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1947U - 편향요크의 회로기판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편향요크의 회로기판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1947U
KR20000011947U KR2019980024741U KR19980024741U KR20000011947U KR 20000011947 U KR20000011947 U KR 20000011947U KR 2019980024741 U KR2019980024741 U KR 2019980024741U KR 19980024741 U KR19980024741 U KR 19980024741U KR 20000011947 U KR20000011947 U KR 2000001194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fixing
deflection yoke
neck portion
fix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47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52068Y1 (ko
Inventor
우덕기
Original Assignee
권호택
대우전자부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호택, 대우전자부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권호택
Priority to KR20199800247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2068Y1/ko
Publication of KR200000119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194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20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206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96One or more circuit elemen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tub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36Manufacture of magnetic deflecting devices for cathode-ray tubes

Landscapes

  • Formation Of Various Coating Films On Cathode Ray Tubes And Lam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편향요크의 회로기판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복수 개의 고정구멍(141)을 구비한 회로기판(140)과, 세퍼레이터(120)의 네크부(121) 측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돌출 성형되어 상기 고정구멍(141)에 끼워지는 복수 개의 고정편(121a)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편향요크의 회로기판 고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네크부(121)와 고정편(121a)의 이음부분(B)을 라운드진 형상으로 두껍게 성형하여 외부의 충격을 완화시켜 주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회로기판(140)의 고정구멍(141)에 끼워지는 고정편(121a)과 네크부(121)의 이음부분(B)을 라운드진 형상으로 두껍게 성형하여 편향요크(100)의 조립시 외부의 충격이나 접촉에 의한 고정편(121a)의 파손 및 깨짐현상을 극소화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편향요크의 회로기판 고정구조
본 고안은 편향요크의 회로기판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로기판의 고정구멍에 끼워지는 고정편과 네크부의 이음부분을 라운드진 형상으로 두껍게 성형하여 회로기판의 고정을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는 편향요크의 회로기판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극선관의 전자총에서 발사되는 전자빔을 편향시키는 편향요크(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빔을 수직방향으로 편향하는 수직 편향코일(110)과, 상기 전자빔을 수평방향으로 편향하는 수평 편향코일(미 도시됨)과, 상기 수평 편향코일 및 수직 편향코일(110)의 위치를 정밀도 있게 구분함과 동시에 상호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도록 하는 세퍼레이터(12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음극선관의 전자총에서 발사되는 R(Red), G(Green), B(Blue)의 전자빔은 편향요크(100)에 의하여 소정 각도로 편향되어 섀도우 마스크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과해서 패널(panel)의 내주에 장착된 형광면 각각의 스트라이프(stripe)에 봉착하여 발광하므로써 텔레비전의 스크린에 정상적인 화상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음극선관의 3 개의 전자총 중에서, 가운데의 녹색 전자총은 음극선관의 중심축과 일치하나, 좌우의 빨강과 파랑의 전자총은 중심축에 대하여 안쪽으로 약간 기울어진 상태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중심축 상에 있어서는 3 개의 전자빔은 각각 섀도우 마스크의 구멍에 집중하고, 동시에 같은 구멍을 통해서 각각 정해진 형광체에 닿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이때, 상기 패널의 스트라이프의 내주에 전자빔이 정밀도 있게 봉착되는 것을 랜딩이라 하고, 반면 상기 전자빔이 스트라이프의 외주로 벗어나는 미스랜딩이 발생하면 스크린의 화상이 명확하게 되지 않게 되는 것이므로, 화질의 열화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미스랜딩을 보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밸런스 코일(130)이 구비되기도 하는 데, 이 밸런스 코일(130)은 회로기판(140)에 장착되는 구조로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밸런스 코일(130)을 장착한 회로기판(14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체에 수평방향으로 나란히 이격되어 관통 성형된 복수 개의 고정구멍(141)에 세퍼레이터(120)의 네크부(121) 측면에 수평방향으로 나란히 돌출 성형된 고정편(121a)이 끼워지므로써 상호간의 결합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편(121a)은 네크부(121)의 측면으로부터 직각을 이루어 돌출 성형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네크부(121) 및 고정편(121a)의 이음부분(A)이 직각을 이루어 성형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따른 편향요크의 회로기판 고정구조는, 세퍼레이터(120)의 네크부(121) 측면에 수평방향으로 나란히 돌출 성형되어 회로기판(140)을 지지하는 고정편(121a)이 상기 네크부(121)의 측면으로부터 직각을 이루어 돌출 성형되므로 인하여, 편향요크(100)의 조립공정시 발생될 수 있는 빈번한 외부의 충격 및 접촉에 의하여 네크부(121)와 고정편(121a)의 이음부분(A)이 쉽게 파손되거나 훼손되어 회로기판(140)의 고정력을 크게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회로기판의 고정구멍에 끼워지는 고정편과 네크부의 이음부분을 라운드진 형상으로 두껍게 성형하여 편향요크의 조립시 발생될 수 있는 외부의 충격이나 접촉에 의한 고정편의 파손현상을 극소화시킬 수 있는 편향요크의 회로기판 고정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편향요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편향요크의 회로기판 고정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편향요크의 회로기판 고정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편향요크 110 : 수직 편향코일
120 : 세퍼레이터 121 : 네크부
121a : 고정편 130 : 밸런스 코일
140 : 회로기판 141 : 고정구멍
B : 이음부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복수 개의 고정구멍을 구비한 회로기판과, 세퍼레이터의 네크부 측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돌출 성형되어 상기 고정구멍에 끼워지는 복수 개의 고정편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편향요크의 회로기판 고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네크부와 고정편의 이음부분을 라운드진 형상으로 두껍게 성형하여 외부의 충격을 완화시켜 주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편향요크의 회로기판 고정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편향요크의 회로기판 고정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종래 구성과 동일 작용을 하는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를 병기 사용하기로 한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편향요크(100)는 전자빔을 수직방향으로 편향하는 수직 편향코일(110)과, 상기 전자빔을 수평방향으로 편향하는 수평 편향코일과, 상기 수평 편향코일 및 수직 편향코일(110)의 위치를 정밀도 있게 구분함과 동시에 상호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도록 하는 세퍼레이터(12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회로기판(14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체에 수평방향으로 나란히 이격되어 관통 성형된 복수 개의 고정구멍(141)에 세퍼레이터(120)의 네크부(121) 측면에 수평방향으로 나란히 돌출 성형된 고정편(121a)이 끼워지므로써 상호간의 결합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네크부(121)와 고정편(121a)의 이음부분(B)은 라운드진 형상으로 두껍게 성형되어 외부의 충격을 완화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종래의 네크부(121) 및 고정편(121a)의 이음부분(A)은 직각을 이루어 성형되므로 인하여 외부의 충격에 쉽게 파손되는 단점이 있었으나, 본 고안에 따른 네크부(121) 및 고정편(121a)의 이음부분(B)은 라운드진 형상으로 두껍게 성형되어 종래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편향요크의 회로기판 고정구조에 의하면, 회로기판(140)의 고정구멍(141)에 끼워지는 고정편(121a)과 네크부(121)의 이음부분(B)을 라운드진 형상으로 두껍게 성형하여 편향요크(100)의 조립시 외부의 충격이나 접촉에 의한 고정편(121a)의 파손 및 깨짐현상을 극소화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복수 개의 고정구멍(141)을 구비한 회로기판(140)과, 세퍼레이터(120)의 네크부(121) 측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돌출 성형되어 상기 고정구멍(141)에 끼워지는 복수 개의 고정편(121a)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편향요크의 회로기판 고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네크부(121)와 고정편(121a)의 이음부분(B)을 라운드진 형상으로 두껍게 성형하여 외부의 충격을 완화시켜 주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의 회로기판 고정구조.
KR2019980024741U 1998-12-11 1998-12-11 편향요크의 회로기판 고정구조 KR2003520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4741U KR200352068Y1 (ko) 1998-12-11 1998-12-11 편향요크의 회로기판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4741U KR200352068Y1 (ko) 1998-12-11 1998-12-11 편향요크의 회로기판 고정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1947U true KR20000011947U (ko) 2000-07-05
KR200352068Y1 KR200352068Y1 (ko) 2004-07-16

