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2015U - Vehicle call device using touch screen - Google Patents

Vehicle call device using touch scree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2015U
KR20000012015U KR2019980024857U KR19980024857U KR20000012015U KR 20000012015 U KR20000012015 U KR 20000012015U KR 2019980024857 U KR2019980024857 U KR 2019980024857U KR 19980024857 U KR19980024857 U KR 19980024857U KR 20000012015 U KR20000012015 U KR 2000001201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vehicle
call
outputting
touch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485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정욱
Original Assignee
홍종만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종만,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홍종만
Priority to KR20199800248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2015U/en
Publication of KR200000120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2015U/en

Links

Landscapes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네비게이션 장치를 구비한 차량에 있어서, 차량 주행중에도 전화번호 및 기능키를 입력하기 용이하고, 핸들을 잡고 전방을 주시한 상태에서도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모드선택 지시신호에 응답하여 모드선택 안내 화면을 출력하고, 전화모드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통화 안내 화면을 출력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에는 사용자가 접촉한 위치에 대응하는 통화모드신호 혹은 번호키신호를 출력하는 터치 스크린과; 전화기능 지시신호의 입력에 응답하여 해당 전화 기능을 수행하는 차량 통화부와; 모드선택 지시신호 출력후 상기 터치 스크린으로부터 출력된 통화모드신호 및 번호키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차량 통화부로 전화기능 지시신호 및 다이얼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vehicle having a navigation device, which is easy to input a telephone number and a function key while driving a vehicle, and in order to enable a call even when the vehicle is held in front of a steering wheel, the mode is responded to a mode selection instruction signal.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a selection guide screen and outputting a call guide screen in response to a telephone mode output signal; The display unit includes a touch screen for outputting a call mode signal or a number key signal corresponding to a location where a user touches; A vehicle call unit which performs a corresponding telephone function in response to an input of a telephone function indication signal; And a controller for outputting a telephone function instruction signal and a dial signal to the vehicle call unit in response to a call mode signal and a number key signal output from the touch screen after outputting a mode selection instruction signal.

Description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차량 통화 장치Vehicle call device using touch screen

본 고안은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차량 통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네비게이션 장치를 구비한 차량에 있어서 터치 스크린이 설치된 표시부를 통해 전화번호 등을 입력할 수 있는 차량 통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call apparatus using a touch screen,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call apparatus that can input a telephone number or the like through a display unit provided with a touch screen in a vehicle having a navigation apparatus.

이동 통신의 발달은 운송 수단의 하나인 차량에도 예외없이 적용되고 있다. 차량에 고정 설치된 차량용 전화기로부터 운전자나 탑승자가 소지한 핸드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이동 통신 수단이 차량 내에서 활용되고 있는 것이다.The development of mobile communication is applied without exception to a vehicle, which is one of transportation means. Various mobile communication means are being used in a vehicle, from a fixed-mounted vehicle telephone to a driver's or passenger's mobile phone.

상기 차량용 전화기, 핸드폰 등의 이동 통신 수단들은 차량 주행 중에도 원하는 사람과 통신이 가능하다는 편리함으로 인해 사용자가 급증하는 추세이지만, 그에 따른 부작용도 생겨나고 있다. 즉, 차량 주행중에 상기 차량용 전화기나 핸드폰을 사용하다보면 전방 주시를 소홀히 하기 쉽고, 핸들도 한 손으로만 잡고 있게 되는 등 교통사고의 잠재적 요인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The mobile communication means such as a vehicle telephone, a mobile phone, etc. are increasing in number due to the convenience that the user can communicate with a desired person while driving the vehicle, but side effects are also generated. That is, when using the vehicle phone or mobile phone while driving the vehicle, it is easy to neglect the front gaze, and there is a problem of generating a potential factor of a traffic accident such as holding the steering wheel only with one hand.

