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3093U - 헤어 브러시 - Google Patents

헤어 브러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3093U
KR20000013093U KR2019980026221U KR19980026221U KR20000013093U KR 20000013093 U KR20000013093 U KR 20000013093U KR 2019980026221 U KR2019980026221 U KR 2019980026221U KR 19980026221 U KR19980026221 U KR 19980026221U KR 20000013093 U KR20000013093 U KR 2000001309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insertion hole
handle
connecting rod
flat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62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38101Y1 (ko
Inventor
김문제
Original Assignee
김문제
주식회사 금덕양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문제, 주식회사 금덕양행 filed Critical 김문제
Priority to KR20199800262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8101Y1/ko
Publication of KR200000130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309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81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8101Y1/ko

Link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연결봉을 이용하여 브러시부와 손잡이부의 자유로운 착탈을 가능하게 하는 헤어 브러시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헤어 브러시는, 다수개의 브러시모(12)를 갖고, 일측에 삽입구(10a)가 형성되는 브러시부(10)와,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기에 용이하도록 길쭉하게 형성되고, 일측에 삽입구(30a)가 형성된 손잡이부(30) 및 상기 브러시부(10)와 상기 손잡이부(30)가 서로 착탈 가능하도록 일측단부에, 상기 브러시부(10)의 삽입구(10a)에 억지끼워맞춤으로 삽입되도록 양측편이 평평하고 납작한 형상의 납작머리(22)가 형성되고, 상기 납작머리(22)의 중심부에 상기 양측편의 일부가 개방된 형태의 원통형 중공부를 갖는 사이홈(22a)이 형성되며, 상기 납작머리(22)의 원주면에, 상기 브러시부(10)의 삽입구(10a)에 형성된 홈에 억지 끼워맞춤되는 돌기가 형성되고, 타측단부가 상기 손잡이부(30)의 삽입구(30a)에 삽입되는 연결봉(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브러시부와 손잡이부 및 연결봉의 자유로운 착탈이 가능하여 사용할 때 상기 브러시부 또는 상기 손잡이부의 교체가 용이하고, 보관할 때 좁은 공간에서의 밀착된 수납이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헤어 브러시
본 고안은 헤어 브러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결봉을 이용하여 브러시부와 손잡이부의 자유로운 착탈을 가능하게 하는 헤어 브러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헤어 브러시는 모발을 가지런히 하는 등 모발의 형태를 꾸미는 데 사용되는 도구의 일종으로서, 가정 또는 미용실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일상의 물건이다.
이러한, 헤어브러시의 종류 및 형태는 그 용도에 따라서 매우 다양하나 통상적으로 헤어 브러시는, 다수개의 브러시모가 나란히 부착되어 있는 브러시부와, 상기 브러시부에 고정되고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형성된 손잡이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브러시부와 상기 손잡이부는, 통상 일체를 이루어 형성되거나, 본딩에 의해 서로 고정되어 있고, 그 주요 재료로는 금속이나 플라스틱이 또는 나무 등이 사용된다.
이외에도, 상기 브러시부와 상기 손잡이부가 힌지결합되어 있어서 휴대 중에는 접어서 보관하고, 사용 중에는 펼쳐서 머리를 빗을 수 있는 구성의 헤어브러시도 사용되고 있다.
한편, 상기 브러시부의 형태는 머리를 빗는 방법이나 머리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개발되어 사용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상기 브러시모가 원기둥의 원주면에 방사상으로 돌출된 롤형상의 브러시부나, 상기 브러시모가 나란히 일렬로 형성되는 일렬형 브러시부나, 상기 브러시모가 다열로 형성되는 다열형 브러시 또는 상기 브러시모의 간격이 촘촘하거나 듬성듬성한 브러시부 등이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헤어 브러시는, 공장에서 상기 브러시부와 상기 손잡이부를 일체형으로 제작하거나 상기 브러시부에 상기 손잡이부를 영구 고정시켜서 제작하는 것으로서, 서로 분리가 불가능하여 사용자가 다른 형태의 브러시부를 필요로 할 경우 새로운 헤어 브러시를 별도로 구입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설혹 상기 브러시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분리가 가능하더라도, 이들의 재결합 및 사용후 좁은 공간에서의 보관이 불편하여 상기 브러시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자유로운 착탈이 불가능했었다.
