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3137A - 양방향 무선호출 단말기의 위치 등록 방법 - Google Patents

양방향 무선호출 단말기의 위치 등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3137A
KR20000013137A KR1019980031823A KR19980031823A KR20000013137A KR 20000013137 A KR20000013137 A KR 20000013137A KR 1019980031823 A KR1019980031823 A KR 1019980031823A KR 19980031823 A KR19980031823 A KR 19980031823A KR 20000013137 A KR20000013137 A KR 200000131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ion registration
terminal
radio
calling terminal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1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78839B1 (ko
Inventor
김성수
조장관
김준모
Original Assignee
이봉훈
서울이동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봉훈, 서울이동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봉훈
Priority to KR1019980031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8839B1/ko
Publication of KR20000013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31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8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88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04W60/02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by periodical regist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04W60/06De-registration or detac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2Arrangements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notification or paging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22Selective call receivers
    • H04W88/023Selective call receivers with message or information receiving cap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택적 양방향 무선호출 단말기의 위치 등록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선택적 무선호출 단말기가 시스템으로 현재의 위치를 등록하는 방법과 단말의 위치등록 방법을 설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선택적 무선호출 단말기에게 위치 등록 방법을 설정하도록 선택적 양방향 무선호출 시스템에서 제어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한 무선호출 단말기는 상기 제어신호에서 설정한 위치 등록방법에 따라 동작하는 방법이 제시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설정하는 위치등록 방법으로는 호출시 위치등록, 셀이동시 위치등록, 주기적 위치등록, 수신전파 음영지역 이탈시 위치등록을 혼합하여 같이 설정하는 방법이 제시되어 있다.
상기의 발명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수개로 구성된 기지국을 포함하고 있는 선택적 양방향 시스템과 위치등록을 수행하는 선택적 양방향 무선호출 단말기로 구성되며, 상기 다수개로 구성된 기지국은 각각의 기지국을 나타내는 신호를 무선으로 무선호출 단말들이 수신할 수 있도록 규칙적으로 전송하고 있어야 하며, 이들 신호는 서로 혼선이나 간섭이 없이 무선호출 단말들이 안전하게 수신할 수 있는 방법이 제공되어야 한다.

Description

양방향 무선호출 단말기의 위치 등록 방법
본 발명은 선택적 양방향 무선호출 시스템(Selective Two Way Wireless Paging System)에서 선택적 양방향 무선호출 단말기의 자동적인 위치 등록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송신 채널의 활용 방법으로 높은 수신율과 회복력을 갖는 사이멀캐스팅 채널(simulcasting channel) 송신방식과 채널효율성과 채널 재사용이 가능한 로컬페이징 채널(local paging channel) 송신방식을 결합하여 사용하는 선택적 양방향 무선호출 시스템에서, 제어 신호를 선택적 양방향 무선호출 단말기에게 전송하여 위치 등록 방법을 설정하도록 하며 상기 설정된 위치 등록 방법들은 복수개의 서로 다른 위치 등록 방법들 일 수 있으며, 각각의 방법들에 따라 상기 무선호출 단말기는 자동으로 위치를 등록하게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선택적 단방향 무선 호출 시스템의 대표적인 것으로 POCSAG(Post Office Code Standardization Adversary Group)방식과 미국 Motorola 社의 FLEXTM방식에서는 사이멀캐스팅 채널만이 존재하고 있다. 사이멀캐스팅 채널이란 모든 기지국 반경에서 동일한 정보를 동일한 주파수로 동시에 전송하는 방식의 채널이다. 이 방식의 원형은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 방식으로서, 대형 기지국을 하나 세우고, 송신 전력 전파 세기의 반경이 최소 수 십 킬로 미터에서 수 백 킬로 미터가 되도록 하는 일반 공중 무선 방송국처럼 방송하는 것으로서, 주파수 채널당 단일망으로 존재하게 된다. 그러나 사이멀캐스팅의 방법은 하나의 대형 기지국 보다 전파 반경이 작은 소형 기지국들을 원하는 서비스 권역만큼 세우고, 단일 주파수로 동일한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하는 방식이다. 로컬페이징 채널이란 상기 각 소형 기지국에서 이웃하는 기지국마다 중첩되지 않는 서로 다른 주파수와 서로 다른 데이터를 송신하는 무선 채널로 정의한다. 이 방식은 주파수 재사용 기법을 적용한 방법으로서 무선호출 시스템의 인접한 송신 기지국마다 서로 다른 주파수로 전송하는 방식이다. 임의의 특정 주파수는 일정한 거리가 있는 송신 기지국에서 서로 다른 정보를 싣고 활성화될 수 있는데, 상기 일정한 거리는 동 채널 간섭(Co-Channel Interference)이 임계값 이하로 작용하여 실제 응용에서는 무시할 정도로 간주되어 상기 주파수를 재사용 하는 것이다. 따라서 채널의 용량은 재사용횟수만큼 증가할 수 있다.
