of the pallet is searched and inputted, it is already added as the case of FIG. The parking system should not be operated because
그러나 2번 팔레트의 상한 리미트 스위치(8)와 1번 팔레트의 우측 리미트 스위치(5)로 부터 모두 입력신호가 검출되면 제9도의 경우가 되므로 3번 팔레트를 상승시키고, 1번 팔레트는 우측으로 이동시켜 좌측의 빈 공간에 차를 입고시킨다.However, if an input signal is detected from both the upper limit limit switch 8 of the second pallet and the right limit switch 5 of the first pallet, it is the case of FIG. 9 and raises the third pallet, and the first pallet moves to the right. Put the car in the empty space on the left.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다단 승강 횡행식 주차 시스템의 운전 제어 장치 및 방법은 팔레트에 차량이 모두 주차되어 있을 경우 1번 팔레트를 우측으로 이동시키고, 좌측의 빈 공간에 차량을 주차시킬 수 있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는 센서를 설치하여 주차 차량이 검출된 경우 사용자가 시스템을 동작 시키려고 할 때는 경고신호를 보내고 시스템을 동작하지 않게 하여 팔레트가 없는 공간에도 안전하게 한 대의 차량을 더 주차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주차난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riving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of the multi-stage elevation transverse park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ove the first pallet to the right when the vehicle is parked on a pallet, and can park the vehicle in an empty space on the left side. If a parking vehicle is detected by installing a sensor that detects a parking vehicle, a warning signal is sent when the user tries to operate the system and the system is not operated so that one more vehicle can be parked safely in a pallet-free space. Has the effect of reducing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80032581A KR20000013616A (en) | 1998-08-11 | 1998-08-11 | Driving control device and method of multi stage elevating horizontally moving parking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80032581A KR20000013616A (en) | 1998-08-11 | 1998-08-11 | Driving control device and method of multi stage elevating horizontally moving parking system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13616A true KR20000013616A (en) | 2000-03-06 |
Family
ID=19546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80032581A KR20000013616A (en) | 1998-08-11 | 1998-08-11 | Driving control device and method of multi stage elevating horizontally moving parking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00013616A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56173B1 (en) * | 2002-08-02 | 2008-09-03 |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 Park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
CN109854023A (en) * | 2019-03-12 | 2019-06-07 | 南京西普环保科技有限公司 | A kind of garage parking |
-
1998
- 1998-08-11 KR KR1019980032581A patent/KR20000013616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56173B1 (en) * | 2002-08-02 | 2008-09-03 |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 Park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
CN109854023A (en) * | 2019-03-12 | 2019-06-07 | 南京西普环保科技有限公司 | A kind of garage parking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823109C (en) | Method of modernising a lift installation | |
KR101199685B1 (en) | Elevator counterweight | |
CN105314478A (en) | Elevator car display control method and elevator car display control apparatus | |
KR20000013616A (en) | Driving control device and method of multi stage elevating horizontally moving parking system | |
JP3957440B2 (en) | Different-model mixed-type parking system | |
KR20160109186A (en) | RFID systems are applied to elevator call device and calling method | |
KR100356522B1 (en) | Standing by power saving method and apparatus for elevator | |
JP4437931B2 (en) | Automatic warehouse | |
KR19990037989A (en) | Operation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Multi-Level Lifting and Traverse Parking System | |
CN219525942U (en) | Elevator display device with function of displaying pre-stopping floors | |
JP2007126835A (en) | Mechanical multistory parking device | |
KR20040068477A (en) | Operation manipulating method for passenger conveyer corresponding multistep speed | |
KR100246659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vator | |
JP5138409B2 (en) | Control panel for parking apparatus and control program therefor | |
JP3545546B2 (en) | Pit multi-level parking system | |
JP2001254526A (en) | Pallet calling reservation device for multistory parking space | |
JP2000086102A (en) | Floor position display system for elevator car | |
JPH10255199A (en) | Mechanical multilevel parking device | |
KR950001677Y1 (en) | Indicating device for a multi-story garage | |
JP4574362B2 (en) | Elevator apparatus and elevator maintenance method | |
JPH06227758A (en) | Control device for elevator for automobile | |
KR19980020435A (en) | Multi-stage lifting traverse parking system | |
JP2000313569A (en) | Operation control method for elevator | |
JPH05229755A (en) | Display device for elevator | |
JP2001254527A (en) | Pallet calling preengaging device for multistory parking spa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