또한, 사용자의 취향이나 사용하는 손의 형상 등에 의한 다양한 종류의 손잡이부만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브러시부와 손잡이부 및 연결봉의 자유로운 착탈이 가능하여 사용할 때 상기 브러시부 또는 상기 손잡이부의 교체가 용이하고, 보관할 때 좁은 공간에서의 밀착된 수납이 가능하게 하는 헤어 브러시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브러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1의 헤어 브러시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3a는 도1의 연결봉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b는 도1의 연결봉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c는 도1의 연결봉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브러시부 10a, 30a: 삽입구
10b, 30b: 키돌기 10c: 둥근주름홈
12: 브러시모 20: 연결봉
20b, 22b: 키홈 22: 납작머리
22a: 사이홈 22c: 둥근주름돌기
30: 손잡이부 30c: 관통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헤어 브러시는, 다수개의 브러시모를 갖고, 일측에 삽입구가 형성되는 브러시부와,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기에 용이하도록 길쭉하게 형성되고, 일측에 삽입구가 형성된 손잡이부 및 상기 브러시부와 상기 손잡이부가 서로 착탈 가능하도록 일측단부에, 상기 브러시부의 삽입구에 억지끼워맞춤으로 삽입되도록 양측편이 평평하고 납작한 형상의 납작머리가 형성되고, 상기 납작머리의 중심부에 상기 양측편의 일부가 개방된 형태의 원통형 중공부를 갖는 사이홈이 형성되며, 상기 납작머리의 원주면에, 상기 브러시부의 삽입구에 형성된 홈에 억지 끼워맞춤되는 돌기가 형성되고, 타측단부가 상기 손잡이부의 삽입구에 삽입되는 연결봉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브러시부의 삽입구와 상기 손잡이부의 삽입구에 각각 키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브러시부의 삽입구와 상기 손잡이부의 삽입구에 각각 삽입되는 상기 연결봉의 납작머리 및 이에 대응하는 타측단부에 상기 키돌기와 결합되는 키홈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브러시부와 상기 손잡이부는, 동일한 규격의 삽입구를 갖는 다양한 종류의 다른 브러시부와 다른 손잡이부에 의해 서로 교체가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헤어 브러시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헤어 브러시는, 브러시부(10)와, 손잡이부(30) 및 상기 브러시부(10)와 상기 손잡이부(30)를 연결하는 연결봉(20)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브러시부(10)는, 일측에 다수개의 브러시모(12)가 다열을 이루어 나란히 배치되어 있고, 그 목을 이루는 부분에 상기 연결봉(20)이 삽입되도록 삽입구(10a)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30)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기에 용이하도록 길쭉한 막대기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단면에 상기 연결봉(20)이 삽입되도록 또 다른 삽입구(30a)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브러시부(10)와 상기 손잡이부(30)를 연결하는 상기 연결봉(20)은, 상기 브러시부(10)와 상기 손잡이부(30)가 서로 착탈 가능하도록 그 사이를 연결해 주는 연결부재로서, 일측단부에 납작머리(22)가 형성되어 상기 납작머리(22)가 상기 브러시부(10)의 삽입구(10a)에 억지끼워맞춤으로 삽입되고, 타측단부는 상기 손잡이부(30)의 삽입구(30a)에 삽입되어 끼워맞춤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끼워맞춤구조에서 상기 브러시부(10)와 상기 손잡이부(30)가 서로 헛돌지 않도록 상기 브러시부(10)의 삽입구(10a)에 키돌기(10b)가 형성되고, 상기 브러시부(10)의 삽입구(10a)에 삽입되는 상기 연결봉(20)의 납작머리(22) 일측단부에 상기 키돌기(10b)와 결합되는 키홈(22b)이 형성된다.
또한, 이와 동일하게 상기 손잡이부(30)의 삽입구(30a)에도 키돌기(30b)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30)의 삽입구(30a)에 삽입되는 상기 연결봉(20)의 타측단부에도 상기 키돌기(30b)와 결합되는 키홈(20b)이 형성된다.
