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3202U - tiller - Google Patents

till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3202U
KR20000013202U KR2019980026354U KR19980026354U KR20000013202U KR 20000013202 U KR20000013202 U KR 20000013202U KR 2019980026354 U KR2019980026354 U KR 2019980026354U KR 19980026354 U KR19980026354 U KR 19980026354U KR 20000013202 U KR20000013202 U KR 2000001320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ltivator
tiller
lever
steering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6354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배경환
Original Assignee
정봉화
한국특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봉화, 한국특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봉화
Priority to KR20199800263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3202U/en
Publication of KR200000132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3202U/en

Links

Landscapes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경운기몸체에 스티어링장치를 장착하여 경운기가 핸들에 의해 조작되도록 함으로써, 조향성이 향상되도록 하고 또한 관리기를 장착할 때 앉을수 있는 좌석을 마련함으로써, 관리기 작업이 편리하도록한 경운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엔진이 장착된 경운기몸체의 후방에 짐칸이 설치되는 경운기에 있어서, 상기 경운기 몸체의 후방에 체결보울트 및 너트에 의해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스티어링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스티어링수단은 상기 경운기몸체와 상기 짐칸을 연결하는 하우징이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과 짐칸의 방향을 꺽어 상기 경운기를 조향시켜주는 핸들이 구비되고, 상기 경운기몸체의 상부에는 상기 핸들과 같이 상기 경운기의 방향을 조향시키는 레버가 구비되고, 상기 레버는 상기 짐칸의 운전석과 상기 경운기몸체의 전방 쪽으로 각각 위치 이동되도록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ltivator equipped with a steering device on the cultivator body so that the cultivator is operated by a handle, thereby improving steering and providing a seat to sit when the manager is mounted, thereby making the operation of the manager convenient. Particularly, in the tiller, in which a luggage compartment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tiller body on which the engine is mounted, a steering means detachably coupled to the rear of the tiller body by a fastening bolt and a nut is provided, and the steering means is the tiller body and the luggage compartment. Is provided with a housing for connecting the handle, for steering the cultivator by bending the direction of the housing and the luggage compartment, the upper portion of the cultivator body is provided with a lever for steering the direction of the cultivator like the handle, The lever is the driver's seat of the luggage compartment and the front side of the tiller body. It is configured such that each of the movement positions with.

Description

경운기tiller

본 고안은 경운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경운기에 스티어링장치를 장착하여 경운기를 핸들로 조작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조향성이 향상되도록하고 또한 관리기를 장착할 때 앉을수 있는 좌석을 구비함으로써, 관리기 작업이 편리하도록한 경운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ltivator, and more particularly, by mounting a steering device to the cultivator to operate the cultivator with a handle, thereby improving steering and providing a seat to sit when the manager is installed, thereby maintaining the operation of the manager. It is about a cultivator made convenient.

일반적으로 경운기는 농어촌에서 사용되는 대표적인 운송수단인 동시에 양수기, 관리기 등 다용도로 활용할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러한 경운기는 엔진이 장착된 경운기몸체와 뒤쪽의 짐칸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경운기몸체에는 방향전환을 위한 레버가 설치되어 경운기를 조작할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In general, the tiller is a representative means of transportation used in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and is designed to be used for a variety of purposes such as water pumps and management systems. Such a tiller is divided into a tiller body equipped with an engine and a luggage compartment at the rear. And the cultivator body is configured to operate the cultivator is installed a lever for changing the direction.

그러나 종래의 경운기는 레버식으로 방향전환을 해야 됨으로 방향전환 작업이 불편하고 또한 레버에 경운기몸체의 무게가 전부 실리기 때문에 노약자 등은 이를 조작하기 어려운 등의 단점이 있다. 또한 경운기몸체에 관리기를 결합시켜 논밭을 밭갈이 할 때 서서 레버를 잡고 해야 됨으로 관리기 작업에 따른 농사일이 힘들게 되는 등의 단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tiller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difficult to change the operation because the direction change operation is inconvenient and the weight of the tiller body is loaded on the lever because it is difficult to operate it. In addition,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such as farming work according to the manager's work is difficult because you need to hold the lever when plowing the paddy field by combining the manager with the tiller body.

