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1343U - 전자레인지의 도어부 구조 - Google Patents

전자레인지의 도어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1343U
KR20000011343U KR2019980023753U KR19980023753U KR20000011343U KR 20000011343 U KR20000011343 U KR 20000011343U KR 2019980023753 U KR2019980023753 U KR 2019980023753U KR 19980023753 U KR19980023753 U KR 19980023753U KR 20000011343 U KR20000011343 U KR 2000001134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microwave oven
door frame
cooking
chok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37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호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20199800237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1343U/ko
Publication of KR200000113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1343U/ko

Links

Landscapes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종래의 전자레인지의 도어부 구조가 도어 프레임과 쵸크 플레이트 사이의 갭으로 조리부의 습기가 침투하여 프런트글래스에 맺힘으로서 조리부 내의 원활한 시야확보를 차단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프런트글래스를 지지하는 도어 패널과, 상기 도어 패널을 지지하는 도어 프레임과, 상기 도어 패널과 도어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고 조리부의 프런트 플레이트에 밀착되어 조리부를 기밀시키는 쵸크 플레이트로 구성된 전자레인지의 도어부 구조에 있어서, 상기 도어 프레임과 쵸크 플레이트 사이의 갭에 습기 침투를 차단하기 위한 돌기물이 형성됨으로써,
조리부로부터 프런트글래스 방향으로 침투되는 수분이 이동이 차단되어 프런트글래스에 습기가 맺히지 않게 되므로 조리부에 대한 시야 확보가 용이한 전자레인지의 도어부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자레인지의 도어부 구조
본 고안은 전자파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전자레인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자레인지의 캐비티 내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여 프런트글래스에 습기가 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전자레인지의 도어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레인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이 조리되는 조리부(1)와, 전자파를 발생시키는 전장부(3)와, 상기 조리부(1)의 앞쪽에 설치된 도어(2)와, 상기 전장부(3)의 앞쪽에 설치되어 전장부(3)의 동작을 제어하는 조작부(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조작부(4)에는 설정상태나 동작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액정판(6)이 설치되어 있고, 전장부(3)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회전식 노브(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전자레인지에서는 조리부(1)의 내부에 음식을 넣고 도어(2)를 닫은 후 조작부(4)의 노브(5)를 조작하여 전장부(2)에서 전자파가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조리부(1) 내부의 음식물이 조리되도록 하고 있다.
이때, 상기 도어(2)에는 조리부(1) 내부의 음식물 조리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프런트글래스가 설치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프런트글래스를 통해 음식물 조리 상태를 살펴 노브(5)를 조작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도어(2)는 조리부(1)가 기밀되도록 하여 음식물 조리시 냄새가 발생되는 것을 차단함과 동시에 조리부(1)의 온도가 하강되는 것을 차단한다. 따라서, 도어와 조리부 사이의 결합 구조는 설계시 매우 중요한 포인트가 되며, 본 고안의 요체이다.
일반적인 전자레인지의 도어부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런트글래스(12)를 지지하는 도어 패널(11)과, 상기 도어 패널(11)을 지지하는 도어 프레임(13)과, 상기 도어 패널(11)과 도어 프레임(13) 사이에 설치되고 조리부의 프런트 플레이트(20)에 밀착되어 조리부를 기밀시키는 쵸크 플레이트(1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전자레인지의 도어부는 도어와 조리부를 밀착시켜 조리부의 냄새나 열이 외부로 빠져 나오지 않게 한다.