선택적 무선호출 단말기를 상기 사이멀캐스팅 채널로 호출하는 과정은 일정서비스 권역내에 상기 무선호출 단말기가 있다고 가정하여 상기 무선호출 단말기임을 가리키는 단말기의 어드레스와 소정의 정보를 무선으로 전송하면, 상기 무선호출 단말기는 자신을 지칭하는 어드레스와 소정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상기 소정의 정보를 수신하여 해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무선호출 가입자가 증가하여 사이멀캐스팅 채널에 더 이상 가입자를 수용할 수 있을 만큼의 여유가 없으며, 더더욱 하나의 가입자에게 전송해야 할 데이터가 증가한다면, 사이멀캐스팅 채널의 주파수 부족이 심각하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러므로, 사이멀캐스팅 채널 전송 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로컬페이징 채널로 상기 무선호출 단말기를 호출한다면, 상기 무선호출 단말기가 위치하고 있는 지역의 기지국으로 상기 어드레스와 상기 정보를 전송해야 한다. 이는 상기 무선호출 단말기의 위치를 상기 시스템에서 인지하고 있어야 하며, 기존의 사이멀캐스팅 채널 전송 방식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선택적 무선 호출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하여 양방향 방식이 선택적 무선호출 방식에 도입되었으며, 이는 단말이 위치를 시스템에 알려주는 방법을 적용하기 위함이다.
현재 선택적 양방향 무선호출 방식을 적용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도의 하나의 실시예는 도 4와 같은데, 선택적 단방향 무선호출 시스템 구성과의 차이점은 선택적 무선호출 단말기에서는 송신장치와 방법이 고안되어서 포함되었으며, 시스템에서는 무선호출 단말의 송신장치에서 전송된 무선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국과 수신 제어장치가 포함된다는 점이다. 선택적 양방향 무선호출에서 무선호출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방법으로는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 공지되어 적용되고 있다.
가. 호출시 위치등록 방식
나. 셀 이동시 자동 위치등록 방식
다. 주기적 자동 위치등록 방식
라. 음영지역 탈출시 자동 위치 등록 방식
호출시 위치 등록 방식은 선택적 양방향 무선호출 단말기에게 호출할 정보가 있을 때 단말의 위치를 파악하거나 확인하기 위하여 일차적으로 위치등록을 요구하는 방식이다. 상기 시스템은 위치등록을 요구하기 위하여 상기 무선호출 단말기에게 항상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도록 채널을 할당해야 한다. 이러한 용도의 채널을 제어채널이라고 정의한다.
셀 이동시 자동 위치 등록 방식은 제어채널이 별도로 필요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장점을 가지며, 상기 선택적 무선호출 단말기가 기지국의 전파 수신 반경 지역인 셀(Cell)을 이동하게되면 그 상황을 파악하여, 선택적 무선호출 시스템으로 위치를 등록하는 방식이며, 상기 시스템에서는 무선호출 단말기의 최근 등록 위치로 호출하게 된다. 셀 이동시 위치등록 방식에 관하여 도 5를 참고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양방향 무선 호출 단말기 2는 셀 2에 위치하고 있으면서 계속 혹은 주기적으로 수신 대기 및 수신 상태로 존재한다.