본 고안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개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경운기몸체에 스티어링장치를 장착하여 경운기가 핸들에 의해 조작되도록 함으로써, 조향성이 향상되도록 하고 또한 관리기를 장착할 때 앉을수 있는 좌석을 마련함으로써, 관리기 작업이 편리하도록한 경운기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in view of the conventional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a steering device on the cultivator body so that the cultivator is operated by a handle, so that steering is improved and the seat can be seated when the manager is mounted. By providing a cultivator, which makes the operation of the manager convenient.

도 1은 본 고안 핸들식 경운기를 나타낸 정면도1 is a front view showing the present invention handle type tiller

도 2는 본 고안 레버식 경운기를 나타낸 정면도Figure 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present invention lever type tiller

도 3은 본 고안 핸들식의 스티어링장치 장착상태를 나타낸 평면도Figure 3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of mounting the steer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ndle type

도 4는 본 고안 레버식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subject innovation lever type

도 5는 본 고안 관리기 장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Figure 5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of the invention design manager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Code Description of Main Parts of Drawing>

10 : 경운기몸체 12 : 스티어링수단10: tiller body 12: steering means

13 : 핸들 14 : 하우징13 handle 14 housing

16 : 체결보울트 17 : 너트16: tightening bolt 17: nut

18 : 레버 19 : 누름봉18: lever 19: push rod

20,21 톱니원판 22 : 힌지축20,21 Tooth Disc 22: Hinge Shaft

23 : 스프링 24 : 짐칸23: spring 24: luggage compartment

25 : 운전석 26 : 고리25: driver's seat 26: hook

27 : 연결축 28 : 좌석27: connecting shaft 28: seat

29 : 바퀴 30 : 관리기29: wheels 30: manag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엔진이 장착된 경운기몸체의 후방에 짐칸이 설치되는 경운기에 있어서, 상기 경운기몸체의 후방에 체결보울트 및 너트에 의해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스티어링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스티어링수단은 상기 경운기몸체와 상기 짐칸을 연결하는 하우징이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과 짐칸의 방향을 꺽어 상기 경운기를 조향시켜주는 핸들이 구비되고, 상기 경운기몸체의 상부에는 상기 핸들과 같이 상기 경운기의 방향을 조향시키는 레버가 구비되고, 상기 레버는 상기 짐칸의 운전석과 상기 경운기몸체의 전방 쪽으로 각각 위치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ultivator in which a luggage compartment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cultivator body on which the engine is mounted, and a steering means detachably coupled to the rear of the cultivator body by a fastening bolt and a nut is provided. Means are provided with a housing for connecting the tiller body and the luggage compartment, and a handle for steering the tiller by turning the housing and the luggage compartment, the upper portion of the tiller body, such as the handle to the direction of the tiller A lever for steering is provided, and the lever is configured to move in a position toward the front of the driver's seat and the tiller body of the luggage compartment, respectively.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 핸들식 경운기를 나타낸 정면도 로서, 엔진 등이 장착된 경운기몸체(10)의 후방에 스티어링수단(12)이 장착된다. 스티어링수단(1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회동식 체결보울트(16) 및 너트(17)에 의해 경운기몸체(10)의 후방에 착탈식으로 조립된다. 스티어링수단(12)은 상측에 핸들(13)이 구비되며 핸들(13)의 회전을 좌우측으로 방향절환 시키는 하우징(14)이 구비된다. 하우징(14)은 짐칸(24)과 연결되며 하우징(14)의 내부에는 경운기몸체의 엔진과 연결된 유니버셜조인트가 내장된다.Figure 1 is a front view showing the handle-type cultiv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ering means 12 is mounted to the rear of the cultivator body 10, the engine is mounted. Steering means 12 is detachably assembled to the rear of the cultivator body 10 by a pivoting fastening bolt 16 and a nut 17 as shown in FIG. Steering means 12 is provided with a handle 13 on the upper side and is provided with a housing 14 for switching the rotation of the handle 13 to the left and right. The housing 14 is connected to the luggage compartment 24, and the inside of the housing 14 has a universal joint connected to the engine of the tiller body.