도어 프레임(13)과 도어 패널(11) 사이에 설치된 쵸크 플레이트(14)는 조리부의 프런트 플레이트(20)에 밀착되어 조리부의 냄새나 열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고, 도어 프레임(13)과 도어 패널(11) 사이의 갭을 통해 냄새나 열이 프런트글래스(12)로 이동는 것도 차단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전자레인지의 도어부 구조는 도어 프레임과 쵸크 플레이트 사이의 갭으로 조리부의 습기가 침투하여 프런트글래스에 맺힘으로서 조리부 내의 원활한 시야확보를 차단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프레임(13)과 쵸크 플레이트(14) 사이에는 상당한 크기의 갭이 존재하고 있는 바, 그 갭을 통하여 조리부에서 발생된 습기가 프런트글래스(12) 쪽으로 침투하게 된다. 프런트글래스(12) 쪽으로 침투된 습기는 프런트글래스(12) 내외면의 온도차로 인해 프런트글래스(12) 면에 맺히게 되고, 프런트글래스(12)를 통하여 조리부 내부를 관찰할 수 있는 시야를 가리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도어 프레임과 쵸크 플레이트 사이의 갭을 제거하여 조리부로부터 프런트글래스 방향으로 습기가 침투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담함으로써, 조리부에 대한 시야확보를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전자레인지의 도어부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자레인지가 도시된 외관 사시도,
도 2는 일반적인 전자레인지의 도어부가 도시된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전자레인지 도어부의 상단부가 도시된 상세도,
도 4는 종래의 전자레인지 도어부에서 습기 침투로가 도시된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전자레인지 도어부 구조가 도시된 단면도,
도 6과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1 : 도어 패널 52 : 프런트글래스
53 : 도어 프레임 53' : 돌기물(도어 프레임의)
54 : 쵸크 플레이트 54' : 돌기물(쵸크 플레이트의)
상기한 목적을 잘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프런트글래스를 지지하는 도어 패널과, 상기 도어 패널을 지지하는 도어 프레임과, 상기 도어 패널과 도어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고 조리부의 프런트 플레이트에 밀착되어 조리부를 기밀시키는 쵸크 플레이트로 구성된 전자레인지의 도어부 구조에 있어서, 상기 도어 프레임과 쵸크 플레이트 사이의 갭에 습기 침투를 차단하기 위한 돌기물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도어부 구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런트글래스(52)를 지지하는 도어 패널(51)과, 상기 도어 패널(51)을 지지하는 도어 프레임(53)과, 상기 도어 패널(51)과 도어 프레임(53) 사이에 설치되고 조리부의 프런트 플레이트(60)에 밀착되어 조리부를 기밀시키는 쵸크 플레이트(54)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도어 프레임(53)과 쵸크 플레이트(54)의 결합부에는 각각 상대방에 대하여 선단이 밀착되는 돌기물(53')(54')이 형성되어 둘 사이의 갭을 통한 습기 침투를 차단한다. 상기 돌기물(53')(54')은 상기 도어 프레임(53)과 쵸크 플레이트(54)의 일부가 상대를 향해 돌출됨으로써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전자레인지 구조는 돌기물에 의해 조리부의 습기가 프런트글래스 방향으로 침투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도어 프레임(53)과 도어 패널 사이(51)에 설치된 쵸크 플레이트(54)는 조리부의 프런트 플레이트(600에 밀착되어 조리부의 냄새나 열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고, 도어 프레임(53)과 도어 패널(51) 사이의 갭을 통해 냄새나 열이 프런트글래스(52)로 전달되는 것도 차단하게 된다.
도어 프레임(53)과 쵸크 플레이트(54) 사이의 갭을 통하여 조리부에서 발생된 습기가 프런트글래스(52) 쪽으로 침투할 수 있으나, 도어 프레임(53)과 쵸크 플레이트(54)에 각각 형성된 돌기물(53')(54')에 의해 수분침투가 차단된다. 즉, 조리부에서 발생된 습기는 도어 프레임(53)에 형성되고 그 선단이 쵸크 플레이트(54)에 밀착된 돌기물(53')에 의해 그 이동이 차단된다.
만약, 습기가 상기 도어 프레임(53)에 형성된 돌기물(53')과 쵸크 플레이트(54) 사이의 밀착부를 통과하더라도, 쵸크 플레이트(54)에 형성되고 도어 프레임(53)에 밀착된 또 하나의 돌기물(54')에 의해 그 이동이 차단되어 수분 침투가 완전히 차단된다. 따라서, 습기로 인해 프런트글래스(52)의 시야가 차단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물(54')은 쵸크 플레이트(54)에 형성되어 돌기물(54')의 선단이 상기 도어 프레임(53)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으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물(53')이 도어 프레임(53)에 형성되어 돌기물(53')의 선단이 상기 쵸크 플레이트(54)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한 실시 예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실시 예의 경우에는 수분 침투를 이중으로 차단하여 수분 침투의 차단 효과가 매우 뛰어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전자레인지의 도어부 구조는 조리부로부터 프런트글래스 방향으로 침투되는 수분이 이동이 차단되어 프런트글래스에 습기가 맺히지 않게 되므로 조리부에 대한 시야 확보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Claims (5)

