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3332A - 서비스 독립 블록에서의 위치 정보 참조 방법 - Google Patents

서비스 독립 블록에서의 위치 정보 참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3332A
KR20000013332A KR1019980032147A KR19980032147A KR20000013332A KR 20000013332 A KR20000013332 A KR 20000013332A KR 1019980032147 A KR1019980032147 A KR 1019980032147A KR 19980032147 A KR19980032147 A KR 19980032147A KR 20000013332 A KR20000013332 A KR 200000133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location
user
function
control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2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83380B1 (ko
Inventor
하정락
김성희
Original Assignee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정선종
Priority to KR1019980032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3380B1/ko
Publication of KR20000013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33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3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3380B1/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서비스 독립 블록에서의 위치 정보 참조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이동 통신망에서 지능망 서비스를 제어하기 위해서 서비스 로직 수행중에 사용자 위치를 참조하는 서비스 독립 블록을 이용하여 사용자 위치 정보를 참조할 수 있는 위치 정보 참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함.
3. 본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서비스 제어 기능부가 서비스 로직 수행중 루팅 정보 요구 신호를 전송하여 위치 관리 기능부로부터 루팅 정보 요구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제 1 단계; 루팅 정보 수신에 실패할 경우, 서비스 제어 기능부가 위치 감시 요구 신호를 위치 관리 기능부로 전송하여 위치 감시 요구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하고, 서비스 로직을 중지하고 대기하는 제 2 단계; 및 위치 관리 기능부가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하여 위치 변경 통지 신호를 통해 확인된 사용자 위치 정보를 서비스 제어 기능부로 전송하고, 서비스 로직 수행을 재개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이동 통신망 등에 이용됨.

Description

서비스 독립 블록에서의 위치 정보 참조 방법
본 발명은 서비스 독립 블록(service independent block)에서의 위치 정보 참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망에서는 사용자가 이동하는 상황에서 통신 서비스를 제어하는데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따라 서비스를 제공하는 망의 요소가 다르므로 이에 따른 서비스 제어를 수행해야 한다.
종래에는 이를 위해서 교환기와 사용자 위치 등록기 사이에서 사용자 위치에 관계된 서비스를 처리하였으나, 차세대 이동 통신망에서는 서비스 제어를 서비스 제어 기능으로 따로 분리하였다.
따라서, 차세대 이동 통신망이 분리된 서비스 제어 기능으로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로직에서의 사용자의 위치 정보 참조 방법이 필요하다. 또한, 고정망을 기반으로 한 현재의 지능망이 이동 통신망에서 지능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종래에 정의된 서비스 독립 블록들 외에 무선 페이징 또는 메시징 서비스에 필수적인 사용자의 위치와 관계된 서비스 독립 블록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요구에 따라서 안출된 것으로서, 이동 통신망에서 지능망 서비스를 제어하기 위해서 서비스 로직 수행중에 사용자 위치를 참조하는 서비스 독립 블록을 이용하여 사용자 위치 정보를 참조할 수 있는 위치 정보 참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차세대 이동 통신망의 구성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차세대 이동 통신망의 코어망의 물리적 구성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서비스 로직의 구성예시도.
도 4a 및 도 4b 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독립 블록에서의 위치 정보 참조 방법의 일실시예 흐름도.
도 5a 는 본 발명에 따른 루팅 정보 확인 요구 신호의 정보 요소를 나타낸 설명도.
도 5b 는 본 발명에 따른 루팅 정보 확인 요구에 대한 응답 신호의 정보 요소를 나타낸 설명도.
도 6a 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감시 요구 신호의 정보 요소를 나타낸 설명도.