그리고 경운기몸체(10)의 전방에는 레버(18)가 전방을 향하도록 회전된 상태로 놓인다. 도 2는 레버식으로 경운기를 조작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레버식으로 경운기를 조작할때는 핸들(13)을 스티어링수단(12)으로부터 분리 시킨 뒤 레버(18)를 경운기의 운전석(25) 쪽으로 회전 시킨다.And the front of the tiller body 10 is placed in a state in which the lever 18 is rotated to face the front. 2 shows a state of operating the cultivator in a lever type. When operating the cultivator in a lever type, the handle 13 is separated from the steering means 12 and the lever 18 is rotated toward the driver's seat 25 of the cultivator.

도 4는 레버(18)의 회동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레버(18)는 힌지축(22)을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설치되며 힌지축(22)의 외주연에는 레버(18)의 저면과 경운기몸체(10)의 상면에 톱니원판(20)(21)이 각각 마련된다. 그리고 힌지축(22)의 상단에는 레버(18)를 가압하는 누름봉(19)이 설치되며 힌지축(22)에는 스프링(23)이 결합된다. 즉 누름봉(19)을 레버(18) 쪽으로 당기면 스프링(23)이 압축되면서 각 톱니원판(20)(21)이 서로 결합되어 레버(18)가 몸체(10)의 상부에 고정되게 되며 누름봉(19)을 상승 시키면 스프링(23)이 복원되면서 각 톱니원판(20)(21)이 서로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레버(18)를 운전석(25) 쪽으로 이동시켜 이를 이용해 경운기를 조작할수 있게 된다. 미설명부호 11은 경운기몸체(10)에 설치된 바퀴를 나타낸다.4 is a view illustrating a rotational state of the lever 18. The lever 18 is installed to rotate about the hinge shaft 22,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lever 18 and the tiller body 10 are formed at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hinge shaft 22. As shown in FIG. Toothed discs 20 and 21 are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upper end of the hinge shaft 22 is provided with a pressing bar 19 for pressing the lever 18, the spring 23 is coupled to the hinge shaft (22). That is, when the push bar 19 is pulled toward the lever 18, the springs 23 are compressed and the respective tooth discs 20 and 21 are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 lever 18 is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10. When the 19 is raised, the toothed discs 20 and 21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while the spring 23 is restored. Therefore, by moving the lever 18 toward the driver's seat 25 it is possible to operate the tiller. Reference numeral 11 denotes a wheel installed in the tiller body 10.