양방향 무선 호출 단말기 2는 송신국 2로부터 무선 수신된 메시지의 내용중 송신국 2를 나타내는 신호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있다가, 단말 1의 위치로 이동하게 되면서 송신국 2의 전력이 감소되고 있음을 판단할 수 있다. 만일, 양방향 무선 호출 단말기 2가 셀 2에 계속 남아 있다면, 계속 수신이 가능한 지역이기 때문에 위치등록이 일어나지 않는다.
하지만 만일 상기 단말기 2가 단말기 1의 위치보다도 더 진행하여 전용 셀 3의 지역이나 혹은 전용 셀 1의 지역에 위치하게 되면 셀 2로부터의 메시지를 더 이상 수신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단말은 스스로 이동한 셀 지역을 판단해야 하는데, 셀 1 지역으로 이동했다면 송신국 1에 대한 정보를 수신해야 하며, 셀 3지역으로 이동했다면 송신국 3에 대한 정보를 수신해야만 한다.
이동한 셀의 지역을 판별하였다면 단말은 역방향 채널로 수신국들에게 이동한 셀 지역을 알려 줄 수 있다. 이 과정이 셀 이동시 위치 등록 과정이다.
주기적 위치 등록 방식은, 선택적 무선호출 단말기가 셀을 이동했는지의 여부를 파악하지 않으며, 단순히 일정한 시간 마다 상기 시스템에게 위치를 알 수 있도록 특정한 신호만을 송신하는 방식이다. 상기 시스템은 상기 무선호출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들을 동원하게 되는데, 수신된 위치 등록 신호를 수신한 무선호출 수신국들의 지리적인 분포와 수신 신호 세기(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로부터 위치를 추정하는 방식과 현재의 위치가 어디인지 정확한 판단을 위한 위치 궤적 추적 방식을 적용하게 된다.
음영지역 탈출시 위치등록 방식은 호출시 위치등록 방식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적용하는 방식으로서, 즉 전파 음영지역에 선택적 양방향 무선호출 단말기가 위치하고 있어서 상기 무선호출 단말기가 자신의 셀위치를 파악하지 못하거나, 혹은 주기적으로 등록하려고 정보를 무선으로 송신해도 상기 시스템에서 수신하지 못하는 상황인 경우에는, 상기 무선호출 시스템이 상기 무선호출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지 못하게 되며, 이는 제어채널로 위치등록 요구에도 불구하고 무선호출 단말기의 위치 등록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이는 호출하게 될 정보를 계속 시스템에서 보관해야 하며, 그 보관 기간에 문제가 발생하게 될 수 있는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함이다. 상기 무선호출 단말기는 음영지역에서 벗어나게 되면 즉시 호출시 위치등록요구가 없어도 위치 등록을 하게 되면, 상기 무선호출 시스템은 그동안 상기 무선호출 단말기에게 호출되지 않은 정보를 전송할 수 있음을 인지하게 되며, 이는 호출 정보를 보관에 따른 시스템 부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상기의 모든 위치등록 공지 기술들은, 이미 선택적 무선호출 시스템에서 임의의 위치 등록 기술을 선택하여 적용하고 있어왔으며, 위치등록 방식을 변경하거나 추가 혹은 해제할 수 없었으며, 모든 상기의 무선호출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모든 무선호출 단말기가 동일한 위치 등록 방법을 적용하고 있다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특징점들로부터 상기의 선택적 무선호출 시스템은 선택한 방식마다의 고유의 장단점이 있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점들이 있으며 이들은 다음과 같다.
호출시 위치등록 방식은 무선호출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상기의 무선호출 시스템에서 파악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발생하는 호출 지연 시간이 필연적으로 존재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셀 이동시 위치등록 방식은 무선 호출 단말기의 이동량에 따라 실제 호출이 존재하지 않아도 상기의 시스템에서 위치 추적을 위해 시스템부하가 발생하며, 이는 출퇴근시, 시스템에 과부하가 걸릴 가능성이 많다는 문제점과 또한 무선호출 단말기의 입장에서도, 이동량이 많을 경우 빈번한 위치 등록에 따른 전원 소비량의 증가로 인한 밧데리 사용 시간의 감소라는 문제점이 있다.