도 6b 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감시 요구에 대한 응답 신호의 정보 요소를 나타낸 설명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 변경 통지 신호의 정보 요소를 나타낸 설명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호 제어 에이전트 기능부 102 : 연결 제어 에이전트 기능부
103 : 이동 제어 기능부 104 : 호 제어 기능부/서비스 교환 기능부
105 : 연결 제어 기능부 106 : 서비스 액세스 제어 기능부
107 : 위치 관리 기능부 108 : 인증 관리 기능부
109 : 서비스 제어 기능부 110 : 서비스 데이터 기능부
111 : 특수 자원 기능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서비스 독립 블록에 적용되는 위치 정보 참조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 제어 기능부가 서비스 로직 수행중 루팅 정보 요구 신호를 전송하여 위치 관리 기능부로부터 루팅 정보 요구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하고, 서비스 로직을 계속 수행하는 제 1 단계; 루팅 정보 수신에 실패할 경우, 상기 서비스 제어 기능부가 사용자 위치 감시를 요청하는 위치 감시 요구 신호를 상기 위치 관리 기능부로 전송하여 위치 감시 요구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하고, 서비스 로직을 중지하고 대기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위치 관리 기능부가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하여 위치 변경 통지 신호를 통해 확인된 사용자 위치 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어 기능부로 전송하고, 서비스 로직 수행을 재개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차세대 이동 통신망의 구성예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세대 이동 통신망은 이동 단말측 및 코어망측을 구비하고, 이동 단말측은 호 제어 에이전트 기능부(Call Control Agent Function)(101), 연결 제어 에이전트 기능부(Connection Control Agent Function)(102) 및 이동 제어 기능부(Mobile Control Function)(103)를 구비하며, 코어망측은 호 제어 기능부/서비스 교환 기능부(Call Control Function/Service Switching Function)(104), 연결 제어 기능부(Connection Control Function)(105), 서비스 액세스 제어 기능부(Service Access Control Function)(106), 위치 관리 기능부(Location Management Function)(107), 인증 관리 기능부(Authentication Management Function)(108), 서비스 제어 기능부(Service Control Function)(109), 서비스 데이터 기능부(Service Data Function)(110) 및 특수 자원 기능부(Specialized Resource Function)(111)를 구비한다. 연결 제어 에이전트 기능부(102) 및 연결 제어 기능부(105)는 선택적으로 생략될 수 있다.
먼저, 이동 단말측의 호 제어 에이전트 기능부(101)는 사용자의 서비스 액세스를 제공하고 호 처리를 담당하며, 연결 제어 에이전트 기능부(102)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호 처리 이외에 연결 처리도 함께 수행하고, 연결 제어 에이전트 기능부(102)는 사용자의 연결 처리를 제어하며, 이동 제어 기능부(103)는 코어망측의 서비스 접속 제어 로직과 처리를 담당한다.
또한, 코어망측의 호 제어 기능부/서비스 교환 기능부(104)는 호 처리를 제어하고 서비스 제어 기능부와의 상호 작용을 위해서 요구되는 기능들을 제공하며, 연결 제어 기능부(105)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호처리 이외에 연결 처리도 함께 수행하고, 연결 제어 기능부(105)는 연결 처리를 제어하며, 서비스 액세스 제어 기능부(106)는 호 관련 및 비호 관련 처리와 제어를 제공한다.
또한, 코어망측의 위치 관리 기능부(107)는 기본적인 단말 이동성 로직을 가지며 위치 관리, 이동성 관리, 활성 상태 관리 및 ID 관리를 제공하고, 인증 관리 기능부(108)는 인증 데이터의 저장과 액세스를 담당하며 인증 기능과 기밀성 제어를 제공하며, 서비스 제어 기능부(109)는 차세대 이동 통신망의 전반적인 지능망 서비스 제어 기능을 포함하고, 서비스 데이터 기능부(110)는 서비스와 관련된 데이터의 저장과 액세스를 수행하고 데이터 일치성을 검사하며, 특수 자원 기능부(111)는 지능망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실행을 위해 요구되는 특별한 자원, 이동 멀티미디어 서비스 및 패킷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특수한 자원을 제공한다.
