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2195U - 앵커볼트 - Google Patents

앵커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2195U
KR20000012195U KR2019980025096U KR19980025096U KR20000012195U KR 20000012195 U KR20000012195 U KR 20000012195U KR 2019980025096 U KR2019980025096 U KR 2019980025096U KR 19980025096 U KR19980025096 U KR 19980025096U KR 20000012195 U KR20000012195 U KR 2000001219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bent
bolt
bolt shaft
anchor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50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41619Y1 (ko
Inventor
신금재
Original Assignee
신금재
금송전기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금재, 금송전기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금재
Priority to KR20199800250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1619Y1/ko
Publication of KR200000121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219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16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1619Y1/ko

Links

Landscapes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앵커볼트에 관한 것으로, 일단에 제1수나사부(12)가 형성되고 타단에 제2수나사부(13)가 형성된 볼트축(11)과; 볼트축(11)의 제1수나사부(12)에 나사결합되고 둘레에 테이퍼부(16)가 형성되며 테이퍼부(16) 외측 둘레에 원형돌출부(17)가 형성된 헤드(15)와; 일단에 방사상으로 다수 형성된 분할홈(22)에 의해 절곡부(23)가 구비되고 헤드(15)의 원형돌출부(17)의 지름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파이프(21)와; 볼트축(11)의 제2수나사부(13)에 나사결합되는 공지의 너트(20)로 이루어진 앵커볼트를 구비하였다.
그러므로, 파이프(21)의 절곡부(23)가 외측으로 최대한 절곡되므로 앵커볼트가 벽체(27)의 삽입구멍(28)에 확실하게 지지되고, 파이프(21)의 중심과 볼트축(11)의 중심이 일치되어 다수의 절곡부(23)를 동일한 형상으로 절곡시킬 수 있어 벽체(27)의 삽입구멍(28)에 절곡부(23)가 동일하게 지지되며, 볼트축(11)의 주입구멍(14)으로 콘크리트를 주입할 수 있어 벽체(27)가 노후되어 삽입구멍(28) 내측이 부실하여도 볼트축(11)의 주입구멍(14)을 통해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다질 수 있으므로 앵커볼트를 벽체(27)에 확실하게 고정지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앵커볼트
본 고안은 앵커볼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벽체의 삽입구멍에 확실하게 고정지지되는 앵커볼트에 관한 것이다.
앵커볼트(anchor bolt)는 기계나 구조물을 다지기위해 기초작업에 설치하는 것으로 기초볼트의 일종이다.
이러한 앵커볼트 중 도1에 도시한 앵커볼트는 일단에 테이퍼부(3)가 형성되고 타단에 수나사부(2)가 형성된 볼트축(1)이 구비된다.
이 볼트축(1)에는 파이프(4)가 결합되는바, 파이프(4) 일단에 다수의 분할홈(5)이 형성되어 있고, 이 분할홈(5)에 의해 다수의 절곡부(6)가 구비되며, 파이프(4)가 테이퍼부(3)측으로 밀리게 되면 절곡부(6)가 테이퍼부(3)를 따라 외측으로 절곡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볼트축(1)의 수나사부(2)에는 와셔(7)와 C링(9), 그리고 너트(8)가 순차적으로 결합되어 있어 너트(8)를 조일시 파이프(4)의 절곡부(6)가 테이퍼부(3)측으로 밀리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종래 앵커볼트는 벽체의 삽입구멍에 앵커볼트를 삽입시키고 너트(8)를 조여서 파이프(4)를 테이퍼부(3)측으로 이송시키면 절곡부(6)가 테이퍼부(3)를 따라 외측으로 벌여지면서 벽체의 삽입구멍에 고정지지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앵커볼트는 몇가지 문제가 있었다.
첫째, 파이프(4)의 지름과 테이퍼부(3)의 단부 지름이 거의 유사하여 파이프(4)를 테이퍼부(3)측으로 이송시켜도 파이프(4)의 절곡부(6)가 그다지 많이 절곡되지 않기 때문에 벽체의 삽입구멍에 확실하게 지지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둘째, 볼트축(1)의 단면 지름에 비해 파이프(4)의 단면 지름이 더 크기 때문에 파이프(4)가 볼트축(1) 외주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하, 또는 좌우로 유동되고, 이에 따라 볼트축(1)의 중심과 파이프(4)의 중심이 일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조여질시 파이프(4)의 절곡부(6)가 동일한 형상으로 벌어지지 않게 되므로 벽체의 삽입구멍에 확실하게 지지되지 못하였다.