주기적 위치등록 방식은 일정 주기마다 위치 등록을 함에 따른 상기 무선호출 단말기에서 송신하는 무선채널간의 충돌이 빈번하게 발생하며, 빈번한 정도에 따라 무선호출 단말기의 전원 소모량이 증가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만일 빈번하지 않은 위치등록을 적용하면, 실제 상기 무선호출 단말기의 위치와 상기 무선호출 시스템이 추적하고 있는 위치 기록 간의 오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호출 수신율이 저조해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의 위치등록 방식들의 문제점은 상호 보완적인 요소와 상호 배타적인 요소를 가지고 있으며, 위치 등록 방식을 변경하지 못하기 때문에 셀 이동시 위치 등록 방식을 적용하게 되어 발생하는 문제점 혹은 주기적 위치 등록 방식을 적용하게 되어 발생하는 문제점들이 해결이 안되고 그대로 노출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상이한 위치 등록방식을 무선호출 단말기에게 추가, 변경, 혹은 해제와 같은 설정을 제어할 수 있게함에 따라 시스템의 과부하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조절하며 무선호출 단말기의 밧데리 절약을 조절할 수 있게 하는 데 있다. 이러한 위치등록 방법의 설정을 제어하는 것은 적은 용량의 무선호출 시스템으로도 수많은 가입자의 무선호출 단말기 위치를 파악할 수 있음은 물론, 일시에 많은 무선호출 단말기가 셀을 이동함으로써 발생되는 시스템의 폭주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전파 음영지역에서도 수신될 메시지에 대한 처리를 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1 기술적 사상은 선택적 양방향 무선호출 방식에서 제어채널을 통해 임의의 선택적 양방향 무선호출 단말기 혹은 전체 선택적 양방향 무선호출 단말기들에게 위치등록 방식을 설정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 2 기술적 사상은 임의의 위치등록 방식에 대하여 복수로 혼합하여 설정할 수 있게 하며, 또한 혼합해 설정된 위치등록 방식에 대하여 임의의 위치등록 방식을 해제할 수 있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 3 기술적 사상은 무선호출 단말기에게 셀 정보를 정확히 전달해 주기위해 셀마다 고유 번호를 할당하며, 이에 따라 각 위치등록 방식에서 정확한 위치정보로 위치등록할 수 있는 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 방법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데이터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 방법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데이터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 방법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데이터 흐름도.
도 4는 양방향 무선 호출 시스템의 개략도
도 5는 양방향 무선 호출 시스템에서의 위치 등록을 나타낸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무선호출 시스템
2 : 무선호출 단말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첨부한 하나의 실시예에 관한 도면을 참고로 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청구된 요지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또다른 실시예가 주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낸 데이터 흐름도이며, 이에 따르면 선택적 양방향 무선호출 시스템(1)에서 양방향성을 갖는 특정가입자의 선택적 양방향 무선호출 단말기(2)를 제어채널인 사이멀캐스팅 채널을 통해 위치등록 요구 신호를 송출하면, 상기 무선호출 단말기는 상기 제어채널을 통해 상기 신호를 수신하게 되며, 이에 따라 위치등록 동작을 실시하게 된다. 이 과정은 호출시 위치 등록 과정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를 나타낸 데이터 흐름도이며, 이에 따르면 상기 무선호출 시스템(1)에서 양방향성을 갖는 특정가입자의 선택적 양방향 무선호출 단말기(2)의 이동성과 수신상태, 호출빈도 통계 혹은 시스템 부하 정도등을 파악하여 상기 제어채널을 통해 주기적 위치 등록 설정 혹은 해제 신호를 송출하면, 상기 무선호출 단말기(2)는 상기 재어채널로부터 상기 설정 혹은 해제 신호를 수신하게 되며, 상기 무선호출 단말기(2)는 주기적 위치등록 방법을 추가 혹은 해제하게 되며, 상기 신호에 의한 동작을 실시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세 번째 실시예를 나타낸 데이터 흐름도로서, 이에 따르면 상기 무선호출 시스템(1)에서 양방향성을 갖는 특정가입자의 선택적 양방향 무선호출 단말기(2)의 이동성과 수신상태, 호출빈도 통계, 혹은 시스템의 부하 등을 파악하여 상기 제어채널을 통해 셀 이동시 위치 등록 설정 혹은 해제 신호를 송출하면, 상기 무선호출 단말기(2)는 상기 재어채널로부터 상기 설정 혹은 해제 신호를 수신하게 되며 이에 따라 셀 이동시 위치등록 방법을 추가 혹은 해제하게 되며, 상기 신호에 의한 동작을 실시하게 된다.
