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1448U - connector - Google Patents

conn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1448U
KR20000011448U KR2019980023884U KR19980023884U KR20000011448U KR 20000011448 U KR20000011448 U KR 20000011448U KR 2019980023884 U KR2019980023884 U KR 2019980023884U KR 19980023884 U KR19980023884 U KR 19980023884U KR 20000011448 U KR20000011448 U KR 2000001144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main board
terminal pin
flux
solde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3884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인철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800238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1448U/en
Publication of KR200000114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1448U/en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컴퓨터 시스템의 메인 보드에 장착되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상기 커넥터는 메인 보드에 놓여지는 제 1 면과 상대 커넥터와 접촉되는 제 2 면을 갖는 바디와; 중간부분은 바디내에 고정되고, 일단부분은 바디의 제 1 면상으로 노출되어 메인 보드에 솔더링되며 타단부분은 바디의 제 2 면상으로 노출되어 상대 커넥터에 접촉되는 다수의 단자핀 및 단자핀 중간부분이 고정된 바디내에 형성되고 메인 보드에 단자핀의 일단부분이 솔더링될 때, 모세관 현상으로 인한 플럭스의 침투를 차단하기 위한 방지공간을 구비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mounted on a main board of a computer system, the connector comprising: a body having a first face placed on the main board and a second face in contact with the mating connector; The middle part is fixed in the body, and one end part is exposed on the first side of the body and soldered to the main board, and the other end is exposed on the second side of the body, and a plurality of terminal pins and terminal pin middle parts contacting the mating connector When formed in the fixed body and one end of the terminal pin is soldered to the main board, it has a prevention space for blocking the penetration of the flux due to the capillary phenomenon.

Description

커넥터(a connector)A connector

본 고안은 컴퓨터 시스템의 메인 보드에 장착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mounted on the main board of the computer system.

일반적인 개인용 컴퓨터 시스템에서 메인 보드와 확장 보드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방법으로 커넥터에 의한 암 커넥터와 수 커넥터의 결합형태가 사용된다. 상기 커넥터의 종류는 상기 컴퓨터 시스템에서 지원되는 BUS 즉, ISA(Industy standard Architecture), EISA(Extended Industy standard Architecture), VESA(Video Electronics Standard Association), PCI(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등의 구조에 따라서 여러 가지로 나누어진다. 최근 개인용 컴퓨터 시스템에는 ISA와 PCI BUS가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3개 내지 4개의 ISA용 커넥터와 2개 내지 3개의 PCI용 커넥터로 구성되어 컴퓨터 시스템의 메인 보드상에 설치된다.In a general personal computer system, a coupling form of a female connector and a male connector by a connector is us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main board and the expansion board. The type of connector is various depending on the structure of a bus supported by the computer system, that is, an industrial standard architecture (ISA), extended industrial standard architecture (ISA), a video electronics standard association (VESA), a 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PCI), and the like. Divided into. Recently, ISA and PCI BUS are the most commonly used personal computer systems, and are composed of three to four ISA connectors and two to three PCI connectors to be installed on the main board of the computer system.

도 1은 일반적인 커넥터의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general connector.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100)는 메인 보드(120)에 장착되며 상기 커넥터의 단자핀(104)은 상기 메인 보드(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As shown in FIG. 1, the connector 100 is mounted to the main board 120 and the terminal pin 104 of the connecto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board 120.