셋째, 벽체가 노후된 경우 앵커볼트를 삽입구멍에 끼운 후 지지시켜도 콘크리트가 쉽게 부서지면서 제대로 지지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파이프의 절곡부가 외측으로 최대한 절곡되고,파이프의 중심과 볼트축의 중심이 일치되며, 앵커볼트를 지지시킨 후 삽입구멍 내측으로 콘크리트를 주입할 수 있도록 한 앵커볼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앵커볼트는, 일단에 테이퍼부가 형성되고 타단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볼트축과; 일단에 볼트축의 테이퍼부를 따라 외측으로 절곡되는 절곡부를 가지는 파이프와; 볼트축의 수나사부에 결합되어 파이프의 절곡부를 테이퍼부 측으로 밀어 이송시키는 너트로 이루어진 앵커볼트에 있어서, 일단에 제1수나사부가 형성되고 타단에 제2수나사부가 형성된 볼트축과; 볼트축의 제1수나사부에 나사결합되고 둘레에 테이퍼부가 형성되며 테이퍼부 외측 둘레에 원형돌출부가 형성된 헤드와; 일단에 방사상으로 다수 형성된 분할홈에 의해 절곡부가 구비되고 헤드의 원형돌출부의 지름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파이프와; 볼트축의 제2수나사부에 나사결합되는 공지의 너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 앵커볼트의 한 특징은, 볼트축에 그 중심을 따라 콘트리트를 주입하도록 주입구멍이 형성된다.
본 고안 앵커볼트의 다른 특징은, 파이프의 절곡부 내측면 단부 둘레에 절곡부가 헤드의 테이퍼부를 따라 원활하게 절곡되도록 모따기부가 형성된다.
본 고안 앵커볼트의 또 다른 특징은, 파이프 타단에 헤드의 직경과 일치하도록 다수의 랜싱돌기가 방사상으로 절곡형성된다.
본 고안 앵커볼트의 또 다른 특징은, 파이프 외주면에 파이프의 중심과 볼트축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내측으로 돌출된 엠보싱부가 다수 형성된다.
따라서, 파이프의 절곡부가 외측으로 최대한 절곡되므로 앵커볼트가 벽체의 삽입구멍에 확실하게 지지되고, 파이프의 중심과 볼트축의 중심이 일치되어 다수의 절곡부를 동일한 형상으로 절곡시킬 수 있어 벽체의 삽입구멍에 절곡부가 동일하게 지지되며, 볼트축의 주입구멍으로 콘크리트를 주입할 수 있어 벽체가 노후되어 삽입구멍 내측이 부실하여도 볼트축의 주입구멍을 통해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다질 수 있으므로 앵커볼트를 벽체에 확실하게 고정지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 1 - 종래 앵커볼트를 보이는 측면도
도 2 - 종래 앵커볼트의 문제를 보이는 부분 측면도
도 3 - 본 고안 앵커볼트를 보이는 분해 사시도
도 4 및 도 5 - 본 고안 앵커볼트의 일실시예를 보이는 부분 측면도들
도 6 - 파이프의 일단을 보이는 부분 측단면도
도 7 - 파이프의 중간부분을 보이는 부분 측단면도
도 8 - 본 고안 앵커볼트의 사용상태를 보이는 부분 측단면도
도 9 - 볼트축을 보이는 부분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볼트축 12 ; 제1수나사부
13 ; 제2수나사부 14 ; 주입구멍
15 ; 헤드 16 ; 테이퍼부
17 ; 원형돌출부 18 ; 와셔
19 ; C링 20 ; 너트
21 ; 파이프 22 ; 분할홈
23 ; 절곡부 24 ; 모따기부
25 ; 엠보싱부 26 ; 랜싱돌기
본 고안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3에서, 본 고안 앵커볼트는 일단에 제1수나사부(12)가 형성되고 타단에 제2수나사부(13)가 형성된 볼트축(11)이 구비된다.
이 볼트축(11)에는 본 고안의 특징에 따라 주입구멍(14)이 형성되어 있어 벽체(27)의 삽입구멍(28) 내측으로 콘크리트를 주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볼트축(11)의 제1수나사부(12)에는 헤드(15)가 나사결합되어 있는바, 이 헤드(15)는 둘레에 테이퍼부(16)가 형성되고 테이퍼부(16) 외측 둘레에 원형돌출부(17)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볼트축(11) 외주에는 파이프(21)가 결합되어 있고, 볼트축(11)의 제2수나사부(13)에는 와셔(18)와 C링(19), 너트(20)가 순차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파이프(21)는 본 고안의 특징에 따라 헤드(15)의 원형돌출부(17)의 지름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고, 헤드(15)측 일단에 방사상으로 다수 형성된 분할홈(22)이 형성되어 이 분할홈(22) 사이에 다수의 절곡부(23)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파이프(21)의 절곡부(23) 내측면 단부 둘레에는 절곡부(23)가 헤드(15)의 테이퍼부(16)를 따라 원활하게 절곡되도록 모따기부(24)가 형성되어 있고, 파이프(21) 외주에는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라 엠보싱부(25)가 형성되어 있는바, 이 엠보싱부(25)는 파이프(21) 양측에 형성되어 있고, 파이프(21) 둘레에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볼트축(11)의 중심과 파이프(21)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파이프 타단에는 헤드(15)의 원형돌출부(17)의 직경과 일치하도록 다수의 랜싱돌기(26)가 방사상으로 절곡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 앵커볼트는 도8과 같이 벽체(27)에 형성된 삽입구멍(28)에 끼운후 너트(20)를 조여서 앵커볼트 단부가 삽입구멍(28) 내측에 고정지지되도록 하는바, 너트(20)를 회전시키면 파이프(21)가 헤드(15)측으로 밀리면서 절곡부(23)가 헤드(15)의 테이퍼부(16)를 따라 외측으로 절곡된다.
