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2519A - 고주파 유도가열용 히터 스테이션 - Google Patents

고주파 유도가열용 히터 스테이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2519A
KR20000012519A KR1019990056269A KR19990056269A KR20000012519A KR 20000012519 A KR20000012519 A KR 20000012519A KR 1019990056269 A KR1019990056269 A KR 1019990056269A KR 19990056269 A KR19990056269 A KR 19990056269A KR 20000012519 A KR20000012519 A KR 200000125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coil
heater
high frequency
capacitor
heater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6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16253B1 (ko
Inventor
하재호
Original Assignee
하재호
세향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재호, 세향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하재호
Priority to KR1019990056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6253B1/ko
Priority to KR2019990027701U priority patent/KR200183941Y1/ko
Publication of KR20000012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25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6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62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4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06Screens for shielding; Masks interposed in the electron stream
    • H01J29/07Shadow masks for colour television tubes
    • H01J29/073Mounting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shadow mas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86Vessels; Containers; Vacuum 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Induction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극선관 핀실(pin seal)공정에 사용되는 고주파 유도가열용 히터 스테이션(heat station)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 정합트랜스(matching transfor- mer)를 삭제하고 워크코일과 캐패시터를 병렬로 직접 연결하여 저소비 전력형이면서 안정적인 동조회로를 갖는 고주파 유도가열용 히터 스테이션을 구성함으로써 소비전력과 부피와 무게 및 제조원가를 대폭 줄이고 효율과 수명은 크게 향상시키도록 하고, 워크코일의 외부에 내열성 세라믹 하우징을 결합하여 피가열체(스터드 핀)로부터 전도 및 복사되는 열을 차단하여 워크코일의 열 스트레스를 경감시키고 아울러 워크코일의 견고한 고정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고주파 유도가열용 히터 스테이션{Heater station for high frequency induction heating}
본 발명은 주로 음극선관 판넬의 핀실(pin seal)공정에 사용되는 고주파 유도가열용 히터 스테이션(heat station)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정합트랜스(matching transformer)를 삭제하고 워크코일과 캐패시터를 병렬로 직결하여 저소비 전력형이면서 안정적인 동조회로를 구성하여 히터 스테이션의 효율과 수명은 크게 향상시키고 부피와 무게와 소비전력 및 생산원가는 대폭 줄이도록 하고, 워크코일의 외부에 내열성 세라믹 하우징을 결합하여 피가열체(스터드 핀)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차단하여 열 스트레스를 방지하고 더불어 워크코일의 견고한 고정을 달성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극선관의 판넬 안쪽면에는 새도우 마스크(shadow mask)를 고정시킬 수 있는 복수 개의 스터드 핀이 적당한 위치에 돌출 형성된다.
상기 핀실 공정을 살펴보면 음극선관 판넬이 이송콘베어에 의해 핀실공정으로 이송되면 핀척의 도움으로 복수 개의 스터드 핀이 핀실위치로 각각 이송되며, 핀실위치로 이송된 스터드 핀이 히터 스테이션의 고주파 유도작용에 의해 판넬의 융점보다 높은 온도로 가열되면 핀척의 가압력에 의해 스터드 핀이 판넬의 안쪽면을 융해시키면서 파고 들어가 일체형으로 고정된다.
한편, 음극선관 핀실공정에 사용되는 종래의 히터 스테이션(h)은 도 1과 같이 정합트랜스(matching transformer)(mt)와 캐페시터(c)와 워크코일(wc)이 차례로 연결된 회로구성으로, 부피가 큰 정합트랜스(mt)를 사용하므로 히터 스테이션(h)의 전체부피와 무게 및 제조원가가 상승할 뿐 아니라 정합트랜스(mt)에 의한 결합도 저하와 내부저항 증가 및 공진특성에 의해 전력손실이 많은 편이며, 정합트랜스 (mt)의 입력으로 400V의 고주파 전압(FO)을 공급하더라도 워크코일(wc)로 전달되는 전압은 30V~40V 정도로 감압되므로 워크 스테이션(h)의 출력과 효율이 낮은 편이다. 이를테면, 고주파 전원부(FO)의 전력손실 1% 발생되는 경우는 약 3㎾의 전력이 낭비되므로 전력손실이 매우 큰 편이다.