  1. 프런트글래스를 지지하는 도어 패널과, 상기 도어 패널을 지지하는 도어 프레임과, 상기 도어 패널과 도어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고 조리부의 프런트 플레이트에 밀착되어 조리부를 기밀시키는 쵸크 플레이트로 구성된 전자레인지의 도어부 구조에 있어서,
    상기 도어 프레임과 쵸크 플레이트 사이의 갭에 습기 침투를 차단하기 위한 돌기물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의 도어부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물은 상기 도어 프레임 또는 쵸크 플레이트의 일부가 상대방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의 도어부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물은 쵸크 플레이트에 형성되어 돌기물의 선단이 상기 도어 프레임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의 도어부 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물은 도어 프레임에 형성되어 돌기물의 선단이 상기 쵸크 플레이트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의 도어부 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물은 도어 프레임과 상기 쵸크 플레이트에 모두 형성되어 상대방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의 도어부 구조.
KR2019980023753U 1998-12-01 1998-12-01 전자레인지의 도어부 구조 KR2000001134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3753U KR20000011343U (ko) 1998-12-01 1998-12-01 전자레인지의 도어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3753U KR20000011343U (ko) 1998-12-01 1998-12-01 전자레인지의 도어부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1343U true KR20000011343U (ko) 2000-07-05

Family

ID=69504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3753U KR20000011343U (ko) 1998-12-01 1998-12-01 전자레인지의 도어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1343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8485B1 (ko) * 2000-09-21 2003-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렌지의 도어
KR100513300B1 (ko) * 2003-08-29 2005-09-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렌지
KR101300056B1 (ko) * 2011-04-22 2013-08-29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업무용 취반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8485B1 (ko) * 2000-09-21 2003-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렌지의 도어
KR100513300B1 (ko) * 2003-08-29 2005-09-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렌지
KR101300056B1 (ko) * 2011-04-22 2013-08-29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업무용 취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78661B2 (en) Apparatus for shielding electromagnetic wave of microwave oven door
KR100486588B1 (ko) 전자레인지의 도어
US5897808A (en) Microwave oven door with microwave leakage seal
CA2054047A1 (en) Microwave shielding device for a door of a microwave oven
KR100233437B1 (ko) 전자렌지의 도어
KR20000011343U (ko) 전자레인지의 도어부 구조
KR100468121B1 (ko) 전자렌지
US4541203A (en) Oven door gasket
KR19990003835A (ko) 전자 렌지용 도어의 열 차단 구조
KR100398485B1 (ko) 전자렌지의 도어
KR200301792Y1 (ko) 전자렌지용도어조립체의전면도어와도어스크린의결합구조
KR200221574Y1 (ko) 전자레인지의 도어조립체
KR20000051389A (ko) 전자렌지
JPS6138002Y2 (ko)
JP3171513B2 (ja) 加熱調理装置
KR900002832Y1 (ko) 고주파 차단용 전자렌지 도아장치
KR100299827B1 (ko) 전자렌지 제어패널의 수분 침투 방지구조
KR101125562B1 (ko) 전자레인지 도어의 차폐장치
KR100491793B1 (ko) 전자레인지의 도어 구조
KR19990018409U (ko) 전자렌지의 도어구조
KR100278453B1 (ko) 전자렌지용도어
KR920008890Y1 (ko) 전자레인지의 전파차폐장치
KR200173444Y1 (ko) 전자 렌지용 마이크로파 통과공 차폐 구조
KR200157115Y1 (ko) 전자렌지의 도어쵸크
KR19990008432U (ko) 전자렌지의 마이크로파 누설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