더군다나, 소형화되어가는 차량용 전화기 및 핸드폰의 키버튼은 상하좌우폭이 각각 1 cm도 채 되지 않는 작은 크기로 되어 있어, 차량 주행중에 전방을 주시하면서 키버튼을 조작하기가 쉽지 않았다.In addition, the key buttons of the car phone and mobile phone are becoming smaller in size, the width of the left, right, left and right of less than 1 cm, respectively, it was not easy to operate the key button while watching the front while driving the vehicl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목적은 차량 주행중에도 전화번호 및 기능키를 입력하기 용이하도록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차량 통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communication apparatus using a touch screen so as to easily input a phone number and a function key while driving a vehicle.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핸들을 잡고 전방을 주시한 상태에서도 통화가 가능한 차량 통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making a call even while looking at the front while holding a steering wheel.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네비게이션 장치를 구비한 차량에 있어서, 모드선택 지시신호에 응답하여 모드선택 안내 화면을 출력하고, 전화모드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통화 안내 화면을 출력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에는 사용자가 접촉한 위치에 대응하는 통화모드신호 혹은 번호키신호를 출력하는 터치 스크린과; 전화기능 지시신호의 입력에 응답하여 해당 전화 기능을 수행하는 차량 통화부와; 모드선택 지시신호 출력후 상기 터치 스크린으로부터 출력된 통화모드신호 및 번호키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차량 통화부로 전화기능 지시신호 및 다이얼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vehicle equipped with a navigation device, and outputs a mode selection guide screen in response to the mode selection instruction signal, and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a call guide screen in response to the telephone mode output signal; ; The display unit includes a touch screen for outputting a call mode signal or a number key signal corresponding to a location where a user touches; A vehicle call unit which performs a corresponding telephone function in response to an input of a telephone function indication signal; And a controller for outputting a telephone function instruction signal and a dial signal to the vehicle call unit in response to a call mode signal and a number key signal output from the touch screen after outputting a mode selection instruction signal.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차량 통화 장치의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vehicle communication device using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이 설치된 표시부의 모드선택 안내화면을 나타낸 개략도,2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mode selection guide screen of a display unit in which a touch screen is instal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이 설치된 표시부의 통화 안내 화면을 나타낸 개략도,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all guide screen of the display unit is installed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송화기와 수화기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4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handset and a hand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code | symbol about the principal part of drawing>

10 : 표시부 20 : 터치 스크린10: display unit 20: touch screen

30 : 차량 통화부 32 : 송화기30: vehicle communication unit 32: a handset

34 : 수화기 60 : 제어부34: handset 60: control unit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차량 통화 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이 설치된 표시부의 모드선택 안내화면을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이 설치된 표시부의 통화 안내 화면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송화기와 수화기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vehicle communication apparatus using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mode selection guide screen of the display unit is instal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all guide screen of a display unit provided with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handset and a recei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른 차량 통화 장치는 표시부(10), 터치 스크린(20), 차량 통화부(30) 및 제어부(6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As shown in FIG. 1, a vehicle commun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unit 10, a touch screen 20, a vehicle communication unit 30, and a controller 60.

상기 표시부(10)는 제어부(60)로부터 출력된 모드선택 지시신호에 응답하여 미리 설정된 모드선택 안내 화면을 출력하고, 이어 상기 제어부(60)로부터 전화모드 출력신호가 출력되면 그에 응답하여 미리 설정된 통화 안내 화면을 출력한다. 상기 표시부(10)는 TFT-LCD 디스플레이 혹은 CRT 디스플레이 등의 모니터로 구성되며, 상기 모니터의 전면에는 터치 스크린(20)을 설치한다.The display unit 10 outputs a preset mode selection guide screen in response to the mode selection instruction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ler 60, and then, when a telephone mode output signal is output from the controller 60, a preset call in response thereto. Print the guide screen. The display unit 10 is composed of a monitor such as a TFT-LCD display or a CRT display, and a touch screen 20 is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monitor.

상기 터치 스크린(20)은 투명한 판 모양의 스위치로서, 모니터 상에 출력된 화면의 메시지에 대응한 위치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닿으면 해당 위치에 설정된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20)은 표시부(10) 모니터 화면에 통화 안내 화면이 출력되면,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한 위치에 대응하는 통화모드신호 혹은 번호키신호를 출력한다.The touch screen 20 is a transparent plate-shaped switch, and when a user's finger touches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message of a screen output on the monitor, the touch screen 20 outputs a signal set at the position. When the call guidance screen is displayed on the monitor screen of the display unit 10, the touch screen 20 outputs a call mode signal or a number key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user's finger touches.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비게이션 장치의 표시부 초기 화면인 모드선택 화면(100)에는 전화 선택란(22)을 추가로 형성한다. 상기 전화 선택란(22)은 제어부의 ROM 내에 저장된 모드선택 이미지화일을 업데이트하여 설정한다.As shown in FIG. 2, a telephone selection box 22 is additionally formed on the mode selection screen 100, which is the initial screen of the display unit of the navigation device. The telephone selection field 22 updates and sets the mode selection image file stored in the ROM of the controller.