또한, 일반 음극선관의 경우 3개 내지 4개의 스터드 핀이 필요하나 디지털 음극선관의 경우 판넬에 고정되는 스터드 핀이 8개까지 사용되므로 실링(실링)공정에 필요한 기계장치를 포함하여 히터 스테이션도 이에 부합하는 구조로의 변경이 필수적인바, 종래 히터 스테이션(h)의 경우 정합트랜스(mt) 사용으로 부피와 무게가 증가하며, 이로 인하여 히터 스테이션(h)이 장착되는 구조물과 기구부분의 부피와 설치면적이 따라서 커지므로 구조가 복잡해지고 작업환경에 부합하는 구조변경이나 설계가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정합트랜스(matching transformer)를 삭제하고 워크코일과 캐패시터를 병렬로 직접 결합하여 결합도를 크게 향상시켜 저소비 전력형이면서 안정적인 동조회로를 갖는 고주파 유도가열용 히터 스테이션을 구성하도록 함으로써 소비전력과 부피와 무게 및 제조원가를 대폭 줄이고 효율과 수명은 크게 향상시키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워크코일의 외부에 내열성 세라믹 하우징을 결합하여 피가열체(스터드 핀)로부터 전도ㆍ복사되는 열을 차단하여 워크코일의 열 스트레스를 경감시키고, 아울러 워크코일의 견고한 고정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회로정합용 캐페시터와, 캐페시터의 접촉단자와 면접촉하는 한 쌍의 극판(極板)과, 극판의 상부면에 고정되는 워크코일과, 워크코일을 감싸 보호하는 세라믹 재질의 하우징과, 극판과 워크코일로 냉각수를 강제 순환시키는 냉각구조와, 히터 스테이션을 몰딩재로 감싸 전체적인 절연을 유지하면서 워크스테이션을 실링위치에 고정할 수 있는 케이스로 고주파 유도가열용 히터 스테이션을 구성 한 것이다.
도 1 : 종래 히터 스테이션의 회로도.
도 2 : 본 발명 히터 스테이션의 외관사시도.
도 3 : 본 발명 히터 스테이션의 측면도.
도 4 : 본 발명 히터 스테이션의 분해 사시도.
도 5 : 본 발명 히터 스테이션의 단면 구성도.
도 6 : 본 발명 히터 스테이션의 회로 구성도.
도 7 : 본 발명 히터 스테이션의 냉각수 구성도.
도 8 : 본 발명 도 7의 A-A`선 단면도.
도 9 : 본 발명 도 7의 B-B`선 단면도.
도 10 : 본 발명의 사용 상태도.