물론, 상기 실시예들에 있어서 각 선택적 양방향 무선호출 단말기(2)로부터 위치등록을 받을 상기 무선호출 시스템(1)은 각각의 선택적 양방향 무선호출 단말기에 각 위치등록 방법을 복합적으로 설정 혹은 해제하도록 제어채널을 통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들에 있어서 각 선택적 양방향 무선호출 단말기(2)들은 각 위치등록 방법을 설정 혹은 해제하였을 때 상기 무선호출 시스템(1)으로 확인 응답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들에 있어서 셀이동시 위치등록 방식의 경우, 선택적 양방향 무선호출 단말기가 셀을 이동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해야 하기 때문에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고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선택적 양방향 무선호출 시스템에서는 기지국마다 고유의 채널 혹은 고유의 슬롯을 쓰거나, 혹은 포인트 호출 채널에서 셀 정보를 알려주어야 한다. 셀정보의 구성은 최소한 셀 식별자가 포함되며, 부가적으로 서비스 권역 정보, 서비스 공급자 정보, 주파수 정보 등이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셀정보를 수신하게 되는 선택적 양방향 무선호출 단말기들은 셀 정보를 수신하면서 위치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셀 이동시 위치등록 정보에는 셀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같은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이 적용되기 위한 기본 전제는 시스템과 단말간의 항상적 혹은 규칙적으로 데이터 전송 채널이 있어서 시스템에서 요구하는 사항이 단말에게 전달될 수 있어야 하는 점인데, 상기의 채널을 제어 채널로 명한다. 제어채널의 하나의 실시예로는 사이멀캐스팅 채널 혹은 브로드캐스팅 채널이 있을 수 있으며, 또 다른 실시예로는 채널 주파수와는 상관없이 주기적인 시간 단위(Time Division Sharing)를 제어용도로 적용하고, 모든 무선호출 단말기가 그 주기적 단위 시간에서 수신가능하도록 하는 제어채널을 제공할 수 도 있다.
상기의 다양한 제어채널의 기본적인 목적은, 상기 무선호출 시스템(1)에서 선택적 양방향 무선호출 단말기(2)로의 규칙적인 채널 할당이라는 점에 있다. 그럼으로써 상기 무선호출 단말기(2)는 주기성 혹은 규칙성을 가지고 해당 제어 채널을 액세스(access)해야 하며, 상기 무선호출 시스템(1)은 상기 무선호출 단말기(2)에게 제어 채널을 해당 단말이 주기성 혹은 규칙성을 가지고 액세스하는 것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호출 단말기(2)를 통제(control)할 수 있어야 한다.
상기의 무선호출 단말기에게 전송할 정보의 양이 일정량 이상이 되어 제어 채널로 정보를 보내지 못할 때, 데이터 채널로 전송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는데, 기존 단방향 무선 호출의 대표적인 POCSAG(Post Office Code Standardization Advisory Group) 방식이나 Motorola Inc.의 FLEXTM방식은 채널의 경우 제어 채널과 데이터 채널의 구분이 없으며, 단지 정보를 전송하는 약속된 하나의 주파수가 채널이며, 이를 통해 단방향 무선 호출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선택적 양방향 무선 호출 방식에서의 제어채널과 데이터 채널은 여러 방식으로 존재한다. 주파수가 서로 다른 경우, 주파수가 동일하지만 시간적으로 다른 경우, 그리고 주파수와 시간이 일정한 규칙성을 가지고 변하는 경우로 구분할 수 있으며, 어느 방식이건 간에 양방향 무선 호출 방식에서는 선택적 양방향 무선호출 단말기가 항상 시스템으로부터 제어될 수 있는 제어 채널이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채널을 통해 상기 시스템(1)에서 필요한 경우 언제나 선택적 양방향 무선호출 단말기에게 특정한 요구를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선택적 무선호출 단말기에 내장된 무선 모듈 장치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상기 무선호출 단말기의 위치 등록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하는 점을 본 발명이 적용되기 위한 또 하나의 기본 전제로 한다. 상기의 전제 각각은 모두 공지 기술들이다.