이처럼 구성된 본 고안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어링수단(12)이 체결보울트(16) 및 너트(17)에 의해 경운기몸체(10)의 후방에 체결 고정된다. 그리고 스티어링수단(12)의 하우징(14)에 짐칸(24)이 보울트로 체결 고정되면 핸들(13)을 이용하여 경운기를 조작할수 있게된다. 핸들을 이용하여 경운기를 조작할때는 레버(18)를 경운기몸체(10)의 전방쪽으로 향하도록 이동시켜 놓아야 된다. 그 뒤 핸들을 좌우측으로 돌리면 하우징(14)이 핸들(13)의 방향과 반대로 회전되고 이때 경운기몸체(10)와 짐칸(24)이 서로 꺽이게 되먼서 방향전환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fixed to the rear of the cultivator body 10 by the steering means 12 and the fastening bolt 16 and the nut 17 as shown in FIG. When the luggage compartment 24 is fastened to the housing 14 of the steering means 12 by a bolt, the tiller can be operated using the handle 13. When operating the tiller using the handle, the lever 18 must be moved to face the front side of the tiller body 10. Then, turning the handle to the left and right, the housing 14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handle 13 at this time, the tiller body 10 and the luggage compartment 24 is bent to each other, the direction change is made naturally.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18)를 이용하여 경운기를 조작하고자 할 경우에는 핸들(13)을 스티어링수단(12)으로부터 분리시킨 뒤 레버(18)를 운전석(25) 쪽으로 이동시킨다. 레버(18)를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봉(19)을 상측으로 들어 각 톱니원판(20)(21)이 서로 분리되도록 해야된다. 그 뒤 힌지축(22)을 중심으로 레버(18)를 회전시켜 레버(18)가 운전석(25)의 중앙에 놓이게 되면 누름봉(19)을 다시 눌러 각 원판(20)(21)이 서로 결합되어 레버(18)의 유동이 억제되도록 한다. 그러면 레버(18)를 이용하여 경운기몸체(10)의 방향을 절환시킬수 있다.When the cultivator is to be operated using the lever 18 as shown in FIG. 2, the handle 13 is separated from the steering means 12 and the lever 18 is moved toward the driver's seat 25. In order to move the lever 18, it is necessary to lift the push bar 19 upward as shown in Figure 4 so that each tooth plate 20, 21 is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n, when the lever 18 is rotated about the hinge shaft 22 so that the lever 18 is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driver's seat 25, the push rods 19 are pressed again to engage each disc 20 and 21. The flow of the lever 18 is suppressed. Then, the direction of the tiller body 10 can be switched using the lever 18.

도 5는 관리기가 결합된 경운기를 나타낸 것으로서 경운기몸체(10)로부터 스티어링수단(12)을 분리 시킨 뒤 관리기(30)를 경운기몸체(10)에 연결시킨다. 이때 체결보울트(16) 및 너트(17)를 이용하여 관리기(30)의 체결구(31)가 경운기몸체(10)와 연결되도록 한다. 그리고 경운기몸체(10)의 상부에 마련된 고리(26)에 연결축(27)을 건다. 연결축(27)에는 좌석(28)과 바퀴(29)가 각각 설치되어 있어 관리기(30)를 이용해 밭갈이 등을 할 때 좌석(28)에 앉은 상태로 밭갈이를 할수 있다.5 shows the cultivator coupled to the manager, after separating the steering means 12 from the cultivator body 10 and connecting the manager 30 to the cultivator body 10. At this time, the fastener 31 of the manager 30 is connected to the tiller body 10 by using the fastening bolt 16 and the nut 17. And the connecting shaft 27 is fastened to the ring 26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tiller body 10. The connecting shaft 27 is provided with a seat 28 and the wheels 29, respectively, so that plowing in a state sitting on the seat 28 when plowing, etc. using the manager 30.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경운기에 스티어링장치를 장착하여 핸들을 이용해 경운기를 조작할수 있게된다. 따라서 경운기를 이용해 물건 등을 이동시킬 때 그 운전이 편리해 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관리기를 경운기에 장착할 때 좌석을 연결하면 밭갈이를 하는 동안 앉은 상태로 할수 있음으로 농사일이 편리해지는 등의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ering device is mounted on the tiller to operate the tiller using a handle. Therefore, when using a cultivator to move things, etc., the driving becomes effective. And when the manager is attached to the cultivator can be connected to the seat can be in a sitting state while plowing, there is an effect such as convenient farming.