도 11 : 본 발명 일 실시 예의 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히터 스테이션(4)--캐페시터
(6)(8)--나사구멍(10)(12)--도전성 접촉단자
(14)(16)--극판(18)(20)--평면부
(22)(24)--통공(26)(28)(56)(100)(102)--피스
(30)(32)(86)(88)--연장부(34)(36)--나사구멍
(38)(40)--물구멍(42)--워크코일
(44)(46)--단자판(45)(120)--몰딩재
(48)(50)--통공(52)(54)--물구멍
(58)(94)(96)--수로(60)(62)--패킹
(64)--하우징(66)(68)--블록
(70)--가열구멍(72)--요입홈
(73)--스터드 핀 삽입공(74)--통공
(75)--세라믹 링(76)--틈
(78)(80)(82)(84)--요입부(90)(92)(104)(106)(116)--나사구멍
(97)(98)--급전단자(108)(110)--니플
(112)(114)--호스(118)--케이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히터 스테이션은 캐페시터와, 캐페시터의 양측단자에 전기적으로 면접촉하는 한 쌍의 도전성 극판과, 극판의 상부면에 전기적으로 고정되는 워크코일과, 워크코일을 감싸 보호하는 세라믹 재질의 하우징과, 극판 및 워크코일로 냉각수를 강제 순환시키는 냉각구조와, 히터 스테이션을 몰딩시켜 전체적인 절연을 유지하고 또한 실링위치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케이스로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 히터 스테이션(2)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히터 스테이션(2)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캐페시터(4)의 양측면으로 나사구멍(6) (8)이 형성된 도전성 접촉단자(10)(12)를 일체로 돌출 형성하고, 캐페시터(4)의 접촉단자(10)(12)에는 극판(14)(16)의 평면부(18)(20)를 면(面)접촉시켜 극판(14) (16)의 통공(22)(24)과 캐페시터(4)의 나사구멍(6)(8)을 일치시킨 다음 피스(26) (28)로 체결시켜 고정한다.
도전성 극판(14)(16)의 상부에는 안쪽방향으로 돌출되는 연장부(30)(32)를 형성하여 마주보도록 하고, 연장부(30)(32)의 상부면에는 한 쌍의 나사구멍(34) (36)과 물구멍(38)(40)을 각각 형성하고, 워크코일(42)의 단자판(44)(46)에도 한 쌍의 통공(48)(50)과 물구멍(52)(54)을 각각 형성하여 상기 연장부(30)(32)의 나사구멍(34)(36) 및 물구멍(38)(40)을 일치시킨 다음 피스(56)로 체결하여 도 6과 같이 캐페시터(4)와 워크코일(42)이 병렬로 연결되는 전기회로를 구성하도록 한다.
상기 단자판(44)(46)의 물구멍(52)(54)과 연장부(14)(16)의 물구멍(38)(40) 사이에는 도너츠 형상의 내열성 패킹(60)(62)을 끼워 수밀이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 워크코일(42)은 파이프를 코일 형태로 감은 구조로 그 내부에 냉각수가 순환할 수 있는 수로(58)가 형성되며, 워크코일(42)의 단부에는 세라믹 하우징(64)이 결합되는 블록(66)(68)이 형성되고 블록(66)(68)의 하부에는 단자판(44)(46)이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워크코일(42)을 세라믹 하우징(64) 안에 넣어 안전도를 높이는 동시에 견고한 고정을 달성하도록 하고, 또한 열 스트레스에 의한 워크코일 (42)의 수명단축을 방지하도록 한다.
즉, 워크코일(42)은 4회 전ㆍ후의 코일형태로 감아 그 중앙부에 스터드 핀이 들어가 가열되는 가열구멍(70)을 형성하고, 블록(66)(68)과 단자판(44)(46)의 경계부분에 형성되는 요입홈(72)으로 세라믹 하우징(64)의 하향 개방부를 결합시켜 워크코일(42)을 세라믹 하우징(64) 내부로 수납시킨 다음 블록(66)(68)과 단자판(44) (46) 사이에 형성된 틈(76)으로 에폭시와 같이 내열성과 절연성이 우수한 몰딩재 (45)를 채워 넣어 경화시키면 워크코일(42)이 하우징(64)과 일체화되어 고정된다.
상기 세라믹 하우징(64)은 워크코일(42)의 가열구멍(70)이 위치하는 부분에 스터드 핀이 통과 할 수 있는 통공(74)이 형성되며, 워크코일(42)과 하우징(64)을 결합할 때 워크코일(42)의 가열구멍(70)에 스터드 핀 삽입공(73)이 형성된 세라믹 링(75)을 삽입시켜 통공(74)과 스터드 핀 삽입공(73)이 일치하도록 결합함으로써 워크코일(42)이 통공(74)으로 노출되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하고, 하우징(64)의 공간부로 몰딩재(45)를 충진할 때 몰딩재(45)가 통공(74)으로 유출되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한다.