선택적 양방향 무선호출 시스템에서 선택적 양방향 무선호출 단말기에게 위치등록 방식을 설정 혹은 해제하도록 제어하는 본 발명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상기 무선호출 시스템은 제어채널을 통해 제어 명령 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하는데, 제어 명령 신호에는 선택적 양방향 무선호출 단말기들의 위치등록 방식 각각에 대한 설정 혹은 설정 해제 명령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며, 위치등록 방식들로는 상기한 셀이동시 위치등록 방식, 상기한 주기적 위치등록 방식, 상기한 수신전파 음영지역 이탈시 위치등록 방식들이 올 수 있다. 제어채널을 통해 무선으로 전송된 제어명령 신호중에서 위치등록 방식에 대한 설정 혹은 설정해제에 관한 명령 정보가 포함되며, 최소한 하나의 특정 선택적 양방향 무선호출 단말기를 지칭하는 단말기 식별자(ID=Identity)가 상기 명령 정보와 연관되고, 상기한 특정 무선호출 단말기가 상기 명령정보를 오류없이 수신하고 해석하면, 상기 특정 무선호출 단말기는 기존에 설정되어 동작중이던 위치등록 방식을 상기한 명령정보에 따라 변경하게 된다. 상기한 명령정보에 따라 변경된 위치등록 방식을 적용하게 되는 상기 무선호출 단말기는 설정된 위치등록 방식에 따라 위치등록을 실시하도록 동작한다. 상기한 위치등록 설정 제어 정보는 최소한 상이한 위치등록 방식을 구별할 수 있는 정보가 포함된다.
상기한 위치등록 설정 제어 정보는 각각의 위치등록 방식에 대한 설정 혹은 설정해제를 나타낼 수 있는 필드를 더 포함할 수 도 있다. 상기한 위치등록 설정 제어 정보는 위치등록 시작시간 혹은 종료시간 혹은 금지시간을 나타낼 수 있는 필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한 위치등록 설정 제어 정보는 특정 위치에 대하여 위치등록을 실시 혹은 실시배제를 지정하는 필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한 위치등록 설정 제어 정보에는 위치등록 실행 시간을 나타내는 필드 혹은 위치등록 실행 시간표를 지시하는 필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설명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하나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위치등록 설정 제어 명령어 ( 1 word = 32 bits )
명령어 유형 타입 내용 채널코드
0 4 5 7 8 20 21 31
위치등록제어 a b c x x x x x x x x x x x x x BCH (31,21,2)
상기 도표의 위치등록 제어를 나타내는 명령어는 임의로 정의될 수 있다. 위치등록 타입은 a b c 로 설정할 수 있는데, a 는 주기적 위치등록을 나타내는 플래그, b 는 셀이동시 위치 등록 설정을 나타내는 플래그, c 는 전파음영지역 이탈시 위치등록을 나타내는 플래그로 정의할 수 있으며, 각 플래그를 ON, 즉 1로 세팅하면 설정, 각 플래그를 OFF 즉 0으로 세팅하면 설정해제로 정의할 수 있다. 각 위치등록 방법에 따라 내용 필드의 13 비트는 설정 방법에 따라 달리 정의될 수 있다. 그것은 상기한 바와 같이 시간을 나타낼 수도 있으며, 특정 셀을 정의할 수 있으며, 주기성을 나타내는 파라미터가 될 수 있으며, 양방향 무선호출 단말기마다 설정값을 달리 정의할 수 있는 특정 테이블을 가리키는 파라미터가 될 수도 있다. 상기 특정 테이블로는 시간에 대한 정보, 주기성에 대한 정보, 셀에 대한 정보, 시간 규칙성에 대한 정보등이 올 수 도 있다.