또한, 이동 단말측에서의 서비스 요구에 대해 호 제어 기능부/서비스 교환 기능부(104) 또는 서비스 액세스 제어 기능부(106)가 서비스 제어 기능부(109)로 서비스를 요구하며, 특히 이동성 관련 서비스에서 호 제어 기능부/서비스 교환 기능부(104), 서비스 액세스 제어 기능부(106) 및 서비스 제어 기능부(109)가 위치 관리 기능부(107)와 함께 수행한다.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차세대 이동 통신망의 코어망의 물리적 구성예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컬 교환기(Local Exchange)(211)는 호 제어 기능부/서비스 교환 기능부(201)를 포함하고, 인증 센터(Authentication Center)(212)는 인증 관리 기능부(207)를 포함하며, 위치 등록기(Location Register)(213)는 위치 관리 기능부(206)를 포함하고, 서비스 제어 시스템(Service Control Point)(214)은 서비스 제어 기능부(208)를 포함하며, 서비스 데이터 시스템(Service Data Point)(215)는 서비스 데이터 기능부(209)를 포함하고, 지능형 정보 제공 시스템(Intelligent Peripheral)(216)은 특수 자원 기능부(205)를 포함하는 물리 실체이다.
특히, 서비스 제어 시스템(214)은 서비스 데이터 기능부(209)를 함께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참조 번호 "221"은 참조 번호 "203"을 포함할 수 있으며, 참조 번호 "222"는 참조 번호 "206" 및 "207"을 포함할 수 있고, 참조 번호 "223"은 참조 번호 "205" "208" 및 "209"를 함께 포함하는 물리 실체를 구성할 수도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서비스 로직의 구성예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제어 기능부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A(301) 내지 서비스 Z(302)는 여러 가지 서비스가 가능한데 이들 각각의 서비스는 하나 이상의 서비스 특징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면, 서비스 A(301)는 서비스 특징 a(311), 서비스 특징 b(312), 서비스 특징 z(313) 등의 서비스 특징을 갖고, 서비스 Z(302)는 서비스 특징 b(312), 서비스 특징 c(314), 서비스 특징 z(313) 등의 서비스 특징을 갖는다.
각 서비스 특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서비스 독립 블록(SIB: Service Independent Block)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서비스 특징 b(312)는 서비스 독립 블록 2(322)로, 서비스 특징 z(313)는 서비스 독립 블록 5(325)와 서비스 독립 블록 6(326)으로 구성된다.
한편, 서비스는 이들 서비스 특징의 서비스 독립 블록의 연산 동작의 연속적인 처리로서 제어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비스 A(301)는 각각 서비스 독립 블록 1(321) 내지 서비스 독립 블록 6(326)의 각 연산 동작으로 그 서비스 로직을 구성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 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독립 블록에서의 위치 정보 참조 방법의 일실시예 흐름도로서, 서비스 독립 블록은 루팅 정보 확인 오퍼레이션, 위치 감시 요구 오퍼레이션 및 위치 변경 통지 오퍼레이션을 수행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제어 기능부가 서비스 로직 수행중에 사용자 위치를 요청할 경우 루팅 정보 확인 오퍼레이션을 통해 위치 관리 기능부로 루팅 정보 확인 요구 신호를 전송하고(401), 위치 관리 기능부로부터 루팅 정보 확인 응답 신호를 수신하였는지를 판단하여(402) 루팅 정보 확인 응답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였으면 재전송 횟수가 소정 횟수를 초과하는지를 판단하여(403) 소정 횟수를 초과하지 않으면 루팅 정보 확인 요구 신호 전송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한편, 위치 관리 기능부로부터 루팅 정보 확인 응답 신호를 수신하였는지를 판단하여(402) 루팅 정보 확인 응답 신호를 수신하였으면 수신된 루팅 정보 확인 응답 신호에 오류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404) 오류가 존재하지 않으면 수신된 루팅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 로직을 계속 수행하고 종료하고(405), 오류가 존재하면 존재하는 오류가 순간적 폭주 등의 재시도 가능한 오류인지, 불법 가입자, 분실된 단말 등의 심각한 오류인지 또는 파워 오프 등의 추후 수행이 가능한 오류인지를 판단하여(406) 심각한 오류이면 종료하고, 재시도 가능한 오류이면 재시도 횟수가 소정 횟수를 초과하는지를 판단하여(407) 소정 횟수를 초과하지 않으면 루팅 정보 확인 요구 신호 전송을 반복 수행하며, 추후 수행이 가능한 오류이면 서비스 제어 기능부가 위치 감시 요구 오퍼레이션을 통해 위치 관리 기능부로 사용자 위치 감시 요구 신호를 전송한다(408).