따라서, 워크코일(42)의 견고한 고정이 달성될 뿐 아니라 열적으로 안정성을 가지는 세라믹 하우징(64)에 의해 워크코일(42)과 스터드 핀이 격리되어 스터드 핀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차단되는 단열효과가 있으므로 워크코일(42)이 열스트레스에 의한 수명단축이 방지되며, 또한 이물질 유입이나 냉각수 누수가 방지되어 블록단자(66)(68)나 워크코일(42)의 단락(short) 및 절연파괴가 방지된다.
본 발명에서는 워크코일(42)의 단자판(44)(46)과 극판(30)(32)의 연장부(30) (32)에 요입부(78)(80)(82)(84)를 각각 형성하여 단자판(44)(46)과 극판(30)(32) 끼리의 틈(76)이 크게 벌어지도록 하여 대전(帶電)거리를 이격시킴으로써 주위의 이물질 및 누수에 의한 카본화와 절연파괴 및 수명단축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종래의 경우 워크코일(wc)이 평판구조이므로 1회전 권회되는 반면 본 발명의 워크코일(42)은 4회 전ㆍ후로 권회수가 늘어나므로 전류는 1/4만 흘러도 된다. 즉, 결합도가 종래 히터 스테이션(h)에 비하여 4배 전ㆍ후까지 상승하므로 워크코일(42)의 결합도가 우수하여 전력손실이 크게 줄어들고 소비전력은 2 ~ 2.5배로 떨어지며, 도 11과 같이 1개의 고주파 전원(FO)에 2개의 히터 스테이션(2)(2a)을 병렬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과 같이 대전력을 사용하는 히터 스테이션(2)의 경우 공진주파수를 맞추기 위하여 워크코일의 L값과 캐페시터의 C의 시정수를 조정하여 공진주파수를 맞추게되나, 정합트랜스로 회로를 결합시키는 종래형의 경우 발진주파수를 낮추기는 쉬우나 정합트랜스의 손실로 효율이 낮아진다.
또한, 1회 감은 워크코일(42)과 4회 감은 워크코일(42)을 비교해 볼 때, 1회 감은 워크코일의 캐페시터(4) 정전용량은 공진주파수에 의해 4회 감은 워크코일(42)의 16배(1㎌16㎌)가 되어야 하므로 대형의 캐페시터(4)가 필요하고 무게와 부피 및 제조원가가 크게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워크코일(4)의 회전수를 4회 전ㆍ후로 감게되므로 캐페시터(4)의 정전용량은 약 1/4로 줄어들게된다.
따라서, 정전용량 시정수가 적은 소형의 캐페시터(4)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히터 스테이션(2)의 전체부피와 무게 및 제조원가를 크게 줄일 수 있다.
또한, 종래 히터 스테이션(h)의 경우 정합트랜스(mt) 사용에 의해 결합도가 떨어질 뿐 아니라 무엇보다 효율이 떨어져 소비전력 손실이 매우 큰 편이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정합트랜스(mf)없이 캐페시터(4)와 워크코일(42)이 직접 결합되므로 결합도가 크게 향상되며 매칭트랜스에 의한 손실분이 없어지므로 전력손실과 부피 및 무게가 크게 감소된다.
또한, 워크코일(42)의 단자판(44)(46)의 상부면에는 절연성 테프론 카바를 씌워 스터드 핀 낙하에 의한 전기적인 쇼트를 방지하도록 한다.
따라서, 히터 스테이션을 낮은 가격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캐페시터(4)에 무리가 안가므로 히터 스테이션(2)의 수명이 배 이상으로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극판(14)(16)의 후부에도 안쪽방향으로 마주보도록 돌출되는 연장부 (86)(88)를 각각 형성하고, 연장부(86)(88)에는 나사구멍(90)(92)과 수로(94)(96)을 각각 형성하고, 나사구멍(90)(92)에는 급전선이 연결된 급전단자(97)(98)를 피스(100)(102)로 체결시켜 고주파 전원(FO)이 극판(14)(16)을 통하여 워크코일(42)로 공급되도록 한다.