상기 도표에 나타나 있는 위치등록 명령어와 특정 양방향 무선호출 단말기를 지칭하는 단말 식별자가 서로 연관을 맺어 상기 무선호출 단말기에 대한 위치등록 설정을 제어할 수 있으며, 혹은 단말 식별자를 복수로 지정하도록 연관을 맺을 수 있으며, 혹은 단말 전체를 나타내는 방법을 적용할 수 도 있다. 이들은 모두 단말을 언급하는 필드를 둠으로써 해결할 수 있으며, 단말을 언급하는 필드를 두지 않고도 단말 식별자들이 연속적으로 전송하는 신호에 나타내게 하여 해결할 수도 있으며, 혹은 일정한 신호 위치에 단말 식별자를 나타내게 함으로써 해결할 수도 있다. 이러한 모든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으며, 위치 등록 방법을 선택적 양방향 무선호출 단말기에게 전송함으로써 선택적 양방향 무선호출 시스템에서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또 다른 실시예가 주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선택적 양방향 무선호출 시스템에서 통상시 양방향 무선호출 단말기를 호출시 마다 위치 등록을 요구하지만, 그들의 이동성과 단말기의 수신 상태 등을 파악하여 필요에 따라 주기적 위치 등록 또는 셀 이동시 위치 등록 혹은 전파 음영지역 이탈시 위치등록 방식 중 임의의 방식을 복수로 선택적으로 채택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으므로, 채널 및 시스템 혹은 무선호출 단말기의 상태에 따라 가장 적합한 위치등록 방식을 적용할 수 있게 되어 무선호출 시스템의 트래픽 용량을 최적화된 상태에서 최적의 위치등록 조건으로 운영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시스템의 폭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과 잦은 위치 등록으로 인한 밧데리의 과대 소모 혹은 메시지 수신율 증가의 장점을 수용할 수 있다.

Claims (12)

  1. 선택적 양방향 무선호출 시스템(1)은 시스템의 송신기와 수신기가 각각 복수로 구성되어 있으며, 선택적 양방향 무선 호출 단말기(2)는 최소한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무선호출 단말기는 단말 식별자를 가져서 선택적 무선호출 작용이 발생될 수 있으며, 상기 시스템(1)은 제어채널이 존재하여 위치등록 요구신호를 상기 무선호출 단말기(2)에게 전송하게 됨에 따라, 상기 무선호출 단말기(2)의 위치를 등록하는 방식은 무선 호출 단말기(2)에 내장된 무선 송수신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시스템(1)의 수신기로 위치등록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시스템(1)의 수신기는 상기 신호를 수신하게 되어 상기 시스템(1)으로 상기 신호로부터 상기 무선호출 단말기의 단말 식별자와 위치등록 신호를 전송하는데 있어서,
    상기 선택적 양방향 무선호출 시스템(1)은 상기 선택적 양방향 무선호출 단말기(2)에게 위치등록 방법을 나타내는 제어신호를 제어채널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양방향 무선호출 단말기(2)는 상기 제어채널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양방향 무선호출 단말기(2)가 상기 제어 신호로부터 위치등록 방법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호출 단말기(2)가 양방향 무선 호출 시스템(1)으로부터의 로컬페이징 채널의 기지국 식별 정보를 주기성 혹은 규칙성을 가지고 수신하여 기지국 식별 정보를 계속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호출 단말기(2)는 상기 설정된 위치등록 방법에 따라, 위치등록 조건에 합당하는 상황에서 위치 등록 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양방향 무선호출 단말기의 위치 등록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에는 주기적 위치등록 설정 혹은 설정 해제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무선호출 단말기의 위치 등록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에는 셀이동시 위치등록 설정 혹은 설정 해제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무선호출 단말기의 위치 등록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에는 수신전파 음영지역 이탈시 위치등록 설정 혹은 설정 해제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무선호출 단말기의 위치 등록 방법.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에는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무선호출 단말기의 위치등록 방법.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에는 특정 셀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무선호출 단말기의 위치등록 방법.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에는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무선호출 단말기의 위치등록 방법.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에는 특정 셀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무선호출 단말기의 위치등록 방법.