상기 모드선택 화면(100)을 본 운전자 혹은 탑승자가 전화 선택란(22)에 손가락을 갖다대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비게이션 장치의 표시부 모니터에는 통화 안내 화면(200)이 출력된다. 상기 통화 안내 화면(200)에는 기능키(24)와 전화번호키(26)를 형성하는데, 이는 제어부의 ROM 내에 통화안내 이미지화일을 추가로 저장시킴으로써 설정한다.When the driver or passenger who sees the mode selection screen 100 places a finger on the telephone selection box 22, the call guidance screen 200 is output on the display monitor of the navigation device as shown in FIG. 3. The call guide screen 200 is provided with a function key 24 and a phone number key 26, which are set by additionally storing a call guide image file in a ROM of the controller.

상기 차량 통화부(30)는 제어부(60)로부터 전화기능 지시신호가 입력되면 그에 응답하여 해당 전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차량 통화부(30)는 무선 기지국과의 무선 통신을 실행하기 위해 착발 신호 처리 등을 행하는 무선 제어회로를 구비한 무선기, 송수신 겸용 안테나, 송화기, 수화기 및 별도의 전화 제어기로 구성된다. (상기 무선기 및 전화 제어기는 도시되지 않음)The vehicle call unit 30 performs a corresponding telephone function in response to a telephone function indication signal input from the controller 60. The vehicle communication unit 30 is composed of a radio having a radio control circuit for carrying out an incoming signal processing or the like for executing radio communication with a radio base station, a combined transceiver, a transceiver, a receiver, and a separate telephone controller. (The radio and the telephone controller are not shown)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송화기(32)와 수화기(3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실내의 필러면에 부착한다. 도 4에는 센터 필러(60)면에 부착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차량의 모델 및 전화기 주 사용자의 탑승 위치를 고려하여 A 필러 등에도 부착할 수 있다. 상기 송화기(32)와 수화기(34)가 차량 실내의 필러면에 부착됨에 따라, 운전자는 전화번호 입력후 핸들을 잡고 있는 상태에서도 통화가 가능하다. 따라서, 종래 한 손으로는 핸들을 잡고 한 손으로는 핸드셋을 잡고 통화하던데서 비롯될 수 있는 교통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송화기 및 수화기는 각각 마이크로폰과 스피커로 구성된다.The handset 32 and the handset 34 in accordance with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ttach to the filler surface of the vehicle interior, as shown in FIG. 4 shows an embodiment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center pillar 60, but may be attached to the A pillar or the like in consideration of the model of the vehicle and the boarding position of the main user of the telephone. As the handset 32 and the handset 34 are attached to the filler surface of the vehicle interior, the driver can make a call even while holding the handle after inputting a phone numbe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risk of traffic accidents that may arise from the conventional hand holding the handle and one hand holding the handset. The handset and the handset are each composed of a microphone and a speaker.

상기 제어부(60)는 네비게이션 장치의 작동시 모드선택 지시신호 출력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20)으로부터 출력된 통화모드신호 및 번호키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차량 통화부(30)로 설정된 전화 기능을 수행하라는 전화기능 지시신호 및 해당 다이얼신호를 출력한다.The control unit 60 outputs a mode selection instruction signal during operation of the navigation device, and responds to a call mode signal and a number key signal output from the touch screen 20, and performs a telephone function set to the vehicle call unit 30. Outputs the telephone function indication signal and the corresponding dial signal to be performed.