수공(94)(96)의 단부에는 나사구멍(104)(106)을 형성하여 니플(108)(110)을 체결할 수 있게 하고, 니플(108)(110)의 단부에는 물순환용 호스(112)(114)를 끼우고, 호스(112)(114)에는 물공급원(도시안됨)과 순환펌프(도시안됨)로 구성되는 냉각수 순환장치를 연결하여 냉각수가 양측 극판(14)(16)과 워크코일(42)에 이어지게 연결된 수로(96)(58)(94)를 따라 순환하면서 열전도율이 높은 극판(14)(16)과 워크코일(42)을 수냉시키도록 한다.
도 7 내지 도 9는 냉각수로(94)(96)를 도시한 도면으로, 극판(14)(16)의 평면부(18)(20) 내부에 사각형태의 수로(94)(96)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수로(94) (96)와 물구멍(38)(40)은 보조수로(94a)(96a)로 연결하여 극판(14)(16)과 워크코일 (42)이 강제 수냉되게 함으로써 약 400℃까지 상승하는 온도를 약 40℃이하로 크게 떨어뜨려 히터 스테이션(2)의 수명과 효율을 크게 향상시키도록 한다.
한편, 캐페시터(4)와 극판(14)(16)이 결합된 상태에서 그 외면에 복수 개의 나사구멍(116)이 형성된 케이스(118)를 끼운 다음 몰딩재(120)로 일체형으로 몰딩시켜 고주파 유도가열용 히터 스테이션(2)을 구성한 것이다.
미 설명 부호 (122)는 스터드 핀, (124)는 음극선관 판넬,(126)은 고정부재 (129)는 핀척, (130)은 지지부재 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여서 된 본 발명은 도 10과 같이 히터 스테이션(2)의 케이스(118) 외면에 지지부재(130)를 결합한 다음 피스로 체결시켜 고정하고, 히터 스테이션(2)이 고정된 상기 지지부재(130)는 핀실공정에 위치하는 고정부재(126)에 체결시켜 고정하고, 호스(112)(114)와 수로(96)(58)(94)로 냉각수가 순환되도록 하고, 급전단자(97)(98)로 고주파 전원(FO)이 공급되게 하여 사용하게 되며, 음극선관 판넬(124)이 이송콘베어에 의해 핀실공정으로 이송되면 핀척(128)의 도움으로 스터드 핀(128)이 세라믹 링(75)의 삽입공(73)으로 삽입되면 고주파 유도작용에 의해 스터드 핀(128)이 음극선관 판넬(124)의 융점 이상의 온도로 가열되며, 스터드 핀(128)의 가열이 완료되면 핀척(128)의 전진압력에 의해 스터드 핀(128)이 음극선관 판넬(124)의 안쪽면을 융해시키면서 파고 들어가 일체형으로 고정된다.
한편, 종래 워크코일(wc)의 경우 정합트랜스(mf) 내장으로 부피가 크고 무게도 중량이었으나, 본 발명은 정합트랜스(mf)의 생략에 따라 정합트랜스(mt)에 의한 내부저항 증가 및 공진특성에 의해 손실분이 제거되므로 효율은 2 ~ 2.5배 이상 향상되고 소비전력은 크게 줄일 수 있다.