  9.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에는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무선호출 단말기의 위치등록 방법.
  10.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에는 특정 셀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무선호출 단말기의 위치등록 방법.
  11. 선택적 양방향 무선호출 시스템(1)은 시스템의 송신기와 수신기가 각각 복수로 구성되어 있으며, 선택적 양방향 무선 호출 단말기(2)는 최소한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무선호출 단말기는 단말 식별자를 가져서 선택적 무선호출 작용이 발생될 수 있으며, 상기 시스템(1)은 제어채널이 존재하여 위치등록 요구신호를 상기 무선호출 단말기(2)에게 전송하게 됨에 따라, 상기 무선호출 단말기(2)의 위치를 등록하는 방식은 무선 호출 단말기(2)에 내장된 무선 송수신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시스템(1)의 수신기로 위치등록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시스템(1)의 수신기는 상기 신호를 수신하게 되어 상기 시스템(1)으로 상기 신호로부터 상기 무선호출 단말기의 단말 식별자와 위치등록 신호를 전송하는데 있어서,
    상기 무선호출 단말기(2)의 위치등록 방법은 주기적 위치 등록 방법, 셀 이동시 위치 등록 방법을 혼합하여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무선호출 단말기의 위치등록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위치 등록 방법은 수신전파 음역 지역 이탈시 위치등록 방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무선호출 단말기의 위치등록 방법.
KR1019980031823A 1998-08-05 1998-08-05 양방향 무선호출 단말기의 위치 등록 방법 KR1002788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1823A KR100278839B1 (ko) 1998-08-05 1998-08-05 양방향 무선호출 단말기의 위치 등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1823A KR100278839B1 (ko) 1998-08-05 1998-08-05 양방향 무선호출 단말기의 위치 등록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3137A true KR20000013137A (ko) 2000-03-06
KR100278839B1 KR100278839B1 (ko) 2001-01-15

Family

ID=19546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1823A KR100278839B1 (ko) 1998-08-05 1998-08-05 양방향 무선호출 단말기의 위치 등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88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7513B1 (ko) * 2002-11-18 2010-03-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착신불능 안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7513B1 (ko) * 2002-11-18 2010-03-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착신불능 안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78839B1 (ko) 200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76905A (en) Mobile radio transmission system using preferred home service area
CN1926787B (zh) 用于在正交频分多址系统中分配信道的方法及设备
EP0417986B1 (en) Telephone system
CA2024363C (en) Radio channel allocation based on location of mobile users
KR100325259B1 (ko) 셀룰러무선시스템및이동무선장치
JP3248498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
US6385457B1 (en) Method and arrangement relating to radio communications systems
JP3397328B2 (ja) Tdma無線通信方式並びに無線通信を行う基地局装置及び加入者局装置
JPH05292012A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の輻輳制御方式
FI97658B (fi) Menetelmä häiriöön reagoimiseksi matkaviestinjärjestelmässä
EP0792565A1 (en) Wireless communication registration management system
WO1995008902A1 (en) A registration method in a cellular mobile radio system
US5247698A (en) Use of an audit message sent to mobile stations to confirm the location thereof
US2009004258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ing paging in a communication network
JPH0616603B2 (ja) 移動体通信方式
WO2006112785A1 (en) Selective transmission of mobile radio communications system service information
EP0592608B1 (en) A method and system for handling improper registrations
CN101123809B (zh) 在多频段网络中终端位置登记、寻呼终端的方法及设备
JP2606570B2 (ja) 無線電話システムの通信制御方式
US598275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gistering a remote unit in a communication system
US5329574A (en) Method for improving telephone resource access in a communication system network
KR100291613B1 (ko) 전기통신시스템및이전기통신시스템에사용하기위한주국및종국
KR100278839B1 (ko) 양방향 무선호출 단말기의 위치 등록 방법
US6778829B1 (en) Method for indicating unusable sites to communication units in a communication system
US9591610B1 (en) Method and system for zone based paging based on conges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