이후, 서비스 제어 기능부가 위치 관리 기능부로부터 사용자 위치 감시 요구 응답 신호를 수신하였는지를 판단하여(409) 사용자 위치 감시 요구 응답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였으면 재전송의 횟수가 소정 횟수를 초과하는지를 판단하여(410) 소정 횟수를 초과하지 않으면 사용자 위치 감시 요구 신호 전송을 반복 수행하고, 사용자 위치 감시 요구 응답 신호를 수신하였으면 서비스 로직의 수행을 중지하고 대기한다(411).
이후, 서비스 제어 기능부가 위치 관리 기능부의 위치 변경 통지 오퍼레이션을 통해 위치 변경 통지 신호를 수신하였는지를 판단하여(412) 위치 변경 통지 신호를 수신하였으면 수신된 위치 변경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 로직 수행을 재개한다(413). 즉, 위치 관리 기능부가 위치 변경 통지 오퍼레이션을 통해 등록된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하며, 확인된 사용자 위치를 알려주기 위해 위치 변경 통지 신호를 서비스 제어 기능부로 전송하고, 서비스 제어 기능부는 서비스 로직 수행을 재개한다.
도 5a 는 본 발명에 따른 루팅 정보 확인 요구 신호의 정보 요소를 나타낸 설명도로서, 서비스 제어 기능부가 위치 관리 기능부로 전송하는 루팅 정보 확인 요구 신호의 정보 요소를 나타낸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팅 정보 확인(routing information query) 요구 신호의 정보 요소는 루팅 정보를 요구한 서비스 프로세스 식별자(service processing ID), 서비스 실체 주소(service entity address), 착신 이동 단말 번호(called party number) 및 착신 단말 일련 번호(ESN)를 포함하며, 착신 이동 단말 번호 대신 공통선 신호 방식 No.7의 신호점 부호(signaling point code) 또는 인터넷의 인터넷 프로토콜의 주소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실체 주소, 착신 이동 단말 번호 및 착신 단말 일련 번호는 사용자의 식별자에 해당하며, 사용자의 식별자는 다양한 형태로 이용될 수 있다.
도 5b 는 본 발명에 따른 루팅 정보 확인 요구에 대한 응답 신호의 정보 요소를 나타낸 설명도로서, 위치 관리 기능부가 서비스 제어 기능부로 전송하는 루팅 정보 확인 요구에 대한 응답 신호의 정보 요소를 나타낸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팅 정보 확인 요구에 대한 응답 신호의 정보 요소는 서비스 프로세스 식별자, 서비스 실체 주소, 착신 이동 단말 번호, 착신 단말 일련 번호, 루팅 정보(routing address)및 루팅 거절 이유 정보(access denied reason)를 포함하며, 착신 이동 단말 번호 대신 공통선 신호 방식 No.7의 신호점 부호 또는 인터넷의 인터넷 프로토콜의 주소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실체 주소, 착신 이동 단말 번호 및 착신 단말 일련 번호는 사용자의 식별자에 해당하며, 사용자의 식별자는 다양한 형태로 이용될 수 있다.