여기서 파이프(21)의 직경에 비해 헤드(15)의 외경이 더 크기 때문에 너트(20)가 조여짐에 따라 파이프(21)의 절곡부(23)가 도4에서 도5와 같이 외측으로 확실하게 절곡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절곡부(23)가 외측으로 최대한 절곡됨에 따라 벽체(27)의 삽입구멍(28) 내측에 확실하게 지지되며, 벽체(27)가 노후되어 콘크리트가 부실하다 하더라도 절곡부(23)의 단부가 콘크리트에 깊숙히 박히게 되므로 종래에 비해 앵커볼트의 지지상태가 양호하게 된다.
한편 파이프(21)의 절곡부(23) 단부에 형성된 모따기부(24)는 너트(20)에 의해 파이프(21)가 헤드(15)측으로 밀릴시 파이프(21)의 절곡부(23)가 헤드(15)의 테이퍼부(16)를 따라 원활하게 미끄러지도록 한다.
또한 파이프(21) 외주에 형성된 엠보싱부(25)는 파이프(21)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되되, 파이프(21) 내측으로 인입된 깊이가 서로 동일하여 파이프(21)와 볼트축(11) 간에 동심을 유지시키게 된다.
따라서 파이프(21)의 중심과 볼트축(11)의 중심이 일치된 상태에서 절곡부(23)가 헤드(15)측으로 밀리게 되므로 다수의 절곡부가 동일하게 방사상으로 절곡된다.
그러므로 동일하게 절곡되는 다수의 절곡부(23)에 의해 앵커볼트의 일측 둘레가 삽입구멍(28)에 동일하게 지지된다.
또한 파이프(21)의 중심에서 랜싱돌기(26)의 외측단부까지의 반지름이 헤드(15)의 원형돌출부(17)의 반지름과 같기 때문에 본 고안 앵커볼트를 벽체(27)의 삽입구멍(28)에 끼우게 되면 삽입구멍(28)의 중심과 앵커볼트의 중심이 일치된다.
보통 앵커볼트의 설치 방향에 따라 삽입구멍(28)을 형성시키기 때문에 앵커볼트의 중심과 삽입구멍(28)의 중심이 일치되지 않는다면 앵커볼트를 원하던 위치에 설치할 수 없게 되는바, 본 고안 앵커볼트는 랜싱돌기(26)와 헤드(15)의 원형돌출부(17)에 의해 삽입구멍(28)과 동심을 이룰 수 있으며, 따라서 앵커볼트를 원하던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중요한 점으로써, 볼트축(11)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주입구멍(14)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부실한 벽체(27) 내부를 다질 수 있게 된다.
즉, 노후된 벽체(27)에 앵커볼트를 고정시키게 되면 파이프(21)의 절곡부(23)가 아무리 외측으로 많이 벌어진다 하더라도 노후된 콘크리트가 부서지면서 제대로 지지되지 못한다.
그리고 노후된 벽체의 콘크리트가 부서지면서 벽체 내부에는 빈 공간이 발생되므로 이러한 지점에 앵커볼트를 고정시키기 위해 아무리 노력하여도 제대로 고정시킬 수 없다.