이러한, 헛돌기를 방지하는 상기 키돌기(10b)(30b)와 상기 키홈(22b)(20b)은 매우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연결봉(20)과 상기 삽입구들(10a)(30a)의 모양이 원형이 아닌 각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등 헛돌기 방지를 위한 기술은 해당분야에 종사하는 당업자에 있어서, 수정 및 변경이 용이한 것이다.
한편, 상기 연결봉(20)은, 도3a, 도3b, 도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러시부(10)의 삽입구(10a)에 삽입되는 일측단부에 양측편이 평평하도록 납작한 형상의 납작머리(22)가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납작머리(22)의 중심부에 양측편의 일부가 개방된 형태의 원통형 중공부를 갖는 사이홈(22a)이 형성되며, 상기 납작머리(22)의 원주면에 둥근주름돌기(22c)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둥근주름돌기(22c)는, 상기 브러시부(10)의 삽입구(10a)에 삽입되어 상기 브러시부(10)의 삽입구(10a) 내벽에 형성된 도2의 둥근주름홈(10c)에 억지끼워맞춤으로 걸리는 것으로서, 끼워맞춤된 상기 연결봉(20)이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사이홈(22a)은 이러한 상기 둥근주름돌기(22c)가 양편으로 형성된 상기 납작머리(22)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좌우로 가르는 형상이기 때문에 직경이 상기 브러시부(10)의 삽입구(10a)보다 큰 상기 둥근주름돌기(22c)가 억지로 상기 삽입구(10a)에 삽입될 때 그 간격이 오므려짐으로써 상기 납작머리(22)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둥근주름돌기(22c)가 상기 둥근주름홈(10c)에 도달되면 그 간격이 원상태로 환원되어 상기 둥근주름돌기(22c)가 상기 둥근주름홈(10c)에 걸려서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납작머리(22)는 상기 사이홈(22a)을 기준으로 일정한 간격의 오므림과 벌림이 가능한 탄성재질(예를 들면, 금속이나, 고무 또는 플라스틱)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본 고안의 헤어 브러시의 조립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상기 연결봉(20)을 상기 키홈(20b)과 상기 키돌기(30b)에 맞추어 상기 손잡이부(30)의 삽입구(30a)에 삽입한다.
이어서, 상기 연결봉(20)과 상기 손잡이부(30)가 완전히 끼워 맞추어지면 상기 손잡이부(30)의 외부로 노출된 상기 연결봉(20)의 납작머리(22)를 상기 키홈(22b)과 상기 키돌기(10b)에 맞추어 상기 브러시부(10)의 삽입구(10a)에 삽입하게 된다.
이때, 상기 납작머리(22)는 오므려져서 상기 삽입구(10a)에 삽입되고, 삽입이 완료되면 상기 납작머리(22)가 복원력에 의해 벌려지면서 상기 납작머리(22)의 둥근주름돌기(22c)가 상기 삽입구(10a) 내벽에 형성된 도2의 상기 둥근주름홈(10c)에 억지 끼워맞춤된다.
이러한 체결과정에서 상기 연결봉(20)의 연결순서는 중요하지 않고, 분해과정은 상기 체결과정의 반대이다.
그러므로, 상기 브러시부(10)와 상기 손잡이부(30)는, 동일한 규격의 삽입구(10a)(30a)를 갖는 다양한 종류의 다른 브러시부(10) 또는 다른 손잡이부(30)에 의해 서로 교체가 가능한 것이다.
