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2243U - 압전소자를 사용한 커넥터 - Google Patents

압전소자를 사용한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2243U
KR20000012243U KR2019980025164U KR19980025164U KR20000012243U KR 20000012243 U KR20000012243 U KR 20000012243U KR 2019980025164 U KR2019980025164 U KR 2019980025164U KR 19980025164 U KR19980025164 U KR 19980025164U KR 20000012243 U KR20000012243 U KR 2000001224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connector
female
female terminal
piezoelectric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51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지혁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800251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2243U/ko
Publication of KR200000122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2243U/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8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커넥터의 수단자핀에 탄성적으로 접촉되는 암커넥터의 암단자핀이 단기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여 양호한 상태로 장기간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의 본 고안은 수커넥터(10)의 케이스(12)의 내부로 삽입되는 하우징(22) 및 상기 하우징(22)의 내부에 설치되어 다수의 수단자핀(14)의 양측에 접촉되는 판스프링으로 된 암단자핀(30)을 갖는 암커넥터(20)를 갖는 커넥터에 있어서, 양측 암단자핀(30)의 외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접착되는 각각의 압전소자(26)와, 각각의 압전소자(26)의 외측면 일부에 접착되는 받침대(24)와, 하우징(22)의 내측면 및 각각의 받침대(24)에 접착되고 각각의 압전소자(26)에 접속되는 피씨비(28)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수단자핀(14)이 미리 삽입된 후 암단자핀(30)이 구부려져 수단자핀(14)에 접촉되고, 암단자핀(30)이 구부려져 수단자핀(14)으로부터 이탈된 후 수단자핀(14)을 분리시킴으로써, 암단자핀(30)의 마모를 방지하여 암커넥터(20)의 장기간 사용에도 수단자핀(14)과 암단자핀(30) 간의 상호 접촉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압전소자를 사용한 커넥터
본 고안은 압전소자를 사용한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수커넥터의 수단자핀에 탄성적으로 접촉되는 암커넥터의 암단자핀이 압전소자의 제어에 의해 탈접되도록 함으로써, 암단자핀의 마모을 방지하여 양호한 상태로 장기간 사용하기 위한 압전소자를 사용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제품의 신호연결을 위하여 사용되는 커넥터의 한 예를 사시도인 도 1과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인 도 2로 나타낸다.
이러한 커넥터는 전자제품의 피씨비(116)측에 고정된 수커넥터(110)와, 이 수커넥터(110)에 접속되어 외부로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접속되는 암커넥터(120)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수커넥터(110)는 피씨비(116)에 고정되는 케이스(112)와, 이 케이스(112)의 내부에 삽입되고 후단이 피씨비(116)에 접속되는 다수의 수단자핀(114)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암커넥터(120)는 케이스(112)의 내부로 삽입되는 하우징(122)과, 이 하우징(122)의 내부에 설치되어 각각의 수단자핀(114)의 양측에 접촉되는 판스프링으로 된 암단자핀(124)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암커넥터(120)를 수커넥터(110)에 결합시키면, 하우징(122)이 케이스(112) 내로 삽입됨과 동시에 다수의 수단자핀(114)이 각각의 암단자핀(124) 사이에 삽입된다. 따라서 전자제품의 신호가 피씨비(116) 및 수단자핀(114)에 전달되고, 이 신호는 수단자핀(114)에 접속된 암단자핀(124) 및 이 암단자핀(124)에 접속되는 신호선(126)을 통해 외부로 전달된다.
그런데 상기의 수커넥터(110)가 제조공정을 마친 광픽업 장치에 부착된 단품이고, 암커넥터(120)가 광픽업 장치의 동작성능을 측정하고 각종 에러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평가기에 연결된 경우, 제조공정을 마친 모든 광픽업 장치의 동작성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암커넥터(120)를 무수한 반복 동작으로 새로운 수커넥터(110)에 결합시켜야 한다.