또한, 히터 스테이션(2)의 부피와 무게가 감소되므로 음극선관 판넬(124)의 크기나 스터드 핀(128)의 개수가 달라져 실링장치의 배치상태를 변경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 탄력적으로 설계하거나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종래 히터 스테이션(h)의 경우 1개의 스터드 핀을 삽입하는데 3.5㎾h의 전력으로 10초 정도 소요되는 반면, 본 발명 히터 스테이션(2)의 경우 1개의 스터드 핀을 삽입하는데 1.5㎾h의 전력으로도 10초 정도 소요되므로 소비전력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경우 워크코일(wc)이 평판구조이므로 1회전 권회되는 반면 본 발명의 워크코일은 코일구조로 4회 전ㆍ후로 권회수가 늘어나므로 전류는 1/4만 흘러도 되므로 소비전력은 절약되고 효율은 크게 향상된다.
또한, 단자판(44)(46)에는 절연성 테프론 카바로 씌워져 있고 워크코일(42)은 세라믹 하우징(64)으로 씌워져 있으므로 이물질이나 스터드 핀(128)의 접촉 및 낙하에 의한 단자판(44)(46)과 워크코일(42)의 쇼트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히터 스테이션(2)을 낮은 가격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캐페시터(4)와 워크코일(42)이 병렬로 연결되어 저소비전력으로도 안정적인 동조회로를 구성하므로 소비전력을 절약할 수 있고, 수명은 배 이상 연장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양측 극판(14)(16)과 워크코일(42)로 냉각수가 강제 순환되므로 워크코일(42)과 극판(14)(16) 및 극판의 평면부(18)(20)와 면으로 접촉하는 캐폐시터 (4)의 과열이 방지되어 히터 스테이션(2)의 전체적인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경우 피 가열체인 스터드 핀(128)을 빨리 가열시키기 위하여 인가전력(FO)을 증가시켜 온도를 높이면 스터드 핀의 입구부분이 조금씩 녹는 현상이 발생되어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의 워크코일(42)은 4회 전ㆍ후의 코일형태로 권취되고 코일의 직경이 크기 때문에 유도영역이 확장되고 고주파 자력(유도전류)의 균일도가 향상되어 스터드 핀(128)에서 발생되는 열이 은은하게 전체적으로 발생되므로 전체적인 온도편차가 적어 실링품질 저하가 방지되며, 대전력을 인가하더라도 스터드 핀(128)의 융해없이 재빨리 가열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워크코일(42) 내경이 종래 워크코일(wc)의 내경보다 큰 편이므로 고주파 자력(磁力)이 미치는 거리(영역)도 그만치 커지게 된다.
또한, 기존의 히터 스테이션(h)은 히터 스테이션의 입력으로 400V의 전압을 공급하더라도 정합트랜스(mt)에 의해 워크코일(wc)로 30V~40V의 저전압과 대전류를 필요로 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정합트랜스(mt) 없이 캐패시터(4)와 워크코일(42)이 병렬로 직결되어 있어서 200V~400V의 입력전원이 워크코일(42)로 고스란히 전달되는 회로구성이므로 워크코일(42)로는 낮은 전류를 공급하고 스터드 핀(128)으로는 대전류를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손실전력을 크게 줄일 수 있고 효율은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 히터 스테이션(2)의 소비전력은 기존의 히터 스테이션(h)에 비하여 2내지 2.5배로 줄어들게 되므로 1개의 고주파 발진기에 2개의 히터 스테이션(2)을 병렬이나 직렬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정합트랜스(matching transformer)를 삭제하고 워크코일과 캐패시터를 병렬로 직결하여 히터 스테이션을 구성함으로써 효율과 수명은 크게 향상되고 부피와 무게와 소비전력 및 생산원가는 대폭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또한, 워크코일의 외부에 내열성 세라믹 하우징이 결합되고 그 내부에 몰딩재가 충진되므로 피가열체(스터드 핀)로부터 발생되는 