Family

ID=49346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4741U KR200352068Y1 (ko) 1998-12-11 1998-12-11 편향요크의 회로기판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206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8416A (ko) * 2000-09-01 2002-03-08 전형구 편향요크의 회로기판 고정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8416A (ko) * 2000-09-01 2002-03-08 전형구 편향요크의 회로기판 고정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2068Y1 (ko) 2004-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52068Y1 (ko) 편향요크의 회로기판 고정구조
KR100541981B1 (ko) 편향요크의 회로기판 고정구조
KR200240727Y1 (ko) 편향요크의회로기판고정구조
KR200202678Y1 (ko) 편향요크
KR200322480Y1 (ko) 편향요크의 밸런스 코일 고정구조
KR200289346Y1 (ko) 편향요크의 회로기판 고정구조
KR100273005B1 (ko) 편향요크의 회로기판 구조
KR200202677Y1 (ko) 편향요크
KR200289354Y1 (ko) 편향요크의 단자판 고정구조
KR20000007024U (ko) 편향요크의 회로기판 고정구조
KR100732290B1 (ko) 편향요크의 네크밴드 고정구조
KR200289347Y1 (ko) 편향요크의 밸런스코일 안내구조
KR200226393Y1 (ko) 편향요크의 코마코일 결선구조
KR200289330Y1 (ko) 편향요크의 코마코일 고정구조
KR200365167Y1 (ko) 편향요크용 단자판의 선처리 구조
KR200376865Y1 (ko) 편향요크의 밸런스 코일 선처리구조
KR100285108B1 (ko) 편향요크
KR200176214Y1 (ko) 편향요크
KR200154301Y1 (ko) 편향요크의 코마코일 고정구조
KR200365175Y1 (ko) 편향요크용 코일스페이서 구조
KR200376877Y1 (ko) 편향요크의 보정철편 고정구조
KR19990025990U (ko) 편향요크의 코마코일 고정구조
KR20000007019U (ko) 편향요크
KR19990025995U (ko) 편향요크의 크로스 암 고정구조
KR20000001179U (ko) 편향요크의 수직 편향코일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