만일, 상기 터치 스크린(20)으로부터 목적지 설정신호 등 일반적인 네비게이션 작동신호가 입력되면, ROM 내에 마스크된 네비게이션 프로그램에 따라 해당 과정을 수행한다. 즉, 상기 제어부(60)는 현재위치 연산부(40)로부터 입력된 차량 주행 정보 및 지도정보 기억부(50)에서 억세스한 지도 정보를 기초로 차량의 현재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최적 경로 설정 등 네비게이션 기본 과정을 수행한다.If a general navigation operation signal such as a destination setting signal is input from the touch screen 20, the corresponding process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navigation program masked in the ROM. That is, the controller 60 may set navigation basics such as setting an optimal route from the current position of the vehicle to the destination based on the vehicle driving information input from the current position calculating unit 40 and the map information accessed from the map information storing unit 50. Perform the proces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차량 통화 장치는 차량 주행중에도 터치 스크린을 통해 전화번호 및 기능키를 입력할 수 있어, 주행중 휴대폰 사용에 따른 불편함을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vehicle communication apparatus using the touch scree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nput a phone number and a function key through the touch screen even while driving the vehicle, thereby eliminating inconvenience caused by using a mobile phone while driving. .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차량 통화 장치는 휴대폰 조작으로 인한 전방 미주시로부터 야기되는 차량 운행중의 위험 요소를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vehicle communication device using the touch scree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removing the risk factors during the vehicle driving caused by the front end of the US due to the operation of the mobile phone.

Claims (2)

네비게이션 장치를 구비한 차량에 있어서,In a vehicle provided with a navigation device, 모드선택 지시신호에 응답하여 모드선택 안내 화면을 출력하고, 전화모드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통화 안내 화면을 출력하는 표시부와;A display unit which outputs a mode selection guide screen in response to the mode selection instruction signal and outputs a call guide screen in response to the telephone mode output signal; 상기 표시부에는 사용자가 접촉한 위치에 대응하는 통화모드신호 혹은 번호키신호를 출력하는 터치 스크린과;The display unit includes a touch screen for outputting a call mode signal or a number key signal corresponding to a location where a user touches; 전화기능 지시신호의 입력에 응답하여 해당 전화 기능을 수행하는 차량 통화부와;A vehicle call unit which performs a corresponding telephone function in response to an input of a telephone function indication signal; 모드선택 지시신호 출력후 상기 터치 스크린으로부터 출력된 통화모드신호 및 번호키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차량 통화부로 전화기능 지시신호 및 다이얼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프린을 이용한 차량 통화 장치.And a control unit for outputting a telephone function instruction signal and a dial signal to the vehicle communication unit in response to a call mode signal and a number key signal output from the touch screen after outputting a mode selection instruction signal. Vehicle call device us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통화부는 차량 실내의 필러면에 부착된 송화기와 수화기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프린을 이용한 차량 통화 장치.The vehicle communication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vehicle communication unit comprises a handset and a handset attached to a filler surface of a vehicle interior.
KR2019980024857U 1998-12-12 1998-12-12 Vehicle call device using touch screen KR20000012015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4857U KR20000012015U (en) 1998-12-12 1998-12-12 Vehicle call device using touch scre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4857U KR20000012015U (en) 1998-12-12 1998-12-12 Vehicle call device using touch scre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2015U true KR20000012015U (en) 2000-07-05

Family

ID=69507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4857U KR20000012015U (en) 1998-12-12 1998-12-12 Vehicle call device using touch scree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2015U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46961C2 (en) Data display system
KR101549559B1 (en) Input device disposed in handl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KR101588190B1 (en) Vehicle, controlling method thereof and multimedia apparatus therein
US20020068605A1 (en) Manual mobile-communication interface
US20070203646A1 (en) Image correc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navigation system with portable navigation unit
EP1081872A2 (en) Rado communication system for vehicle
JP2000355256A (en) Operation device for on-board electronic equipment
JPH10506995A (en) Route guidance device for humans
JP7133025B2 (en) head up display system
JP6387133B2 (en) Autonomous vehicles and programs for autonomous vehicles
ITRM940464A1 (en) &#34;RADIO TRANSCEIVER WITH INTERFACE EQUIPMENT TO DISPLAY INFORMATION AND RELATED METHOD&#34;.
US20130006526A1 (en) Gps vehicle docking station for handheld devices
JP6487516B2 (en) Autonomous vehicles and programs for autonomous vehicles
JPH07195962A (en) Information device for vehicle
JPH09292261A (en) On-vehicle navigation device
JP2004262363A (en) Input device for automobile
KR20000012015U (en) Vehicle call device using touch screen
JP3824186B2 (en) Car phone system
JP2006120046A (en) On-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JP3910455B2 (en) Hands-free communication device and speaker control method thereof
JP2003095038A (en) Adaptive switching device
JP6139940B2 (en) Information display system for vehicles
JP2007046905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for vehicle
KR19990009731A (en) Transmission and reception control device of mobile radio telephone using navigation instrument
JP2007228236A (en) Telephone communication system and telecommunic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