열의 복사 및 전도가 차단되므로 워크코일의 열 스트레스가 방지되는 효과가 있으며 더불어 견고한 고정이 달성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정합트랜스(mf)의 생략에 따라 정합트랜스(mt)에 의한 내부저항증가와 공진특성에 의한 손실분이 제거되므로 효율은 2 ~ 2.5배 이상 향상되어 소비전력을 크게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1개의 고주파 발진기에 2개의 히터 스테이션을 병렬(또는 직렬)로 연결시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종래 사용중 인 4 핀(Pin)용 발진기로 스터드 핀이 8 핀(Pin)인 디지털 TV용 판넬의 실링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히터 스테이션의 부피와 무게가 감소되므로 음극선관 판넬의 크기나 스터드 핀의 개수가 달라져 실링장치의 배치상태를 변경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 작업환경에 탄력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경우 워크코일이 평판구조로 1회전 권회되는 반면 본 발명의 워크코일은 코일구조로 4회 전ㆍ후로 권회수가 늘어나 전류를 1/4만 흘려도 되므로 소비전력이 절약되고 효율은 크게 향상되며 저용량의 캐페시터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자판에는 절연성 테프론 카바로 씌워져 있고 워크코일은 세라믹 하우징으로 씌워져 있으므로 이물질이나 스터드 핀의 접촉이나 낙하에 의한 전기적인 단락(short)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양측 극판과 워크코일로 냉각수가 강제 순환되므로 워크코일과 극판 및 극판의 평면부와 면으로 접촉하는 캐폐시터의 과열이 방지되어 히터 스테이션의 전체적인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 워크코일의 경우 인가전력을 증가시켜 온도를 높이면 스터드 핀의 입구부분이 조금씩 녹는 현상이 발생되어 품질 저하 문제가 있었으나 본 발명의 워크코일은 4회 전후의 코일형태로 권취되어 워크코일의 권경이 커지기 때문에 유도영역이 확장되고 고주파 자력(유도전류)의 균일도가 향상되어 스터드 핀의 온도편차가 적어 실링 품질저하가 방지되며, 대전력을 인가하더라도 스터드 핀의 융해없이 재빨리 가열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히터 스테이션은 대부분 몰딩(molding)되므로 외부와 격리되어 결로현상에 의한 절연파괴가 방지되므로 히터 스테이션의 사용수명이 2년 이상 연장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4)

  1. 고주파 유도가열용 히터 스테이션에 있어서, 양측으로 접촉단자(4)(6)가 돌출 형성된 캐페시터(8)와, 캐페시터(8)에 전기적으로 면접촉하는 한 쌍의 블럭단자 (10)(12)와, 블럭단자(10)(12)의 일측 상부면에 고정되는 워크코일(14)과, 블럭단자(10)(12) 및 워크코일(14)로 냉각수를 강제 순환시키는 냉각구조(16)와, 히터 스테이션(2)을 몰딩재(18)로 전체적으로 감싸 절연을 유지하면서 실링위치에 고정할 수 있는 케이스(20)로 구성하여서 된 고주파 유도가열기용 히터 스테이션.
  2. 제 1 항에 있어서, 워크코일(42)의 외부에 내열성 세라믹 하우징(64)을 결합한 다음 내열성과 절연성을 가지는 세라믹 몰딩재(45)로 몰딩시켜 고정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유도가열기용 히터 스테이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워크코일(42)은 4회 전후로 권회하고, 단자판(44)(46)의 상부면에 절연성 테프론 카바를 씌워 스터드 핀 낙하에 의한 전기적인 쇼트를 방지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유도가열기용 히터 스테이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1개의 고주파 전원(FO)에 2개의 히터 스테이션(2)(2a)을 병렬로 연결하여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유도가열기용 히터 스테이션.