위치 관리 기능부가 사용자의 루팅 정보를 확인하는 경우는 루팅 정보를 전송하지만, 루팅 정보 요구가 없는 사용자, 현재 단말기를 꺼놓은 사용자 또는 분실된 단말기 등의 잘못된 경우에는 루팅 거절 이유를 서비스 제어 기능부로 전송한다.
도 6a 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감시 요구 신호의 정보 요소를 나타낸 설명도로서, 루팅 정보 확인 요구로써 사용자의 루팅 정보를 획득할 수 없는 경우 서비스 제어 기능부가 위치 관리 기능부로 전송하는 사용자 위치 감시 요구 신호의 정보 요소를 나타낸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위치 감시 요구(location observation request) 신호의 정보 요소는 루팅 정보를 요구한 서비스 프로세스 식별자, 해당 서비스 키(service key), 서비스 실체 주소, 착신 이동 단말 번호, 착신 단말 일련 번호 및 서비스 제어 기능부 주소를 포함하며, 착신 이동 단말 번호 대신 공통선 신호 방식 No.7의 신호점 부호 또는 인터넷의 인터넷 프로토콜의 주소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실체 주소, 착신 이동 단말 번호 및 착신 단말 일련 번호는 사용자의 식별자에 해당하며, 사용자 식별자는 다양한 형태로 이용될 수 있다.
도 6b 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감시 요구에 대한 응답 신호의 정보 요소를 나타낸 설명도로서, 위치 관리 기능부가 서비스 제어 기능부로 전송하는 사용자 위치 감시 요구에 대한 응답 신호의 정보 요소를 나타낸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위치 감시 요구에 대한 응답 신호의 정보 요소는 루팅 정보를 요구한 서비스 프로세스 식별자, 서비스 실체 주소, 착신 이동 단말 번호, 착신 단말 일련 번호 및 위치 감시 요구 거절 이유(observation denied reason) 정보를 포함하며, 착신 이동 단말 번호 대신 공통선 신호 방식 No.7의 신호점 부호 또는 인터넷의 인터넷 프로토콜의 주소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실체 주소, 착신 이동 단말 번호 및 착신 단말 일련 번호는 사용자의 식별자에 해당하며, 사용자 식별자는 다양한 형태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위치 감시 요구 거절 이유로는 분실된 단말기 등이 있으며 거절 이유를 생략하는 경우에는 서비스 제어 기능부가 전송한 위치 감시 요구 신호가 위치 관리 기능부에 성공적으로 접수 처리되었음을 나타낸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 변경 통지 신호의 정보 요소를 나타낸 설명도로서, 사용자 위치 감시 요구가 성공적으로 접수된 경우에 위치 관리 기능부가 서비스 제어 기능부로 전송하는 위치 변경 통지 신호의 정보 요소를 나타낸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변경 통지 신호(location alteration notification)의 정보 요소는 서비스 프로세스 식별자, 서비스 실체 주소, 착신 이동 단말 번호, 착신 단말 일련 번호 및 루팅 정보를 포함하며, 착신 이동 단말 번호 대신 공통선 신호 방식 No.7의 신호점 부호 또는 인터넷의 인터넷 프로토콜의 주소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실체 주소, 착신 이동 단말 번호 및 착신 단말 일련 번호는 사용자의 식별자에 해당하며, 사용자의 식별자는 다양한 형태로 이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차세대 이동 통신망을 비롯하여 위치 관리를 하는 기능 실체와 서비스를 제어하는 기능 실체를 가진 임의의 이동 통신망에서 지능망의 모델로 서비스를 제어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참조하는 서비스 독립 블록을 설계할 수 있으며, 이동 통신망에서 사용자의 위치를 참조하는 서비스 독립 블록을 이용함으로써 지능망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서비스 독립 블록에 적용되는 위치 정보 참조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 제어 기능부가 서비스 로직 수행중 루팅 정보 요구 신호를 전송하여 위치 관리 기능부로부터 루팅 정보 요구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하고, 서비스 로직을 계속 수행하는 제 1 단계;
    루팅 정보 수신에 실패할 경우, 상기 서비스 제어 기능부가 사용자 위치 감시를 요청하는 위치 감시 요구 신호를 상기 위치 관리 기능부로 전송하여 위치 감시 요구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하고, 서비스 로직을 중지하고 대기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위치 관리 기능부가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하여 위치 변경 통지 신호를 통해 확인된 사용자 위치 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어 기능부로 전송하고, 서비스 로직 수행을 재개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참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서비스 제어기가 상기 위치 관리 기능부로부터 사용자 위치 감시 요구 응답 신호 수신에 실패할 경우 사용자 위치 감시 요구 신호를 상기 위치 관리 기능부로 재전송하는 제 4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위치 정보 참조 방법.
