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3264U - 냉장고의 사절부 이슬맺힘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사절부 이슬맺힘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3264U
KR20000013264U KR2019980026421U KR19980026421U KR20000013264U KR 20000013264 U KR20000013264 U KR 20000013264U KR 2019980026421 U KR2019980026421 U KR 2019980026421U KR 19980026421 U KR19980026421 U KR 19980026421U KR 20000013264 U KR20000013264 U KR 2000001326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tor
heating means
auxiliary heating
dew condensation
d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64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광진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800264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3264U/ko
Publication of KR200000132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3264U/ko

Links

Landscapes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장고의 사절부 이슬맺힘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냉장고는 냉장실 고내의 온도는 별로 높지 않기 때문에 냉장실도어의 상단 내측면과 면접되는 사절부의 전면 하측에는 이슬맺힘현상이 많이 발생하지 않지만 냉동실의 고내 온도가 매우 낮기 때문에 냉동실도어의 하단 내측면과 면접되는 사절부의 전면 상측은 이슬맺힘현상이 매우 심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사절부 전면 캐비넷과 핫파이프의 사이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면접되도록 보조발열수단을 설치함과 아울러 필요시 보조발열수단을 온오프할 수 있도록 보조발열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별도의 작동스위치를 냉장고의 전면 일측에 설치하여 외기의 온도가 높아 이슬맺힘현상이 심하게 발생되는 지역에서는 필요시에 사용자가 직접 보조발열수단을 작동시키도록 함으로서 보조발열수단의 발열에 의해 사절부 전면 및 냉동실도어의 하부캡상에 발생되는 이슬맺힘 현상이 방지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냉장고의 사절부 이슬맺힘 방지장치
본 고안은 냉장고의 사절부 이슬맺힘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냉장고의 사절부 전면에 결합되는 캐비넷의 내측면에 별도의 스위치에 의해 작동되도록 한 보조발열수단을 추가로 설치하여 필요시에 보조발열수단이 발열토록 함으로서 보조발열수단의 발열에 의해 사절부 전면에 발생되는 이슬맺힘 현상이 방지되도록 한 냉장고의 사절부 이슬맺힘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냉장고의 캐비넷 이슬맺힘 방지장치는 도시된 도 1과 같이, 냉장고의 냉동실(F) 및 냉장실(R) 전면 전체에 압축기(미도시)에서 인출된 냉매가스 토출파이프인 딜리버리 파이프(delivery pipe)를 연장 형성한 핫파이프(hot pipe)(30)를 캐비넷(10)과 내상(20)이 조립되는 부위의 캐비넷(10) 내면과 면접되게 설치하여 압축기로부터 고온고압으로 토출된 냉매가스가 핫파이프(30)를 통과하면서 방열되는 고열로 캐비넷(10) 외측에 발생하는 이슬맺힘 현상을 방지하고 있었다.
즉, 냉장고 고내 특히, 내부 온도가 약 -18 ℃ 정도로 유지되는 냉동실(F) 고내의 온도와 고외의 외기온도간의 차가 크게 발생하여 내상(20)과 조립구조를 이루고 있는 캐비넷(10)의 외측에 이슬이 맺히는 현상이 발생하였던 바, 이 부위로 지나가는 핫파이프(30)의 고열에 의하여 열교환 됨으로써 이러한 이슬맺힘 현상을 방지하고 있었다.
도 2는 냉장고의 사절부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종래의 다른 실시예로서, 냉장고의 사절부 전면에 코드히터가 상태를 도시한 냉장고의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인데, 핫파이프(30)의 방열에 의해 이슬맺힘을 방지하는 것이 아니라 외부전원이 인가되어 순간적으로 고온의 열을 발생시키도록 하는 일정직경의 코드히터(cord heater)(35)를 사절부(40)의 캐비넷(10) 내측면에 면접설치하여 이슬맺힘 현상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냉장고의 냉동실(F)과 냉장실(R)을 분리구획하는 사절부(40) 전면 상측은 냉동실도어의 내측면 하단과 면접되고 사절부(40)의 전면 하측은 냉장실도어의 내측면 상단과 면접되는데, 냉장실(R) 고내의 온도는 별로 높지 않기 때문에 사절부(40)의 전면 하측에는 이슬맺힘현상이 많이 발생하지는 않지만 냉동실(F)의 고내 온도는 매우 낮기 때문에 사절부(40)의 전면 상측과 냉동실도어의 하부캡(45) 부위에 이슬맺힘현상이 매우 심하게 발생하였다.
그리하여 외부온도와 고내의 온도차이가 심할 경우에는 종래의 핫파이프(30) 또는 코드히터(35) 하나만으로는 충분한 열교환이 이루어지지 않아 냉장고의 사절부에 발생되는 이슬맺힘현상을 충분히 해소하지 못하는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냉장고의 사절부 전면을 이루는 캐비넷의 내측면에 별도의 스위치에 의해 작동되도록 한 보조발열수단을 추가로 설치하여 외기의 온도가 높아 이슬맺힘현상이 심하게 발생되는 지역에서는 사용자가 필요시에 보조발열수단을 작동시켜 추가로 발열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보조발열수단의 발열에 의해 사절부 전면에 발생되는 이슬맺힘현상이 방지되도록 한 냉장고의 캐비넷 이슬맺힘 방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고안의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냉장고의 캐비넷 내측에 핫파이프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냉장고의 정면도,
도 2는 종래 냉장고의 사절부 전면에 코드히터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냉장고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이슬맺힘 방지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절부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이슬맺힘 방지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어의 일부절결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작동을 나타내는 블럭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캐비넷, 20 : 내상,