KR1019990056269A 1999-12-09 1999-12-09 고주파 유도가열용 히터 스테이션 KR1003162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6269A KR100316253B1 (ko) 1999-12-09 1999-12-09 고주파 유도가열용 히터 스테이션
KR2019990027701U KR200183941Y1 (ko) 1999-12-09 1999-12-09 고주파 유도가열용 히터 스테이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6269A KR100316253B1 (ko) 1999-12-09 1999-12-09 고주파 유도가열용 히터 스테이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7701U Division KR200183941Y1 (ko) 1999-12-09 1999-12-09 고주파 유도가열용 히터 스테이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2519A true KR20000012519A (ko) 2000-03-06
KR100316253B1 KR100316253B1 (ko) 2001-12-12

Family

ID=1962463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7701U KR200183941Y1 (ko) 1999-12-09 1999-12-09 고주파 유도가열용 히터 스테이션
KR1019990056269A KR100316253B1 (ko) 1999-12-09 1999-12-09 고주파 유도가열용 히터 스테이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7701U KR200183941Y1 (ko) 1999-12-09 1999-12-09 고주파 유도가열용 히터 스테이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83941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7167B1 (ko) * 2012-04-16 2013-11-06 세향산업 주식회사 고주파 유도가열용 워킹헤드
WO2018128331A1 (ko) * 2017-01-09 2018-07-12 한동희 유리 성형 장치
WO2018128332A3 (ko) * 2017-01-09 2018-08-30 한동희 유리 성형 장치
KR101884777B1 (ko) * 2017-04-06 2018-08-30 주식회사 필옵틱스 유리 성형 장치
KR101884778B1 (ko) * 2017-04-06 2018-09-11 주식회사 필옵틱스 유리 성형 장치
US10208998B2 (en) 2004-09-27 2019-02-19 Whirlpool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ensing ice from a bottom mount refrigerator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08998B2 (en) 2004-09-27 2019-02-19 Whirlpool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ensing ice from a bottom mount refrigerator
KR101327167B1 (ko) * 2012-04-16 2013-11-06 세향산업 주식회사 고주파 유도가열용 워킹헤드
WO2018128331A1 (ko) * 2017-01-09 2018-07-12 한동희 유리 성형 장치
WO2018128332A3 (ko) * 2017-01-09 2018-08-30 한동희 유리 성형 장치
KR101884777B1 (ko) * 2017-04-06 2018-08-30 주식회사 필옵틱스 유리 성형 장치
KR101884778B1 (ko) * 2017-04-06 2018-09-11 주식회사 필옵틱스 유리 성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16253B1 (ko) 2001-12-12
KR200183941Y1 (ko) 2000-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4742B1 (ko) 마그네트론
BR112018002280B1 (pt) Cartucho para tocha de arco de plasma arrefecido por líquido
KR20180108494A (ko)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기 연결 어레인지먼트
US20060280875A1 (en) Substrate processing device
US9526161B2 (en) High-frequency power supply device
KR100316253B1 (ko) 고주파 유도가열용 히터 스테이션
KR101175324B1 (ko) 플라즈마 발생용 마이크로웨이브 안테나
KR100726528B1 (ko) 기판 처리챔버용 안테나 코일 조립체
KR20000035553A (ko) 마그네트론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209768074U (zh) 一种广播电视发射机功放模块热管冷却散热装置
GB2259605A (en) Magnetron with cooled pole piece
JPH0388395A (ja) 電気回路構成の冷却装置
KR20020087872A (ko) 고온 초전도 로터 권선 코일용 전력 도선 및 전기 기계
KR100264954B1 (ko) 효율과 수명을 향상시킨 스터드 핀 융착용 매칭트랜스
US4794355A (en) Heat sink for magnetically tuned filter
CN217938366U (zh) 一种磁场发生器
CN212655816U (zh) 感应热处理机构
CN212393013U (zh) 电加热设备
KR101327167B1 (ko) 고주파 유도가열용 워킹헤드
CN215266270U (zh) 用于igbt模块的散热器及电磁感应加热装置
RU2184406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диффузионной сварки
KR19980025906A (ko) 고주파 유도 가열기의 히터 스테이션
US20220239229A1 (en) High-frequency power supply device
JPH0554805A (ja) マグネトロン
KR100517150B1 (ko) 절연부싱 냉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