따라서 본 고안 앵커볼트는 벽체(27) 내부가 부실하다 하더라도 벽체(27)의 삽입구멍(28)에 앵커볼트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볼트축(11)의 주입구멍(14)을 통해 내부로 콘크리트를 주입할 수 있으므로 부실한 콘크리트, 및 빈 공간이 다져지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앵커볼트에 의하면, 파이프(21)의 절곡부(23)가 외측으로 최대한 절곡되므로 앵커볼트가 벽체(27)의 삽입구멍(28)에 확실하게 지지되고, 파이프(21)의 중심과 볼트축(11)의 중심이 일치되어 다수의 절곡부(23)를 동일한 형상으로 절곡시킬 수 있어 벽체(27)의 삽입구멍(28)에 절곡부(23)가 동일하게 지지되며, 볼트축(11)의 주입구멍(14)으로 콘크리트를 주입할 수 있어 벽체(27)가 노후되어 삽입구멍(28) 내측이 부실하여도 볼트축(11)의 주입구멍(14)을 통해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다질 수 있으므로 앵커볼트를 벽체(27)에 확실하게 고정지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일단에 테이퍼부가 형성되고 타단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볼트축과; 일단에 상기 볼트축의 테이퍼부를 따라 외측으로 절곡되는 절곡부를 가지는 파이프와; 상기 볼트축의 수나사부에 결합되어 상기 파이프의 절곡부를 테이퍼부 측으로 밀어 이송시키는 너트로 이루어진 앵커볼트에 있어서,
    일단에 제1수나사부(12)가 형성되고 타단에 제2수나사부(13)가 형성된 볼트축(11)과;
    상기 볼트축(11)의 제1수나사부(12)에 나사결합되고 둘레에 테이퍼부(16)가 형성되며 상기 테이퍼부(16) 외측 둘레에 원형돌출부(17)가 형성된 헤드(15)와;
    일단에 방사상으로 다수 형성된 분할홈(22)에 의해 절곡부(23)가 구비되고 상기 헤드(15)의 원형돌출부(17)의 지름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파이프(21)와;
    상기 볼트축(11)의 제2수나사부(13)에 나사결합되는 공지의 너트(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볼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축(11)에 그 중심을 따라 콘트리트를 주입하도록 주입구멍(1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볼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21)의 절곡부(23) 내측면 단부 둘레에 상기 절곡부(23)가 상기 헤드(15)의 테이퍼부(16)를 따라 원활하게 절곡되도록 모따기부(2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볼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21) 타단에 상기 헤드(15)의 직경과 일치하도록 다수의 랜싱돌기(26)가 방사상으로 절곡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볼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21) 외주면에 상기 파이프(21)의 중심과 볼트축(11)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내측으로 돌출된 엠보싱부(25)가 다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볼트.
KR2019980025096U 1998-12-15 1998-12-15 앵커볼트 KR2002416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5096U KR200241619Y1 (ko) 1998-12-15 1998-12-15 앵커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5096U KR200241619Y1 (ko) 1998-12-15 1998-12-15 앵커볼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2195U true KR20000012195U (ko) 2000-07-05
KR200241619Y1 KR200241619Y1 (ko) 2001-12-01

Family

ID=69507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5096U KR200241619Y1 (ko) 1998-12-15 1998-12-15 앵커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161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938B1 (ko) * 2013-11-20 2014-06-10 기세진 펀칭작업이 필요없는 개선된 세트 앵커볼트
KR20160004187U (ko) * 2015-05-29 2016-12-07 김홍일 지지력이 강한 스크류 앵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838Y1 (ko) 2016-04-06 2018-04-13 윤선중 벽 고정용 앵커볼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938B1 (ko) * 2013-11-20 2014-06-10 기세진 펀칭작업이 필요없는 개선된 세트 앵커볼트
KR20160004187U (ko) * 2015-05-29 2016-12-07 김홍일 지지력이 강한 스크류 앵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1619Y1 (ko) 2001-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18297A (en) Molded plastic socket with easy-on hard-off stud engager
KR101273077B1 (ko) 단단한 밑층을 위한 고정 요소
RU2005102605A (ru) Система для установки иглы и способ крепления узла с иглой
JPH02118208A (ja) 締付具と保持リングの組立体
KR20070086384A (ko) 애드-온과 지지부를 이격된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장치
US5536122A (en) Expansible ancho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RU97100142A (ru) Вентиль
US4904000A (en) Connection fitting for a corrugated tube
KR200241619Y1 (ko) 앵커볼트
EP3864306B1 (en) Expansion anchor with bulged zone
US5655864A (en) Expansible fixing plug
KR100342130B1 (ko) 전선 권동
KR20060097166A (ko) 앵커볼트
KR200188480Y1 (ko) 매설너트
KR101000250B1 (ko) 차량의 스톱램프 스위치 장착구조
EP0246876A1 (en) Improvements relating to nuts
US6019088A (en) Mounting arrangement
KR200241919Y1 (ko) 앙카볼트
JPH0354964Y2 (ko)
KR200271373Y1 (ko) 앵커볼트
JP2000320014A (ja) インサート器具及びその施工方法
KR200266066Y1 (ko) 기초볼트
HU176998B (hu) Klin k stene
KR870001412Y1 (ko) 콘크리이트 전주의 스텝너트 매설장치
JPS6041369Y2 (ja) 断熱ボル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