상기 커넥터(100)와 상기 메인 보드(120)의 전기적인 연결은 상기 단자핀(104)의 일단부분(104a)을 상기 메인 보드(120)의 홀(122)에 삽입한 후 납땜으로 접합시킨다. 한편, 상기 납땜 작업시 접합부를 깨끗이 하고 접합이 확실하게 이루어지도록 조성제인 플럭스(flux)를 도포하게 된다. 이때, 모세관 현상에 의해 상기 플럭스는 상기 단자핀의 일단부분(메인 보드에 납땜되는 부분)을 타고 상기 단자핀(104)의 타단부분(104b)까지 침투된다. 이와 같이, 상기 플럭스가 상기 단자핀(104)의 타단부분(104b;상대 커넥터의 접속부분과 접속되는 부분)까지 침투된 상태에서 시간이 경과되면 플럭스가 고체화되면서 상기 단자핀의 타단부분(104b)에 절연막이 형성된다. 즉, 고체화된 플럭스에 의해 상기 단자핀(104)의 타단부분의 전도성이 상실되고, 따라서, 상기 커넥터의 단자핀(104)에 접속되는 상대 커넥터(미도시됨)의 접속부와 접촉불량이 야기되는 문제점이 있다.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connector 100 and the main board 120 inserts one end portion 104a of the terminal pin 104 into the hole 122 of the main board 120 and then solders it. On the other hand, in the soldering operation, a flux, which is a composition agent, is applied to clean the joints and to secure the joints. At this time, the flux penetrates to one end portion of the terminal pin (a portion to be soldered to the main board) by the capillary phenomenon and to the other end portion 104b of the terminal pin 104. As such, when time passes while the flux penetrates to the other end 104b of the terminal pin 104 (part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rt of the relative connector), the flux solidifies and the other end 104b of the terminal pin. An insulating film is formed in the film. That is, the conductivity of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terminal pin 104 is lost due to the solidified flux, thus causing contact failure with the connection part of the mating connector (not shown) connected to the terminal pin 104 of the connector. There is a problem.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플럭스가 모세관 현상에 의해 단자핀의 접속부분까지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커넥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ew type of connector that can prevent the flux penetrated to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terminal pin by the capillary phenomenon.

도 1은 종래 커넥터의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connector;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커넥터에서 플럭스의 침투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enetration path of the flux in the connector shown in FIG.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커넥터 12 : 바디10 connector 12 body

14 : 프레임 16 : 고정돌기14 frame 16: fixed protrusion

18 : 방지공간 20 : 단자핀18: prevention space 20: terminal pin

22 : 접속부분 24 : 고정부분22: connection part 24: fixing part

26 : 솔더링부분 30 : 메인 보드26: soldering part 30: main board

32 : 콘택홀 34 : 고정홀32: contact hole 34: fixing hole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커넥터는 보드에 장착되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보드에 놓여지는 제 1 면과 상대 커넥터와 접촉되는 제 2 면을 갖는 바디와; 중간부분은 상기 바디내에 고정되고, 일단부분은 상기 바디의 제 1 면상으로 노출되어 상기 보드에 솔더링되며 타단부분은 상기 바디의 제 2 면상으로 노출되어 상대 커넥터에 접촉되는 다수의 단자핀들과; 상기 단자핀 중간부분이 고정된 상기 바디내에 형성되고 상기 보드에 상기 단자핀의 일단부분이 솔더링될 때, 모세관 현상으로 인한 플럭스의 침투를 차단하기 위한 방지공간을 구비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connector, comprising: a connector mounted on a board, comprising: a body having a first surface placed on the board and a second surface in contact with a mating connector; A plurality of terminal pins having an intermediate portion fixed in the body, one end portion being exposed on the first surface of the body and soldered to the board, and the other end being exposed on the second surface of the body and contacting the mating connector; When the middle portion of the terminal pin is formed in the body is fixed and the one end of the terminal pin is soldered to the board, there is provided a prevention space for blocking the penetration of the flux due to the capillary phenomenon.

이하, 첨부된 도면 도 2 및 도 3를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면들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가 병기되어 있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S. 2 and 3.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components that perform the same function.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커넥터에서 플럭스의 흐름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flow of flux in the connector shown in FIG.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0)는 크게 바디(12)와 다수의 단자핀(20)들로 이루어진다. 상기 단자핀(20)들은 정해진 규칙에 의해 배열되어 상기 바디(12)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단자핀(20)들은 접속부분(22)과 고정부분(24) 그리고 솔더링부분(26)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단자핀(20)들의 고정부분(24)은 상기 바디(12)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분(24)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솔더링부분(26)은 상기 바디(12)의 저면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분(24)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상기 접속부분(22)은 상기 바디(12)의 일측면으로 돌출된다. 예컨대, 상기 단자핀들의 솔더링부분(26)은 컴퓨터 시스템의 메인 보드(30)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콘택홀(32)들에 삽입된다. 그리고, 솔더링(soldering)등의 방법에 의해서 장착된다. 상기 단자핀(20)들의 접속부분(22)에는 상기 커넥터(10)와 대응되는 상대 커넥터(미도시됨)가 끼워져 접속된다.As shown in Figure 2 and 3, the connecto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composed of a body 12 and a plurality of terminal pins (20). The terminal pins 20 are arranged in accordance with a predetermined rule and fixed to the body 12. The terminal pins 20 may include a connecting portion 22, a fixing portion 24, and a soldering portion 26. The fixing part 24 of the terminal pins 20 is fixed to the body 12. The soldering portion 26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fixing portion 24 protrudes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12. In addition, the connection part 22 formed to extend from the other end of the fixing part 24 protrudes to one side of the body 12. For example, the soldering portions 26 of the terminal pins are inserted into the contact holes 32 formed to correspond to the main board 30 of the computer system. Then, it is attached by a method such as soldering (soldering). A mating connector (not shown) corresponding to the connector 10 is inserted into and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ions 22 of the terminal pins 20.