따라서 수단자핀(114)은 단번의 결합에 그치고 교체되지만, 암단자핀(124)은 무수한 회수로 수단자핀(114)에 접촉하게 되어 접촉되는 부분이 마모되고 탄성이 감소되므로, 암커넥터(120)를 장기간 사용할 경우 수단자핀(114)과 암단자핀(124) 간의 불량 접촉에 의한 신호전달 에러를 발생시킨다. 즉, 암커넥터(120)는 암단자핀(124)의 단기 마모로 수명이 짧은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수커넥터의 수단자핀에 탄성적으로 접촉되는 암커넥터의 암단자핀이 단기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여 양호한 상태로 장기간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커넥터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암커넥터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수커넥터 12: 케이스
14: 수단자핀 16: 피씨비
20: 암커넥터 22: 하우징
24: 받침대 26: 압전소자
28: 피씨비 30: 암단자핀
32: 접점 34: 신호선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삽입되고 후단이 피씨비에 접속되는 다수의 수단자핀을 갖는 수커넥터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삽입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각각의 수단자핀의 양측에 접촉되는 판스프링으로 된 암단자핀을 갖는 암커넥터로 이루어진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양측 암단자핀의 외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접착되는 각각의 압전소자; 상기 각각의 압전소자의 외측면 일부에 접착되는 받침대;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 및 각각의 받침대에 접착되고, 상기 각각의 압전소자에 접속되는 피씨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커넥터의 압전소자는 전압이 가해지면 확장되는 성질을 가지고 있으므로, 압전소자가 일방향으로 확장되며 양측의 암단자핀을 내측으로 구부릴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수커넥터에 각각의 암커넥터를 결합할 때에만 압전소자에 전원을 인가하여 암단자핀이 수단자핀에 접촉되게 함으로써, 암단자핀의 마모를 방지하여 양호한 상태로 장기간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를 설명하여 본 고안을 더욱 상세히 한다.
본 실시예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삽입되고 후단이 피씨비에 접속되는 수단자핀을 갖는 다수의 수커넥터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삽입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각각의 수단자핀의 양측에 접촉되는 판스프링으로 된 암단자핀을 갖는 암커넥터로 이루어진 커넥터에 적용된다.
여기서 암커넥터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 3과 같이, 양측 암단자핀(30)의 외측면에 접착되는 각각의 압전소자(26)와, 각각의 압전소자(26)의 외측면 일부에 접착되는 받침대(24)와, 하우징(22)의 내측면 및 각각의 받침대(24)에 접착되고 길이방향으로 각각의 압전소자(26)에 접속되는 피씨비(28)를 포함한다.
이러한 양측의 압전소자(26)는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확장되도록 하고, 피씨비(28)는 외부의 제어부에 연결하여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암단자핀(30)은 압전소자(26)에 전압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일정거리로 이격되어 수단자핀(14)이 삽입되더라도 접촉되지 않게 하고, 압전소자(26)에 전압이 가해진 경우에만 서로 내측으로 구부려져 접점(34)이 수단자핀(14)에 접촉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커넥터의 작용을 설명한다.
상기의 수커넥터(10)가 제조공정을 마친 광픽업 장치에 부착된 단품이고, 암커넥터(20)가 광픽업 장치의 동작성능을 측정하고 각종 에러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평가기에 연결된 경우, 제조공정을 마친 모든 광픽업 장치의 동작성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암커넥터(20)는 무수한 반복 동작으로 새로운 수커넥터(10)에 결합시켜야 한다.
이러한 작업으로서 암커넥터(20)를 수커넥터(10)에 삽입시키면, 하우징(22)이 케이스(12) 내로 삽입되면서 다수의 수단자핀(14)이 각각 양측의 암단자핀(30) 사이로 진입하게 된다. 이때 암단자핀(30)의 접점(32)은 벌어져 있으므로 서로 접촉되지 않는다.
이어서 양측의 피씨비(28)를 통하여 압전소자(26)에 전압을 가하면, 압전소자(26)는 일정 방향으로 확장되면서 확장되지 않는 양측의 암단자핀(30)을 내측으로 구부리는 작용을 하게 된다.
따라서 내측으로 구부려지는 양측의 암단자핀(30)은 중심에 위치하는 수단자핀(14)에 접촉하고, 수단자핀(14)을 통하여 전달된 신호는 암단자핀(30) 및 암단자핀(30)에 접속된 신호선(34)을 거쳐 조정평가기로 입력된다.