Claims (3)

엔진이 장착된 경운기몸체의 후방에 짐칸이 설치되는 경운기에 있어서,In the cultivator equipped with a luggage compartment in the rear of the cultivator body equipped with the engine, 상기 경운기몸체의 후방에 체결보울트 및 너트에 의해 착탈식으로 결합되 는 스티어링수단이 구비되고,The rear of the tiller body is provided with a steering means detachably coupled by a fastening bolt and nut, 상기 스티어링수단은 상기 경운기몸체와 상기 짐칸을 연결하는 하우징이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과 짐칸의 방향을 꺽어 상기 경운기를 조향시켜주는 핸들이 구비되고,The steering means is provided with a housing that connects the tiller body and the luggage compartment, and is provided with a handle for steering the tiller by turning the housing and the luggage compartment. 상기 경운기몸체의 상부에는 상기 핸들과 같이 상기 경운기의 방향을 조향시키는 레버가 구비되고, 상기 레버는 상기 짐칸의 운전석과 상기 경운기몸체의 전방쪽으로 각각 위치 이동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경운기.The top of the cultivator body is provided with a lever for steering the direction of the cultivator, such as the handle, the cultivator,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move to the front of the driver's seat and the cultivator body, respectivel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저면과 상기 경운기몸체의 상면에 각각 톱니원판이 구비되고 상기 각 톱니원판의 중앙을 관통함과 동시에 상기 각 톱니원판이 떨어지도록하는 스프링을 갖는 힌지축이 구비되며, 상기 힌지측의 상단에 상기 레버를 눌러 상기 각 톱니원판이 치합되어 상기 레버의 방향이 절환되지 않도록하는 누름봉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경운기.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ower surface of the lever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ultivator body is provided with a sawtooth plate and a hinge shaft having a spring to penetrate the center of each sawtooth disk and the respective sawtooth disk fall off; And a pusher bar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hinge side to press the lever so that the respective tooth discs engage with each other so that the direction of the lever is not switch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운기몸체의 후방 상단에 고리가 형성되고, 상기 경운기몸체의 후방에 관리기를 장착할 때 앉을수 있도록 상기 고리에 걸리는 연결축이 구비되며 상기 연결축의 후방 상측에 앉을수 있는 좌석이 구비되고 좌석의 하부에는 바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경운기.According to claim 1, A ring is formed on the rear top of the cultivator body, the connecting shaft is provided on the hook to sit when the manager is mounted on the rear of the cultivator body and can sit on the rear upper side of the connecting shaft Cultiv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seat is provided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seat is provided with wheels.
KR2019980026354U 1998-12-24 1998-12-24 tiller KR20000013202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6354U KR20000013202U (en) 1998-12-24 1998-12-24 till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6354U KR20000013202U (en) 1998-12-24 1998-12-24 till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3202U true KR20000013202U (en) 2000-07-15

Family

ID=69508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6354U KR20000013202U (en) 1998-12-24 1998-12-24 till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3202U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1201B1 (en) * 1999-12-14 2001-10-12 임성수 Cultiva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1201B1 (en) * 1999-12-14 2001-10-12 임성수 Cultiva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327030Y2 (en)
FR2755411B1 (en) CHILD SEAT ADAPTABLE TO A MOTOR VEHICLE SEAT
KR20000013202U (en) tiller
EP0952074A3 (en) Scooter type vehicle
JPH08803Y2 (en) Support member for cultivator
JP3743946B2 (en) Rotary tiller
JP3009739U (en) Steering handle device for outboard motor
US5540308A (en) Parking lock for vehicle
JP3614788B2 (en) Parts fixture
JPH0751989Y2 (en) Auxiliary wheel attachment for unicycle
JPH06153602A (en) Walking type tiller
JPH046983Y2 (en)
JP2526860Y2 (en) Work machine detachable structure for mobile farm equipment
JPS5921055Y2 (en) Mounting support device for tillage clutch lever in tiller
US6883633B2 (en) Dual pedal foot control for hydrostatic drive
JPS6141449Y2 (en)
JP4139510B2 (en) Management machine
JPH09290776A (en) Hand-tractor operating device
JPS5941894Y2 (en) Vehicle handle device
JPH0327753U (en)
JPH0520123Y2 (en)
JPH02126570U (en)
JPH0522607B2 (en)
JP3873378B2 (en) Tractor lops
JPS6146063Y2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