한편, 상기 커넥터(10)는 바디(12)의 일측면에 상기 단자핀(20)들의 접속부분(22)을 보호하고 상대 커넥터가 상기 커넥터의 단자핀 접속부분(22)에 접속될 때 그 삽입을 가이드해주기 위한 프레임(14)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10)는 상기 바디(12)의 저면에 상기 메인 보드(30)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돌기(16)를 갖는다. 상기 고정돌기(16)는 상기 커넥터(10)가 상기 메인 보드(30)에 고정될 때 상기 메인 보드(30)상에 형성된 고정홀(34)에 삽입되어 고정된다.On the other hand, the connector 10 protects the connecting portion 22 of the terminal pins 20 on one side of the body 12 and is inserted when the mating connector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pin connecting portion 22 of the connector. It has a frame 14 for guiding it. In addition, the connector 10 has a fixing protrusion 16 for fixing the main board 30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12 more firmly. The fixing protrusion 16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fixing hole 34 formed on the main board 30 when the connector 10 is fixed to the main board 30.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10)는 상기 단자핀(20)들의 솔더링부분(26)이 상기 메인 보드(30)에 솔더링될 때, 모세관 현상으로 인한 플럭스(flux)의 침투를 차단할 수 있는 방지공간(18)을 갖는다. 상기 방지공간(18)은 상기 단자핀(20)의 고정부분(24)이 고정된 바디상에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2, the connector 10, when the soldering portion 26 of the terminal pins 20 are soldered to the main board 30, the penetration of the flux (flux) due to the capillary phenomenon It has a prevention space 18 that can block. The prevention space 18 is formed on a body to which the fixing portion 24 of the terminal pin 20 is fixed.

예컨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는 ISA, EISA, VESA, PCI 커넥터 등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For example,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understood as an ISA, EISA, VESA, PCI connector and the like.

여기서 본 고안의 구조적인 특징은 상기 바디내에 방지공간을 형성하므로써 상기 커넥터가 상기 메인 보드에 솔더링 될 때 단자핀들의 솔더링부분을 타고 단자핀의 접속부분까지 침투되는 플럭스로 인한 단자핀의 접촉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The structural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poor contact of the terminal pin due to the flux that penetrates the soldering portion of the terminal pins to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terminal pin when the connector is soldered to the main board by forming a prevention space in the body. It can be prevented.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커넥터를 상기 메인 보드에 장착시키기 위하여 상기 단자핀(20)의 솔더링부분(26)을 납땜작업하게 된다. 납땜작업시 납땜부분을 깨끗이 하고 접합이 확실하게 이루어지도록 조성제인 플럭스를 도포하게 된다. 이때, 모세관 현상에 의해 상기 플럭스는 상기 단자핀의 솔더링부분(메인 보드에 납땜되는 부분;26)으로부터 상단부분으로 침투하게 된다. 예컨대, 도 3에서는 플럭스의 흐름을 점선으로 표시하고 있다. 이렇게 침투하던 상기 플럭스는 상기 방지공간(18)에 도달하는 순간 그 방지공간(18)에서 이슬처럼 형성되면서 상기 단자핀의 접속부분(22)으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방지공간(18)에 이슬처럼 맺힌 플럭스는 역으로 단자핀의 솔더링부분(26)을 타고 액체상태로 하단측으로 흘러내리게 된다. 따라서, 납땜작업시 냉납 및 과납을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커넥터는 특히, DIP 솔더링 또는 멀티 솔더링시 효과가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soldering portion 26 of the terminal pin 20 is soldered to mount the connector on the main board. During the soldering process, flux is applied to the solder to clean the soldered parts and ensure proper bonding. At this time, by the capillary phenomenon, the flux penetrates into the upper portion from the soldering portion (the portion to be soldered to the main board) 26 of the terminal pin. For example, in FIG. 3, the flux flow is shown by the dotted line. The flux that has penetrated in this way is prevented from penetrating into the connecting portion 22 of the terminal pin while being formed like dew in the blocking space 18 at the moment of reaching the blocking space 18. Thus, the flux formed in the preventive space 18 like dew flows down the soldering portion 26 of the terminal pin to the lower side in the liquid state. Thus, cold soldering and overcharging can be prevented during soldering. For example, a connector having such a structure is particularly effective in DIP soldering or multi soldering.