30 : 핫파이프, 40 : 사절부,
50 : 냉장실도어, 60 : 보조발열수단,
70 : 가스켓, 80 : 우레탄발포층.
본 고안은 냉장고의 냉동실과 냉장실을 분리구획하는 사절부 전면 캐비넷 내측에 핫파이프를 면접설치하여서 된 냉장고의 사절부 이슬맺힘 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절부 전면 캐비넷과 상기 핫파이프의 사이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면접되도록 보조발열수단을 설치함과 아울러 필요시 상기 보조발열수단을 온오프 할 수 있도록 상기 보조발열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별도의 작동스위치를 냉장고의 전면 일측에 설치하여서 된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효과에 대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이슬맺힘 방지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절부의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이슬맺힘 방지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어의 일부절결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종래와 동일하게 냉장고의 냉동실(F) 및 냉장실(R) 본체 캐비넷(10)의 전면 전체에 압축기에서 인출된 냉매가스 토출파이프인 딜리버리 파이프를 연장 형성한 핫파이프(30)를 캐비넷(10)과 내상(20)이 조립되는 부위의 캐비넷(10) 내면과 면접되게 설치하고 있다.
특히 사절부(40)의 전면에는 횡방향으로 2열을 이루도록 핫파이프(30)가 상기 사절부(30)의 전면부를 이루는 캐비넷 전면 내측에 긴밀하게 면접되면서 설치된다.
이러한 본체 캐비넷(10)과 사절부(40)의 전면으로는 냉동실도어와 냉장실도어가 각각 그 내측면 테두리에 설치된 가스켓(70)에 의해 긴밀하게 밀폐되어 냉기의 누설을 차단하고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냉장고의 사절부(40) 전면을 이루는 캐비넷(10)의 내측면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보조발열수단(60)을 면접되도록 설치한 후에 캐비넷과 내상에 의해 형성되는 사절부(40)의 공간내측으로 우레탄발포층(80)을 형성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보조발열수단(60)을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보조발열수단(6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별도의 작동스위치(미도시)를 냉장고의 전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부상에 설치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보조발열수단(60)은 예를 들면 필름히터와 같은 소재로서 그 두께가 매우 얇게 형성되며 외부전원이 인가됨과 동시에 발열되어 약 300℃∼400℃ 정도의 고열을 발생시켜 짧은 시간내에 강력한 발열작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보조발열수단(60)은 사절부(40) 전면의 캐비넷(10) 내측면에 접착수단에 의해 긴밀하게 면접되도록 설치함으로써 상기 보조발열수단(60)에 의해 발생된 고열이 상기 사절부(40) 전면 캐비넷(10)으로 직접 전달됨으로써 사절부(40)의 이슬맺힘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된다.
이때 상기 보조발열수단(60)에 의해 발생되는 열은 약 300℃∼400℃의 고열이기 때문에 사절부(40)의 전면부가 과열될 경우에는 오히려 냉동실(F) 및 냉장실(R)의 적정한 온도유지가 어려워지게 되므로 핫파이프(30)의 온도와 거의 비슷한 온도(약 60℃∼70℃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바이메탈과 같은 별도의 과열방지수단을 설치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작동스위치에 타임스위치를 채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작동스위치를 누를 경우 일정시간 동안만 보조발열수단(60)을 작동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작동을 나타내는 블럭도로서, 이러한 보조발열수단(60)은 냉장고의 전면 디스플레이부에 설치된 작동스위치를 누르게 되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릴레이구동부가 작동하여 보조발열수단(60)에 전원을 인가시킴과 동시에 상기 보조발열수단(60)이 작동하여 고온의 열을 발생시키게 된다.
특히 외부온도와 고내온도의 차이가 큰 고온지역에서는 이슬맺힘현상이 더욱 심하게 발생되는데, 이때 사용자가 작동스위치를 온 시킴으로써 보조발열수단(60)을 작동시켜 냉장고의 본체 캐비넷(10) 전면에 충분한 열을 가함으로써 이슬맺힘현상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 사절부 이슬맺힘 방지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외부온도와 고내온도의 차이가 크게 나지 않는 경우에는 냉장고의 본체 캐비넷(10) 전면에 이슬맺힘현상이 심하게 발생하지 않으므로 냉장고의 캐비넷(10) 내측면에 설치된 핫파이프(30)의 발열에 의해 충분히 이슬맺힘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만일 외부온도와 고내온도의 차이가 크게 나는 무더운 여름철이나 고온지역에서는 사용자가 냉장고의 전면 일측에 설치된 작동스위치를 온시킴으로써 보조발열수단(60)을 작동시키게 되고 이러한 보조발열수단(60)에 전원이 인가됨과 동시에 보조발열수단(60)이 작동되면서 순간적으로 고온의 열이 발생하게되어 사절부(40)의 전면에 고온의 열이 전달되어 냉장고의 사절부(40)에 발생되는 이슬맺힘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사절부(40)의 전면과 면접설치된 가스켓(70)을 통해 냉동실도어의 하단부를 이루는 하부캡으로 열이 전달됨으로써 냉동실도어의 하단부에 발생되는 이슬맺힘현상도 동시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보조발열수단(60)의 발열에 의해 상기 사절부(40)의 전면 캐비넷(10)의 온도가 적정온도(약 60℃∼70℃정도)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캐비넷(10)의 내면 일측에 설치된 바이메탈에 의해 전원공급이 차단되어 더 이상의 발열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냉동실도어의 하부캡 내측에 얇은 막 형태의 보조발열수단을 추가로 설치하여 외부온도가 높아 이슬맺힘현상이 심하게 발생되는 지역에서는 필요시에 사용자가 직접 보조발열수단을 작동시키도록 함으로서 보조발열수단의 발열에 의해 사절부 전면 및 냉동실도어의 하부캡상에 발생되는 이슬맺힘 현상이 방지되도록 한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1)