그리고 조정평가기에서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동작기능 측정 및 에러 조정작업을 마치면, 양측의 압전소자(26)에 인가되는 전압을 차단하여 압전소자(26)가 원상으로 축소되게 한다. 이에 따라 압전소자(26)가 접착된 양측의 암단자핀(30)이 외측으로 벌려져 접점(32)이 수단자핀(14)에서 이탈되므로, 전기적 접속이 끊어진다. 이어서 전기적 접속이 끊어진 암커넥터(20)를 수커넥터(10)에서 분리하여 작업을 종료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커넥터는 수단자핀(14)이 미리 삽입된 후 암단자핀(30)이 구부려져 수단자핀(14)에 접촉되고, 암단자핀(30)이 벌어져 수단자핀(14)으로부터 이탈된 후 수단자핀(14)을 분리시키므로, 암단자핀(30)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암커넥터(20)를 장기간 사용하여도 수단자핀(14)과 암단자핀(30) 간의 상호 접촉이 양호하게 유지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조에서 암커넥터(20)가 수커넥터(10)에 결합되는 작용 즉, 하우징(22)이 케이스(12)에 삽입되는 기구적인 작용에 개폐되는 스위치, 또는 사용자가 커넥터를 접촉되는 동작에 의해 스위칭되는 스위치에 의해 압전소자(26)에 전압이 인가되도록 하면, 수커넥터(10)와 암커넥터(20)의 접속동작이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상기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수커넥터(10)의 케이스(12)의 내부로 삽입되는 하우징(22) 및 상기 하우징(22)의 내부에 설치되어 다수의 수단자핀(14)의 양측에 접촉되는 각각의 판스프링으로 된 암단자핀(30)을 갖는 암커넥터(20)를 갖는 커넥터에 있어서, 양측 암단자핀(30)의 외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접착되는 각각의 압전소자(26)와, 각각의 압전소자(26)의 외측면 일부에 접착되는 받침대(24)와, 하우징(22)의 내측면 및 각각의 받침대(24)에 접착되고 각각의 압전소자(26)에 접속되는 피씨비(28)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수단자핀(14)이 미리 삽입된 후 암단자핀(30)이 구부려져 수단자핀(14)에 접촉되고, 암단자핀(30)이 벌어져 수단자핀(14)으로부터 이탈된 후 수단자핀(14)을 분리시킴으로써, 암단자핀(30)의 마모를 방지하여 암커넥터(20)의 장기간 사용에도 수단자핀(14)과 암단자핀(30) 간의 상호 접촉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케이스(12) 및 상기 케이스(12)의 내부에 삽입되고 후단이 피씨비(16)에 접속되는 다수의 수단자핀(14)을 갖는 수커넥터(10)와, 상기 케이스(12)의 내부로 삽입되는 하우징(22) 및 상기 하우징(22)의 내부에 설치되어 각각의 수단자핀(14)의 양측에 접촉되는 판스프링으로 된 암단자핀(30)을 갖는 암커넥터(20)로 이루어진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양측 암단자핀(30)의 외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접착되는 각각의 압전소자(26);
    상기 각각의 압전소자(26)의 외측면 일부에 접착되는 받침대(24);
    상기 하우징(22)의 내측면 및 각각의 받침대(24)에 접착되고, 상기 각각의 압전소자(26)에 접속되는 피씨비(2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소자를 사용한 커넥터.
KR2019980025164U 1998-12-16 1998-12-16 압전소자를 사용한 커넥터 KR2000001224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5164U KR20000012243U (ko) 1998-12-16 1998-12-16 압전소자를 사용한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5164U KR20000012243U (ko) 1998-12-16 1998-12-16 압전소자를 사용한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2243U true KR20000012243U (ko) 2000-07-05

Family

ID=69503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5164U KR20000012243U (ko) 1998-12-16 1998-12-16 압전소자를 사용한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2243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3704B1 (ko) 접촉 신뢰성을 갖는 커넥터
US7537488B2 (en) Communication cable connector and communication cable
US5540599A (en) Electrical connector
EP2164135B1 (en) Blade and receptacle power connector
GB2354888A (en) Low inductance flex-to-pcb spring connector for disc drive
US20010019912A1 (en) Connector assembly adapted for axial realignment
US5449301A (en) Shunt connector
WO2008033295A3 (en) Electrical connector
US5066235A (en) Connector assembly for electronic devices
US5266042A (en) Electrical jack and patch plug assembly
CN110720161B (zh) 弹簧加载电连接器
US4687888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switch
US10079444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conductive balls
US7950926B2 (en) Electrical contact arrangement for telecommunications and data systems technology
US5989046A (en) Coaxial connector with switch
EP0068472B1 (en) Patch module
KR20000012252U (ko) 압전소자를 사용한 커넥터
KR20000012243U (ko) 압전소자를 사용한 커넥터
KR20000012244U (ko) 압전소자를 사용한 커넥터
US6325653B1 (en) Terminal connecting apparatus for storage device
US5556290A (en) Self-switching connector for electronic systems
JPH10334993A (ja) コネクタ装置
KR20210024933A (ko) 접속단자 연결용 접속 커넥터
US7946858B2 (en) Electrical plug and socket connector and plug thereof
KR101071140B1 (ko) 아이에스피 장치 및 그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