이와 같은 본 고안을 적용하면 커넥터가 메인 보드에 솔더링 될 때 플럭스가 단자핀의 솔더링부분을 타고 단자핀의 접속부분으로 침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솔더링후 발생되는 단자핀의 접속부분에 플럭스에 의한 절연막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플럭스로 인한 단자핀의 접촉불량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flux can be prevented from penetrating into the connection part of the terminal pin by soldering the terminal pin when the connector is soldered to the main board. Formation of the insulating film can be prevented.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in advance the poor contact of the terminal pins due to the flux.

Claims (1)

보드에 장착되는 커넥터에 있어서:For connectors mounted on the board: 상기 보드에 놓여지는 제 1 면과 상대 커넥터와 접촉되는 제 2 면을 갖는 바디와;A body having a first surface placed on the board and a second surface in contact with the mating connector; 중간부분은 상기 바디내에 고정되고, 일단부분은 상기 바디의 제 1 면상으로 노출되어 상기 보드에 솔더링되며 타단부분은 상기 바디의 제 2 면상으로 노출되어 상대 커넥터에 접촉되는 다수의 단자핀들과;A plurality of terminal pins having an intermediate portion fixed in the body, one end portion being exposed on the first surface of the body and soldered to the board, and the other end being exposed on the second surface of the body and contacting the mating connector; 상기 단자핀 중간부분이 고정된 상기 바디내에 형성되고 상기 보드에 상기 단자핀의 일단부분이 솔더링될 때, 모세관 현상으로 인한 플럭스의 침투를 차단하기 위한 방지공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And a prevention space for blocking penetration of flux due to capillary action when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terminal pin is formed in the fixed body and one end of the terminal pin is soldered to the board.
KR2019980023884U 1998-12-02 1998-12-02 connector KR20000011448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3884U KR20000011448U (en) 1998-12-02 1998-12-02 conn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3884U KR20000011448U (en) 1998-12-02 1998-12-02 connec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1448U true KR20000011448U (en) 2000-07-05

Family

ID=69710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3884U KR20000011448U (en) 1998-12-02 1998-12-02 connec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1448U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6464B1 (en) * 1999-12-21 2003-11-20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Electronic component, coaxial connector, and communication device
KR100458682B1 (en) * 2001-04-20 2004-12-03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Electrical connector
CN107726062A (en) * 2017-11-17 2018-02-23 江门劳士国际电气有限公司 A kind of direct insertion LED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6464B1 (en) * 1999-12-21 2003-11-20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Electronic component, coaxial connector, and communication device
KR100458682B1 (en) * 2001-04-20 2004-12-03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Electrical connector
CN107726062A (en) * 2017-11-17 2018-02-23 江门劳士国际电气有限公司 A kind of direct insertion LE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141570A (en) Mounting structure of female connector
JP2005129275A (en) Connector fixing structure
KR20070004906A (en) Coaxial cable soldering method and equipment
JP2001135906A (en) Electric component connection structure of wiring board
US6512185B2 (en) Printed-wiring board
IE980209A1 (en) Method of establishing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a pair¹of substrates.
JP2872023B2 (en) Surface mount connector
KR20000011448U (en) connector
US4967042A (en) System for enhancing current carrying capacity of printed wiring board
US6830462B1 (en) Electrical connector housing
US7303409B2 (en) Connector and base thereof
KR20220096616A (en) PCB multilayer connection structure
EP0670760B1 (en) Electrical connector
JP2017157718A (en) Component for electric circuit
US5830014A (en) Electrical connector
JPH1064608A (en) Connector
JPH07153535A (en) Method for connecting electric parts to printed board and terminal therefor
JPH09245859A (en) Connector connecting structure
JPH1186928A (en) Connection terminal
JPH0652911A (en) Connector mounting structure
JP2000200642A (en) Board connecting terminal
JP3110697U (en) Flexible cable and circuit board, and devices equipped with them
JPH10189086A (en) Connecting terminal for printed circuit board
JPH0735227Y2 (en) Connection cable using flexible printed circuit
EP1135011A2 (en) Printed-wiring bo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