즉, 이러한 본 고안의 헤어 브러시는, 브러시부(10)와 손잡이부(30)의 분리가 가능하여 사용자가 다른 형태의 브러시부(10)를 필요로 할 경우 간단히 브러시부(10)만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어서 새로운 헤어 브러시를 별도로 구입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또한, 사용을 마친 후 분해하여 좁은 공간에 쉽게 보관할 수 있고, 상기 브러시부(10)와 상기 손잡이부(30)의 착탈이 자유로워 신속한 사용이 가능하며, 사용자의 취향이나 사용하는 손의 형상 등에 의한 다양한 종류의 손잡이부(30)만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헤어 브러시에 의하면, 브러시부와 손잡이부 및 연결봉의 자유로운 착탈이 가능하여 사용할 때 상기 브러시부 또는 상기 손잡이부의 교체가 용이하고, 보관할 때 좁은 공간에서의 밀착된 수납이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3)

  1. 다수개의 브러시모(12)를 갖고, 일측에 삽입구(10a)가 형성되는 브러시부(10);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기에 용이하도록 길쭉하게 형성되고, 일측에 삽입구(30a)가 형성된 손잡이부(30); 및
    상기 브러시부(10)와 상기 손잡이부(30)가 서로 착탈 가능하도록 일측단부에, 상기 브러시부(10)의 삽입구(10a)에 억지끼워맞춤으로 삽입되도록 양측편이 평평하고 납작한 형상의 납작머리(22)가 형성되고, 상기 납작머리(22)의 중심부에 상기 양측편의 일부가 개방된 형태의 원통형 중공부를 갖는 사이홈(22a)이 형성되며, 상기 납작머리(22)의 원주면에, 상기 브러시부(10)의 삽입구(10a)에 형성된 홈에 억지 끼워맞춤되는 돌기가 형성되고, 타측단부가 상기 손잡이부(30)의 삽입구(30a)에 삽입되는 연결봉(2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브러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부(10)의 삽입구(10a)와 상기 손잡이부(30)의 삽입구(30a)에 각각 키돌기(10b)(30b)가 형성되고, 상기 브러시부(10)의 삽입구(10a)와 상기 손잡이부(30)의 삽입구(30a)에 각각 삽입되는 상기 연결봉(20)의 납작머리(22) 및 이에 대응하는 타측단부에 상기 키돌기(10b)(30b)들과 결합되는 키홈(22b)(20b)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헤어 브러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부(10)와 상기 손잡이부(30)는, 동일한 규격의 삽입구를 갖는 다양한 종류의 다른 브러시부와 다른 손잡이부에 의해 서로 교체가 가능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헤어 브러시.
KR2019980026221U 1998-12-23 1998-12-23 헤어브러시_ KR2002381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6221U KR200238101Y1 (ko) 1998-12-23 1998-12-23 헤어브러시_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6221U KR200238101Y1 (ko) 1998-12-23 1998-12-23 헤어브러시_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3093U true KR20000013093U (ko) 2000-07-15
KR200238101Y1 KR200238101Y1 (ko) 2001-09-25

Family

ID=69504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6221U KR200238101Y1 (ko) 1998-12-23 1998-12-23 헤어브러시_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810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731Y1 (ko) * 2010-07-12 2013-02-25 주식회사 상신 헤어브러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731Y1 (ko) * 2010-07-12 2013-02-25 주식회사 상신 헤어브러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8101Y1 (ko) 2001-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68253Y1 (ko) 화장용 솔
US7415788B2 (en) Souvenir toothbrush, holder and soap dish
KR101254672B1 (ko) 손가락 타입 헤어 브러시
KR20150053267A (ko) 모발 빗질 장치
US5904150A (en) Cleanable hairbrush
US7654269B1 (en) Hairbrush with dual removable handles and associated method
KR20100004792U (ko) 헤어의 반복적인 세팅 수단을 갖는 헤어 롤 브러쉬
KR200238101Y1 (ko) 헤어브러시_
KR200401421Y1 (ko) 퍼머지와 밴드를 갖는 퍼머용 롯드
JP2019130273A (ja) 整理用櫛を有するマスカラ
KR101317714B1 (ko) 빗살이 탈/부착되는 빗
KR200477063Y1 (ko) 헤어브러시
KR200433436Y1 (ko) 손잡이와 브러쉬 몸체가 조립되는 조립형 헤어 브러쉬
KR101854385B1 (ko) 마스카라용 브러시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카라 용기
KR200267498Y1 (ko) 헤어 브러시
KR200198658Y1 (ko) 멀티 헤어브러쉬
US11857066B2 (en) Customizable hairbrush
KR200155215Y1 (ko) 헤어브러시의 구조
US20230320478A1 (en) Selfcare brush
JPH0350734Y2 (ko)
KR200262416Y1 (ko) 머리빗
KR20240076303A (ko) 단위형태의 모듈화 브러쉬모 유닛 구조를 갖는 헤어브러쉬
KR200176428Y1 (ko) 조립식 컬러 손잡이를 갖는 칫솔
KR200326389Y1 (ko) 헤어브러쉬 청소장치
KR200312979Y1 (ko) 장식부재가 구비된 회화용 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