  1. 냉장고의 냉동실(F)과 냉장실(R)을 분리구획하는 사절부(40) 전면 캐비넷(10) 내측에 핫파이프(30)를 면접설치하여서 된 냉장고의 사절부 이슬맺힘 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절부(40) 전면 캐비넷(10)과 상기 핫파이프(30)의 사이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면접되도록 보조발열수단(60)을 설치함과 아울러 필요시 상기 보조발열수단(60)을 온오프 할 수 있도록 상기 보조발열수단(6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별도의 작동스위치를 냉장고의 전면 일측에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사절부 이슬맺힘 방지장치.
KR2019980026421U 1998-12-24 1998-12-24 냉장고의 사절부 이슬맺힘 방지장치 KR2000001326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6421U KR20000013264U (ko) 1998-12-24 1998-12-24 냉장고의 사절부 이슬맺힘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6421U KR20000013264U (ko) 1998-12-24 1998-12-24 냉장고의 사절부 이슬맺힘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3264U true KR20000013264U (ko) 2000-07-15

Family

ID=69504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6421U KR20000013264U (ko) 1998-12-24 1998-12-24 냉장고의 사절부 이슬맺힘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326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7136A (ko) * 2000-12-30 2002-07-11 구자홍 김치냉장고 이슬맺힘 방지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7136A (ko) * 2000-12-30 2002-07-11 구자홍 김치냉장고 이슬맺힘 방지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13264U (ko) 냉장고의 사절부 이슬맺힘 방지장치
KR20000013319U (ko) 냉장고의 사절부 이슬맺힘 방지장치
KR970070899A (ko) 워터 디스펜서 장치
KR200201527Y1 (ko) 김치냉장고
KR100353365B1 (ko) 냉장고 디스펜스 이슬맺힘 방지구조
KR101249915B1 (ko) 펠티어 소자와 축냉팩을 적용한 냉각장치
KR200272996Y1 (ko) 냉장고의 냉기조절장치
KR20000015415A (ko) 냉장고의 이슬맺힘 방지장치
KR100407304B1 (ko) 냉장고의 측면덕트 장착장치
KR100382421B1 (ko) 증발기 케이스의 결로현상 방지장치
CN220103495U (zh) 柜口防凝霜冰柜
KR0126730Y1 (ko) 냉장고의 응축기 방열 보조장치
KR200217744Y1 (ko) 냉장고의 댐퍼커버
KR200220618Y1 (ko) 냉장고의 제상히터커버
KR200319492Y1 (ko) 냉장고의 글라스관 캡
KR0176026B1 (ko) 쇼케이스의 제상 제어 장치
KR20040032434A (ko) 냉장고의 온도 제어 장치
JPH10318665A (ja) 冷蔵庫
KR100241452B1 (ko) 냉장고의 전자식 댐퍼장치
KR970059679A (ko) 냉장고
KR100250764B1 (ko) 자동판매기용 냉각장치의 액분리기
KR100229470B1 (ko) 제상히터를 갖는 냉장고
KR100739014B1 (ko) 내부에 설치되는 디스펜서를 구비하는 냉장고
KR970016493A (ko) 냉장고의 온수공급장치
KR19990024080U (ko) 제상장치의 온도퓨즈 삽입식 바이메탈서모커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