KR1019980032147A 1998-08-07 1998-08-07 서비스 독립 블록에서의 위치 정보 참조 방법 KR1002833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2147A KR100283380B1 (ko) 1998-08-07 1998-08-07 서비스 독립 블록에서의 위치 정보 참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2147A KR100283380B1 (ko) 1998-08-07 1998-08-07 서비스 독립 블록에서의 위치 정보 참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3332A true KR20000013332A (ko) 2000-03-06
KR100283380B1 KR100283380B1 (ko) 2001-03-02

Family

ID=19546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2147A KR100283380B1 (ko) 1998-08-07 1998-08-07 서비스 독립 블록에서의 위치 정보 참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338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83380B1 (ko) 2001-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70760B2 (ja) 無線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ハンドオーバネゴシエーションの方法及びシステム
KR102584730B1 (ko) 통신 네트워크에서 서비스 요청 절차를 처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CA2554546C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the utilization of core based nodes for state transfer
US20030130008A1 (en) Updating of subscriber information
CN101953193A (zh) 用于安全算法的选择的方法和系统
KR20050084265A (ko) 무선 근거리 통신망과 사용자 단말기간의 서비스 접속에대한 처리 방법
CN112567809A (zh) 非3gpp空闲状态下去往用户设备的下行链路信令
US8792918B2 (en) Paging system
EP2146517A1 (en) Mobile exchange, wireless base station, and mobile communication method
JP3727539B2 (ja) シグナリング方法
EP2955973B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thereof, and node used for the system
EP3703462B1 (en) COMMUNICATION METHODS AND, A COMMUNICATIONS APPARATUS, A COMMUNICATIONS SYSTEM, A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AND A COMPUTER PROGRAM PRODUCT
KR100283380B1 (ko) 서비스 독립 블록에서의 위치 정보 참조 방법
WO2022083281A1 (zh) 消息传输方法、系统、电子设备和存储介质
JP2004312673A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の転送変数交換方法
JP2023552486A (ja) 目標情報の取得方法、送信方法、装置、デバイス及び記憶媒体
KR100277688B1 (ko) 이동 단말기의 위치 및 서비스 데이터 관련 요구에 따른 무선페이징 서비스 방법
KR100282569B1 (ko) 이동 비동기 전달방식 가상채널 교환기에서의 보류 호 처리방법
KR100277687B1 (ko) 지능망 기반의 이동통신망에서의 무선 페이징 서비스 방법
JP3736533B2 (ja) ページングシステム及びページング方法並びにその方法を用いた基地局制御装置
JP2000224641A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
CN116915389A (zh) 一种加密协商方法及相关设备
KR100225527B1 (ko) 단축 메시지 착신 기능을 갖는 지에스엠(gsm) 이동 통신 교환기
KR0152216B1 (ko) 지능망과 연동하는 기지국의 서비스 처리 방법
KR20010019959A (ko) 아이오에스 규격을 적용한 씨디엠에이 통신 시스템내 제어국에서의 호 해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1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